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077B1 - 볼체크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볼체크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077B1
KR101559077B1 KR1020140039240A KR20140039240A KR101559077B1 KR 101559077 B1 KR101559077 B1 KR 101559077B1 KR 1020140039240 A KR1020140039240 A KR 1020140039240A KR 20140039240 A KR20140039240 A KR 20140039240A KR 101559077 B1 KR101559077 B1 KR 10155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alve member
check val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효
김상곤
Original Assignee
김충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효 filed Critical 김충효
Priority to KR102014003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0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볼체크밸브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볼체크밸브장치는 오배수가 유입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로 유입되는 오배수를 배출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자중에 의해 폐쇄하며 상기 개폐구멍으로 유입되는 오배수에 압력에 의해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체크밸브장치{BALL CHECK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볼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배수용 배관에 설치되어 오배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체크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배수용 배관에 설치되는 종래의 체크밸브장치는 주로 얇은 디스크로 이루어진 플립타입의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개폐부재가 일측 및 타측으로 회동하면서 배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체크밸브장치는 개폐부재가 빈번하게 개폐 동작을 행함에 따라 피로 현상이 누적되고, 이로 인해 개폐부재의 힌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자주 발행하였다.
또한, 개폐부재가 배관 폐쇄 시 과도한 수충격으로 인한 파손과 충격 소음이 발생하였고, 오배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개폐부재와 배관의 내측 사이에 끼게 되어 개폐부재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체크밸브장치는 개폐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밸브시트 구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며, 생산성 저하로 인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며 소음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오배수용 배관에 설치되는 볼체크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배수가 유입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로 유입되는 오배수를 배출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자중에 의해 폐쇄하며 상기 개폐구멍으로 유입되는 오배수에 압력에 의해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볼체크밸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개폐구멍 주변에 안착되는 구형상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직각으로 배치되며 오배수가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부재는 상기 개폐부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무게중심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돌기는 역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의 지름은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된 배출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밸브부재와 관련하여 별도의 힌지 구조를 생략할 수 있고, 제1 몸체(20) 자체에 밸브부재의 밸브시트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부재의 개폐부를 구형상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밸브부재의 개폐작동 시 오배수의 흐름에 따른 수충격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밸브부재와 관련하여 힌지 구조를 생략하고 제1 몸체에 밸브부재의 밸브시트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이룰 수 있어 제작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부재의 개폐부를 구형상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폐작동 시 수충격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체크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체크밸브장치의 밸브부재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개폐구멍을 폐쇄 및 개방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체크밸브장치(10)는 제1 몸체(20), 제2 몸체(30), 밸브부재(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몸체(20,30)는 오배수 집수조(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오배수를 이송하기 위한 제1 및 제2 오배수 배관(51,53, 도 3 참조)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몸체(20)는 상부(21)에 제2 몸체(30)의 하부(35)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상부(21)의 내측에는 밸브부재(40)가 승강 가능한 유동 공간을 이루는 수용공간(21a)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21a)은 오배수가 통과하는 유로를 겸한다.
제1 몸체(20)의 상부(21)는 하단부(21b)가 중앙을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20)의 내측에는 밸브부재(4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멍(22)이 형성된다. 개폐구멍(22)의 주변은 밸브부재(40)가 안착될 수 있는 밸브시트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몸체(20)는 하부(23)의 외주에 제1 오배수 배관(51)과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부(26)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몸체(20)를 제1 오배수 배관(51)(여기서, 제1 오배수 배관(51)은 펌프(미도시)와 직접 연통된다)과 나사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스패너(미도시)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육각 돌출부(25)가 형성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몸체(20)의 나사부(26)가 제1 오배수 배관(51)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펌프(미도시)에 직접 체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통상의 펌프는 배관이 연결되는 체결구멍(미도시) 내주에 대부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나사부(26)는 숫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몸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35)가 제1 몸체(20)의 상부(2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제2 몸체(30)는 상부(31) 내측에 제2 오배수 배관(53)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구멍(33)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몸체(30)는 내측에 제1 몸체(20)의 수용공간(21a)에 연통되는 배출구멍(34)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배출구멍(34)은 후술하는 밸브부재(40)의 가이드링(45)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밸브부재(40)가 오배수의 유압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 시 제1 몸체(20)의 수용공간(21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밸브부재(40)는 개폐부(41), 연결부(43), 가이드링(45) 및 무게중심돌기(48)를 포함한다..
개폐부(41)는 자중에 의해 제1 몸체(20)의 개폐구멍(22)을 폐쇄하고(도 3 참조), 반대로 제1 몸체(20)의 하부(23) 내측공간(23a)으로 통해 유입되는 오배수의 압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개폐구멍(22)을 개방한다(도 4 참조).
연결부(43)는 개폐부(41)의 상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링(45)을 지지하며, 동시에 가이드링(45)을 개폐부(4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개폐부(41)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이 경우 연결부(43)는 대략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폐구멍(22)을 통해 제1 몸체(20)의 수용공간(21a)을 통과하는 오배수의 흐름에 간섭되지 안도록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링(45)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도 2와 같이, 연결부(43)에 의해 관통구멍(46a,46b)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46a,46b)으로는 오배수는 물론 오배수에 포함된 각종 고형물이 통과한다.
상기 가이드링(45)은, 도 4와 같이, 오배수가 개폐구멍(22)으로 유입됨에 따라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구형상의 개폐부(41)가 회전하지 않고 대략 수직으로 상승을 가이드한다.
무게중심돌기(48)는 개폐부(4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다. 이 경우 무게중심돌기(48)는 연결부(43)와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무게중심돌기(48)는 무게 추 역할을 함에 따라 개폐부(41)가 승강 동작 시 무게의 중심이 중앙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술한 가이드링(45)과 함께 개폐부(41)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재(40a)는 상술한 개폐부재(40)의 무게중심돌기(48)와 상이한 형상의 무게중심돌기(48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돌기(48a)는 개폐부(41)의 하단에 대략 역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중심돌기(48a)가 역 원뿔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개폐구멍(22)으로 유입되는 오배수는 무게중심돌기(48a)의 외주면을 따라 개폐부(41)의 외측과의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로 상향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20)의 수용공간(21a)을 통과하는 오배수의 흐름은 한층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부재(40)와 관련하여 별도의 힌지 구조를 생략할 수 있고, 제1 몸체(20) 자체에 밸브부재(40)의 밸브시트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부재(40)의 개폐부(41)를 구형상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밸브부재(40)의 개폐작동 시 오배수의 흐름에 따른 수충격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제1 몸체 21a: 수용공간
22: 개폐구멍 30: 제2 몸체
34: 배출구멍 40: 밸브부재
41: 개폐부 43: 연결부
45: 가이드링 48,48a: 무게중심돌기
51: 제1 오배수 배관 53: 제2 오배수 배관

