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282A - 플로팅 실 부재를 갖는 개선된 급수전 - Google Patents
플로팅 실 부재를 갖는 개선된 급수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5282A KR20080095282A KR1020087022328A KR20087022328A KR20080095282A KR 20080095282 A KR20080095282 A KR 20080095282A KR 1020087022328 A KR1020087022328 A KR 1020087022328A KR 20087022328 A KR20087022328 A KR 20087022328A KR 20080095282 A KR20080095282 A KR 200800952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 hydrant
- lever
- flow axis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66—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the enclosure being itself a valve, tap, or c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Lift Valve (AREA)
- Nozzl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유체 배출 급수전은 급수전 바디의 내부 캐비티 내에서 밀봉 부재와 결합하는 흐름 제어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흐름 제어 핸들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고, 유체가 상기 급수전 바디를 통해 흐를 때,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급수전 바디 내에서 상기 밀봉 부재의 모든 측에 대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큰 사이즈의 홈에 유지된다. 상기 급수전 바디는 그 바디의 제2단에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의 유체 하류의 유로 내에 공기 흡입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흡입구는 흐름 레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로로부터 잔여 유체의 제거를 증진시키고, 상기 흐름 레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그 공기 흡입구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위치된다.
급수전, 밀봉부재, 흐름레버, 공기흡입구, 배출관, 개방위치, 폐쇄위치
Description
이 국제출원은 2006.02.21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1/358,739호의 우선권주장 출원이며,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음용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비어 탭(beer tap)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이, 가압된 유체에 이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급수전(faucet)은 압력 하에서 유체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내부 밸브를 작동시키는 외부 작동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전 내에는 내부 밸브의 상류 공간 및 하류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급수전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썩기 쉬우며, 공기와의 장기적인 접촉은 유체의 맛과 질을 훼손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급수전 내에서, 내부 밸브의 상류에 있는 유체는 일반적으로 대기 공기에 대한 노출로부터 보호되는 반면, 상기 내부 밸브의 하류에 있는 유체는 대기 공기에 대해 노출된다. 상기 밸브의 유체 하류는 밀봉 부재나 밸브의 다른 부분들에 들러붙는 잔여분으로 되거나, 유체를 수용 용기로 지향하도록 위치되 는 배출관 내에서 마찰 또는 흡입에 의해 트랩(trap)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에 대하여 트랩된 유체 또는 상기 배출관 내에서 트랩된 유체는 대기 공기로 노출될 수 있고, 박테리아나 다른 오염균이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된 밸브를 통한 지속적인 배출은 이후 배출되는 모든 유체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심지어 음용에 있어 비위생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대기 공기로 노출될 수 있는 트랩된 유체의 방출을 돕기 위한 가압 유체 배출용의 급수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유체 배출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급수전 바디의 내부 공간 내에서 밀봉 부재와 결합하는 흐름 제어 레버를 포함하는 유체 배출 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흐름 제어 핸들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유체가 급수전 바디를 통해 흐를 때,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급수전 바디 내에서 그 밀봉 부재의 모든 측에 대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큰 사이즈의 홈에 유지된다. 상기 급수전 바디는 그 급수전 바디의 제2단에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의 유체 하류의 유로 내에 공기 흡입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는 흐름 제어 레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로로부터 잔여 유체의 제거를 촉진하고, 상기 흐름 레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기 흡입구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위치된다.
본 설명의 일부분에 통합되고, 그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여러 관점을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첨부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급수전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급수전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급수전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급수전의 후면도.
도 5는 도 1의 급수전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급수전의 배면도.
도 7은 도 1의 급수전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흐름 레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급수전의 측단면도.
도 9는 흐름 레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급수전의 측단면도.
도 10은 원형 라벨로 나타낸 A내에서의 도 9의 급수전의 일부 확대도.
도 11은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캐치를 갖는 도 1의 급수전의 전방 사시도.
도 12는 급수전 바디로부터 이동된 캐치 및 급수전으로부터 제거된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갖는 도 11의 급수전의 전방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급수전의 급수전 바디의 전방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급수전 바디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급수전 바디의 정면도.
도 16은 도 13의 급수전 바디의 평면도.
도 17은 도 13의 급수전 바디의 측단면도.
도 18은 도 1의 급수전의 흐름 레버의 전방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흐름 레버의 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흐름 레버의 정면도.
도 21은 도 18의 흐름 레버의 후면도.
도 22는 도 18의 흐름 레버의 평면도.
도 23은 도 18의 흐름 레버의 배면도.
