KR101563797B1 -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797B1
KR101563797B1 KR1020137033863A KR20137033863A KR101563797B1 KR 101563797 B1 KR101563797 B1 KR 101563797B1 KR 1020137033863 A KR1020137033863 A KR 1020137033863A KR 20137033863 A KR20137033863 A KR 20137033863A KR 101563797 B1 KR101563797 B1 KR 10156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ing member
optical connection
waveguid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982A (ko
Inventor
다이 사사키
도모미 사노
아키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84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139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969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20229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moulding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02B6/403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of the ferrule type, connecting a pair of fer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접속 부재(1)는 제 1 단부면(13a)과 제 2 단부면(14a)을 연결하는 도파부(12)에 의해 MCF(2)와 복수의 SCF(3) 사이의 광 접속을 실현한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1)에서는, 복수의 도파부(12) 각각에 있어서, 제 1 단부면(13a)과의 접속단(12A)이 제 1 단부면(13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부면(14a)과의 분기단(12B)이 제 2 단부면(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파부(12)를 통과한 광이 제 1 단부면(13a) 및 제 2 단부면(14a)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출사하기 때문에,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OPTICAL CONNECTION MEMBER,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에 호적하게 적용되는 다중 코어 파이버(multi-core fiber) 등의 광소자에 대하여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을 효율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광 접속 부재, 및 그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하나의 송신국과 복수의 가입자 사이의 광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FTTH(Fiber To The Hom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단의 광 스플리터를 개재시킴으로써 하나의 광 파이버를 각 가입자가 공유하는, 소위 PON(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 광통신망) 시스템이 실현되어 있다. 그렇지만, PON 시스템에서는, 집중 제어(Congestion Control)나 수신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의 확보 등, 장래적인 전송 용량의 증가에 대한 기술적 과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SS(Single Star; 단일 성형망) 시스템으로의 이행이 고려된다. SS 시스템으로 이행할 경우에는, 송신국 내측에 있어서 파이버 심수(心數)가 PON 시스템에 대하여 증대하기 때문에, 송신국 내측 광 케이블에 있어서 극세경화·초고밀도화가 필수가 된다. 극세경·초고밀도화용의 광 파이버로서는, 예를 들어 동일한 클래드(clad) 내에 복수의 코어를 구비한 다중 코어 파이버를 이용하는 것이 호적하다.
다중 코어 파이버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 파이버는, 그 단면에 있어서 이차원으로 배치된 7개 이상의 코어를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코어가 일직선상에 병렬된 광 파이버가 개시되어 있으며, 광도파부·반도체 광 집적 소자와의 접속이 용이해지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3-341147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104443 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코어를 갖는 다중 코어 파이버에의 접속 대상으로서 상정되는 네트워크 자원, 예를 들어 일반적인 광학 기기 등은 단일 코어 파이버를 거쳐서 송신국과 접속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 때문에, 다중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의 접속 구성이 중요해져서, 간단한 구성으로 접속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광 접속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코어를 갖는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광 접속 부재, 및 당해 광 접속 부재와 광소자 등을 접속하는 광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갖는 복수의 광 입출력부를 갖는 광소자를 다른 광학 부품에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로서, 광소자측의 제 1 단부 및 다른 광학 부품측의 제 2 단부를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도파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 각각은, 제 1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광 입출력부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또한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도파부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와 복수의 단일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 사이에 광 접속을 실현한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제 1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광 출력부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또한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도파부의 광축이 제 1 단부측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의 광축과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광 접속 부재는, 제 1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 각각은, 제 1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광 입출력부의 이차원 배열에 대응하도록 이차원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 각각은, 제 2 단부에 있어서, 다른 광학 부품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일차원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도파부의 광축이 제 2 단부측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의 광축과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광 접속 부재는, 제 2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본체부는 복수의 도파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복수의 도파부는 복수의 관통 구멍에 각각 수용되어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는 복수의 광 입출력부간의 거리와 동일한 클래드 직경을 갖는 단일 코어 파이버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어 광소자가 다중 코어 파이버인 경우, 다중 코어 파이버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의 코어 배열과 동일하도록 도파부가 배열된 제 1 단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는 본체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에 본체부보다 굴절률이 높은 액체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도파부는 본체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의 내벽에 광 반사막을 피막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중 어느 경우에도, 광의 접속 손실을 억제한 도파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단부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를 범용적인 원통형상의 페룰(ferrule)에 고정한 후에,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단부면과 광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슬리브(sleeve)를 거쳐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부에는, 다른 광학 부품의 광축과 복수의 도파부의 제 2 단부에 있어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다른 광학 부품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단부에 있어서, 각 도파부의 단부면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광소자가 다중 코어 파이버이면, 다중 코어 파이버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이차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제 1 단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복수의 코어를 갖는 다중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를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로서, 다중 코어 파이버의 단부면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면과,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에 분기되는 제 2 단부면과, 제 1 단부면과 제 2 단부면을 연결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도파부를 갖는 본체부를 갖고, 복수의 도파부 각각은 적어도 제 1 단부면과의 접속단이 제 1 단부면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는, 제 1 단부면과 제 2 단부면을 연결하는 도파부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사이의 광 접속을 실현한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단부면과의 접속단이 제 1 단부면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파부를 통과한 광이 제 1 단부면 및 제 2 단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출사하기 때문에, 다중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갖는 복수의 광 입출력부를 갖는 광소자를 다른 광학 부품에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로서, 광소자측의 제 1 단부 및 다른 광학 부품측의 제 2 단부를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도파부와, 제 1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의 일단부를 보지하는 제 1 고정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고정 부품은, 그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의 도파부를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도파부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 사이의 광 접속을 실현한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고정 부품에 의해, 제 1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도파부의 광축이 제 1 단부측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의 광축과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광 접속 부재는, 제 1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고정 부품은 복수의 도파부가 제 1 단부에 있어서 이차원 배열이 되도록 