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318B1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318B1
KR101561318B1 KR1020107022301A KR20107022301A KR101561318B1 KR 101561318 B1 KR101561318 B1 KR 101561318B1 KR 1020107022301 A KR1020107022301 A KR 1020107022301A KR 20107022301 A KR20107022301 A KR 20107022301A KR 101561318 B1 KR101561318 B1 KR 10156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weight
plastic mixture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722A (ko
Inventor
우베 눔리흐
페터 바텐하우젠
귄터 딕카우트
클라우드 구에난텐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2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 및 1종 이상의 충격 내성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충격 내성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인 경질상 및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연질상(ductile phase)을 가지고, 여기서 인성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0 nm 이하이고, 인성상의 적어도 일부는 경질상에 공유 결합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PLASTIC MIXTURES COMPRIS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TPU) AND IMPACT-RESISTANT POLY(METH)ACRYLAT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및 이들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플라스틱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우수한 특성 프로파일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다. 그러나, 이들 플라스틱의 낮은 노치 충격 내성이 단점이다. 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그 자체로 잘 알려진 충격 개질제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특히 EP-A 0 113 924, EP-A 0 522 351, EP-A 0 465 049 및 EP-A 0 683 028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의 대부분은 응력 백화(stress whitening)로 알려진 것에 대한 현저한 경향을 나타낸다. 응력 백화는 굴곡 응력에의 노출시 또는 충격시에 발생하는 플라스틱의 흐려짐이다. 낮은 수준의 응력 백화를 가지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기재 충격 내성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은 DE-A-38 42 796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개선된 노치 충격 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제공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상호침투 네트워크는 특히 US 3,700,752; US 5,539,053 및 EP-A-0 272 975에 기재되어 있다. 흔히 이들 플라스틱을 열가소성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공보 WO 2007/057242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플라스틱은 실제로 양호한 특성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의 특성에서 추가로 개선해야할 필요성이 계속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들 플라스틱은 많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균열 전파를 나타낸다. 또한 WO 2007/057242에 기재된 혼합물은 응력 백화 경향을 가진다.
선행 기술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특성 프로파일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물은 특히 낮은 수준의 균열 전파를 나타내야 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은 응력 백화 경향이 거의 없는 성형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높은 인장 탄성률 및 높은 파단시 인장 변형률을 가지는 성형물을 제공하도록 가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노치 충격 내성을 가지는 성형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성은 또한 저온에서도 유지되어야 한다.
플라스틱은 특히 열가소성 방법으로 가공할 수 있어야 하고 높은 내후성, 특히 높은 UV 내성을 나타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고 광택 및 고 투명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및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물 각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프린팅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플라스틱은 최소 비용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청구항 1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플라스틱 혼합물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입부에서 논의된 상황으로부터 쉽게 유도할 수 있거나 추론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의 유용한 실시양태는 청구항 1을 인용하는 종속항에 의해 보호된다. 이들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및 성형물에 있어서, 청구항 19 및 20의 각각의 대상물은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가,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인 경질상 및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인성상(tough phase)을 포함하고, 인성상의 평균 입자 크기가 130 nm 이하이며, 인성상의 적어도 일부는 경질상에 공유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 및 1종 이상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접근은, 예견할 수 없는 방식으로 개선된 특성 프로파일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가공하여 특히 낮은 수준의 균열 전파 및 낮은 응력 백화 경향을 나타내는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형물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높은 인장 탄성률, 높은 파단시 인장 변형률 및 높은 노치 충격 내성을 가진다. 놀랍게도, 이들 특성은 저온에서도 유지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열가소성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고 높은 내후성, 특히 높은 UV 내성을 나타낸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가공하여 고 광택 및 고 투명도를 가지는 호일 또는 다른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사용하는 성형물은 또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프린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플라스틱 혼합물의 제조 또는 가공은 환경 또는 건강에 허용불가능한 위험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를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PU)은 거대분자가 우레탄기 -NH-CO-O-에 의한 반복 단위의 연결을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이 2가 또는 다가 알콜 및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다중 첨가를 통해 얻어진다:
