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045A -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 Google Patents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045A
KR20160081045A KR1020140194226A KR20140194226A KR20160081045A KR 20160081045 A KR20160081045 A KR 20160081045A KR 1020140194226 A KR1020140194226 A KR 1020140194226A KR 20140194226 A KR20140194226 A KR 20140194226A KR 20160081045 A KR20160081045 A KR 20160081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mber
opening
lower opening
gate valv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성정현
안교진
황영준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045A/ko
Publication of KR2016008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2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 F15D1/003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surface features, e.g. indentations or protru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단순한 내부구성을 가지면서 개방 초기에 유체의 흐름을 일부만 허용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유랑의 증가로 인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서로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는 상부 개폐부재 및 하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돌부와 요부가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돌부와 요부 간 틈새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을 먼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GATE VALVE FOR PREVENTING OF CAVITATION AND VIBRATION}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내부구성을 가지면서 개방 초기에 유체의 흐름을 일부만 허용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유랑의 증가로 인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으로 흐르는 유체는 디스크로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에서 필연적으로 개도(開度) 영역을 달리하여 흐르게 되고, 특히 디스크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할 때의 적은 개도 영역에서는 유속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하여 밸브 내의 수압이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지고, 이때, 유체가 증발하여 기체로 변하게 되어 기포가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기포로 인하여 소음, 진동이 발생할 뿐 아니라, 디스크 및 본체가 침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디스크 개방시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증기압 이하로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37920호에는 캐비테이션 방지용 버터플라이밸브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캐비테이션 방지용 버터플라이밸브(100)는, 관과 관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크(20)의 회동에 의해 몸체(10)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버터플라이밸브로서, 몸체(10)의 출구 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원통형으로 양끝단부에 플레이트(31)가 형성되는 이음관(30)과, 이음관(30)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에는 관과 연결되도록 플랜지(41)가 형성되어 관의 진동 및 신축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신축관(40)과, 신축관(40)의 내주연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20)의 개방시, 급속히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여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중앙부에 마름모 형태의 관통홀(51)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홀(51)이 상호 직각으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다공판(50)과, 신축관(4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이음관(30)과 신축관(40) 사이를 통해 유체 및 이물질이 유입/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고무 실링(60)과, 신축관(40)의 외주연에 구비되면서 고무 실링(60)의 후방 측을 지지하여 상기 고무 실링(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주연에 이음관(30)의 플레이트(31)와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플레이트(71)가 형성되는 지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수개의 다공판(50)은 볼트, 너트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마름모 형태의 관통홀(51)의 장축길이가 다공판(50)의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1) 이외의 일단면에는 유속을 제어한 유체가 이송되도록 다수개의 이송홀(52)이 형성되며, 고무 실링(60)과 접촉되는 이음관(30)의 끝단부는 고무 실링(60)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틈새를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무 실링(60)도 이음관(30)과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버터플라이밸브의 경우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개체로 이루어진 다공판(50)들을 다수 배치하는 구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밸브 몸체의 내부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밸브 내부 구성은 단순히 하면서도 캐비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밸브가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37920호(2011.05.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내부구성을 가지면서 개방 초기에 유체의 흐름을 일부만 허용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유량의 증가로 인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서로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는 상부 개폐부재 및 하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돌부와 요부가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돌부와 요부 간 틈새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을 먼저 허용하여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이 돌출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이 요입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게이트 밸브는,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서로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는 상부 개폐부재 및 하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는 사각기둥형 돌부와 홈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 각각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을 먼저 허용하여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밸브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부 수나사와 하부 수나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스핀들축이 구비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개폐부재는 상승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는 하강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벌리고, 상기 스핀들축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개폐부재는 하강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는 상승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개방 초기에 유체의 흐름을 일부만 허용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유랑의 증가로 인한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마주하고 있는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는 서로 마주하여 상하로 변위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와,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가 위치하는 챔버(130a)를 구비하는 밸브본체(130)와,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를 변위시켜주는 스핀들축(140)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에 서로 교합되도록 돌부(111,121)와 요부(112,122)가 형성된 독특한 프로파일 형상에 의해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돌부(111,121)와 요부(112,122) 간 틈새로 유체 일부에 대해서만 먼저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갑작스럽게 유량이 증가하면서 흔히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및 이에 따른 진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본체(130)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배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챔버(130a)를 구비하여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2와 도 3의 단면도는 유로보다 넓게 형성된 챔버(130a)를 중심으로 밸브본체(130)를 절단한 모습으로 도 2와 같이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가 이격을 좁혀 서로 간에 마주접한 상태가 되면 챔버(130a)를 전후하여 형성된 유로는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는, 상기 밸브본체(130)의 챔버(130a)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이들 서로 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에는 각각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수나사와 하부 수나사를 구비하고 있는 스핀들축(140)에 의해 관통되어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는 상부 수나사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는 하부 수나사에 결합되어 된다.
이같은 상부 개폐부재(110) 및 하부 개폐부재(120)의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돌부(111,121)와 요부(112,122)가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같은 돌부(111,121)와 요부(112,122)의 자세한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하부 개폐부재(1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부 개폐부재(110)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하부 개폐부재(1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돌부(111,121)와 요부(112,122) 간 틈새로 유체의 일부만 흐름이 허용되면서 갑작스러운 유량의 증가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핀들축(140)은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켜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핀들축(140)은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밸브본체(130)의 챔버(130a)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15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축(140)의 상당부에는 핸들(145)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직접 핸들(145)을 돌리면서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를 변위시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단,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상기 밸브본체(130) 상부에 설치하고 모터 동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축(14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를 동작시키는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축(140)에는 상부 수나사와 하부 수나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나사에는 상부 개폐부재(110)가 나사결합되고, 하부 수나사에는 하부 개폐부재(120)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스핀들축(140)의 일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는 상승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는 하강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벌리게 되고, 상기 스핀들축(140)의 타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는 하강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는 상승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좁히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의 마주하는 하면 및 상면의 프로파일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아래에서는 이같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이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에서 돌출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이 굴곡진 곡면으로 형성되면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었던 변형 전과 비교하여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를 따라 유체가 이동하는 구간이 길어지면서 유체의 흐름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가 벌어지기 시작하는 초기에 단지 소량의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신속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테이션 발생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이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에서 요입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변형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를 따라 유체가 이동하는 구간이 길어지면서 유체의 흐름속도는 증가하게 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가 벌어지기 시작하는 초기에 단지 소량의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신속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테이션 발생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하부 개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밸브에서 마주하고 있는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110)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120)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는 사각기둥형 돌부와 홈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 각각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11a,1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단, 도 10에는 하부 개폐부재(120)만 도시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부터 상부 개폐부재(110)와 하부 개폐부재(120)의 이격이 중간 정도 벌어지는 시점까지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에 형성된 통공(111a,121a)으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만을 허용하게 되어 캐비테이션 및 이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상부 개폐부재 111, 121 : 돌부
112, 122 : 요부 120 : 하부 개폐부재
130 : 밸브본체 140 : 스핀들축

