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72B1 -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72B1
KR102150372B1 KR1020190032173A KR20190032173A KR102150372B1 KR 102150372 B1 KR102150372 B1 KR 102150372B1 KR 1020190032173 A KR1020190032173 A KR 1020190032173A KR 20190032173 A KR20190032173 A KR 20190032173A KR 102150372 B1 KR102150372 B1 KR 10215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plate
fluid passage
movable
fixe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동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주)대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주기계 filed Critical (주)대주기계
Priority to KR102019003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27Throttle passages
    • F16L55/02709Throttle passages in the form of perforated plates
    • F16L55/02727Throttle passages in the form of perforated plates plac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27Throttle passages
    • F16L55/02772Throttle passages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이 마련되는 고정다공판; 관로의 내부에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관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이 마련되는 가동다공판; 고정다공판과 가동다공판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다공판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가동다공판과 고정다공판의 사이에 압력조절공간이 마련된 기술 구성을 통하여
관로의 유입측에서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압력이나 유량으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유체기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관로나 그밖의 유체 이송관련 부품의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PRESSURE STABILIZATION DEVICE USING DOUBLE POROUS PLATES}
본 발명은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었을 때에 그 변동량만큼 가동다공판이 고정다공판 쪽이나 그 반대쪽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압력조절공간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 변동을 가동다공판과 고정다공판 사이의 압력조절공간에서 안정화시켜 고정다공판의 제2유체통과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 내에서는 수격현상(Water Hammering), 강한 와류(Strong Vortex), 비정상유동( Unsteady Flow), 기타 현상들로 인하여 압력이나 유량이 크게 변동하는 일이 종종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유체기계 시스템의 성능 악화는 물론 피로 파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또는 유량 변동을 억제하고 유량이나 압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압력 안정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일차 유체 유동 통로를 마련하는 일차 장치, 일차 유동 통로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다수의 평행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세관 및 다수의 평행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세관에 평행한 제2세관을 각각 포함하는 제1안정기 유니트와 제2안정기 유니트 및 안정기 유니트들을 다른 상대 위치중의 선택된 하나의 위치에 고정하여 세관들을 통한 유체의 층류 유동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길이-EHR비를 갖도록 배열된 제1세관과 제2세관의 필요한 수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 장치로 구성되되, 안정기 유니트들은 다른 상대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위치에서 제1세관 및 제2세관의 특정 세관들은 정렬된 상태로서 유체 연통되며, 제1세관 및 제2세관의 다른 세관들은 정렬되지 않아 유체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유동 안정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89-0014353호 (1989년 10월 23일 공개)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유동 안정화 기술은 구성요소가 많아 제작이 번거롭고 내구성이 취약하여 제작비용이나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장기간 동안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안정화함에 있어서 한 쌍의 다공판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제어효과는 물론 장시간 운전에 대비한 내구성, 내부식성이 뛰어난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컴팩트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관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이 마련되는 고정다공판; 외주에 가이드의 나선형 이송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돌기가 마련되어 관로의 내부에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관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이 마련되는 가동다공판; 고정다공판과 가동다공판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다공판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한 쌍의 관로의 연결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플랜지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고정다공판이 설치되는 플랜지고정판; 플랜지고정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압축스프링과 가동고정판이 삽입 설치되고, 내주면에 가동다공판의 접속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나선형의 이송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가동다공판과 고정다공판의 사이에 압력조절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가동판 가이드의 유입측 단부에 설치되고, 가동다공판에 사전 탄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가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 및 가동다공판이 가이드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가동다공판의 외주에 가이드의 나선형 이송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돌기가 마련되고, 가이드의 내주면에 가동다공판의 접속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나선형의 이송가이드홈이 마련되어 가동다공판이 좌우이송과 회전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관로의 유체 통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가 설치되고, 가이드의 상단에 고정다공판이 설치되고, 가이드의 내부에 압축스프링과 가동다공판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고정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 전체의 단면적은 가동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 전체의 단면적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고정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하고, 가동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고정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 각각의 단면적은 가동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 각각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고정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2유체통과구멍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2유체통과구멍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2유체통과구멍이 방사형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는 가동다공판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1유체통과구멍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1유체통과구멍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 가동다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만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의하면, 관로의 유입측에서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압력이나 유량으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유체기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관로나 그밖의 유체 이송관련 부품의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의하면, 안정적으로 압력이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기술적 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에 의하면, 적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관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고장의 우려가 없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동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관로 설치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동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가동다공판의 예시도,
도 6은 동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고정다공판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를 글로우 밸브에 설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유량 안정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구성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고정다공판(110), 가동다공판(120),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한다.
