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76A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576A
KR20140083576A KR1020120153485A KR20120153485A KR20140083576A KR 20140083576 A KR20140083576 A KR 20140083576A KR 1020120153485 A KR1020120153485 A KR 1020120153485A KR 20120153485 A KR20120153485 A KR 20120153485A KR 20140083576 A KR20140083576 A KR 20140083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working space
fluid
disk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수
Original Assignee
대신종합가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종합가스(주) filed Critical 대신종합가스(주)
Priority to KR102012015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576A/ko
Publication of KR2014008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입구(111),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출구(113) 및 유체입구(111)와 유체출구(113) 사이에 구비되고 홀(119)이 형성된 작동공간(115)을 포함하는 제1 바디(110), 홀(119)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폐하는 구동축(120), 홀(119)에 결합되고, 구동축(1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바디(130), 제2 바디(130)로부터 구동축(120)을 둘러싸도록 작동공간(115)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43)와 제1 연장부(143)로부터 구동축(120)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45)를 포함하는 연장부(140), 및 구동축(120)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축(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하면, 제2 바디(130)와 접촉하여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의 사이를 밀봉하고,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하면, 제2 연장부(145)와 접촉하여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의 사이를 밀봉하는 상부디스크(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유체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해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동 기구를 의미한다.
밸브는 BC 3000년경 에게문명에서 목재 코크를 사용한 것이 시초이며, 이후 BC 25년경 가브리 섬(Carvri Island)의 시벨리우스 팰리스(Sibelius Palace)에서 수도관에 청동제 코크를 사용하였고, AD 12년경 로마해군의 군함에서 식수탱크의 청동제 코크를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문명의 초기에는 파이프의 재료로 흙, 돌, 나무, 가죽 등이 사용되었고, 청동기 시대부터는 다루기 쉬운 납이나 구리 등이 주된 재료가 사용되었다. 16세기 영국의 월킨스가 연관을 대량을 생산할 수 있는 조관기를 발명함으로써, 파이프와 밸브가 대량 사용되는 시대를 맞이하였다.
한편, 밸브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밸브(Gate Valve)와 글로브 밸브(Glove Valve)는 파이프의 단면적을 줄이거나 넓히는 방식으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해제한다. 또한, 체크 밸브(Check Valve)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안전 밸브(Safety Valve)는 최고 압력을 한정하는 밸브로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유체를 배출시켜 기기나 배관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는 회로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유체의 일부 또는 전량을 배출하여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 압력 이하로 유지한다.
하기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는 샤프트(30)와 보닛(20) 사이의 밀봉을 그랜드 패킹(80)만으로 유지하는 구조이므로, 유체가 샤프트(30)를 따라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그랜드 패킹(80)이 그 기능을 상실하여도, 유체가 흐르는 도중에는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KR 10-2009-004944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부디스크를 구비함으로써, 개폐여부와 관계없이 구동축을 따라 유체가 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입구,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출구 및 상기 유체입구와 유체출구 사이에 구비되고 홀이 형성된 작동공간을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홀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폐하는 구동축, 상기 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도록 상기 작동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구동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상기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바디의 사이를 밀봉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제2 연장부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연장부의 사이를 밀봉하는 상부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홀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하측에는 상부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상부디스크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는 하부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부디스크는 상기 하부시트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는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서 좁고, 상기 상부시트는 내주면이 상기 상부디스크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에는 보조 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디스크는 상기 보조 패킹과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이 삽입된 개구부가 구비된 보닛,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구비된 그랜드 패킹, 상기 그랜드 패킹의 상측에 구비된 그랜드, 및 상기 그랜드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닛과 결합된 그랜드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부디스크를 구비함으로써, 밸브의 개폐여부와 관계없이 구동축을 따라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디스크가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체가 흐르는 도중에도, 그랜드 패킹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입구(111),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출구(113) 및 유체입구(111)와 유체출구(113) 사이에 구비되고 홀(119)이 형성된 작동공간(115)을 포함하는 제1 바디(110), 홀(119)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폐하는 구동축(120), 홀(119)에 결합되고, 구동축(1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바디(130), 제2 바디(130)로부터 구동축(120)을 둘러싸도록 작동공간(115)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43)와 