고정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통상 이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광 입출력부의 배열과 광 접속 부재의 도파부의 배열을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고정 부품은 광소자의 복수의 광 입출력부의 광축과 복수의 도파부의 일단부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광소자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도파부를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품이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있게 되기 때문에, 광소자의 광축과 도파부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제 2 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의 타단부를 보지하는 제 2 고정 부품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 2 고정 부품에 의해, 제 2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부측에 있어서도 복수의 도파부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의 광축과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광 접속 부재는, 제 2 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2 고정 부품은 복수의 도파부가 제 2 단부에 있어서 일차원 배열이 되도록 고정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통상 일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의 광 입출력부의 배열과 광 접속 부재의 도파부의 배열을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2 고정 부품은 다른 광학 부품의 광축과 복수의 도파부의 타단부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다른 광학 부품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도파부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품이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가이드부를 갖고 있게 되기 때문에, 다른 광학 부품의 광축과 도파부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또는 제 2 고정 부품은 인서트(insert) 성형용의 부품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 내에 있어서의 제 1 또는 제 2 고정 부품의 위치결정이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된 광 접속 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도파부는 광소자의 복수의 광 입출력부간의 거리와 동일한 클래드 직경을 갖는 단일 코어 파이버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코어 배열과 동일한 배열의 도파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단부측의 단부면이 대략 원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를 범용적인 원주형상의 페룰에 고정한 후에,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단부면과 광 접속 부재의 제 1 단부를 슬리브를 거쳐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에서는, 제 1 단부에 있어서, 각 도파부의 단부면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이차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제 1 단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와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 구조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광 접속 부재와,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갖는 복수의 광 입출력부를 갖고, 광 접속 부재에 접속되는 광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접속 구조에서는, 광소자는 제 1 단부의 광소자측의 제 1 단부면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파부와 광소자의 복수의 입출력부가 대향하도록 광 접속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광소자의 복수의 광 입출력부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고, 제 1 단부면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파부와 대향하도록 회전각을 조정하여 접속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광소자와 광 접속 부재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광 접속 구조에서는, 광소자는 복수의 코어가 공통의 클래드에 포위된 다중 코어 파이버이고, 다중 코어 파이버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광 접속 부재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고정되는 광 페룰(optical ferrule)에 의해 보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다중 코어 파이버 및 광 페룰에는, 다중 코어 파이버의 회전각을 규제하는 규제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다중 코어 파이버와 광 접속 부재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광 접속 구조에서는, 광소자는 복수의 수발광부(受發光部)를 이차원 형상으로 배열한 수발광 소자이며, 수발광 소자의 복수의 수발광부 각각을, 복수의 도파부에 광 접속시키기 위한 집광 광학계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VCSEL과 같이 복수의 수발광부를 구비한 수발광 소자를 다른 광학 부품에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 2 태양에 따른 광 접속 부재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 부재는, 광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파부 및 인서트 성형용의 고정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도파부의 일단부를, 고정 부품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보지시키는 공정과, 고정 부품 및 당해 고정 부품에 의해 일단부가 보지된 복수의 도파부를 성형 금형에 배치하는 공정과, 성형 금형에 소정의 성형 재료를 주입하여 인서트 성형을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도파부의 일단부를, 고정 부품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보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평행하게 보지된 복수의 도파부와 복수의 도파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품을 금형에 배치하여 인서트 성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 부품에 의해,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광 접속 부재가 제조된다. 그 결과, 제조된 광 접속 부재에서는, 복수의 도파부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서, 광 접속 부재의 광축과, 다중 코어 파이버 등의 광소자 또는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 등의 광학 부품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광 입출력부를 갖는 광소자와 다른 광학 부품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 및 광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본체부의 제 1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본체부의 제 2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후속의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성형 직후의 본체부의 제 1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광 접속 구조에 이용되는 수발광 소자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구조에 이용되는 다중 코어 파이버 및 광 페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 및 광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본체부의 제 1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본체부의 제 2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고정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제 1 단부면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부품을 도시하고, (b)는 제 2 단부면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SCF를 준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SCF의 일단부를 제 1 고정 부품에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SCF의 타단부를 제 2 고정 부품에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SCF를 금형에 배치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공정 이후에 성형을 실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성형 직후의 본체부의 제 1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고정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제 1 단부면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b)는 제 2 단부면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광 접속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광 접속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 부재 및 광 접속 구조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 및 당해 광 접속 부재를 이용한 광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접속 부재(1)는 다중 코어 파이버(이하, "MCF")(2)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이하, "SCF")(3)를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이다. 광 접속 부재(1)를 이용하여, 광소자의 일례인 MCF(2)와 광학 부품의 일례인 SCF(3)를 광학적으로 접속하여, 광 접속 구조(C1)가 구성된다.
MCF(2)는 동일한 클래드 내에 복수의 코어(광 입출력부)가 서로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파이버이다. MCF(2)의 복수의 코어는 코어간 거리가 각각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배열은 직선적인 일차원 배열이어도 좋지만, 예를 들어 삼각 격자형상이나 사방(四方) 배열과 같은 이차원 배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MCF(2)는, 삼각 격자형상의 배열로 되어 있고, 클래드의 중심 위치에 1개, 및 그 주변에 60° 간격으로 6개, 합계 7개의 코어가 서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MCF(2)의 코어는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심 코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엄밀한 삼각 격자 배열과는 다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심 코어의 존재를 가상했을 경우에 삼각 격자 배열이 실현되는 배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SCF(3)는, MCF(2)와 동일 직경의 코어를 갖는 동시에, MCF(2)의 코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적어도 선단 부분의 클래드 직경이 세경화된 파이버이다. SCF(3)의 선단에는, MT 커넥터(4)가 장착되어 있고, SCF(3)의 선단 부분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SCF(3)가 MT 커넥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MT 커넥터(4)의 선단면(4a)에는, 광 접속 부재(1)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핀(5, 5)이 마련되어 있고, 가이드 핀(5, 5) 사이에는, MCF(2)의 코어수에 따라서, 7개의 SCF(3)의 선단이 소정의 피치로 횡으로 일렬로 노출되어 있다.