Figure 112010064443512-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저분자량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일 수 있거나 이들 기 자체가 중합체성일 수 있다. 산업적으로 중요한 PU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테르디올 및, 예를 들어 톨루올 2,4- 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트 (TDI, R2 = C6H3-CH3), 4,4'-메틸렌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MDI, R2 = C6H4-CH2-C6H4), 4,4'-메틸렌디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HMDI, R2 = C6H10-CH2-C6H10) 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R2 = (CH2)6]로부터 제조된다. PU의 합성은 일반적으로 용매의 사용 없이 또는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다중 첨가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흔히 특정 아민 또는 유기주석 화합물이다. 2관능성 알콜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등몰비로 사용하면 선형 PU가 유도된다. 고관능성 출발 물질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가 과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분지형 및 가교형 생성물이 생성되며, 이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우레탄기 또는 우레아기와 반응하여 각각 알로파네이트 구조 또는 뷰렛 구조를 형성하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64443512-pct00002
따라서, 출발 물질의 선택 및 화학양론적 비에 따라, 매우 상이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PU가 제조되고, 이들은 특히 접착제 및 래커(lacquer) (P 수지)의 구성성분으로서, 이오노머로서, 베어링 부품, 풀리(pulley), 타이어 또는 롤러용 열가소성 물질로서 사용되고, 섬유 형태인 다양한 경도의 탄성체 (탄성 섬유, 이러한 엘라스탄(elastane) 또는 스판덱스 섬유에 사용되는 약어는 PUE임)로서, 또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스우레탄 고무 (각각 약어가 DIN ISO 1629: 1981-10에 따라 EU 및 AU임)의 형태로 매우 다양하게 응용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우레탄 래커 및 폴리우레탄 수지 참조). 또한 PU는 특히 문헌 [Kunststoffe 85, 1616 (1995), Batzer 3, 158-170 Batzer 3, 158-170; Domininghaus (5th), pp. 1140 ff.; Encycl. Polym. Sci. Eng. 13, 243-303; Houben-Weyl E 20/2, 1561-1721]에 기재되어 있다.
용어 "열가소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특히 압출 공정 및/또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비율의 지방족 단위를 가지는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들 폴리우레탄 A)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의, 방향족기를 가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혼합물은 1종 이상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4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반복 단위의 중량비는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응하는 단량체의 중량비로부터 얻을 수 있다.
표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및 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단량체는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특히 포화된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된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올레일 (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피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여기서 각 경우에 아릴 잔기는 비치환될 수 있거나 4개 이하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시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3-비닐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4-디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1,4-부탄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테르 알콜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옥시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의 아미드 및 니트릴, 예를 들어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디에틸포스포노)(메트)아크릴아미드, 1-메타크릴로일아미도-2-메틸-2-프로판올; 황 함유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술피닐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티오시아네이토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술포닐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티오시아네이토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술피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술피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트리메틸로일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특히 1-알켄, 예컨대 1-헥센, 1-헵텐; 분지형 알켄, 예컨대 비닐시클로헥산, 3,3-디메틸-1-프로펜, 3-메틸-1-디이소부틸렌, 4-메틸-1-펜텐;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에스테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측쇄에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 및 α-에틸스티렌, 고리에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치환된 스티렌, 예컨대 비닐톨루엔 및 p-메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예컨대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및 테트라브로모스티렌; 헤테로시클릭 비닐 화합물, 예컨대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3-에틸-4-비닐피리딘, 2,3-디메틸-5-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리딘, 9-비닐카르바졸, 3-비닐카르바졸, 4-비닐카르바졸, 1-비닐이미다졸, 2-메틸-1-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롤리돈, 2-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딘, 3-비닐피롤리딘,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부티로락탐, 비닐옥솔란, 비닐푸란, 비닐티오펜, 비닐티올란, 비닐티아졸 및 수소화 비닐티아졸, 비닐옥사졸 및 수소화 비닐옥사졸; 비닐 및 이소프레닐 에테르; 말레산 유도체,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메틸말레이미드; 및 디엔, 예컨대, 디비닐벤젠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공단량체의 양은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이며, 이들 화합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인 경질상 및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인성상을 가지고, 인성상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0 nm 이하이고, 인성상의 적어도 일부가 경질상에 공유 결합한다. 