고정다공판(110)은 관로(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으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112)이 마련된다.
가동다공판(120)은 관로(200)의 내부에 관로(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관로(20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으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122)이 마련된다.
압축스프링(130)은 고정다공판(110)과 가동다공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다공판(120)을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에서 압축스프링(130)이 설치되는 가동다공판(120)과 고정다공판(110)의 사이에는 압력조절공간(S)이 마련된다.
관로(200)의 유입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가동다공판(120)의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통과하여 압력조절공간(S)으로 진입한 후 고정다공판(110)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통과하여 관로(200)의 배출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었을 때에 가동다공판(120)의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통과시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가동다공판(120)을 가압시켜 고정다공판(110)과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또는 가동다공판(120)의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통과시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가동다공판(120)을 당켜 고정다공판(110)과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하면서 압력조절공간(S)의 체적이 변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조절공간(S)의 체적을 증/가감시키면서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을 줄여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시에는 압력이나 유량의 변동을 감소시켜 안정화시키도록 유동되도록 작용한다.
다시 설명하면, 가동다공판(120)의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였을 때에는 그 압력 증가분만큼 압축스프링(130)이 압축되면서 가동다공판(120)이 고정다공판(110)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압력조절공간(S)의 체적이 감소하게 되고, 가동다공판(12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였을 때에는 그 압력 감소분만큼 가동다공판(110)이 압축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고정다공판(1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압력조절공간(S)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가동다공판(120)이 고정다공판(110) 쪽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가동다공판(120)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동다공판(120)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다공판(120)의 제1유체통과구멍(121)의 위치가 변동되고, 그에 따라 압력조절공간(S)으로 진입하는 유체의 유동이 변동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에서 관로(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다공판(110)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의 위치는 변동하지 않게 되지만 좌우이동과정에서 회전하는 가동다공판(120)의 제1유체통과구멍(121)의 위치는 가동다공판(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통과하여 압력조절공간(S)의 진입한 후 제2유체통과구멍(111)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도 변동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관로(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었을 때에 그 변동량만큼 가동다공판(120)이 고정다공판(110) 쪽이나 그 반대쪽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압력조절공간(S)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유동을 변동시켜 고정다공판(110)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동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관로 설치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동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가동다공판 및 고정다공판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관로(2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다공판(110), 가동다공판(120),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하고, 플랜지고정판(140), 가이드(150), 스톱퍼(16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다공판(110)은 원판 형태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이 마련되고, 이때 제2유체통과구멍(111)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도 6의 (a) 내지 (f)에 도시된 형태나 그밖의 예측 가능한 개수 및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다공판(110)은 관로(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으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112)이 마련된다.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2유체통과구멍(111)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2유체통과구멍(112)이 방사형으로 위치된다.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다공판(110)과 가동다공판(120)의 사이에 마련된 압력조절공간(S)에서 압력이나 유량이 안정화된 후,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을 통화시 유체가 통과할 때 고정다공판(110)에서 관로의 단면에서 가능한 균등한 량의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체통과시 관로의 단면에서 불균일성이 높아지면 회오리가 발생하거나 유체속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관로단면 전체적으로 압력 또는 유량의 변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제2유체통과구멍(111,112)을 중앙과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다공판(120)은 원판 형태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122)이 마련되고, 이때 제1유체통과구멍(121,122)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도 5의 (a) 내지 (h)에 도시된 형태나 그밖의 예측 가능한 개수 및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가동다공판(120)은 관로(200)의 내부에 관로(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관로(20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으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122)이 마련된다.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1유체통과구멍(121)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2유체통과구멍(122)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 가동다공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121) 없이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22)만 방사형으로 위치된다.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21, 122)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1유체통과구멍(121)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2유체통과구멍(122)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 가동다공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121) 없이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22)만 방사형으로 위치한 것은 관로에 흐르는 유체가 가능한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21, 122)을 통과할 때 균등한 유량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전체의 단면적 합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전체의 단면적 합에 비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들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각각의 단면적들에 비하여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전체의 단면적 합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전체의 단면적 합에 비하여 크게하고,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들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각각의 단면적들에 비하여 같거나 크게 하는 것은 가동다공판(120)과 고정다공판(110)의 사이에 마련된 압력조절공간(S)에서 유체의 압력 또는 유량을 안정화시킨 후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의 면적이 넓어야 유체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동다공판(120)의 외주에는 가이드(150)의 나선형 이송가이드홈(151)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돌기(123)가 마련된다.