광 접속 부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나 PEI(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와 같은 일반적인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11)와, 본체부(11) 내에 마련된 복수(여기서는 7개)의 도파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는, MCF(2)의 단부면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면(13a)을 포함하는 제 1 단부(13)와, SCF(3)의 단부면에 접속되는 제 2 단부면(14a)을 포함하는 제 2 단부(14)와, 제 1 단부(13)와 제 2 단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5)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13)는 MCF(2)가 삽입된 페룰(7)의 외경과 동일 직경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단부면이 단면 원형의 제 1 단부면(13a)으로 되어 있다. 제 1 단부(13)의 길이는 예를 들어 MCF(2)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단부(14)는 대략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단부면이 MT 커넥터(4)의 선단면(4a)과 동일 형상의 제 2 단부면(14a)으로 되어 있다.
제 2 단부(14)의 길이는 제 1 단부(1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MCF(2)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단부(14)에는, MT 커넥터(4)의 가이드 핀(5, 5)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16, 16)(가이드부)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부(15)는 원통형상의 제 1 단부(13)와 대략 장방형상의 제 2 단부(14)를 연결하도록 제 1 단부(13)측으로부터 제 2 단부(14)측에 걸쳐서 퍼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파부(1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부(13)의 제 1 단부면(13a)과 제 2 단부(14)의 제 2 단부면(14a)을 연결하도록 본체부(11) 내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17) 내에 간극없이 배치(수용)된 SCF(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7)은 SCF(1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SCF(18)는 SCF(3)와 동일한 파이버이며, MCF(2)의 코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클래드 직경이 세경화되어 있다.
복수의 도파부(12) 각각은 제 1 단부면(13a)과의 접속단(12A)이 제 1 단부면(13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도파부(12)의 제 1 단부(13)에 있어서의 이들 직선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12A)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 2 단부면(14a)과의 분기단(12B)이 제 2 단부면(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도파부(12)의 제 2 단부(14)에 있어서의 이들 직선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분기단(12B)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직교"는, 예를 들어 제 1 단부면(13a)에 대한 각도가 90°±0.5°의 범위내인 것을 나타내지만, 광 접속 부재에 의한 접속 정밀도에 따라서 이러한 범위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접속단(12A) 및 분기단(12B)의 길이는 예를 들어 MCF(2)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도파부(12)의 중간 부분은 제 1 단부면(13a)과 제 2 단부면(14a) 사이에서 본체부(11)의 형상을 따라 완만하게 만곡되고, 접속단(12A) 및 분기단(12B)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파부(12)의 일단부면은, MCF(2)의 코어의 위치와 SCF(18)의 코어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제 1 단부면(13a)에 노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면(13a)의 중심 위치에 1개, 및 그 주변에 60° 간격으로 6개, 합계 7개가 서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파부(12)의 타단부면은, SCF(3)의 코어의 위치와 SCF(18)의 코어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제 2 단부면(14a)에 노출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구멍(16, 16) 사이에 소정의 피치로 횡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도파부(1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접속단(12A)에 있어서, MCF(2)의 복수의 코어에 대응하도록 이차원 형상으로 (즉, 코어를 연결하는 직선이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도파부(12)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분기단(12B)에 있어서, SCF(3)의 복수의 코어에 대응하도록 일차원 형상으로 (즉, 코어를 연결하는 직선이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광 접속 부재(1)에서는, MCF(2)의 코어 위치와 제 1 단부면(13a) 상의 도파부(12)의 위치를 맞춘 상태, 즉 MCF(2)의 코어와 제 1 단부면(13a) 상의 도파부(12)가 각각 대향하도록 서로 회전각을 조정한 상태로, 페룰(7)에 의해 고정된 MCF(2)의 단부면과 본체부(11)의 제 1 단부면(13a)을 스플릿(split) 슬리브(19)(가이드 부재) 내에서 접촉시킨다. 또한, 제 2 단부(14)의 끼워맞춤 구멍(16, 16)에 가이드 핀(5, 5)을 끼워맞춰서 MT 커넥터(4)의 선단면(4a)과 본체부(11)의 제 2 단부면(14a)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도파부(12)를 거쳐서 MCF(2)와 SCF(3)를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광 접속 부재(1)에서는, 복수의 도파부(12) 각각에 있어서, 제 1 단부면(13a)과의 접속단(12A)이 제 1 단부면(13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이며, 이들 직선 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MCF(2)와 도파부(12)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제 2 단부면(14a)과의 분기단(12B)이 제 2 단부면(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이며, 이들 직선 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파부(12)와 SCF(3)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광축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이 제 1 단부면(13a) 및 제 2 단부면(14a)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출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광 접속 부재(1)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형상에 따른 오목부(22, 22)를 갖는 한쌍의 금형(21, 21)을 준비한다. 오목부(22, 22)는, 각각 본체부(11)의 폭방향의 한쪽의 절반 부분의 형상과 다른쪽의 절반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고, 금형(21, 21)이 폐쇄되었을 때에, 금형(21, 21) 내에 본체부(11)와 동일 형상의 공간(S)(도 6 참조)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22, 22)에는, 제 1 단부(13)의 형성 위치보다 선단측에 소경부(小徑部)(2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MCF(2)의 코어수와 동수]의 성형 핀(23)을 준비하고, 오목부(22, 22) 사이에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금형(21, 21)을 폐쇄하면, 각 성형 핀(23)의 선단이 소경부(24)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묶여지는 동시에, 공간(S) 내에서 탄성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변형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각 성형 핀(23)의 각각이 제 1 단부면(13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과 제 2 단부면(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을 갖게 된다. 그 후, 금형(21, 21)의 수지 주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지를 주입하고, 성형 핀(23)을 뽑아내면, 복수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된 본체부(11)가 얻어진다.
