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88B1 -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588B1
KR101201588B1 KR1020110017618A KR20110017618A KR101201588B1 KR 101201588 B1 KR101201588 B1 KR 101201588B1 KR 1020110017618 A KR1020110017618 A KR 1020110017618A KR 20110017618 A KR20110017618 A KR 20110017618A KR 101201588 B1 KR101201588 B1 KR 10120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fastened
water 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984A (ko
Inventor
엄영호
Original Assignee
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102011001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핸들로 밸브조정축의 해제를 위한 회전시 설정높이 이상 걸림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덮개가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공(11)과 출구공(12)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유입공(11)의 수직 상부방향에 조절공(13)이 형성되며, 유입공(11) 측에 개폐턱(15)이 형성되는 밸브몸체(10)와; 상기 밸브몸체(10)의 조절공(13) 측에 체결되며, 상부측이 관체(21)로 형성되고, 관체(21)의 내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암나사부(25,26)가 이격 설치되는 밸브조정축 작동체(20)와;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에 관통 삽입되는 축(31)형태로 형성되며, 축(31) 상에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단에 핸들(70)에 체결되는 체결돌부(35)가 형성되며, 하단에 디스크축 작동홈(37)이 형성되는 밸브조정축(30)과;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상단 암나사부(25)에 관체(41)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밸브조정축(30)을 감싸는 연장형 덮개(40)와; 상기 밸브조정축(30)의 하단에 형성된 디스크축 작동홈(37)에 디스크축(51)이 삽입되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입공(11)측 개폐턱(15)에 걸림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스크(5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Angle valve for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의 입수구 방향 배관에 설치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들로 밸브조정축의 해제를 위한 회전시 설정높이 이상 걸림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덮개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계량기는 땅 속에 묻힌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에 설치되고, 그 유입측에는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앵글밸브가 배관 되고, 배출측에는 수돗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엘보우관이 배관 된다.
그 중에서도 수돗물의 유입측에 배관 설치되는 종래의 앵글밸브는 본 출원인이 이미 등록받은 특허 제972099호를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입수구(101)와 출수구(102)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개폐구멍(103)이 상기 입수구(101) 측에 형성된 밸브본체(110)와, 수나사부(111)와 디스크축 작동공(112)이 형성된 밸브조정축(120)과,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디스크축(121)의 아래쪽에 형성된 디스크(130)와, 덮개(140) 및 핸들(150)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의 앵글밸브는 그 앵글밸브의 상부측에 체결되는 밸브조정축 작동관체(160)의 상부측 내면전체에 암나사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조정축(120)의 일부에 수나사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그 수나사부(111)가 상기 암나사부(161)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밸브조정축(120)에 하단부에 체결된 디스크(1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입측의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디스크(130)의 해제 조절을 위해 핸들(150)을 돌리게 되는데, 통상 사용자는 핸들(150)의 최대풀림 정도가 어디까지인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핸들(150)을 최대한 돌리게 되고, 계속 돌리다 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관체(160)의 상부에 나사 체결된 덮개(140) 마저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140)가 풀리게 되면 수도계량기 측으로 직각 유동되어져야 할 유입되는 수돗물이 상부측으로 새어 나오게 되고, 심한 경우 수돗물의 유압을 버티지 못하게 되면 수돗물이 뿜어져 나오게 되고 또한 밸브조정축(120) 및 핸들(150) 등이 튀어 나와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우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핸들로 밸브조정축의 해제를 위해 최대한 회전시키게 되면 더 이상 걸림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개의 풀림을 방지하여 수돗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의 수돗물 유입측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에 있어서, 유입공(11)과 출구공(12)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유입공(11)의 수직 상부방향에 조절공(13)이 형성되며, 유입공(11) 측에 개폐턱(15)이 형성되는 밸브몸체(10)와; 상기 밸브몸체(10)의 조절공(13) 측에 체결되며, 상부측이 관체(21)로 형성되고, 관체(21)의 내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암나사부(25,26)가 이격 설치되는 밸브조정축 작동체(20)와;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에 관통 삽입되는 축(31)형태로 형성되며, 축(31) 상에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단에 핸들(70)에 체결되는 체결돌부(35)가 형성되며, 하단에 디스크축 작동홈(37)이 형성되는 밸브조정축(30)과;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상단 암나사부(25)에 관체(41)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밸브조정축(30)을 감싸는 연장형 덮개(40)와; 상기 밸브조정축(30)의 하단에 형성된 디스크축 작동홈(37)에 디스크축(51)이 삽입되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입공(11)측 개폐턱(15)에 걸림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스크(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는 밸브조정축의 무나사부 내에서 밸브조정축의 하단 암나사부가 공회전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로 밸브조정축의 해제를 위한 회전시 핸들의 최대풀림 정도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회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밸브조정축 작동체의 상단에 체결된 덮개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수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작동부 상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A)는 수도계량기(5)의 수돗물 유입측(2)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밸브몸체(10), 밸브조정축 작동체(20), 밸브조정축(30), 연장형 덮개(40) 및 디스크(50)로 이루어진다.
