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798B1 -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98B1
KR100955798B1 KR1020090094817A KR20090094817A KR100955798B1 KR 100955798 B1 KR100955798 B1 KR 100955798B1 KR 1020090094817 A KR1020090094817 A KR 1020090094817A KR 20090094817 A KR20090094817 A KR 20090094817A KR 100955798 B1 KR100955798 B1 KR 10095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k
cavitation
guide
poro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09009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판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다공판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디스크를 충분히 개방할 때에는 다공판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상기 디스크가 적은 개도로 올라갈 때만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다공판이 이용되어 간단한 구조에 비해 캐비테이션을 확실한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제수밸브, 캐비테이션, 다공판, 디스크, 플랜지, 플레이트

Description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Cavitation Check for Sluice valve}
본 발명은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판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다공판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디스크를 충분히 개방할 때에는 다공판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상기 디스크가 적은 개도로 올라갈 때만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다공판이 이용되어 간단한 구조에 비해 캐비테이션을 확실한 방지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고압으로 흐르는 유체는 디스크로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에서 필연적으로 개도(開度) 영역을 달리하여 흐르게 되고, 특히 디스크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의 적은 개도 영역에서는 유속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하여 밸브 내의 수압이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지고, 이때, 유체가 증발하여 기체로 변하게 되어 기포가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기포로 인하여 소음, 진동이 발생할 뿐 아니라, 디스크 및 본체가 침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디스크 개방 시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증기압 이하로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공판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다공판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디스크를 충분히 개방할 때에는 다공판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가 적은 개도로 올라갈 때만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다공판이 이용되어 간단한 구조에 비해 캐비테이션을 확실한 방지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디스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몸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고정되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단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커버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연결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 스템과;
상기 고정 스템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디스크의 후면에 이격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측으로 이동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여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도록 몸체의 하측부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만을 제어하도록 반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반달 형태의 상부면은 양측에서 중앙부의 중심점(C)으로 160도 각도(θ)로 절곡되며, 일부 유체가 관통하여 이송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이송홀이 형성되는 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는 다공판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다공판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디스크를 충분히 개방할 때에는 다공판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가 적은 개도로 올라갈 때만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다공판이 이용되어 간단한 구조에 비해 캐비테이션을 확실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디스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몸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고정되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단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커버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연결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 스템과;
상기 고정 스템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디스크의 후면에 이격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가 상측으로 이동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여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도록 몸체의 하측부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만을 제어하도록 반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반달 형태의 상부면은 양측에서 중앙부의 중심점(C)으로 160도 각도(θ)로 절곡되며, 일부 유체가 관통하여 이송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이송홀이 형성되는 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캡이 장착된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C-C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는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유체이송관의 관로 상에 결합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디스크(30)와, 상기 디스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40)와, 상기 제수밸브(10)의 배출구에 고정되어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관체의 양단부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다른 유체이송관과 결합되고, 관체 중단에는 중공부를 갖는 안치부(21)가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치부에는 관체의 연통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이동된 디스크(30)가 안치되는 공간이며, 몸체의 관로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최소한 디스크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체의 관체를 개방할 시 디스크(30)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안치되는 디스크(30)는 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관체를 단속 또는 개방시키는 것이다. 