제1 연장부(143)로부터 구동축(120)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45)를 포함하는 연장부(140), 및 구동축(120)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축(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하면, 제2 바디(130)와 접촉하여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의 사이를 밀봉하고,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하면, 제2 연장부(145)와 접촉하여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의 사이를 밀봉하는 상부디스크(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110)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바디(11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입구(111),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출구(113), 및 유체입구(111)와 유체출구(113) 사이에 구비된 작동공간(1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작동공간(115)은 상측에 홀(119)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119)을 통해서 구동축(1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작동공간(115)은 구동축(120)의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123)에 의해서 개방되거나(도 1 참조) 폐쇄되고(도 2 참조), 그에 따라 제1 바디(110)에 흐르는 유체를 통과시키거나(도 1 참조) 차단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작동공간(115) 중 하부디스크(123)와 접촉하는 영역에는 하부시트(117)가 형성되고, 하부디스크(123)는 하부시트(117)와 접촉하면서 작동공간(115)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시트(117)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디스크(123)와 밀착되어 밀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프트 시트(Soft Seat) 또는 메탈 시트(Metal Seat)일 수 있다.
상기 구동축(120)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1 바디(110)의 작동공간(115)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바디(13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여기서, 구동축(120)은 제1 바디(110)의 홀(119)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폐한다. 즉, 구동측이 상측으로 이동하면(도 1 참조), 하부디스크(123)가 하부시트(117)와 이격되어 작동공간(115)을 개방하고,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도 2 참조), 하부디스크(123)가 하부시트(117)와 접촉하여 작동공간(115)을 폐쇄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디스크(123)는 록너트(125, Lock Nut)로 구동축(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20)은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127)이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선(127)이 요크(138, Yoke)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120)의 상단에 구비된 핸들(129)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축(1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30)는 구동축(120)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바디(110)의 홀(119) 상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바디(130)는 보닛(131, Bonnet), 그랜드 패킹(134, Grand Packing), 그랜드(135, Grand), 그랜드 플랜지(136, Grand Flange), 및 요크(13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닛(131)은 볼트 등의 제1 결합수단(132)으로 제1 바디(110)의 홀(119)과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구동축(120)이 삽입되는 개구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랜드 패킹(134)은 구동축(120)의 외주면과 개구부(133)의 내주면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축(120)과 보닛(131) 사이를 밀봉한다. 이때, 그랜드 패킹(134)은 그랜드 패킹(134)의 상측에 구비된 그랜드(135)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랜드(135)는 그랜드(135)의 상측에 구비된 그랜드 플랜지(136)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그랜드 플랜지(136)는 힌지 볼트 등의 제2 결합수단(137)으로 보닛(131)과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랜드 플랜지(136)의 상측에는 요크(138)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요크(138)는 구동축(120)의 나사선(127)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0)는 상부디스크(150)와 함께 유체가 밸브(100)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바디(130)로부터 작동공간(115)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40)는 제2 바디(130)(예를 들어, 보닛(131))로부터 구동축(120)을 둘러싸도록 작동공간(115)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43) 및 제1 연장부(143)로부터 구동축(120)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45)를 포함한다. 즉, 연장부(140)는 제2 바디(1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다가(제1 연장부(143)), 수직으로 절곡되어 구동축(120) 방향으로 연장되는(제2 연장부(145)) 것으로, 단면을 기준으로 구동축(120)의 양측에 마주보는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43)는 상부디스크(1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축(120)으로부터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또한,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할 때(도 2 참조), 제2 연장부(145)는 상부디스크(150)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2 연장부(145)와 상부디스크(150)가 접촉하면,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체가 구동축(120)을 따라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연장부(145)의 상측에는 보조 패킹(14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하면, 상부디스크(150)는 보조 패킹(147)과 접촉함으로써,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 사이의 밀봉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디스크(15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53)는 보조 패킹(147)과 접촉함으로써,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도록, 돌출부(153)는 상부디스크(150)를 따라 폐루프(Close Loop)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디스크(150)는 구동축(120)을 따라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축(120)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디스크(150)는 연장부(14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하면(도 1 참조), 상부디스크(150)는 제2 바디(130)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디스크(150)는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하면(도 2 참조), 상부디스크(150)는 제2 연장부(145)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디스크(150)는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즉,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할 때(도 1a 참조), 상부디스크(150)는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의 사이를 밀봉하고(도 1b 참조),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폐쇄할 때(도 2a 참조), 상부디스크(150)는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다(도 2b 참조). 