이 때 얻어진 본체부(11)의 제 1 단부면(13a)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부(24)의 형상에 대응한 볼록부(25)가 잔존한다. 따라서, 볼록부(25)를 연마 등에 의해 제거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부면(13a)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17)은, 제 1 단부(13)에 있어서의 접속단(12A)에 대응하는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마 등을 실행했을 경우에도 도파부(12)의 광축의 평행도가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각 관통 구멍(17)에 SCF(18)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광 접속 부재(1)가 얻어진다. 또한, 볼록부(25)의 돌출량이 작은(예를 들면, 코어 직경과 동일 정도) 경우에는 볼록부(25)가 잔존한 채이어도 좋다. MCF(2)와 접속했을 경우에도, 볼록부(25)가 손상될 우려가 작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7)에 SCF(18)를 배치하여 도파부(12)를 구성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CF(2)의 코어 직경과 동일 직경의 관통 구멍(37)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37) 내에 본체부(11)보다 굴절률이 높은 액체(38)를 충전함으로써 도파부(12)를 형성해도 좋다. 액체(38)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하는 매칭 오일(matching oil)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CF(2)의 코어 직경과 동일 직경의 관통 구멍(47)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47)의 내벽을 광 반사막(48)으로 피막함으로써 도파부(12)를 형성해도 좋다. 광 반사막(48)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전해 도금 등으로 형성된 Au막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광의 접속 손실을 억제한 도파부(12)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7)에 배치하는 SCF(18)는 제 2 단부면(14a)으로부터 충분한 길이를 갖고서 연장하고 있어도 좋다(후술하는 도 26 참조). 이렇게 하면, 광 접속 부재(1)의 제 2 단부면(14a)으로부터 연장하는 SCF(18)를, 가이드 핀없이 직접 다른 광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도파부(12)와 SCF(3)의 제 2 단부면(14a)에 있어서의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단부면(14a)과의 분기단(12B)이 제 2 단부면(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은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광 접속 부재(1)의 내부에 고정되는 SCF(18)를 피복을 갖는 광 파이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CF(18)는, 제 1 단부면(13a) 측에 있어서 세경화되고, 또한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피복의 적어도 일부가 광 접속 부재(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 접속 부재(1)를 형성할 경우에는, 성형 핀(23)으로서 한쪽 단부가 대경(大徑)(피복 직경에 상당)이고, 다른쪽 단부가 소경(피복 제거 부분의 외경에 상당)인 것을 이용하고, 대경측이 제 2 단부면(14a) 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와 동일한 프로세스로 본체부(11)를 사출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접속 부재(1)를 MCF(2)에 접속한 광 접속 구조의 예를 설명했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접속 부재(1)를 수발광 소자(57)에 결합 렌즈(59)(집광 광학계)를 거쳐서 접속하도록 한 광 접속 구조(C2)로 해도 좋다. 이러한 수발광 소자(57)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CF(2)의 코어 배열과 동일하게 배열된 복수(도 11의 예에서는 7개)의 수발광부(52)를 구비하고 있으며, 광 접속 구조(C2)에 따르면, 광 접속 구조(C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도파부(12)와 복수의 수발광부(52)에 있어서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소자의 일례로서 수발광 소자(57)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광이 제 1 단부면(13a) 및 제 2 단부면(14a)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사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원형형상의 MCF(2)를 광 페룰(7)에 삽입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CF(62)의 일부를 절결하여 평탄면(62a)을 마련하고, 광 페룰(67)의 내측 구멍에 이 평탄면(62a)에 대응하는 평탄면(67a)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규제 구조에 따르면, MCF(62)의 회전을 광 페룰(67)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성형 핀(23)을 이용하여 본체부(11)에 관통 구멍(17)을 형성한 후, 관통 구멍(17)에 SCF(18)를 배치하여 도파부(12)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성형 핀(23)을 사용하지 않고 SCF(18)를 최초부터 한쌍의 금형(21, 21)에 배치하여 도파부(12)를 구성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로 다중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를 접속하는 태양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광 접속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접속 부재(101)는, 다중 코어 파이버(이하, "MCF")(102)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이하, "SCF")(103)를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이다. 광 접속 부재(101)를 이용하여, 광소자의 일례인 MCF(102)와 광학 부품의 일례인 SCF(103)를 광학적으로 접속하여, 광 접속 구조(C3)가 구성된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를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되는 광 접속 구조(C2)를 형성해도 좋다.
MCF(102)(광소자)는 동일한 클래드 내에 복수의 코어(광 입출력부)가 서로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파이버이다. MCF(102)의 복수의 코어는 코어간 거리가 각각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배열은 복수의 코어가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된 일차원 배열이어도 좋지만, 예를 들어 삼각 격자형상이나 사방 배열과 같은 이차원 배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MCF(102)는, 삼각 격자형상의 이차원 배열로 되어 있고, 클래드의 중심 위치에 1개, 및 그 주변에 60° 간격으로 6개, 합계 7개의 코어가 서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심 코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엄밀한 삼각 격자 배열과는 다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심 코어의 존재를 가상했을 경우에 삼각 격자 배열이 실현되는 배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SCF(103)(광학 부품)는, MCF(102)와 동일 직경의 코어를 갖는 동시에, MCF(102)의 코어간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적어도 선단 부분의 클래드 직경이 세경화된 파이버이다. 복수의 SCF(103)의 선단에는, MT 커넥터(104)가 장착되어 있다. MT 커넥터(104)의 선단면(104a)에는, 광 접속 부재(101)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핀(105, 105)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핀(105, 105) 사이에는, MCF(102)의 코어수에 따라서, 7개의 SCF(103)의 선단이 소정의 피치로 횡으로 일렬로 노출되어 있다.