따라서, 인성상은 플라스틱 혼합물에서 입자 형태로 존재하고, 이들 입자 주변의 연속상, 특히 경질상은 추가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의 직경은 130 nm 이하이고, 여기서 바람직한 플라스틱 혼합물은, 중량 평균 직경을 기준으로 하는 입자 크기가 70 nm 이하인 인성상을 가진다. 플라스틱 혼합물에 존재하는 인성상의 다분산도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다분산도가 0.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높은 수준의 균일도의 인성상 입자는 특히 특별히 투명한 플라스틱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 이하이다. 상기 인성상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는 인성상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의 특성 및 비율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에 의해 알려진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 Tg는 또한 폭스 방정식(Fox equation)에 의해 근사치를 구할 수 있다. 문헌 [Fox T.G., Bull. Am. Physics Soc. 1, 3, page 123 (1956)]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64443512-pct00003
상기 식에서, xn은 단량체 n의 질량 분율 (중량%/100)이고, Tgn은 단량체 n의 단일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켈빈 온도)이다. 당업자는 가장 익숙한 단일중합체에 대한 Tg 값을 제공하는 문헌 [Polymer Handbook 2nd Edition, J. Wiley & Sons, New York (1975)]에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은,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유리하게는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의, 탄소 원자 1개 내지 6개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단량체는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펜틸 아크릴레이트 및 헥실 아크릴레이트이고,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성상의 적어도 일부는 경질상에 공유 결합한다.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의 경질상이 인성상에 공유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성상의 경질상에의 공유 결합은 특히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의 제조 동안 가교결합 단량체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가교결합 단량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될 수 있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이들은 특히 2개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불포화된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프로피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올 또는 다가 알콜로부터 유도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3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글리세롤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흔히 엄격한 의미에서 가교결합제와 그라프트-결합제는 차이가 있다. 엄격한 의미에서 가교결합제는 2개 이상의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잔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한다. 그라프트-결합제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잔기 뿐만 아니라 중합 경향이 현저하게 작은 에틸렌계 불포화기, 일반적으로 알릴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이다.
인성상은 바람직하게는, 인성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의, 가교결합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라프트-결합제 또는 분자가 3개 이상의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그라프트-결합제 또는 분자가 3개 이상의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비율은, 인성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의 범위이다. 분자가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유리하게는 인성상에서 반복 단위의 형태로 0.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인성상에 의한 반복 단위는 인성상의 제조 동안 사용된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경질상에 공유 결합되므로, 이들 반복 단위의 중량은 인성상의 부로 계산된다.
바람직한 인성상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가교결합 단량체 각각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기재한 반복 단위 뿐만 아니라, 추가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특히 탄소 원자 1개 내지 6개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가교결합 단량체 각각과 상이한, 상기 기재한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인성상 뿐만 아니라 인성상에 공유 결합된 1종 이상의 경질상을 포함한다. 경질상의 유리 전이 온도는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는 경질상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선택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경질상은,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경질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경질상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20 중량% 이하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의 한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에 공유 결합된 경질상 대 인성상의 중량비는 1: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이상일 수 있다.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하의 수용성 구성성분을 가진다. 수용성 구성성분의 낮은 비율은 특히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제조 동안 후처리 공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은 특히 수분에의 노출시 흐려짐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낮은 비율의 방향족기, 특히 스티렌을 가진다. 놀랍게도, 이에 따라 내후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1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의, 방향족기를 가지는 단량체, 특히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는 특히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Fifth Edition]에 기재된, 알려진 에멀젼 중합 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첨가제, 특히 유화제 및 보호 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상이 제조되어 에멀젼이 안정화된다.
2상 또는 다상 에멀젼 중합체는 2단계 또는 다단계 에멀젼 중합을 통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성상으로 제조된다. 제1 단계에서, 인성상이 제조된다. 시드 라텍스 (seed latex)를 사용하거나 단량체의 점진적 첨가를 사용하는 알려진 방법이 원칙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특성은 인성상을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가 유화되고 중합되는 방법을 통해 가장 잘 달성된다.