Claims (5)

  1. 오배수가 유입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로 유입되는 오배수를 배출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자중에 의해 폐쇄하며 상기 개폐구멍으로 유입되는 오배수에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구멍을 개방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개폐구멍 주변에 안착되는 구형상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직각으로 배치되며 오배수가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볼체크밸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무게중심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크밸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돌기는 역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크밸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의 지름은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된 배출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크밸브장치.
KR1020140039240A 2014-04-02 2014-04-02 볼체크밸브장치 KR10155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40A KR101559077B1 (ko) 2014-04-02 2014-04-02 볼체크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40A KR101559077B1 (ko) 2014-04-02 2014-04-02 볼체크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077B1 true KR101559077B1 (ko) 2015-10-08

Family

ID=5434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40A KR101559077B1 (ko) 2014-04-02 2014-04-02 볼체크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91A (ko) 2017-12-22 2019-07-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일방향 연속 회전형 체크 밸브
KR20200137120A (ko) * 2019-05-29 2020-12-09 김정원 산세조 내의 산세액 역류방지장치 및 그 역류방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91A (ko) 2017-12-22 2019-07-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일방향 연속 회전형 체크 밸브
KR20200137120A (ko) * 2019-05-29 2020-12-09 김정원 산세조 내의 산세액 역류방지장치 및 그 역류방지방법
KR102264009B1 (ko) * 2019-05-29 2021-06-10 김정원 산세조 내의 산세액 역류방지장치 및 그 역류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220A1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RU265750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59077B1 (ko) 볼체크밸브장치
JP5908760B2 (ja) 空気弁
JP6462314B2 (ja) 口金付き空気弁
US20120205562A1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US20120204391A1 (en) Valve seat removal socket
CN207776030U (zh) 一种进水量自动调节的限流阀
RU2012155147A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да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из клапанов текучей среды
CN203972210U (zh) 一种喷头安装座
CN202325281U (zh) 套管智能防盗器
KR100955798B1 (ko)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RU148838U1 (ru) Напол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сливного бачка с нижним подводом воды
JP2013238304A (ja) 弁装置
JP2022537221A (ja) 異なる密度の流体を分離して排出するための排出接続装置
CN203836477U (zh) 管道
CN210218780U (zh) 一种4寸气动快速排放阀
JP2016090019A (ja) 逆止弁付栓
JP6997572B2 (ja) 空気弁
KR20140064003A (ko) 씨 체스트의 잠금장치
JP5875289B2 (ja) 空気弁
CN210770475U (zh) 一种螺纹式安全阀
CN102078625A (zh) 一种中草药高温消毒罐
RU2362944C2 (ru) Конденсатоотводчик
KR200478073Y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