광 접속 부재(10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나 PEI(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와 같은 일반적인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111)와, 본체부(111) 내에 마련된 복수(여기서는 7개)의 도파부(112)와, 복수의 도파부(112)의 각 단부를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1)는, MCF(102)의 단부면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면(113a)을 포함하는 제 1 단부(113)와, 복수의 SCF(103)의 단부면에 접속되는 제 2 단부면(114a)을 포함하는 제 2 단부(114)와, 제 1 단부(113)와 제 2 단부(114)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15)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113)는 MCF(102)가 삽입된 페룰(107)의 외경과 동일 직경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단부면이 단면 원형의 제 1 단부면(113a)으로 되어 있다. 제 1 단부(113)의 길이는 예를 들어 MCF(102)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단부(114)는 대략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단부면이 MT 커넥터(104)의 선단면(104a)과 동일 형상의 제 2 단부면(114a)으로 되어 있다. 제 2 단부(114)의 길이는 제 1 단부(11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MCF(102)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단부(114)에는, MT 커넥터(114)의 가이드 핀(105, 105)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116, 116)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부(115)는 원통형상의 제 1 단부(113)와 대략 장방체형상의 제 2 단부(114)를 연결하도록 제 1 단부(113)측으로부터 제 2 단부(114)측에 걸쳐서 퍼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본체부(111)는 상술한 PPS 등을 대신하여, 에폭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파부(11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부면(113a)과 제 2 단부면(114a)을 연결하도록 본체부(111) 내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117)과, 관통 구멍(117) 내에 간극없이 배치된 SCF(1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CF(118)는 SCF(103)와 동일한 파이버이며, MCF(102)의 코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클래드 직경이 세경화되어 있다. 도파부(112)의 중간 부분은 제 1 단부면(113a)과 제 2 단부면(114a) 사이에서 본체부(111)의 형상을 따라 완만하게 만곡되고, 접속단(112A) 및 분기단(112B)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제 1 고정 부품(120)은, 도 1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부품이고,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의 접속단(112A)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의 도파부(112)를 제 1 단부(113)측에서 고정한다. 이렇게 평행하게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도파부(112)의 제 1 단부면(113a)과의 접속단(112A) 각각이 직선 부분으로 된다. 제 1 고정 부품(120)은 이 직선 부분이 제 1 단부면(113a)에 직교하도록 본체부(111)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직교"는, 예를 들어 제 1 단부면(113a)에 대한 각도가 90°±0.5°의 범위내인 것을 나타내지만, 광 접속 부재에 의한 접속 정밀도에 따라서 이러한 범위를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복수의 도파부(112)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접속단(112A)에 있어서, MCF(102)의 복수의 코어에 대응하도록 제 1 고정 부품(120)에 의해 이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품(120)은, 그 내주면(120a)이 제 1 단부면(113a)과 반대측[제 2 단부면(114a)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퍼지는 테이퍼부(120b)를 갖고 있어, 복수의 도파부(112)가 제 2 단부면(114a)을 향함에 따라서 퍼지기 쉽게 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품(121)은, 도 1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직방체형상을 보이고 있고, 그 내부에 7개의 관통 구멍(121a∼121g)이 형성된 부품이다. 제 2 고정 부품(121)은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의 분기단(112B)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의 도파부(112)를 제 2 단부(114)측에서 고정한다. 이렇게 평행하게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도파부(112)의 제 2 단부면(114a)과의 분기단(112B) 각각이 직선 부분으로 된다. 제 2 고정 부품(121)은 이 직선 부분이 제 2 단부면(114a)에 직교하도록 본체부(111) 내에 배치된다. 복수의 도파부(112)는,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분기단(12B)에 있어서, SCF(103)의 복수의 코어에 대응하도록 제 2 고정 부품(121)에 의해 일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은, 예를 들어 금속, 수지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고, 광 접속 부재(101)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될 경우에는, 인서트 성형용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제 1 고정 부품(120)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지만, 지르코니아(zirconia)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고정 부품(120) 내로의 도파부(112)의 SCF(118)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져서,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 및 접속단(112A) 및 분기단(112B)의 길이는 예를 들어 MCF(102)의 코어 직경의 3배 내지 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품(120)에 의한 고정에 의해, 도파부(112)의 일단부면은, MCF(102)의 코어의 위치와 SCF(118)의 코어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제 1 단부면(113a)에 노출되어 있으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면(113a)의 중심 위치에 1개, 및 그 주변에 60° 간격으로 6개, 합계 7개가 서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파부(112)의 타단부면은, 제 2 고정 부품(121)에 의한 고정에 의해, SCF(103)의 코어의 위치와 SCF(118)의 코어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제 2 단부면(114a)에 노출되어 있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구멍(116, 116) 사이에 소정의 피치로 횡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MCF(102)의 코어 위치와 제 1 단부면(113a) 상의 도파부(112)의 위치를 맞춘 상태로, 페룰(107)에 의해 고정된 MCF(102)의 단부면과 본체부(111)의 제 1 단부면(113a)을 스플릿 슬리브(119) 내에서 접촉시키고, 또한 제 2 단부(114)의 끼워맞춤 구멍(116, 116)에 가이드 핀(105, 105)을 끼워맞춰서 MT 커넥터(104)의 선단면(104a)과 본체부(111)의 제 2 단부면(114a)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도파부(112)를 거쳐서 MCF(102)와 복수의 SCF(103)를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에 있어서 제 1 단부면(113a)과의 접속단(112A)이 제 1 단부면(113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들 접속단(112A)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복수의 도파부(112)의 광축이 제 1 단부(113)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갖는 MCF(102)와 도파부(112)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제 2 단부면(114a)과의 분기단(112B)이 제 2 단부면(1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들 분기단(112B)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복수의 도파부(112)의 광축이 제 2 단부(114)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갖는 SCF(103)와 도파부(112)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광축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이 제 1 단부면(113a) 및 제 2 단부면(114a)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출사하거나, 각 도파부(112)로부터의 광의 광축이 서로 어긋나 있거나 할 경우에 비하여, 광 접속 부재(101)에 따르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광 접속 부재(101)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선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파부(112)를 구성하는 7개의 SCF(118)를 준비한다. 또한, SCF(118)를 단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을 준비한다.