도 24는 도 20의 A-A선에 따른 도 18의 흐름 레버의 단면도.
도 25는 도 1의 급수전의 U-클램프의 제1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U-클램프의 제2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U-클램프의 측면도.
도 28은 도 25의 U-클램프의 정면도.
도 29는 도 25의 U-클램프의 후면도.
도 30은 도 25의 U-클램프의 평면도.
도 31은 도 25의 U-클램프의 배면도.
도 32는 레버 개구의 중심선에 따른 도 25의 U-클램프의 측단면도.
도 33은 다른 실시예의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캐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4는 급수전 바디로부터 이동된 캐치 및 급수전 바디로부터 제거된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갖는 도 33의 급수전의 사시도.
도 35는 도 33의 급수전의 급수전 바디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전방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급수전 바디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정면도.
도 37은 도 35의 급수전 바디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평면도.
도 38은 도 35의 급수전 바디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측단면도.
도 39는 원형 라벨로 나타낸 A내에서의 도 38의 급수전 바디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일부 확대도.
도 40은 급수전 바디로 나사결합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다른 제2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의 다른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1은 흐름 레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40의 급수전의 측단면도.
도 42는 흐름 레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40의 급수전의 측단면도.
도 43은 원형 라벨로 나타낸 C 내에서의 도 43의 급수전의 일부 확대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 레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5는 도 44의 흐름 레버의 분해 측면도.
도 46은 도 44의 흐름 레버의 분리가능한 구형부의 배면도.
도 47은 도 44의 흐름 레버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분리가능한 하부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주 플로팅 실의 측단면도.
도 49는 도 48의 플로팅 실의 평면도.
도 50은 설치 개구의 주연부의 일부에 대해서만 위치되는 장착 스플라인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바디의 다른 제3 실시예의 후면도.
도 51은 도 50의 급수전 바디의 측단면도.
도 52는 설치 개구에 대하여 위치되는 원주방향 공간을 갖는 스플라인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바디의 제4 실시예의 후면도.
도 53은 도 52의 급수전 바디의 측단면도.
도 54는 플로팅 실의 경사진 중간 흐름부 하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 바디의 다른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5는 플로팅 실의 경사진 중간 흐름부 하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다른 제3 실시예의 후면도.
도 56은 도 54의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측단면도.
도 57은 배구관의 변화 영역과 함께 위치되는 흐름 변류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다른 제5 실시예의 후면도.
도 58은 도 57의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측단면도.
도 59는 배출관의 변화 영역과 함께 위치되는 다른 흐름 변류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다른 제5 실시예의 후면도.
도 60은 도 59의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측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갖는 급수전의 다른 제5 실시예의 사시도.
첨부 도면들에 나타낸 본 발명의 예시적인 관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능한 한, 동일 또는 유사 구성품을 나타내는 도면에 걸쳐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해 보면, 유체 배출 급수전(faucet)(100)은 급수전 바디(102), 유체배출 배출관(104) 및 흐름 레버(106)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 레버(106)는 폐쇄 위치 또는 흐름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흐름 비허용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 또는 낮은 흐름 허용 위치(후술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에서는, 급수전 바디(102)의 후방단(108)에 부착된 유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급수전 바디(102)의 전방단(110)을 거쳐 급수전 바디(102)를 통해 흐르게 된다. 전방단(110)에는 배출관 캐치(catch)(112)에 의해 급수전 바디(102)에 분리가능하게 유지되는 분리가능한 유체배출 배출관(104)이 부착된다.
도 7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적인 부재들을 갖는 급수전(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후방단(108) 내에는 급수전(100)과 유체 공급원 사이의 누출에 대해 밀봉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114)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급수전(100)은 맥주 급수전(beer faucet)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단(108)은 가압된 맥주통(beer keg)과 연통하는 핏팅(fitting)에 연결된다. 밀봉 부재(114)는 급수전 바 디(102)와 상기 맥주통에 연결된 핏팅 사이에서 연결부의 밀봉을 돕는다.
급수전 바디(102)는 흐름 레버(106)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구(116)를 포함한다. 상부 개구(116)의 외부(118)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어 급수전 바디(102) 내에서 흐름 레버(106)를 유지하고, 상기 흐름 레버(106)와 관련된 여러 밀봉 부재들 또는 다른 부재들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외부 캡(12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들 여러 밀봉 부재들과 다른 부재들 중에서, 상부 및 하부 실(seal)은 흐름 레버(106)의 구형부(124)에 대하여 끼워 맞춰지고, 그 구형부를 포획하여(captively) 유지시킨다. 오링(126)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밀봉 부재는 상부 및 하부 실(122) 사이에 유지될 수 있고, 상부 개구(116)를 통해 급수전 바디(102)에 존재하는 유체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하여 구형부(124)에 대하여 유지될 수 있다.