즉, 디스크(30)는 스크류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관체의 유로를 막아 유체의 단속이 이루어지고, 이와반대로 상부로 이동되어 안치부(21)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유체를 흐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30)는 대개 일정두께를 갖는 원형판체로 형성되어 단속시 디스크의 외주면이 몸체의 관로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30)는 유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하는 몸체(20)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디스크(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대(31)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대(31)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유압에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40)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돌기(41)가 형성되어 외부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동일한 위치상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류(40)의 하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핸들을 결합할 수 있는 핸들결합부(42)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결합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40)가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디스크(30)는 상부 또는 하부로 하강되어 관체의 유체흐름을 개방시키거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안치부(21)의 상단은 스크류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개구되고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치대(211)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디스크(30)는 수압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에 가이드대(3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와 접하는 몸체(20) 내주면에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중심에는 스크류를 내설하기 위한 스크류삽입구(33)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삽입구의 내주면에는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에서 상기 디스크(30)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면을 일정한 탄성으로 갖는 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합성수지는 금속재질보다 마모가 더 빨리 발생됨으로, 상기 가이드대(31)가 가이드홈에서 상하이동됨에 따라 접하는 가이드대의 마모가 급속하게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모가 발생되는 부분인 가이드대에 수밀캡(32)을 착탈가능하 게 장착하여 마모에 의해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보수비용을 절감시킨 것이다.
이러한 수밀캡(32)은 가이드홈과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대(3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수밀캡(32)의 두께만큼 가이드대(31)의 두께를 축소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돌기와 홈에 의한 결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다공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6과 도 9의 다공판에 따른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미도시)는 디스크(30)가 상측으로 이동시, 몸체(20)의 내부에 머물고 있던 유체가 디스크(30)의 하단부인 좁은 틈새로 급속히 빠져나오는데, 이때,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현상(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이 현상을 방지하도록 다공판(50)과, 플랜지 커버(60)와, 고정 스템(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판(50)은 몸체(20)의 내부 즉, 디스크(30)의 후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30)가 상측으로 이동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여 종래에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다공판(50)은 도 6을 참고하여, 디스크(30)가 상측으로 이동시, 몸체(20)의 하측부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만을 제어하도록 반호 즉, 반달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2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공판(50)의 호 부위는 하측으로 구비되고, 다공판(50)의 평면부는 상측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평면부는 평면선상에서 중심점(C)을 기준으로 160도 각도(θ)로 절곡된다. 즉, 상기 평면부의 상측면 양끝단부가 상측으로 160도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V" 형태의 형상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판(50)의 평면부 각도(θ)가 100도(a) 및 120도(b)로 평면 선상보다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에서 기술된 다공판(5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의 다공판(50) 중 160도로 절곡된 다공판(50)이 유입된 유체가 다공판(50)을 쉽게 넘어가지 않아 캐비테이션 현상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판(50)의 일단면에는 유체의 흐름을 막으면서 일부 유체가 다공판(50)을 관통하여 이송되도록 다수개의 이송홀(51)이 형성되고, 이런 식으로 유체에 의해 캐비테이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홀(51)은 다공판(50)의 호 가장자리에만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송홀(51)이 상호 직렬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커버(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0)의 배출구(23)에 고정되는데,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배출구(23)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플랜지 커버(60)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홀(61)이 형성된 다.
또한, 상기 플랜지 커버(60)의 중앙홀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단턱(62)이 더 형성되어 고정 스템(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홀(6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 커버(60)가 몸체(20)의 배출구(23)에 고정되도록 상기 배출구(23)의 일측면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스템(7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판(50)과 플랜지 커버(60)를 연결해주는 축으로써, 일측은 플랜지 커버(60)의 연결홀(63)에 결합되고, 타측은 다공판(50)의 이송홀(51) 중 고정 스템(70)과 수평으로 위치되는 이송홀(51)에 결합되어 다공판(50)과 플랜지 커버(60)를 연결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밀캡이 장착된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C-C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다공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6과 도 9의 다공판에 따른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수밸브 20 : 몸체
30 : 디스크 40 : 스크류
50 : 다공판 60 : 플랜지 커버
70 : 고정 스템

Claims (2)