계속해서,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CF(118)의 일단부[접속단(112A)에 대응하는 부분]를 제 1 고정 부품(120) 내로 삽입하고, 제 1 고정 부품(120)에 의해, 제 1 고정 부품(120)의 내주의 중심 위치에 1개, 및 그 주변에 60° 간격으로 6개, 합계 7개의 SCF(118)가 서로 등간격이 되는 동시에, 복수의 SCF(118) 각각의 일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보지시킨다. 이러한 평행하게 보지된 부분은 직선 부분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 1 고정 부품(120)으로 고정된 SCF(118)의 타단부[분기단(112B)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 2 고정 부품(121)의 각 관통 구멍(121a∼121g)에 삽입하고, 제 2 고정 부품(121)에 의해, 복수의 SCF(118)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보지시킨다. 이러한 평행하게 보지된 부분은 직선 부분을 형성한다. 이렇게 보지시킬 때에, SCF(118)는 탄성 변형에 의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완만하게 만곡 변형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형상에 따른 오목부(132, 132)를 갖는 한쌍의 금형(131, 131)을 준비한다. 오목부(132, 132)는, 각각 본체부(111)의 폭방향의 한쪽의 절반 부분의 형상과 다른쪽의 절반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고, 금형(131, 131)이 폐쇄되었을 때에, 금형(131, 131) 내에 본체부(111)와 동일 형상의 공간(S)(도 22 참조)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132, 132)에는, 제 1 단부(113)의 형성 위치보다 선단측에 소경부(13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에 의해 양단부가 고정된 SCF(118)를 금형(131, 131)의 오목부(122, 122) 사이에 배치한다. 이러한 배치시에, 제 1 고정 부품(120)은 소경부(134)의 내주면에 의해 보지된다. 이러한 보지에 의해, 제 1 고정 부품(120)은 성형이 종료했을 때에 SCF(118)의 일단부의 직선 부분이 제 1 단부면(113a)에 직교하도록 금형(131, 131) 내에 배치된다. 제 2 고정 부품(121)도 동일한 부재에 의해 오목부(122, 122)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에 의해, 제 2 고정 부품(121)은 성형이 종료했을 때에 SCF(118)의 타단부의 직선 부분이 제 2 단부면(114a)에 직교하도록 금형(131, 131)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금형(131, 131)을 폐쇄하여, 금형(131, 131)의 수지 주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지(성형 재료)를 주입하면, SCF(118)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파부(112)와 도파부(112)의 각 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이 본체부(111)의 내부에 형성된 광 접속 부재(101)가 얻어진다. 또한, 트랜스퍼 성형(transfer molding)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이 때 얻어진 본체부(111)의 제 1 단부면(113a)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부(134)의 형상에 대응한 볼록부(135)가 잔존한다. 따라서, 볼록부(135)를 연마 등에 의해 제거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부면(113a)이 형성된다. 본체부(111)의 제 2 단부면(114a)에 있어서도 동일한 연마 등을 실행해도 좋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광 접속 부재(101)가 얻어진다. 볼록부(135) 등의 돌출량이 작은(예를 들면, 코어 직경과 동일 정도) 경우에는 볼록부(135) 등이 잔존한 채이어도 좋다. MCF(102)나 SCF(103)와 접속했을 경우에도, 볼록부(135)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작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양단부(113, 114)에 있어서 도파부(112)가 서로 평행한 직선 부분을 갖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 연마를 실행했더라도, 그 평행도가 훼손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제 1 고정 부품(120)에 의해, 제 1 단부(113)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도파부(112)의 광축이 제 1 단부(113)측에서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101)의 광축과 MCF(102)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는, 제 1 단부(113)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101)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112)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는 제 2 단부(114)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112)의 타단부를 보지하는 제 2 고정 부품(1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고정 부품(121)에 의해, 제 2 단부(114)측에 있어서도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부(114)측에 있어서도 복수의 도파부(112)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101)의 광축과 복수의 SCF(103)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더욱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는, 제 2 단부(114)측에 있어서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면을 얻기 위해서 광 접속 부재의 접속면을 어느 정도 연마할 경우에도, 도파부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이 인서트 성형용의 부품이다. 이 때문에, 본체부(111) 내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고정 부품(120, 121)의 위치결정이 정밀도 양호하게 실행된 광 접속 부재(101)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도파부(112)는 MCF(102)의 복수의 코어간의 거리와 동일한 클래드 직경을 갖는 SCF(1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MCF(102)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MCF(102)의 코어 배열과 동일한 배열의 도파부(112)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제 1 단부(113)측의 단부면(113a)이 대략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MCF(102)를 범용적인 원주형상의 페룰(107)에 고정한 후에, MCF(102)의 단부면과 광 접속 부재(101)의 제 1 단부(113)를 슬리브(119)를 거쳐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제 1 단부(113)에 있어서, 각 도파부(112)의 단부면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MCF(102)의 코어 배열은 통상 코어간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이차원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MCF(102)와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광 접속 부재(101)의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도파부(112)의 양단부를, 고정 부품(120, 121)의 내부에서, 복수의 도파부(112)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보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평행하게 보지된 복수의 도파부(112)와 복수의 도파부(112)를 고정하는 고정 부품(120, 121)을 금형(131, 131)에 배치하여 인서트 성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조된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복수의 도파부(12)의 광축이 양단부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고, 광 접속 부재(101)의 광축과 MCF(102) 및 SCF(103)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 부품(120)은 원통형상이었지만, MCF(102)의 복수의 코어의 광축과 복수의 도파부(112)의 일단부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도 24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 D 형상이 되도록 일부 외주를 절결한 절결면(122a)을 갖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도파부(112)를 고정하는 제 1 고정 부품(122)이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있게 되기 때문에, MCF(102)의 광축과 도파부(112)의 광축을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SCF(103)의 광축과 복수의 도파부(112)의 타단부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SCF(103)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본체부(111)에 끼워맞춤 구멍(116, 116)이 마련되어 있지만, 도 2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끼워맞춤 구멍(124a, 124b)을 제 2 고정 부품(124)에 포함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도파부(112)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부품이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가이드부를 갖고 있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SCF(103)의 광축과 도파부(112)의 광축을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11)는, 원통형상의 제 1 단부(113)와 대략 장방체형상의 제 2 단부(114)를 연결하도록 제 1 단부(113)측으로부터 제 2 단부(114)측에 걸쳐서 퍼지는 형상을 갖고 있지만,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외형 전체가 대략 직방체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파부(112)로서, 관통 구멍(117)에 외경이 일정한 SCF(118)를 배치한 예를 사용했지만,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 직경(138a)은 일정하지만, 그 외경이 단계적으로 확대된 SCF(138)를 도파부(112)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SCF(138)에서는, 제 1 단부(113)측에서는 가장 작은 클래드 직경 부분(138b)으로 되어 있고, 제 2 단부(114)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된 부분(138c, 138d)으로 되어 있다. 제 2 단부(114)측의 부분(138d)에서는, 내부에 피복부(138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피복부에 덮어진 코어 등이 제 2 단부면(114a)으로부터 충분한 길이를 갖고서 또한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소위 피그테일형(pigtail-type)의 부품].