흐름 레버(106)는 별개의 작동 레버를 제공받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채용될 수 있는 상부 샤프트부(128)를 포함한다. 상부 칼라(collar)(146)는 상부 샤프트부(128)에 대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샤프트부(128)로부터의 흐름 레버(106)의 대향 단에는 상부 개구(116)를 통해 급수전 바디(106)의 내부 캐비티(cavity)로 연장하는 반-구형부(130)가 구비된다. 배출관(104)은 나비 나사(138)를 제공받기 위한 개구(136)를 포함할 수 있는 캐치(112)에 의하여 급수전 바디(102)의 전방단(1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출관(104)은 나비 나사(138)와 결합하고, 급수전 바디(102)에 배출관(104)을 고정하도록 설계된 홈(140) 또는 이와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흐름 레버(106)의 반-구형부(130)와 결합하여 급수전(100)을 통한 유체의 흐 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밀봉 부재(132)가 급수전 바디의 전방단(110)의 전방 개구(134)를 통해 구비된다. 전방 단(110)은 급수전 바디(10)와 배출관(104) 사이에 위치되는 밀봉 부재(142)를 수용하고, 그 밀봉 부재와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밀봉부재 채널(channel)(144)을 포함할 수 있다. 흐름 레버(106)의 중간부(150)에 대하여 U-클램프(148)가 위치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해 보면, 급수전(100)의 측면으로부터의 단면도로서, 흐름 레버(106)가 폐쇄 위치(도 8)로부터 개방 위치(도 9)로 이동됨에 따른 반-구형부(13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폐쇄 위치에서, 반-구형부(130)는 급수전 바디(102)의 중앙 흐름 캐비티(152) 내에서 밀봉 부재(132)와 결합한다. 밀봉 부재(132)는 중앙 흐름 캐비티(152)를 통하는 흐름 축(154)에 대하여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큰 채널(156) 내에 유지된다.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반-구형부(130)는 채널(156)의 외벽에 대하여 밀봉 부재(132)를 트랩(trap)하고, 중앙 흐름 캐비티(152)로부터 배출관(104)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다. 이러한 폐쇄 위치에서, 밀봉 부재(132) 또한 전방 단(110)을 통한 중앙 흐름 캐비티(152)로의 공기 흐름을 방지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반-구형부(130)는 밀봉 부재(132)와 더 이상 결합하지 않고, 중앙 흐름 캐비티(152) 내의 유체는 전방 단(110)을 통해 배출관(104)으로 흐름 레버(106)에 대하여 자유로이 흐르게 된다. 중앙 흐름 캐비티(152) 내의 유체가 전방 단(110)을 거쳐 개구(134)를 통과함에 따라, 흐름 축(154)에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배출관(104)의 제1단(158)을 통과한다. 그런 다음, 변화 영역(transition zone)(160)으로 유입되고, 배출관(104)을 통해 축(164)을 따라 흐름이 방향 전환되어 배출관(104)의 제2단(162)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급수전 바디(102)를 대략 수직하는 벌크 헤드(bulkhead)나 다른 벽에 장착되도록 하고, 배출관(104)으로부터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것은 대체로 바람직한 하측 방향으로 된다.
채널(156) 내의 밀봉 부재(132)의 플로팅(floating) 구성은, 흐름 레버(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단(110)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밀봉 부재(132)의 모든 면 주위로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밀봉 부재(132)와 채널(156)의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밀봉 부재(132)에 대한 이러한 유체 흐름이 전방 단(110) 가까이에서 트랩되거나 응고될 수 있는 맥주 고형물 또는 다른 미립자 물질을 쉽게 흘러보낸다는 것이다. 급수전의 각 개구에서 갖는 이들 미립자 물질을 흘러보내는 것은 이러한 물질의 과도한 축적을 방지하는 것을 도우며, 전방 단(110)에 인접하는 영역에서의 정체를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배출관(104) 내의 변화 영역(160) 내에는, 배출관(104) 내의 어떠한 잔여 유체를 촉진하여 제2단(16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공기 흡입구의 소정의 제공 방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 흡입구가 없을 경우, 흐름 레버(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2단(162)을 제외하고는 변화 영역(160)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방법은 없다. 유체의 표면 장력이나 다른 물리적 특성은 유체가 제2단(16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104) 내의 이러한 잔여 유체는 대기로 노출되지만 배출관(104)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맥주나 영양분이 풍부한 다른 유체와 같은 유체에 대하여, 이는 배출관(104)의 내부가, 유체를 음용하는 사람에게 해로움을 주거나 유해한 박테리아 또는 다른 유기물의 번식지로 되게 할 수 있다.