밸브몸체(10)는 도 5에서와 같이 유입공(11)과 출구공(12)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그 유입공(11)은 수돗물이 수직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그 유입공(11)의 수직 상부방향에 조절공(13)이 형성되어 유입공(11), 출구공(12) 및 조절공(13)의 방향이 “ㅏ”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입공(11) 측은 도 3에서와 같이 유입측(2) 관에 연결 설치되고, 출구공(12) 측은 수도계량기(5)와의 연결관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유입공(11) 내측 상단에는 개폐턱(15)을 형성하여,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스크(50)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턱(15)은 미도시되었으나,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단턱지게 형성하고, 개폐턱(15)에 걸림 접촉되는 디스크(50)의 접촉부를 개폐턱(1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하면 그 개폐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절공(13) 측에는 밸브조정축 작동체(20)를 체결한다. 밸브조정축 작동체(20)는 하부측이 밸브몸체(10)의 조절공(13)의 외측에 체결되고, 상부측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21)로 형성된다.
상기 관체(21)의 내측면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각각 암나사부(25,26)를 형성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관체(21) 상단측에는 상단측 암나사부(25)를 형성하고, 관체(21)의 하단측에는 하단측 암나사부(26)를 형성한다.
상기 상단측 암나사부(25)와 하단측 암나사부(26)는 상호 이격 형성되는데, 그 이격공간은 무나사부(27)이다. 상기 무나사부(27) 에는 후술되는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가 위치되어지는데, 그 수나사부(33)의 공회전을 위한 여유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무나사부(27)의 높이는 적어도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의 전체 높이보다 길어야 한다.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 내에는 밸브조정축(30)이 관통 삽입된다.
밸브조정축 작동체(20)는 축(31) 형태로 소정 길이 형성되며, 그 축(31) 상에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부측에서 필요시 사용하는 핸들(70)에 결합되는 결합돌부(35)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디스크축(51)이 삽입되는 디스크축 작동홈(37)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조정축(30)의 형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수나사부(33)는 축(3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측 암나사부(26)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축(31)이 수직 승강작동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가 하단측 암나사부(26)를 이탈하여 무나사부(27) 내에 위치되면 수나사부(33)의 하단이 하단측 암나사부(26)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로 무나사부(27) 내에서 수나사부(33)가 공회전되면서 후술되는 디스크(50)가 개폐턱(15)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디스크(50) 개방을 위한 회전시, 도면상 시계방향)
이와 반대로 수돗물의 흐름 폐쇄를 위한 디스크(50)의 회전시(도면상 반시계방향)에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가 회전되면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측 암나사부(26)에 체결되면서 디스크(5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개폐턱(15)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상단 암나사부(25)에는 연장형 덮개(40)가 구비 체결된다. 연장형 덮개(40)는 도 6에서와 같이 관체(41)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조정축(3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길이는 밸브조정축(30)의 길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밸브조정축(30)의 하단에 형성된 디스크축 작동홈(37)에는 디스크(5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디스크축(51)이 삽입되고, 그 디스크(50)는 밸브몸체(10)의 유입공(11)측 개폐턱(15)에 선택적으로 걸림접촉되면서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50)는 통상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의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수돗물의 흐름을 폐쇄시에는 도 6 및 도 8의(a)에서와 같이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가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에 체결되어 그 하단에 설치된 디스크(50)가 밸브몸체(10)의 개폐턱(15)에 걸림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수돗물의 흐름을 위해 개방시에는 도 7 및 도 8의(b)에서와 같이 핸들(70)을 삽입하여 밸브조정축(30)의 결합돌부(35)에 끼운 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50)가 개폐턱(15)에서 이탈하여 상승되고, 이에 따라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가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를 이탈하여 무나사부(27)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무나사부(27) 내에서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가 공회전되고, 그러므로 더 이상 밸브조정축(30)이 상승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밸브조정축(30)에 결합된 핸들(70)을 더 이상 돌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A :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2 : 유입측
4 : 배출측 5 : 수도계량기
10 : 밸브몸체 11 : 유입공
12 : 출구공 13 : 조절공
15 : 개폐턱 20 : 밸브조정축 작동체
21 : 관체 25 : 상단 암나사부
26 : 하단 암나사부 27 : 무나사부
30 : 밸브조정축 31 : 축
33 : 수나사부 35 : 체결돌부
37 : 작동홈 40 : 연장형 덮개
41 : 관체 50 : 디스크
51 : 디스크축 70 : 핸들

Claims (4)

  1. 수도계량기의 수돗물 유입측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에 있어서,