압축스프링(130)은 고정다공판(110)과 가동다공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다공판(120)을 탄성 지지한다.
플랜지고정판(140)는 중앙부에 고정다공판(11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한 쌍의 관로(200)의 연결플랜지(240) 사이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플랜지(240)에 고정된다.
가이드(150)는 가동다공판(120)의 이송 및 회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플랜지고정판(14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가이드(150)는 원형관의 형태이고, 내주면에 가동다공판(120)의 접속돌기(123)가 삽입되는 다수의 나선형의 이송가이드홈(151)이 마련된다.
스톱퍼(160)는 가동다공판(120)에 사전 탄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가이드(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30) 및 가동다공판(120)이 가이드(15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가동판 가이드(150)의 유입측 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로(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었을 때에 그 변동량만큼 가동다공판(120)이 고정다공판(110) 쪽이나 그 반대쪽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압력조절공간(S)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유동을 변동시켜 고정다공판(110)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를 글로우 밸브에 설치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유체 통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150)를 설치하고, 가이드(150)의 상단에 고정다공판(110)를 설치하고, 가이드(150)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40)과 가동다공판(120)를 삽입 설치한 형태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도 관로에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체가 수직방향의 가이드(150)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가동다공판(120)이 승강 및 회전하면서 가이드(150)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유동을 변동시켜 고정다공판(110)의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통해 수직 배출된 후 다시 수평방향으로 유도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는 적은 수의 구성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 변동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의 유량 안정화 그래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관로(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불안정한 압력이나 유량을 안정화시킨 후 일정한 압력이나 속도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유체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110 : 고정다공판
111 : 제2유체통과구멍
120 : 가동다공판
121 : 제1유체통과구멍
130 : 압축스프링
140 : 플랜지고정판
150 : 가이드
160 : 스톱퍼

Claims (9)

  1. 관로(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112)이 마련되는 고정다공판(110);
    외주에 가이드(150)의 나선형 이송가이드홈(151)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돌기(123)가 마련되어 관로(200)의 내부에 관로(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관로(20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122)이 마련되는 가동다공판(120);
    고정다공판(110)과 가동다공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다공판(120)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30);
    한 쌍의 관로(200)의 연결플랜지(240) 사이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플랜지(240)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고정다공판(110)이 설치되는 플랜지고정판(140);
    플랜지고정판(14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압축스프링(130)과 가동고정판(120)이 삽입 설치되고, 내주면에 가동다공판(120)의 접속돌기(123)가 삽입되는 다수의 나선형의 이송가이드홈(151)이 마련되는 가이드(150);를 포함하고,
    압축스프링(130)이 설치되는 가동다공판(120)과 고정다공판(110)의 사이에 압력조절공간(S)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150)의 유입측 단부에 설치되고, 가동다공판(120)에 사전 탄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가이드(1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30) 및 가동다공판(120)이 가이드(15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관로(200)의 유체 통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150)가 설치되고, 가이드(150)의 상단에 고정다공판(110)이 설치되고, 가이드(150)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40)과 가동다공판(120)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전체의 단면적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전체의 단면적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하고,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각각의 단면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 각각의 단면적은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 각각의 단면적에 비하여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고정다공판(110)에 마련된 다수의 제2유체통과구멍(111, 