어떤 잔여 유체가 배출관(104)으로부터 흘러나가도록 촉진하기 위하여 급수전 바디(102)의 전방단(110)에 가깝게 인접하는 위치에서 배출관(104)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관(104) 내에 공기 흡입구(166)가 포함될 수 있다. 급수전(100)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공기 흡입구(166)로 지향되지 않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기 흡입구(166)는 내부 벽을 따라 변화 영역(160)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서, 유체는 흐름 축(154)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부터 흐름 축(164)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 방향 변화함에 따라, 급수전 바디(102)로부터의 제1벽(168)이 배출관(104)의 내벽(170)과 만나도록 방향 전환되는 바로 너머에 소용돌이(eddy) 영역이나 저압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용돌이 영역은 흐름 레버(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기 흡입구(166)로부터 유체가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흐름 레버(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단(158)에 인접하는 배출관(104) 내로 소기(scavenging)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 흡입구(166)가 잔여 유체를 배출관(104)에서 배출하도록 촉진할 수 있는 한편, 세척이나 교체를 위하여 배출관(104)을 분리하는 것이 여전히 요구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66)가 존재할 경우, 그 공기 흡입구가 올바르게 위치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러한 올바른 위치를 도모할 수 있는 배출관(104)의 분리 및 교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치(112)는 상부 개구(116)의 외부(11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캡(120)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치된다. 나비 나사(138)는 캐치(112)를 통해 연장하고, 홈(140)과 결합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104)을 분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나비 나사(138)는 홈(140)으로부터 풀어질 수 있고, 외부 캡(120)은 외부(118)에 대하여 느슨해진다. 그런 다음, 캐치(112)는 배출관(104)에서 떨어져 회전할 수 있고, 배출관(104)은 급수전 바디(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배출관(104)은 세척 및 교체되거나, 새로운 배출관이 캐치(112)에 의해 급수전 바디(102)에 장착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해 보면, 급수전 바디(102)는 그 급수전 바디를 가압 유체 공급원에 고정하도록 급수전 바디(102)에 대하여 록킹 링 또는 다른 고정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후방 단(108)에 인접하는 외부 나사산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개구(116)는 한 쌍의 플랜지(176)에 대하여 어느 일측 측면에 위치되는 U-클램프 시트(174)를 포함할 수 있다. U-클램프(148)는 시트(174)에 위치될 수 있고, 흐름 레버(106)에 대하여 플랜지(176)에 의해 특정 지향성을 갖고 유지된다.
급수전 바디(102) 내에는 밀봉 부재(132)가 위치될 수 있는 채널(156)이 구비된다. 반-구형부(130)가 폐쇄 위치에서 밀봉 부재(132)와 결합할 경우, 외벽(178)은 밀봉 부재(132)에 대한 밀봉 면을 제공한다. 대향하는 내벽(180)은 압축되지 않은 밀봉 부재(132)의 두께보다 큰 거리로 외벽(178)으로부터 인셋(inset)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널(156) 내의 환형 면(182)은 압축되지 않 은 밀봉 부재(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및 외부 벽(180, 178) 각각은 밀봉 부재(132)가 급수관 바디(102) 내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봉 부재(132)를 포획되게 결합하는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채널(156)이 압축되지 않은 사이즈의 밀봉 부재(132)에 대하여 충분히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급수전 바디(102)를 통해 배출관(104)으로 흐르는 유체가 밀봉 부재(132)의 모든 측 또는 모든 면에 대하여 흐르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유체가 정체되거나 박테리아의 증식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를 허용하는 개구(134) 주위의 흐름 영역을 흘러보내거나 없애는데 조력할 수 있다.