인성상의 입자 크기는 특히 유화제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평균 (중량 평균) 크기가 13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nm 미만이고, 다분산도가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인 입자는 수성상을 기준으로 0.15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농도에서 얻어진다. 보다 적은 양의 유화제는 보다 큰 평균 입자 크기를 초래하고, 보다 많은 양의 유화제는 보다 높은 다분산도를 초래한다. 에멀젼 중합의 개시시 입자 형태의 상이 보다 짧을수록 다분산도가 낮고, 즉 입자 크기의 균일도가 보다 높다.
중합의 개시 이후에 새로운 입자의 형성은 특히 방지되어야 하고, 유화제의 후속 첨가는 이 작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합 속도는 또한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의 다분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자유 라디칼의 공급이 매우 적은 경우 다분산도가 매우 높고, 자유 라디칼의 공급이 매우 많은 경우에, 특히 중합을 개시하는 데에 퍼옥소디술페이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그 결과는 수분에 대한 과도한 민감성일 수 있다.
언급한 유화제 농도는 특히 통상적인 음이온계 유화제에 적용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알콕시화된 파라핀 및 술페이트화된 파라핀이고, 이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예는, 수성상을 기준으로 0.01 내지 0.5 중량%의 알칼리 금속 퍼옥소디술페이트 또는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이고, 상기 중합은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개시된다. 예를 들어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0.01 내지 0.05 중량%의 유기 히드로퍼옥시드 및 0.05 내지 0.15 중량%의 롱가리트(Rongalit)로 구성되는 산화환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바른 중합 조건의 선택은 실험 배치에서, 평균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의 다분산도의 측정을 통해 체크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상기 언급한 규칙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변수는 모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작동을 멈춘 라텍스를 초원심분리시킬 때 산란광 측정의 결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알려진 방법은 단량체 함유 상을 수성상에 분산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기계적 방법이고, 또한 초음파를 사용한다.
에멀젼 중합체는 고체 함량이 30 내지 60 중량%이고, 일반적으로 고체를 기준으로 0.05 중량% 초과의 수용성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수용성 구성성분을, 바람직한 경우 분산액을 응고시키고, 응고물로부터 액체 수성상을 제거하고, 응고물을 융합시킴으로써 에멀젼 중합체로부터 제거하여 성형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작업을 위해, 압출기, 특히 통기형 2중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vented extruder)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후처리 방법에서, 분산액은 액체 형태로 압출기에 펌핑되고 에멀젼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열 및 전단력에의 동시 노출을 통해 응고된다. 압출기 내에 우세한 압력으로 인해, 수성상은 100℃ 초과에서도 액체로 남아있고, 압출기 벽에서 슬롯(slot) 또는 시브 플레이트(sieve plate)를 통해 압력하에, 용해된 구성성분과 함께 제거된다. 적합한 방법 및 장치는 예를 들어 DE-A 27 50 682 및 US-A 41 10 843에 개시되어 있다. 잔류 함수량은 알려진 방식으로 압출기의 통기 영역에서 증발될 수 있다.
용융된 성형 조성물은 압출기로부터 방출되고, 펠렛화되거나 성형되어 임의의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압출물이 생성되고, 연화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된다.
특히 바람직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제조는 DE-A-38 42 79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를 알려진 방식으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와 컴파운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압출기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플라스틱 혼합물은 10 내지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의 폴리우레탄 A) 및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A) 대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 및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뿐만 아니라 추가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이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와 함께 플라스틱 혼합물에 임의로 존재할 수 있는 단일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몰 질량 Mw은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몰 질량은 통상적으로 의도되는 용도 및 성형 조성물의 가공 방식에 맞춰진다. 그러나,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일반적으로 20,000 내지 1,0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50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300,000 g/몰의 범위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상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합체이다.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와 상이하다. 바람직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는 4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C)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제조를 위한 상기 공단량체의 일반적인 사용량은,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이고,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체는 높은 비율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제조를 위한 혼합물은,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C), 특히 바람직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몰 질량 Mw은 20,000 내지 1,0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50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300,000 g/몰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관점에 따르면,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0의 범위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A) 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중량비는 유리하게는 10:1 내지 1:10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염료, 안료, 충전제, 보강 섬유, 윤활제, 소광제, UV 안정화제 등이다. 또한 중합가능한 UV 흡수제는 플라스틱 혼합물의 특성을 개질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경질상 단량체의 중합 동안 다른 단량체와 함께 중합에 의해 에멀젼 중합체로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제조 동안 사용될 수도 있다.