    유입공(11)과 출구공(12)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유입공(11)의 수직 상부방향에 조절공(13)이 형성되며, 유입공(11)의 내측 상단에 개폐턱(15)이 형성되는 밸브몸체(10)와;
    상기 밸브몸체(10)의 조절공(13) 측에 체결되며, 상부측이 관체(21)로 형성되고, 관체(21)의 내측면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암나사부(25,26)가 이격 설치되어 상단 암나사부(25)와 하단 암나사부(26) 사이에 무나사부(27)가 형성되는 밸브조정축 작동체(20)와;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에 관통 삽입되는 축(31)형태로 형성되며, 축(31) 상에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하단 암나사부(26)에 체결되는 수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단에 핸들(70)에 체결되는 체결돌부(35)가 형성되며, 하단에 디스크축 작동홈(37)이 형성되는 밸브조정축(30)과;
    상기 밸브조정축 작동체(20)의 상단 암나사부(25)에 관체(41)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밸브조정축(30)을 감싸는 연장형 덮개(40)와;
    상기 밸브조정축(30)의 하단에 형성된 디스크축 작동홈(37)에 디스크축(51)이 삽입되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입공(11)측 개폐턱(15)에 선택적으로 걸림접촉되어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스크(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나사부(27)는 그 높이가 적어도 밸브조정축(30)의 수나사부(33)의 전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나사부(33)가 무나사부(27) 내에서 공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70)은 밸브조정축(30)의 체결돌부(35)에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턱(15)은 하향 경사지거나 단턱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KR1020110017618A 2011-02-28 2011-02-28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KR10120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18A KR101201588B1 (ko) 2011-02-28 2011-02-28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18A KR101201588B1 (ko) 2011-02-28 2011-02-28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84A KR20120097984A (ko) 2012-09-05
KR101201588B1 true KR101201588B1 (ko) 2012-11-14

Family

ID=4710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618A KR101201588B1 (ko) 2011-02-28 2011-02-28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0344A (zh) * 2019-04-12 2019-08-02 芜湖市金贸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开启的消防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1B1 (ko) * 2014-02-21 2014-07-22 영동금속(주) 앵글 밸브
IT201700036357A1 (it) * 2017-04-03 2018-10-03 Inoxcommercio S R L Rubinetto girevole a 360° salva-goccia ad uso alimentare.
CN107606275A (zh) * 2017-09-04 2018-01-19 黄易 一种角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20Y1 (ko) 2003-06-09 2003-09-03 강석원 단수 제어용 앵글밸브
KR100865415B1 (ko) 2008-03-21 2008-10-24 이양숙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KR100972099B1 (ko) 2009-12-07 2010-07-22 엄영호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20Y1 (ko) 2003-06-09 2003-09-03 강석원 단수 제어용 앵글밸브
KR100865415B1 (ko) 2008-03-21 2008-10-24 이양숙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KR100972099B1 (ko) 2009-12-07 2010-07-22 엄영호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0344A (zh) * 2019-04-12 2019-08-02 芜湖市金贸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开启的消防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84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588B1 (ko)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US8672289B2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with floating buoyant ball valve and activation rod
AU2009201565B2 (en) Domestic water tap
US20150074901A1 (en) Drai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0972099B1 (ko) 수도계량기용 앵글밸브
CN202360829U (zh) 新型单向溢流阀
SI23349A (sl) Krogelna pipa z varovalom spreminjanja nastavitve pretoka tekoäśega medija, mehanizmom stopenjske nastavitve pretoka ter vloĺ˝kom, ki omogoäśa linearen in logaritemski pretok tega medija
WO2023236461A1 (zh) 一种高温自动切断混水阀
WO2016163344A1 (ja) 仕切弁及び急閉式逆止弁と、緩閉式副弁及び負圧時作動空気吸気弁を有するウォーターハンマー防止機能とを有する多機能バルブ
KR101570379B1 (ko) 상수도용 부동전
JP3187887U (ja) 静音及び調圧の多機能蛇口
CN201037549Y (zh) 一种水量可调式节水阀门或水龙头
KR101247134B1 (ko) 저수위용 허브링크를 이용한 정수위밸브
KR101753280B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120000180A (ko) 제수밸브장치
CN205136729U (zh) 一种上下出水的水龙头
CN208619707U (zh) 一种锥面密封截止阀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JP2014014351A (ja) 農業用分水弁及び該分水弁を使用した分水給水システム
KR200400797Y1 (ko) 방수밸브
KR101402480B1 (ko) 세면대용 팝업 관연결장치
CN209026222U (zh) 一种密封外螺纹截止阀
KR200396838Y1 (ko) 토출 수량 조절밸브를 갖는 수도밸브
CN218494306U (zh) 一种卡压可调安装闸阀
KR101955943B1 (ko) 소제 싱크용 가변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