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102B1 -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102B1
KR101559102B1 KR1020140129970A KR20140129970A KR101559102B1 KR 101559102 B1 KR101559102 B1 KR 101559102B1 KR 1020140129970 A KR1020140129970 A KR 1020140129970A KR 20140129970 A KR20140129970 A KR 20140129970A KR 101559102 B1 KR101559102 B1 KR 10155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olar cell
czts
film sola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정
심준형
손대호
강진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2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전극 상에, 광흡수층을 위한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전구체층을 600 ℃ 내지 1100 ℃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600 ℃ 이상의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결정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결함이 제거되어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고온의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소다라임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Na을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광흡수층의 특성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Method of manufacturimg of CZTS-based thin film solar cell and CZTS-based thin film solar cell thereby}
본 발명은 CZTS(Cu2ZnSn(S,Se)4)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600 ℃ 이상의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면서도, 소다 라임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CZTS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는 청정에너지를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주목받는 미래 에너지 생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제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무기, 유기물 반도체들이 응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상업화 단계까지 도달한 대표적인 예는 실리콘(Si)을 주 소재로 사용하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CIGS 계열의 박막태양전지이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높은 광전환 효율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의 제조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보다 얇은 박막 적용이 가능한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에 대한 관심이 높다. 대표적인 박막 태양전지로는 CIS 또는 CIGS로 알려져 있는 IB족, IIIA족 및 VIA족의 원소들을 포함하는 물질을 광흡수층으로 이용하는 박막 태양전지를 들 수 있다.
박막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Cu(In,Ga)Se2의 조성을 갖는 빛 흡수 박막 층과 CdS 또는 그 밖의 n-type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버퍼(buffer) 박막 층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라 할 수 있고, 특히 CIS 또는 CIGS 광흡수층은 이러한 태양전지의 성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CIS 또는 CIGS 광흡수층 박막은 일반적으로 동시증발법 또는 스퍼터링과 같은 고비용의 진공 장비를 이용한 진공 증착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CIS 또는 CIGS 박막 태양전지 제조의 저가화 및 대면적화를 위해 프린팅과 같은 용액공정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CIS 또는 CIGS 박막 태양전지는 고가의 원료, 즉 In 및 Ga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재료 측면에서 저가화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In 및 Ga 대신, 지구상 흔하게 존재하며 위해성이 적은 Zn 및 Sn이 포함된 화합물인 Cu2ZnSnS4 (CZTS) 또는 Cu2ZnSnSe4 (CZTSe)는, 태양전지로의 응용에 매우 적합한 광학적 성질 (예: 광흡수 계수 (>10-4cm), 밴드갭 (1.5 eV)를 가지고 있어 향후 CIGS 박막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CZTS 박막 태양전지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3816호에서는 페이스트 또는 잉크를 이용한 구리아연주석황화계 또는 구리아연주석셀렌계 박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1) Cu의 전구체, Zn의 전구체 및 Sn의 전구체들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고분자 바인더를 첨가하여 페이스트 또는 잉크를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수득된 전구체 페이스트를 전도성 기판에 코팅한 후 이를 공기 또는 산소 기체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고 Cu, Zn, 및 Sn 혼합 산화물 박막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Cu, Zn, 및 Sn 혼합 산화물 박막을 황 또는 셀레늄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u의 전구체, Zn의 전구체 및 Sn의 전구체는 이것의 수산화물, 질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 염화물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잔존 탄소량이 5 at% 이하인 태양전지용 구리아연주석황화(CZTS)계 또는 구리아연주석셀렌(CZTSe)계 박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Cu2ZnSn(S,Se)4 계열의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저해하는 결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600 ℃ 이상의 고온에서 흡수층을 열처리해야 한다. 그러나, 박막 태양전지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소다라임 유리 기판(Soda Lime Glass)은 공정 제한 온도가 545 ℃ 이하이기 때문에 광흡수층의 열처리에는 온도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흡수층의 결정성을 향상시켜 효율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고효율의 Cu2ZnSn(S,Se)4 계열의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온 공정에 적절한 기판을 적용하여 제조를 해야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황화공정 또는 셀레늄화 공정을 수행할 시 6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600 ℃ 이상의 고온에서 견디지 못하는 소다 라임 기판을 사용하는 대신에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을 사용하였다. 