놀라운 이점은 특히 1종 이상의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플라스틱 혼합물은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소광제는 특히 플라스틱 입자이다.
특히 바람직한 플라스틱 혼합물은 10 내지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 A), 0 내지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40 내지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 및 0 내지 30 중량%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을 가공하여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성형물, 예컨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라스틱 혼합물 및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물 각각의 투과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일 수 있다. 투과도는 두께가 3 mm인 시험 시편에서 D65 및 10˚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시험 기준: DIN 5033/5036).
또한 플라스틱 혼합물은 특히 균열 경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균열 전파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성형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물은 호일이다. 상기 유형의 호일은 오래 지속되는 투명도, 가열 및 냉각에 대한 내성, 내후성, 낮은 정도의 황변 및 취성, 및 좌굴(buckling) 및 크리징(creasing) 시 낮은 정도의 응력 백화를 특징으로 하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방수포, 자동차 지붕 또는 요트에서의 창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이들 호일은 키보드를 환경적 영향, 예컨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키보드, 특히 랩탑 컴퓨터 또는 컴퓨터 키보드의 보호 덮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호일의 두께는 흔히 1 mm 미만, 예를 들어 0.05 내지 0.5 mm이다.
성형물은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로 코팅될 수 있다. 중요한 적용 부문은 딱딱하고 치수 안정성을 갖는 기재, 예컨대 시트 금속, 페이퍼보드, 칩보드, 플라스틱 시트 등 상에서 두께가 예를 들어 0.05 내지 0.5 mm인 얇은 표면 층의 형성이다. 상기 경우에, 인성상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보다 낮을 수 있고 성형 조성물은 결과적으로 보다 경질일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제조를 위해 이용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성형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압출되어 호일이 형성되고, 매끄럽게되며 기재상에 적층될 수 있다. 압출물은 압출 코팅 기술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고, 롤러에 의해 매끄럽게 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이 실제 기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2개의 조성물을 공압출시켜 본 발명의 투명한 성형 조성물로 구성된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3D-성형물 공정 (막 성형 프레스; 인서트 성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매우 낮은 온도에서, 플라스틱 특성의 허용될 수 없는 어떠한 손상 없이 매우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 특정 적용 부문은 특히 겨울 스포츠에 사용되는 성형물에 의해 제공된다.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는 특히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플라스틱으로 코팅될 수 있고, 호일은 또한 상기 목적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유형의 플래카드, 특히 정보 플래카드, 교통 표지판 및 자동차용 번호판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혼합물로 코팅될 수 있고, 호일은 또한 상기 목적상 상기 물품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흥미있는 다른 적용 부문은 건물, 예를 들어 온실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코팅된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이다.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충격 내성 성형 조성물의 블렌드는 벽 두께가 1 mm 초과인 성형물의 제조; 예를 들어 양호한 결과로 스탬핑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장치를 위한 프린팅가능한 패널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두께 1 내지 10 mm의 압출된 웹의 제조, 또는 고품질 사출 성형물, 예를 들어 자동차 창문의 제조에 적합하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본 발명의 추가 설명을 위해 사용할 것이다.