  1. 디스크(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몸체(20)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수밸브(10)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배출구(23)에 탈부착되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홀(61)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단턱(6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연결홀(63)이 형성되는 플랜지 커버(60)와;
    상기 플랜지 커버(60)의 연결홀(63)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 스템(70)과;
    상기 고정 스템(7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디스크(30)의 후면에 이격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30)가 상측으로 이동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여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도록 몸체(20)의 하측부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만을 제어하도록 반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반달 형태의 상부면은 양측에서 중앙부의 중심점(C)으로 160도 각도(θ)로 절곡되며, 일부 유체가 관통하여 이송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이송홀(51)이 형성되는 다공판(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수밸브(10)는 관로 사이에 플랜지(22)가 형성된 몸체(2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양측면에 가이드대(31)가 돌출된 디스크(30)가 스크류(40)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대(31)와 접하는 몸체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대(31)가 내입되고, 상기 가이드대(31)에는 마모에 의한 파손방지와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밀캡(32)이 더 장착되며, 상기 몸체(20)의 상부에는 상부로 이동된 디스크(30)가 내입되어 안치되는 안치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40)의 상부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돌기(41)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KR1020090094817A 2009-10-06 2009-10-06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KR10095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17A KR100955798B1 (ko) 2009-10-06 2009-10-06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17A KR100955798B1 (ko) 2009-10-06 2009-10-06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798B1 true KR100955798B1 (ko) 2010-05-06

Family

ID=422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17A KR100955798B1 (ko) 2009-10-06 2009-10-06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20B1 (ko) * 2010-11-03 2011-05-25 (주) 삼진정밀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CN102155545A (zh) * 2011-04-19 2011-08-17 青岛高压阀门有限公司 法兰闸阀
KR101356121B1 (ko) * 2013-06-18 2014-01-29 (주) 삼진정밀 소프트실 가동형 제수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371A (ja) 1998-02-13 1999-08-27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の制御プレート
KR200181660Y1 (ko) 1999-06-25 2000-05-15 윤정희 스트레이너가 부착된 제수밸브
JP2003097732A (ja) 2001-09-27 2003-04-03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
US7045102B2 (en) 2002-10-09 2006-05-16 Trojan Technologies Inc. Fluid treat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371A (ja) 1998-02-13 1999-08-27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の制御プレート
KR200181660Y1 (ko) 1999-06-25 2000-05-15 윤정희 스트레이너가 부착된 제수밸브
JP2003097732A (ja) 2001-09-27 2003-04-03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
US7045102B2 (en) 2002-10-09 2006-05-16 Trojan Technologies Inc. Fluid treat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20B1 (ko) * 2010-11-03 2011-05-25 (주) 삼진정밀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CN102155545A (zh) * 2011-04-19 2011-08-17 青岛高压阀门有限公司 法兰闸阀
KR101356121B1 (ko) * 2013-06-18 2014-01-29 (주) 삼진정밀 소프트실 가동형 제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628B2 (en) Anti-cavitation valve assembly
KR100955798B1 (ko)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RU2010136015A (ru) Клапанный узел
KR20080095282A (ko) 플로팅 실 부재를 갖는 개선된 급수전
KR101036820B1 (ko)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KR102039184B1 (ko) 체크밸브 장치
KR200432835Y1 (ko) 제수밸브
KR20130123615A (ko) 캐비테이션 방지 기능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KR102150372B1 (ko)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KR20090070553A (ko) 일정유량 조절밸브
US20170175922A1 (en) Self cleaning pilot actuated hydraulic valve
KR101198379B1 (ko) 액체 처리시설의 공기 공급장치
KR101201588B1 (ko)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KR20160081045A (ko)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KR100938145B1 (ko) 캐비테이션 방지용 버터플라이밸브
US20180016780A1 (en) Internal Trap Drain with Adjustable Height Strainer and High Mass Seal
KR101356121B1 (ko) 소프트실 가동형 제수밸브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KR101124915B1 (ko) 수도계량기용 역류방지 밸브
KR101770788B1 (ko) 디스크를 구비한 밸브
KR20200028682A (ko) 유동 유체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KR101774986B1 (ko) 유체 역류 방지 장치
KR200176872Y1 (ko) 제수밸브
JP2012077568A (ja) 逆流防止機能付き排水装置
KR100725781B1 (ko) 방류형 제트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