이때, 소다 라임 기판의 Na으로 광흡수층의 특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aOH 용액을 사용하여 Na을 첨가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전극 상에, 광흡수층을 위한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전구체층을 600 ℃내지 1100 ℃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CZTS 박막의 결정립 크기는 0.2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600 ℃ 이상의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결정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결함이 제거되어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고온의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소다라임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Na을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광흡수층의 특성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다라임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단계 4에서 제조된 CZTS 박막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전압-전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전극 상에, 광흡수층을 위한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전구체층을 600 ℃ 내지 1100 ℃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Cu2ZnSn(S,Se)4 계열의 박막 태양전지 공정 흐름도는 도 1과 같다. 소다라임 유리 기판은, 기판이 포함하고 있는 Na에 의해 광흡수층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황화 또는 셀렌화 공정 시 적용되는 온도는 소다라임 유리 기판의 공정 온도 한계 이하인 540 ℃에서 공정을 진행해야만 한다. 이러한, 온도에서는 광흡수층의 결정성 향상 및 결함의 제거 등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광흡수층의 결정성 향상 및 결함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광흡수층의 황화 또는 셀렌화 열처리 공정의 온도를 600 ℃ 이상에서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600 ℃ 이상의 공정을 위해 다른 기판을 적용하게 되면, 표 1과 같이 석영 기판의 경우 기판에 포함되어 있는 Na의 양이 소다라임 유리 기판에 비해 적기 때문에 광흡수층의 특성 향상에 제한을 주게 된다.
소다라임유리 석영
조성 SiO2
Na2O
CaO
MgO
Al2O3
73.0
14.0
7.0
4.0
2.0
SiO2
Al2O3
Fe2O3
TiO2
K2O-Na2O
99.8
0.05
0.02
0.01
0.12
스트레인 점(℃) 511 1120
서냉점(℃) 545 1215
소프트닝 점(℃) 724 1683
따라서, 고온의 황화 및 셀렌 공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온 공정이 가능한 기판으로의 교체와, Na의 추가 첨가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에 견딜 수 있는 기판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은 석영, 붕규산(borosilicate), 실리콘 웨이퍼(Si wafer)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600 ℃이상의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에 견딜 수 있는 기판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단계 1의 전극은 몰리브덴, 니켈, 백금, 팔라듐, 세륨 및 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전극 상에, 광흡수층을 위한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2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공정을 통해, 소다 라임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Na의 부족으로 인한 광흡수층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구체층은 후면 전극 위에 ZnS층, SnS층, Cu 층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차례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는 CZTS 전구체 용액을 기판 상에 코팅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코팅은 스핀코팅, 딥코팅, 롤코팅, 스크린 코팅, 분무코팅, 스핀 캐스팅, 흐름코팅, 스크린 인쇄, 잉크젯 및 드롭캐스팅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전구체층의 형성 방법이 전구체 용액을 이용한 코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a 첨가 공정은, 전극이 형성된 기판, 또는 전구체 박막 및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NaOH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Na 첨가 공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NaOH 용액은 탈이온수에 대해 0.1 중량% 내지 50 중량%의 NaOH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NaOH 용액이 탈이온수에 대해 0.1 중량% 미만의 NaOH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Na 첨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광흡수층의 성능 향상이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NaOH 용액이 탈이온수에 대해 50 중량% 초과로 NaOH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Na의 첨가로 인해, 전극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NaOH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은, 3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1분 내지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aOH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이 30 ℃ 미만의 온도에서 1분 미만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Na이 전극이 형성된 기판, 또는 전구체 박막 및 전극이 형성된 기판내로 충분히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NaOH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이 100 ℃ 초과의 온도에서 60 분 미만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Na의 첨가로 인해, 전극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전구체층을 600 ℃ 내지 1100 ℃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3에서와 같이 고온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CZTS 박막의 결정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결함이 제거되어 태양전지의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상기 단계 3의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이 60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CZTS 박막의 결정성의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100 ℃초과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CZTS 박막이 벗겨지거나, Sn 성분의 증발로 인해 CZTS 박막의 조성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CZTS 박막의 결정립 크기는 0.2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는 600 ℃ 이상의 고온에서 광흡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0.2 ㎛ 내지 1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며, 결정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결함이 제거되어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고온의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소다라임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Na을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광흡수층의 특성 향상 효과로 인해 태양전지의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석영 기판 상에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DC magnetron sputtering)방법을 사용하여 0.5 μm 두께로 몰리브덴 전극을 증착하였다.