비교예 1
73 중량%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Evonik Roehm GmbH)로부터 상표명 플렉스(Plex, 등록상표) ZK 5HC로 시판됨) 및 27 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바이엘 아게 (Bayer AG)로부터 상표명 데스모판 (Desmopan, 등록상표)으로 시판됨)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충격 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청구항 1에 상응하지 않고, 상기 유형의 혼합물은 EP-A-0 272 975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혼합물을 사용하여 칠-롤(chill-roll) 방법에 의해 호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적상 사용되는 압출 시스템은 단일 스크류 압출기, 용융물 펌프, 240 mm x 0.8 mm의 방출 개구를 가지는 편평한 필름 압출 다이, 롤러 유닛 (L 형태), 적층 유닛 및 와인더(winder)로 구성되었다. 편평한 필름 압출 다이의 방출 개구로부터 약 25 mm의 거리에, 칠 롤을 중앙부에 위치시켰다. 롤의 직경은 100 mm이고 이의 폭은 300 mm였다. 롤 표면의 거칠기 Ra는 0.003 ㎛ 이하였고, Rmax는 0.25 ㎛ 미만이었다 (DIN 4768에 따라 측정함). 칠 롤의 온도는 10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0℃로 설정하였다. 용융물 스트림의 온도는 약 240℃였다. 상기 용융물 필름을 롤 표면에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접근시켰고 이는 롤 주변에 약 90˚랩을 가졌다. 필름 웹을 추가의 후속 냉각 롤러 주변에 랩핑한 후에, 비접촉 측정 시스템에 통과시켜 이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전자적 처리된 정보는 열 팽창 유닛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이 폭 상의 용융물의 분포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이어서 호일을 적층시키고 와인딩하였다. 생성되는 호일의 두께는 약 150 ㎛였다.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열 전파력을 측정하였다. 압출 방향에서 0.74 N의 값 및 압출 방향에 대한 가로 방향에서 1 N의 값이 측정되었다. 또한 실온, -10℃ 및 -30℃에서 공칭 파단시 인장 변형률을 측정하였고,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였다. 또한 응력 백화 시험을 실온, -10℃ 및 -30℃에서 실시하였고, 응력 백화가 항상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로부터 상표명 플렉스 (등록상표) 8943-F로 얻을 수 있는 청구항 1에 따르는 충격 개질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사용을 제외하고, 비교예 1을 본질적으로 반복하였다. 상기 혼합물로부터 칠-롤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호일에 대한 인열 전파력은 압출 방향으로 1.4 N 및 압출 방향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 1.7 N이었다. 실온, -10℃ 및 -30℃에서 공칭 파단시 인장 변형률을 측정하였고,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응력 백화 시험을 실온, -10℃ 및 -30℃에서 실시하였고, 응력 백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2
연마 공정을 사용한 호일의 제조를 제외하고, 비교예 1을 본질적으로 반복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인열 전파력은 압출 방향으로 0.65 N이었다. 또한 실온, -10℃ 및 -30℃에서 공칭 파단시 인장 변형률을 측정하였고,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응력 백화 시험을 실온, -10℃ 및 -30℃에서 실시하였고, 응력 백화가 항상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연마 공정을 사용한 호일의 제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본질적으로 반복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인열 전파력은 압출 방향으로 1.5 N이었다. 또한 실온, -10℃ 및 -30℃에서 공칭 파단시 인장 변형률을 측정하였고,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응력 백화 시험을 실온, -10℃ 및 -30℃에서 실시하였고, 응력 백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112010064443512-pct00004

Claims (22)

  1.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가,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인 1종의 경질상 및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인 1종의 인성상(tough phase)으로 구성되고, 인성상의 평균 입자 크기가 130 nm 이하이며, 인성상의 적어도 일부가 경질상에 공유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 및 1종 이상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경질상이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경질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이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탄소 원자 1개 내지 6개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질상의 15 중량% 이상이 인성상에 공유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인성상에 공유 결합된 경질상 대 인성상의 중량비가 1: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성상의 평균 입자 크기가 7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가 0.05 중량% 이하의 수용성 구성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A)가 10 중량% 이하의, 방향족기를 가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A) 대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와 상이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2.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A) 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UV 흡수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소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소광제가 플라스틱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0 내지 60 중량%의 폴리우레탄 A) 및 10 내지 60 중량%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7. 제16항에 있어서, 10 내지 40 중량%의 폴리우레탄 A), 10 내지 40 중량%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 40 내지 80 중량%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C) 및 0 내지 30 중량%의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께가 3 mm인 시험 시편에서 D65 및 10˚를 사용하여 측정한 투과도가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19. 1종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A) 및 1종 이상의 충격 개질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B)를 컴파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플라스틱 혼합물의 제조 방법.