112)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2유체통과구멍(111)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2유체통과구멍(111)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2유체통과구멍(112)이 방사형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가동다공판(120)에 마련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1, 122)의 배치는 정중앙에 제1유체통과구멍(111)이 위치하고, 상기 정중앙에 위치한 제1유체통과구멍(121)을 중심으로 나머지 제1유체통과구멍(122)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 가동다공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의 제1유체통과구멍(122)만이 방사형으로 위치되거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KR1020190032173A 2019-03-21 2019-03-21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KR10215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173A KR102150372B1 (ko) 2019-03-21 2019-03-21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173A KR102150372B1 (ko) 2019-03-21 2019-03-21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72B1 true KR102150372B1 (ko) 2020-09-01

Family

ID=7245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173A KR102150372B1 (ko) 2019-03-21 2019-03-21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371A (zh) * 2020-11-26 2021-03-09 燕山大学 单谐振式半球形多孔流体脉动衰减器及消振方法
CN113339256A (zh) * 2021-07-05 2021-09-0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减振结构、压缩机和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353A (ko) 1988-03-14 1989-10-23 마이클 제이.도일 유체 유동 안정화 장치
JPH0650527A (ja) * 1992-07-30 1994-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多段減圧装置
KR101388175B1 (ko) * 2013-08-19 2014-04-22 알피엠컨트롤 주식회사 긴급 구동기가 구비된 수충격 방지 유체밸브
JP5616481B1 (ja) * 2013-05-13 2014-10-2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圧力緩衝装置、その圧力緩衝装置を備えた蓄熱燃焼式排ガス処理装置
KR20160033765A (ko) * 2013-10-31 2016-03-2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다단 감압 장치 및 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353A (ko) 1988-03-14 1989-10-23 마이클 제이.도일 유체 유동 안정화 장치
JPH0650527A (ja) * 1992-07-30 1994-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多段減圧装置
JP5616481B1 (ja) * 2013-05-13 2014-10-2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圧力緩衝装置、その圧力緩衝装置を備えた蓄熱燃焼式排ガス処理装置
KR101388175B1 (ko) * 2013-08-19 2014-04-22 알피엠컨트롤 주식회사 긴급 구동기가 구비된 수충격 방지 유체밸브
KR20160033765A (ko) * 2013-10-31 2016-03-28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다단 감압 장치 및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371A (zh) * 2020-11-26 2021-03-09 燕山大学 单谐振式半球形多孔流体脉动衰减器及消振方法
CN113339256A (zh) * 2021-07-05 2021-09-0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减振结构、压缩机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1799C2 (ru) Клетка клапана, не содержащая мертвых зон между участками шумоподавления и высок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потока
KR102150372B1 (ko) 이중 다공판을 이용한 압력 안정화 장치
US8245727B2 (en)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use
KR102376662B1 (ko) 유체 유동 제어 장치 및 시스템과 이들을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는 방법
WO2021025742A3 (en) Flow conditioning assembly
JP2017089656A (ja) 吸気音低減装置
JP2019184062A (ja) コントロールバタフライバルブ
RU2296261C2 (ru) Проходной клетковый клапан
RU2650010C2 (ru) Корпус клапан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нижней полостью потока
JP2015021609A (ja) 制御バルブ
US9856893B2 (en) Erosion-resistant fluid pressure reduction device
CN103711964A (zh) 自对准阀塞
KR101374921B1 (ko) 정 유량 조절장치
US9051724B2 (en) Flow regulating device
KR100955798B1 (ko)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KR102548465B1 (ko) 소음기 결합형 댐퍼
RU2505734C2 (ru) Гаситель пульсаций давления в газопроводе
RU2622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шения пульсаций давления в линиях редуцирования газа
KR101861291B1 (ko) 동적 진동 저감형 단일유로펌프 및 이의 설계방법
JP2021076159A5 (ko)
CN105650389B (zh) 一种供气均衡的分压气缸
KR101861288B1 (ko) 진동 저감형 단일유로펌프 및 이의 설계방법
KR200452269Y1 (ko) 압력레귤레이터
JP2019196785A (ja) 旋回流調整装置
KR20180011576A (ko) 캐비테이션과 워터해머링 방지를 위한 유체유동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컨트롤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