이렇게 하면, 광 접속 부재(101)의 제 2 단부면(114a)으로부터 연장하는 SCF(138)를 가이드 핀없이 직접 다른 광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도파부(112)와 SCF(103)의 제 2 단부면(114a)에 있어서의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단부면(114a)과의 분기단(112B)이 제 2 단부면(114a)에 직교하는 직선 부분은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 접속 부재(101)를 제조함에 있어서, SCF(118)를 금형(131, 131) 내에 배치한 후에 성형을 실행하고 있지만,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CF(118)와 동일 형상의 초경 핀을 이용하여 본체부(111)의 성형을 실행한 후, 이들 핀을 빼서, 형성된 관통 구멍(117)에 SCF(118)를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단부면(113a, 114a)이 MCF(102) 또는 SCF(103)의 광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고반사 타입의 광 접속 부재로 하기 위해서, 이들 단부면(113a, 114a)을 MCF(102) 또는 SCF(103)의 광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면에 대하여 8° 경사지도록 연마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접속 부재(101)에서는, 도파부(112)가 각 단부(113, 114)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광 접속 부재(101)의 광축과 MCF(102)의 광축 또는 SCF(103)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광의 접속 손실을 호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광 접속 부재 및 광 접속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광 입출력부를 갖는 광소자와 다른 광학 부품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1: 광 접속 부재, 2: MCF, 3: SCF, 12: 도파부, 12A: 접속단, 12B: 분기단, 13: 제 1 단부, 13a: 제 1 단부면, 14: 제 2 단부, 14a: 제 2 단부면, 18: SCF, 37, 47: 관통 구멍, 38: 액체, 48: 광 반사막, C1, C2, C3: 광 접속 구조, 101, 101A, 101B: 광 접속 부재, 102: MCF, 103: SCF, 112: 도파부, 112A: 접속단, 112B: 분기단, 113: 제 1 단부, 113a: 제 1 단부면, 114: 제 2 단부, 114a: 제 2 단부면, 118: SCF, 120, 123: 제 1 고정 부품, 121, 124: 제 2 고정 부품, 122a: 절결면, 124a, 124b: 끼워맞춤 구멍

Claims (27)

  1.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멀티 코어 파이버와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를 접속하는 광 접속 부재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의 단면에 접촉해서 접속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복수의 단일 코어 파이버에 분기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도파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도파부의 각각은, 상기 제 1 단부에 있어서 직선 부분을 가지며, 상기 직선 부분의 말단은 적어도 상기 제 1 단부의 단면에 접속되며, 상기 직선 부분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복수의 도파부의 각각은, 상기 중간부에 있어서 퍼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단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도파부 사이의 피치는 상기 제 1 단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도파부 사이의 피치보다 큰
    광 접속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는, 상기 제 1 단부에 있어서 이차원 형상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제 2 단부에 있어서 일차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광 접속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의 각각은, 코어 직경이 일정한 코어를 포함하고, 또한 그 외경이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확대되는
    광 접속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의 단면에 대한 상기 직선 부분의 각도가 90°±0.5°의 범위 내인
    광 접속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광학 페룰에 의해 보지된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에 대해 가이드 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광 접속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원통 형상의 페룰에 의해 보지된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에 대해 해당 제 1 단부가 슬리브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는
    광 접속 부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접속 부재의 외형 전체가 직방체 형상이며, 페룰에 의해 보지된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에 대해 상기 제 1 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 핀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광 접속 부재는 한 쌍의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는
    광 접속 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의 각각은, 단일 코어 파이버인
    광 접속 부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의 길이는,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인
    광 접속 부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의 길이는,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의 코어 직경의 5배 이상인
    광 접속 부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 각각의 일단을 보지하는 제 1 고정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고정 부품은, 그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파부를 고정하고 있는
    광 접속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품은, 상기 복수의 도파부가 퍼지기 쉽도록 상기 제 1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부 측으로 퍼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는
    광 접속 부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 각각의 타단을 보지하는 제 2 고정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고정 부품은, 그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파부를 고정하고 있는
    광 접속 부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는, 단일의 코어 파이버이며, 또한 피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부는, 상기 광 접속 부재 내에 보지되며 또한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광 접속 부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 2 단부는 직방체 형상이며,
    상기 중간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접속하도록 상기 제 1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부 측으로 퍼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광 접속 부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접속 부재의 외형 전체가 직방체 형상인
    광 접속 부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는, 상기 제 1 단부, 상기 2 단부 및 상기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에 액체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액체는, 상기 제 1 단부, 상기 제 2 단부 및 상기 중간부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광 접속 부재.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부는, 상기 제 1 단부, 상기 2 단부 및 상기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의 내벽에 광 반사막을 피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광 접속 부재.