  20. 제1항에 따른 플라스틱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형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호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플라스틱 혼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KR1020107022301A 2008-05-06 2009-02-27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KR101561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1596A DE102008001596A1 (de) 2008-05-06 2008-05-06 Kunststoffmischungen umfassend ein thermoplastisches Polyurethan (TPU) und ein schlagzähes Poly(meth)acrylat
DE102008001596.2 2008-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722A KR20110021722A (ko) 2011-03-04
KR101561318B1 true KR101561318B1 (ko) 2015-10-16

Family

ID=4055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301A KR101561318B1 (ko) 2008-05-06 2009-02-27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158709B2 (ko)
EP (1) EP2274379B1 (ko)
JP (1) JP4861532B2 (ko)
KR (1) KR101561318B1 (ko)
CN (1) CN101977994B (ko)
AU (1) AU2009243701B2 (ko)
CA (1) CA2723840C (ko)
DE (1) DE102008001596A1 (ko)
ES (1) ES2401412T3 (ko)
HK (1) HK1149038A1 (ko)
IL (1) IL207409A (ko)
PL (1) PL2274379T3 (ko)
TW (1) TWI444430B (ko)
WO (1) WO2009135702A1 (ko)
ZA (1) ZA201007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5793A1 (de) * 2005-11-21 2007-05-24 Röhm Gmbh Transparente TPU (thermoplastische Polyurethane)/ PMMA (Polymethyl(meth)acrylat) Abmischungen mit verbesserter Kältesschlagzähigkeit
DE102012108950A1 (de) 2011-09-23 2013-03-28 Kunststoff- Und Farben-Gesellschaft Mbh Polymerisierbare Masse, Form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CN107163198B (zh) 2012-02-10 2019-11-22 阿科玛股份有限公司 在零或低voc涂料组合物中有用的聚合物胶乳粘合剂
CN104870507B (zh) * 2012-10-16 2017-05-24 巴斯夫欧洲公司 热塑性聚氨酯和聚(甲基)丙烯酸酯的可热塑加工的透明混合物
CN103264617A (zh) * 2013-05-23 2013-08-28 余启佳 一种透明胶质自行车轮胎
CN103709729A (zh) * 2013-12-20 2014-04-09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耐黄变的热塑性聚氨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9203857A1 (en) * 2018-04-20 2019-10-24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Non-pneumatic wheel having a moldable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spok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TWI687466B (zh) * 2018-06-26 2020-03-11 臺灣永光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表面處理溶液的用途及使用其的熱塑性聚氨酯樣品的表面處理方法
CN115023465A (zh) * 2020-02-10 2022-09-06 旭化成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
CN111349333A (zh) * 2020-04-21 2020-06-30 东莞市雄林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冲浪风筝的tpu薄膜及其制备方法
CN113773634B (zh) * 2021-09-02 2023-05-12 江苏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塑性聚氨酯缓冲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48541B1 (ko) * 2022-06-16 2022-09-28 (주)진영 멤브레인 가공용 asa 수지 기반 시트
CN116515206B (zh) * 2023-05-15 2024-05-14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滑石粉填充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7242A1 (de) 2005-11-21 2007-05-24 Evonik Röhm Gmbh Transparente tpu (thermoplastische polyurethane) / pmma(polymethyl(meth)acrylat) abmischungen mit verbesserter kälteschlagzähigkei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9701A (ko) 1969-01-27 1971-07-21 Ici Ltd
US4086296A (en) * 1970-07-17 1978-04-25 Rohm And Haas Company Blends of thermoplastic polymer with a multi-phase acrylic composite polymers
US3843753A (en) * 1972-02-09 1974-10-22 Rohm & Haas Composite interpolymer and low haze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thereof
US4110843A (en) 1973-02-23 1978-08-29 Welding Engineers, Inc. Pressure restricting means for a liquid outlet of an extruder
US4103074A (en) 1976-11-15 1978-07-25 International Basic Economy Corporation Process for coagulating polymer latices using screw-type extruder