따라서, 상부디스크(150)는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하는 경우나 폐쇄하는 경우 모두 구동축(120)을 따라 유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그랜드 패킹에만 의존하여 밀봉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그랜드 패킹(134) 이외에 상부디스크(150)로 추가적으로 밀봉하므로, 밀봉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게다가,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하여 제1 바디(110)를 통해서 유체가 흐르는 도중에도(도 1 참조), 상부디스크(150)가 제2 바디(130)와 접촉하여, 유체가 새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그랜드 패킹(134)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바디(130)의 하측 중, 홀(119)과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부시트(13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시트(139)는 하부디스크(123)가 작동공간(115)을 개방할 때(도 1 참조), 상부디스크(150)와 접촉하면서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의 사이를 밀봉한다. 이때, 상부시트(139)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디스크(150)와 밀착되어 밀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시트(117)와 유사하게 소프트 시트(Soft Seat) 또는 메탈 시트(Metal Seat)일 수 있다. 또한, 상부디스크(150)의 외주면은 경사지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서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시트(139)의 내주면 역시 상부디스크(15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디스크(150)의 외주면과 상부시트(139)의 내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면, 상부디스크(150)와 상부시트(139)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 사이의 밀봉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100)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9)을 회전하여 구동축(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디스크(123)는 하부시트(117)와 이격된다. 따라서, 작동공간(115)은 개방되고, 제1 바디(110)의 유체입구(111)로 유입된 유체는 작동공간(115)을 통과한 후, 제1 바디(110)의 유체출구(113)로 유출되면서 흐른다. 이와 동시에, 상부디스크(150)는 제2 바디(130)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시트(139)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디스크(150)에 의해서 구동축(120)과 제2 바디(130) 사이는 밀봉된다. 결국, 제1 바디(110)의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는 상부디스크(150)에 의해서 차단되어, 구동축(120)을 따라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디스크(150)에 의해서 유체가 차단되므로, 제1 바디(110)를 통해서 유체가 흐르는 도중에도, 그랜드 패킹(134)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9)을 회전하여 구동축(12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디스크(123)는 하부시트(117)와 접촉한다. 따라서, 작동공간(115)은 폐쇄되고, 제1 바디(110)의 유체입구(111)로 유입된 유체는 하부디스크(123)에 의해서 흐름이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디스크(150)는 제2 연장부(145)의 상측에 형성된 보조 패킹(147)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디스크(150)에 의해서 구동축(120)과 제2 연장부(145) 사이는 밀봉된다. 결국, 하부디스크(123)의 상측에 존재하는 유체는 상부디스크(150)에 의해서 차단되어, 구동축(120)을 따라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밸브 110: 제1 바디
111: 유체입구 113: 유체출구
115: 작동공간 117: 하부시트
119: 홀 120: 구동축
123: 하부디스크 125: 록너트
127: 나사선 129: 핸들
130: 제2 바디 131: 보닛
132: 제1 결합수단 133: 개구부
134: 그랜드 패킹 135: 그랜드
136: 그랜드 플랜지 137: 제2 결합수단
138: 요크 139: 상부시트
140: 연장부 143: 제1 연장부
145: 제2 연장부 147: 보조 패킹
150: 상부디스크 153: 돌출부

Claims (7)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입구,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출구 및 상기 유체입구와 유체출구 사이에 구비되고 홀이 형성된 작동공간을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홀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말단에 구비된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폐하는 구동축;
    상기 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도록 상기 작동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구동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상기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제2 바디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바디의 사이를 밀봉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제2 연장부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연장부의 사이를 밀봉하는 상부디스크;
    를 포함하는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의 하측에는 상부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상부디스크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촉하는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는 하부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부디스크는 상기 하부시트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는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는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서 좁고,
    상기 상부시트는 내주면이 상기 상부디스크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측에는 보조 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디스크가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디스크는 상기 보조 패킹과 접촉하는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이 삽입된 개구부가 구비된 보닛;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구비된 그랜드 패킹;
    상기 그랜드 패킹의 상측에 구비된 그랜드; 및
    상기 그랜드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닛과 결합된 그랜드 플랜지;
    를 포함하는 밸브.