  19. 청구항 1에 기재된 광 접속 부재와,
    광 페룰에 의해 보지된 멀티 코어 파이버와,
    상기 멀티 코어 파이버의 각 코어를 상기 제 1 단부에 대해 위치결정해서 고정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광 접속 구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37033863A 2011-06-17 2012-05-15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563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5216 2011-06-17
JPJP-P-2011-135216 2011-06-17
JP2012084183A JP2013213934A (ja) 2012-04-02 2012-04-02 光接続部材及び光接続部材の製造方法
JPJP-P-2012-084183 2012-04-02
JP2012096905A JP2013020229A (ja) 2011-06-17 2012-04-20 光接続部材及び光接続構造
JPJP-P-2012-096905 2012-04-20
PCT/JP2012/062410 WO2012172906A1 (ja) 2011-06-17 2012-05-15 光接続部材、光接続構造、及び、光接続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982A KR20140016982A (ko) 2014-02-10
KR101563797B1 true KR101563797B1 (ko) 2015-10-27

Family

ID=4816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863A KR101563797B1 (ko) 2011-06-17 2012-05-15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27634B2 (ko)
EP (1) EP2730959A4 (ko)
KR (1) KR101563797B1 (ko)
CN (1) CN103608709B (ko)
TW (1) TWI553362B (ko)
WO (1) WO2012172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8747B2 (en) 2011-05-23 2015-11-1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True one piece housing fiber optic adapter
US10215926B2 (en) 2011-12-14 2019-02-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fibe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with flexible, insertable pins
WO2014062272A2 (en) * 2012-07-31 2014-04-2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Backwards compatible multi-core optical fiber
JPWO2014021215A1 (ja) * 2012-08-01 2016-07-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マルチコアファイバ接続部材、マルチコアファイバの接続構造及びマルチコアファイバの接続方法
US8977127B2 (en) * 2012-08-15 2015-03-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Inter-optical line terminal (OLT) communication in multiple-OLT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US20140161385A1 (en) * 2012-12-07 2014-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to an Optical Waveguide in a Silicon Photonics Die
US9360649B2 (en) 2013-05-22 2016-06-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Cable guide for fiber optic cables
DE102013013071B3 (de) 2013-08-06 2014-10-09 Leoni Kabel Holding Gmbh Optischer Koppler
JP5572748B1 (ja) 2013-08-20 2014-08-13 湖北工業株式会社 光接続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接続部品製造用金型容器
US9274287B2 (en) * 2014-05-13 2016-03-0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and ferrule
JP5719960B1 (ja) * 2014-07-31 2015-05-20 湖北工業株式会社 マルチコアファイバと偏波面保存ファイバの光接続部品および光接続部品の製造方法
WO2016087449A1 (en) 2014-12-01 2016-06-09 Commscope Asia Holdings B.V. Multi-fiber optic connector with pivotally-aligned ferrule
TWI563300B (en) 2015-05-25 2016-12-21 Kow-Je Ling Preparing method and structure of optical fiber connector
WO2016205201A1 (en) * 2015-06-19 2016-12-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 with improved alignment mechanism
JP6972904B2 (ja) * 2017-10-19 2021-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コネクタ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10727045B (zh) * 2018-07-17 2022-01-28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光学纤维锥及其加工方法
JP7028137B2 (ja) * 2018-10-24 2022-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多心光コネクタ及び光ケーブル接続方法
JP2021026103A (ja) * 2019-08-02 2021-02-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11500160B2 (en) 2020-05-29 2022-11-1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core optical fiber fan-out assemblies and apparatu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194A (ja) 2006-04-04 2007-10-25 Wired Japan: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伝送方法、及び分光分析システム
JP2010286548A (ja) 2009-06-09 2010-1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ルチコアファイバ及びそれを含む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24B2 (ja) * 1977-05-30 1985-02-14 富士通株式会社 多芯光フアイバのコネクタ
JPS6011804A (ja) * 1983-06-30 1985-01-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の分岐器
JPS6080806A (ja) * 1983-10-11 1985-05-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分岐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7889B2 (ja) * 1985-06-07 1994-04-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アイバテープの多心/単心変換部
JPS6219821A (ja) * 1985-07-19 1987-0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多心コネクタプラグの製造方法
JPS6247604A (ja) * 1985-08-27 1987-03-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マルチコアフアイバの端末部
JPS62189412A (ja) * 1986-02-14 1987-08-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テ−プの多心/単心変換構造
JPS62226107A (ja) * 1986-03-28 1987-10-05 Nec Corp 光フアイバ接続構造
US5093890A (en) * 1990-11-27 1992-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bus for computer systems
JPH05341147A (ja) 1992-06-12 1993-12-24 Asahi Chem Ind Co Ltd マルチコア型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およびこれを用いた伝送方法
SE506577C2 (sv) * 1996-05-03 1998-01-12 Ericsson Telefon Ab L M Vinklat opto-mekaniskt don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tt sådant
JPH10104443A (ja) 1996-09-26 1998-04-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コアファイバ
FR2821933B1 (fr) * 2001-03-07 2004-05-28 Teem Photonics Element de maintien et d'indexation d'une structure guidante asymetrique, et son utilisation pour la connexion de la structure a un composant d'optique integree
US7218811B2 (en) * 2002-01-10 2007-05-1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module, and multi-core optical collimator and lens housing therefor
US20070127871A1 (en) * 2005-12-02 2007-06-07 Hitachi Cable, Ltd. Boot for MT connector
JP2008076685A (ja) * 2006-09-20 2008-04-0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端面近接多芯光ファイ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1461B2 (ja) * 2006-12-27 2011-07-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付き多心光ファイバの分岐部構造
CN101782669B (zh) * 2009-01-20 2014-07-09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通信系统和排列变换器
CN201464685U (zh) * 2009-05-27 2010-05-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分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194A (ja) 2006-04-04 2007-10-25 Wired Japan: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伝送方法、及び分光分析システム
JP2010286548A (ja) 2009-06-09 2010-1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ルチコアファイバ及びそれを含む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9611A1 (en) 2014-08-07
TW201305633A (zh) 2013-02-01
CN103608709A (zh) 2014-02-26
KR20140016982A (ko) 2014-02-10
CN103608709B (zh) 2016-10-26
WO2012172906A1 (ja) 2012-12-20
US20120328244A1 (en) 2012-12-27
EP2730959A4 (en) 2015-05-20
EP2730959A1 (en) 2014-05-14
US8727634B2 (en) 2014-05-20
TWI553362B (zh)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797B1 (ko) 광 접속 부재, 광 접속 구조, 및 광 접속 부재의 제조 방법
CN104169764B (zh) 用于多芯光纤电缆的单工连接器
AU2015318357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including optical fiber alignment device
JP4293284B2 (ja)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光部品及び光配線システム
KR101991981B1 (ko) 연관된 마이크로렌즈에 결합된 엇갈리게 배열되는 절단 단부를 갖는 복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학 커넥터
JP2021157194A (ja) 導波路アクセス不可能スペースを有する光フェルール
US20170336575A1 (en) Optical interconnection component
EP2548068A1 (en) Multifiber connectors for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s
EP2998770B1 (en) Opt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connector
WO2008023544A1 (fr) Élément de modification de trajet lumineux et connecteur optique pour rayons lumineux à trajet modifié
JP2010286661A (ja) ファイバアレイ及びそれを含む光コネクタ
US20210255402A1 (en) Ferrules including keying features and fiber optic junctions including the same
US11256045B2 (en) Optical fiber alignment mechanisms using clads with key elements
US11782216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US11550103B2 (en)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JP2013213934A (ja) 光接続部材及び光接続部材の製造方法
JP2013020229A (ja) 光接続部材及び光接続構造
JP2015034944A (ja) 光コネクタ
JP4553606B2 (ja) 光コネクタ
JP2011048157A (ja) フェルール及び多心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0075166A (ja) 光ファイバ案内構造付き光導波路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