상부 개구(116) 내에는, 흐름 레버(106)가 삽입되고 포획될 수 있도록 다른 직경을 갖는 대략 동심의 개구(184, 186)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86)는 흐름 레버(106)의 구형부(124) 및 밀봉 부재(126)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개구(186)의 위 및 아래의 작은 직경의 공간은 상부 및 하부 실(12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개구(184)는 구형부 개구(186)와 실 개구(188)의 어느 하나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전방 개구(134)에 인접한 캐비티(152)로 반-구형부(130)가 들어가기 위한 개구를 제공한다. 대략 동심의 이들 개구들은 캡(120) 아래에서 실(122)과 밀봉 부재(126)를 장착시키기 위한 면(190)뿐만 아니라, 급수전 바디(102)로의 흐름 레버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다.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해 보면, 흐름 레버(106)는 구형부(124)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면(face)을 갖는 반-구형부(130)를 포함한다. 급수전 바 디(102)와 배출관(104) 사이의 개구(134)의 직경이 커질수록, 반-구형부(130)의 직경을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가 커질수록, 유체에 가해지는 소정 압력에 대해 급수전(100)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유체의 양도 커진다. 그러나 하부 실(122)에 대한 상부 개구(116) 내에 작은 직경 면(190)을 갖도록 하는 것은 반-구형부(130)가 구형부(124)보다 그 직경이 작은 것임을 나타낸다. 도 18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형부(130)에 변화를 줌으로써, 반-구형부(130)는 작은 직경의 개구(184)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으면서, 밀봉 부재(132) 및 폐쇄 개구(134)와 결합할 수 있는 큰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구형부(130)에 변화를 주는 것은 흐름 축(154)을 따라 개구(134)를 통한 흐름에 방해를 덜 주는 추가적 이점을 제공한다. 반-구형부(130)의 밀봉 면(192)이 구형부(124)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는 단지 편의상 나타낸 것이다. 구형부(124)와 반-구형부(130)의 밀봉 면(192)의 관련 직경은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중간부(150)는 구형부(124)와 나사산 형성부(128) 사이에 위치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편평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편평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 특징을 갖는 U-클램프(148)와 결합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2를 참조해 보면, U-클램프(148)는 흐름 레버(106)의 중간부(150)를 수용하는 슬롯(200)을 포함한다. 또한, U-클램프(148)는 대향하는 양측을 따라 편평부(204)를 포함할 수 있는 대략 원주 링부(202)를 포함한다. U-클램프(148)가 급수전 바디(102)의 상부 개구(116)에 위치될 경우, 편평부(204)는 필요 에 따라 U-클램프(148)를 지향시키고, U-클램프(148)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플랜지(176)와 결합하게 구성된다. 각 편평부(204) 내에는 링부(202)를 가로질러 중앙 상승부(208)로 연장할 수 있는 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208)의 하부측에는 구형 홈(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형 홈(210) 내에서 흐름 레버(106)의 구형부(124)의 상면이 수용될 수 있다(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200) 내에는 한 쌍의 제1 멈춤부(detent)(212) 및 한 쌍의 제2 멈춤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멈춤부는 흐름 레버(106)의 중간부(150)의 편평부(19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멈춤부(21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 레버(106)의 폐쇄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되며, 멈춤부(21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 레버(106)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된다. U-클램프(148)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흐름 레버(106)의 이동은 중간부(150)가 슬롯(20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U-클램프(148)를 외측으로 변형시키고, 요구되는 위치에서 흐름 레버(126)를 포획되게 유지시키는 형태로 탄성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부(202)의 홈(206) 및 중앙부(208)는 흐름 레버(106)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이러한 변형에 의해 변위되어 이동되는 재료에 대하여 U-클램프(148)의 어느 일측에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U-클램프(148)가 형성되는 재료의 특성은 이러한 홈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해 보면, 다른 급수관(300)의 다른 급수관 바디(302)에 다른 분리가능한 배출관(304)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 타낸 것이다. 