단계 2: NaOH가 탈이온수에 대해 0.5 중량% 포함된 NaOH 수용액에, 40 ℃의 온도에서 30 분 동안 단계 1에서 제조된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침지시켜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Na가 첨가된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ZnS층, SnS층, Cu 층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차례대로 형성시켜 CZTS 전구체 박막을 형성하였다.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CZTS 전구체 박막을, 퍼니스(furnace) 내에 Se 금속 원료를 녹여 Se 가스 분위기인 상태에서 670 ℃에서 20 분간 열처리하여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단계 5: 상기 CZTS 광흡수층 상에,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으로 버퍼층을 형성한 후, 스퍼터링 방법으로 창층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열 증착법(thermal evaporation)으로 전극을 방법으로 형성시켜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NaOH가 탈이온수에 대해 1.12 중량% 포함된 NaOH 수용액에, 60 ℃의 온도에서 5 분 동안 단계 1에서 제조된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침지시켜 Na 첨가 공정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소다 라임 기판을 사용하고, 단계 2의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계 4의 셀렌화 공정을 540 ℃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CZTS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CZTS 박막의 결정성 관찰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CZTS 박막의 결정성을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단계 4에서 제조된 CZTS 박막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540 ℃의 저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비교예 1의 결정립 크기가 0.1 ㎛ 내지 0.2 ㎛임에 비해, 670 ℃의 고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결정립의 크기가 0.2 ㎛ 내지 1 ㎛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6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처리로 CZTS 박막을 제조함으로써, 결정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태양전지의 효율 관찰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CZTS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 측정 기기로 에어 매스 1.5 글로벌(air mass 1.5 global(AM 1.5G))의 조건에서, 효율, 개방전압, 단락전류, 충진율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효율(%) 개방전압(V) 단락전류(mA/cm2) 충진율(%)
비교예 1 3.94 0.323 27.94 43.69
실시예 1 4.19 0.369 25.31 44.86
실시예 2 5.61 0.395 31.41 45.24
표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0 ℃의 저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비교예 1의 태양전지의 경우, 효율리 3.94 %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670 ℃의 고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실시예 1 및 2의 태양전지의 경우, 4.19 %, 5.61 %의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개방전압이 0.369 V, 0.395 V로 비교예 1의 0.323 V 보다 높고, 실시예 2의 단락 전류가 31.41 mA/cm2으로 비교예 1의 27.94 mA/cm2 보다 높으며, 실시예 1 및 2의 충진율이 44.86 %, 45.24 %로 비교예 1의 43.69 %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6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처리로 CZTS 박막을 제조함으로써, 결정성이 향상되고, 결정화가 안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광흡수층 전체에 걸쳐서 CZTS 각각의 조성이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으며. 조성의 균일한 분포는 광흡수층의 밴드갭 에너지를 균일하게 하고, 결함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전압과 단락전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진율 및 태양전지의 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전극 상에, 광흡수층을 위한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전구체층을 670 ℃ 내지 1100 ℃에서 황화 공정 또는 셀렌화 공정을 수행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Na 첨가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Na 첨가 공정은, 전극이 형성된 기판 또는 전구체 박막 및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NaOH 용액에 40 ℃ 내지 60 ℃의 온도에서 5 분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NaOH 용액은 탈이온수에 대해 0.5 중량% 내지 1.12 중량%의 NaOH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Cu2ZnSn(S,Se)4)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600 ℃ 내지 1100 ℃에서 견딜 수 있는 기판은 석영, 붕규산(borosilicate), 실리콘 웨이퍼(Si wafer)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전극은 몰리브덴, 니켈, 백금, 팔라듐, 세륨 및 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CZTS 박막의 결정립 크기는 0.2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KR1020140129970A 2014-09-29 2014-09-29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KR10155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70A KR101559102B1 (ko) 2014-09-29 2014-09-29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70A KR101559102B1 (ko) 2014-09-29 2014-09-29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102B1 true KR101559102B1 (ko) 2015-10-13