DE2727480A1 (de) * 1977-06-18 1979-01-11 Bayer Ag Schlagzaehe polymerlegierungen
DE3300526A1 (de) 1983-01-10 1984-07-12 Röhm GmbH, 6100 Darmstadt Schlagzaehmodifizierungsmittel
FR2608095B1 (fr) 1986-12-11 1988-12-30 Altulor Sa Plaques coulees a haute resistance au choc, leur procede de fabrication et articles faconnes obtenus
DE3842796A1 (de) * 1988-12-20 1990-06-21 Roehm Gmbh Klare schlagzaehe acrylat-formmasse
US5216082A (en) * 1988-12-20 1993-06-01 Rohm Gmbh Acrylic molding compositions
EP0447309B1 (fr) * 1990-03-15 1996-07-17 Elf Atochem S.A. Plaques coulées â haute résistance au choc,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DE4019799A1 (de) * 1990-06-21 1992-01-02 Bayer Ag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en aus polyurethanen und partiell vernetzten alkylacrylatcopolymeren
US5063259A (en) 1990-07-03 1991-11-05 Rohm And Haas Company Clear, impact-resistant plastics
DE4121652A1 (de) 1991-06-29 1993-01-07 Roehm Gmbh Schlagzaeh-modifizierungsmittel
DE4417559A1 (de) 1994-05-19 1995-11-23 Roehm Gmbh Verfahren zum Entwässern einer wasserhaltigen Kunststoffschmelze in einem Doppelschneckenextruder
US5739196A (en) * 1995-11-30 1998-04-1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Latex compositions having wet adhesion and other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5731380A (en) * 1997-04-11 1998-03-2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Elastomeric compositions
ATE231534T1 (de) * 1998-10-15 2003-02-15 Basf Ag Mischungen enthaltend thermoplastisches polyurethan sowie einen asa-werkstoff
KR101004242B1 (ko) * 2006-04-28 2010-12-2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7242A1 (de) 2005-11-21 2007-05-24 Evonik Röhm Gmbh Transparente tpu (thermoplastische polyurethane) / pmma(polymethyl(meth)acrylat) abmischungen mit verbesserter kälteschlagzäh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01412T3 (es) 2013-04-19
CN101977994B (zh) 2012-10-31
US20110015334A1 (en) 2011-01-20
JP2011519998A (ja) 2011-07-14
US8158709B2 (en) 2012-04-17
HK1149038A1 (en) 2011-09-23
CA2723840A1 (en) 2009-11-12
CA2723840C (en) 2016-01-19
AU2009243701A1 (en) 2009-11-12
IL207409A0 (en) 2010-12-30
EP2274379B1 (de) 2012-12-12
AU2009243701B2 (en) 2013-03-28
IL207409A (en) 2014-04-30
EP2274379A1 (de) 2011-01-19
JP4861532B2 (ja) 2012-01-25
PL2274379T3 (pl) 2013-05-31
ZA201007954B (en) 2011-07-27
TW201005034A (en) 2010-02-01
CN101977994A (zh) 2011-02-16
DE102008001596A1 (de) 2009-11-12
TWI444430B (zh) 2014-07-11
WO2009135702A1 (de) 2009-11-12
KR20110021722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318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충격 내성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혼합물
US9896578B2 (en) Thermoplastically processable transparent blend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meth)acrylates
EP3789414B1 (en) Multi-stage polymer composition and films made therefrom
KR20150010942A (ko) 공-압출된 충격-개질 pmma 필름
CN106103584B (zh) 丙烯酸类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丙烯酸类树脂薄膜
WO2013172381A1 (ja) 合成樹脂積層体
KR20160130812A (ko) 아크릴 수지 조성물, 아크릴 수지 필름 및 성형체
WO2012165526A1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製膜方法、及び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EP3901197A2 (en) Acrylic laminate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deco sheet produced therefrom
JP3378485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射出成形体
JP3232983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重合体
CN116547324A (zh) 戊二酰亚胺树脂
CN113226758B (zh) 装饰薄膜用的基础薄膜及包含其的装饰薄膜
JP7402136B2 (ja) 合わせガラス
JPH106396A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エンボスシート
EP3862382A1 (en) Acrylic resi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