Claims (5)

  1.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배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게이트 밸브에 있어서,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서로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는 상부 개폐부재 및 하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돌부와 요부가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돌부와 요부 간 틈새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을 먼저 허용하여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이 돌출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중간 지점이 요입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4. 유로와 연통되는 챔버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서로간의 이격이 벌어지면 유로를 개방하고 서로 간에 모아져서 이격을 없애면 유로를 폐쇄하는 상부 개폐부재 및 하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개폐부재의 하면과 하부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여 교합되는 사각기둥형 돌부와 홈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 각각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의 이격이 벌어지는 초기에 상기 사각기둥형 돌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유체 일부에 대한 흐름을 먼저 허용하여 캐비테이션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밸브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부 수나사와 하부 수나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스핀들축이 구비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개폐부재는 상승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는 하강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벌리고, 상기 스핀들축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개폐부재는 하강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는 상승하여 양자 간에 이격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KR1020140194226A 2014-12-30 2014-12-30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KR20160081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26A KR20160081045A (ko) 2014-12-30 2014-12-30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26A KR20160081045A (ko) 2014-12-30 2014-12-30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045A true KR20160081045A (ko) 2016-07-08

Family

ID=5650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226A KR20160081045A (ko) 2014-12-30 2014-12-30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0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226B1 (ko) 2017-11-23 2019-05-14 하이드로텍(주) 시퀀스 밸브의 유체충격 완화장치
US11035476B2 (en) 2019-06-20 2021-06-15 Slurryflo Valve Corporation Gate valve
US11402026B2 (en) 2019-06-19 2022-08-02 Slurryflo Valve Corporation Flow centralizer for valve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20B1 (ko) 2010-11-03 2011-05-31 (주) 삼진정밀 캐비테이션 방지용 버터플라이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20B1 (ko) 2010-11-03 2011-05-31 (주) 삼진정밀 캐비테이션 방지용 버터플라이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226B1 (ko) 2017-11-23 2019-05-14 하이드로텍(주) 시퀀스 밸브의 유체충격 완화장치
US11402026B2 (en) 2019-06-19 2022-08-02 Slurryflo Valve Corporation Flow centralizer for valve assembly
US11035476B2 (en) 2019-06-20 2021-06-15 Slurryflo Valve Corporation Gate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8271C2 (ru) Клапан
US7815170B2 (en) Valve assembly having a reinforced valve seat
KR20160081045A (ko)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EP3596369B1 (en) Valve with integral balancing passage
CN205155188U (zh) 滑动门调节器
CN101389890B (zh) 阀,尤其加热器阀和这种阀的插入件
CN106481821B (zh) 用于阀的自定心金属对金属密封
RU2675646C1 (ru) Клапан с низки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трения
KR101316000B1 (ko) 나이프게이트 밸브의 나이프 디스크 밀착구
CN103062416A (zh) 单座软密封阀装置
RU176507U1 (ru) Клиновая задвижка с цилиндрическими направляющими запорного органа
KR20140083576A (ko) 밸브
KR101265704B1 (ko) 가변 밀폐기능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KR20170086866A (ko) 감압밸브
RU2464470C2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ая задвижка
KR20200028682A (ko) 유동 유체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RU167378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US1681233A (en) Valve
RU2773025C1 (ru) Дисковый прямоточный затвор
RU2812156C1 (ru) Клиновая задвижка
KR200254445Y1 (ko) 스팀트랩 내의 잔류응축수 배출장치
RU2726918C1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зки в трубопровод под давлением
KR101880639B1 (ko) 스마트 제어밸브 구동기
KR20100009088U (ko) 다이아프램 밸브
CN106224571A (zh) 分体角式金属硬密封截止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