Family

ID=5434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970A KR101559102B1 (ko) 2014-09-29 2014-09-29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248A (ko) * 2016-09-27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zts계 박막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5740A (ko) 2019-03-25 2020-10-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박막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태양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988A1 (en) * 2009-11-25 2013-05-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ZTS/Se PRECURSOR INKS AND METHODS FOR PREPARING CZTS/Se THIN FILMS AND CZTS/Se-BASED PHOTOVOLTAIC CELLS
KR101298026B1 (ko) * 2012-04-13 2013-08-26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JP5476548B2 (ja) * 2008-08-18 2014-04-2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硫化物系化合物半導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6548B2 (ja) * 2008-08-18 2014-04-2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硫化物系化合物半導体
US20130125988A1 (en) * 2009-11-25 2013-05-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ZTS/Se PRECURSOR INKS AND METHODS FOR PREPARING CZTS/Se THIN FILMS AND CZTS/Se-BASED PHOTOVOLTAIC CELLS
KR101298026B1 (ko) * 2012-04-13 2013-08-26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248A (ko) * 2016-09-27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zts계 박막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5740A (ko) 2019-03-25 2020-10-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박막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태양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681B1 (ko) Cigs박막의 제조방법
KR102037130B1 (ko) 박막 광전지 소자를 위한 무기염-나노입자 잉크 및 이에 관련된 방법
JP2011146594A (ja) 光電素子用バッファ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電素子
KR101583026B1 (ko) Czts계 태양전지용 박막의 제조방법
JP6302546B2 (ja) 高いクラックフリー限界を有するcigsナノ粒子インキ調製物
JP5874645B2 (ja) 化合物半導体薄膜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46595A (ja) Czts系半導体用cbd溶液、czts系半導体用バッファ層の製造方法及び光電素子
KR20150142094A (ko)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0852B1 (ko) Czts계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9102B1 (ko)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JP5278778B2 (ja) カルコゲナイト系化合物半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3184B1 (ko) 태양전지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태양전지 광흡수층
KR101646556B1 (ko) Czt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czts 박막 태양전지
Jiang et al. Fabrication of an efficient electrodeposited Cu 2 ZnSnS 4-based solar cells with more than 6% conversion efficiency using a sprayed Ga-doped ZnO window layer
KR101541449B1 (ko) 다공성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KR20180034248A (ko)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유연 czts계 박막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2657B1 (ko) 박막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042B1 (ko)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2121B1 (ko) 이종 적층형 cis계 광활성층 박막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cis계 광활성층 박막 및 상기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태양전지
KR102165789B1 (ko) 유연기판용 czts계 단일 광흡수층 제조 방법
KR101590512B1 (ko) 하이브리드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박막 태양전지
KR102025091B1 (ko) CZT(S,Se)계 박막, 시드가 형성된 전구체층을 이용하는 CZT(S,Se)계 박막 형성방법 및 CZT(S,Se)계 박막 태양전지와 그 제조방법
KR20120140078A (ko) 용액공정 기반의 벌크 헤테로 접합 무기 박막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101583361B1 (ko) 다공성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Arnou et al. Solution-deposited CuIn (S, Se) 2 absorber layers from metal chalcogen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