KR1020120153485A 2012-12-26 2012-12-26 밸브 KR20140083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85A KR20140083576A (ko) 2012-12-26 2012-12-26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85A KR20140083576A (ko) 2012-12-26 2012-12-26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576A true KR20140083576A (ko) 2014-07-04

Family

ID=5173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85A KR20140083576A (ko) 2012-12-26 2012-12-26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5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24B1 (ko) * 2017-07-19 2018-09-05 피케이밸브 주식회사 글로브밸브
KR102181092B1 (ko) * 2020-03-20 2020-11-20 고기창 밸브의 누설 차단장치
KR102623613B1 (ko) * 2023-08-30 2024-01-10 한국밸브(주) 개방압력을 낮춘 글로브 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24B1 (ko) * 2017-07-19 2018-09-05 피케이밸브 주식회사 글로브밸브
KR102181092B1 (ko) * 2020-03-20 2020-11-20 고기창 밸브의 누설 차단장치
WO2021187692A1 (ko) * 2020-03-20 2021-09-23 고기창 밸브의 누설 차단장치
CN115298467A (zh) * 2020-03-20 2022-11-04 高基昌 阀的泄漏阻断装置
US11754198B2 (en) 2020-03-20 2023-09-12 Ki Chang KO Leakage blocking device of a valve
KR102623613B1 (ko) * 2023-08-30 2024-01-10 한국밸브(주) 개방압력을 낮춘 글로브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170B2 (en) Valve assembly having a reinforced valve seat
CN102498321B (zh) 止回阀
MX2007011439A (es) Dispositivo de control para el flujo de fluido.
CN101018917A (zh) 防回流装置
KR20140083576A (ko) 밸브
CN204372242U (zh) 一种缓闭消锤衬氟立式止回阀
KR101752620B1 (ko) 부단수 차단 공법용 바이패스 게이트 장치
US613041A (en) Valve or faucet
CN105927767B (zh) 一种低阻力倒流防止器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CN105003668A (zh) 一种易操作的防内泄蝶阀
KR101513088B1 (ko) 이단 플러그 구조의 극저온 초고압가스의 제어밸브
US10359119B2 (en) High pressure valve
CN205715844U (zh) 一种倒流防止器的补气装置
CN205896214U (zh) 一种具有泄压功能的截止阀
RU2010103377A (ru) Способ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в трубопроводе элемента для прокачки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3628011U (zh) 防外漏自密封阀门
KR101030112B1 (ko) 방류형 수문
JP6529453B2 (ja) 封止式仕切弁
CN203421197U (zh) 暗杆式管道开封堵专用阀
RU2516086C2 (ru) Запорный клапан
JP2002227253A (ja) 弁座を有する非圧縮型水抜栓の弁構造
US20110240156A1 (en) Double Block and Bleed Sandwich-Type Valve
KR20200028682A (ko) 유동 유체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KR200355558Y1 (ko) 백 시이트부 내장형 제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