캐치(312)는 급수관 바디(302)의 측부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핀(306)에 의해 급수관 바디(3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급수관 바디(302)는 상기한 캐치(112) 대신에 캐치(312)를 사용하는 설비를 제외하고는 급수관 바디(102)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급수관 바디(302)로부터 배출관(304)을 분리하기 위하여, 나비 나사(138)는 홈(340)으로부터 풀어지고, 캐치(312)는 배출관(304)으로부터 상측으로 회전된다. 그런 다음, 배출관(304)은 급수관 바디(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출관(304)은 배출관 캐치와 연결되는 특성을 제외하고는 배출관(104)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밀봉 부재(142)(미도시)는 급수관 바디(302)와 배출관(304) 사이에 위치되고, 급수관 바디(302)의 채널(144) 내에 수용된다.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해 보면, 상기한 급수관 바디(102) 및 배출관(104)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내부 구성을 갖는 급수관 바디(302) 및 배출관(304)을 나타낸 것이다. 배출관(304)은 그 배출관(304) 내의 유체 흐름이 흐름 축(154)에 대략 평행한 흐름으로부터 배출관(304)의 흐름 축(164)에 대략 평행한 흐름으로 변화되는 변화부(160) 내의 내벽(170)을 따라 위치되는 유사한 공기 흡입구(166)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 캐치의 특성 및 대응하는 외부적 특성을 제외하고는, 배출관(304)과 급수관 바디(302)의 구성은 상기한 배출관(104)과 급수관 바디(102)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해 보면, 급수전(400)의 다른 제2 실시예는 급수전 바디(402) 및 분리가능한 배출관(404)을 포함한다. 또한, 급수전(400)은 흐름 레버(106)를 포함한다. 급수전 바디(402)는 앞서 전술한 급수전 바디들과 다르며, 급 수전 바디(402)는 내부 흐름 캐비티(408) 내에 흐름 변화부(460)를 포함한다. 이 변화부(460)에서 유체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흐름 축(154)에 대략 평행한 흐름으로부터 흐름 축(164)에 대략 평행한 흐름으로 변화되고, 다만 그 변화는 배출관(404) 대신에 급수전 바디(402) 내에서 발생하는 것이 다르다. 유사하게, 공기 흡입구(466)는 흐름 축(164)에 대략 평행하는 내벽(470)을 따라 흐름 축(154)에 대략 평행하는 내벽(468)으로부터의 하류의 변화부(460) 내에 위치된다.
급수전 바디(402)의 다른 내부적 특징은 캐비티(408) 내에서 흐름 레버(106)와 밀봉 부재(132) 간의 연결 및 상호 관계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급수전 바디들의 특징들과 유사하다.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라 급수전 바디 및 다른 부재들을 채용할 수 있고, 다른 일반적인 설비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출관(404)은 급수전 바디(402)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설치되는 일반적인 배출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4 및 도 45는 구형부(124) 및 분리가능한 하부 구형부(530)를 갖는 다른 흐름 레버(506)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흐름 레버(106)는 캐비티(134 또는 408)의 상부 개구(116)의 개구를 통해 끼워 맞춰지도록 단면 축소된 반-구형부를 포함하는 반면, 흐름 레버(506)는 이러한 내부 캐비티로 삽입될 수 있는 다른 구현 예를 제공한다. 하부 구형부(530)는 흐름 레버(506)의 하부 스템(stem)(532)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트스크류(set screw)(534)와 같은 분리가능한 고정구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하부 스템(532)은 세트스크류(534)와 같은 분리가능한 고정구와 결합하도록 홈(536)을 포함하거나, 세트스크류(534)가 하부 스템(532)의 외면에서 변형하거나 움푹 들어감으로써 하부 스템(532)과 결합할 수 있다.
앞서 나타낸 급수전 바디들 중 하나의 내부에 흐름 레버(506)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하부 구형부(530)는 세트스크류 개구(538)(도 45에 점선으로 나타냄) 내에서 세트스크류(53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하부 스템(5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부 스템(532)은 내부 캐비티의 상부 개구(116)를 통해 삽입되고, 하부 구형부는 하부 구형부(530)의 스템 개구(540)(도 45에 점선으로 나타냄) 내로 삽입된다. 세트스크류(534)는 급수전 바디의 전방 또는 후방 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진입되어 하부 스템(532)의 홈(536) 또는 면과 결합할 때까지 전진한다. 일단 하부 구형부(530)가 흐름 레버(506)에 고정되면, 흐름 레버(506)는 개구(116) 내에서 요구되는 대로 지향될 수 있고, U-클램프(148)는 편평부(194)와 결합하는 중간부(150)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다.
라운드진 상류 단과 길게 테이퍼진 하류 단을 갖는 눈물방울의 형태에 가까운 형태는 대상물에 대한 유체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난류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떤 급수전 바디 내에서의 보다 원활한 흐름은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낸 하부(630)의 형태와 같이 형성된 하부를 이용하는 범위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 하부(6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32)와 협조하여 급수전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밀봉 면(192)을 구비한다. 그러나 연장된 테이퍼부(552)는 밀봉 면(192)으로부터 대략 대향하게 연장되고, 급수전을 통한 유체의 흐름 형태를 제공하며, 이 흐름 형태는 난류를 덜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 유체의 거품을 줄일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630)는 흐름 레버(506)와 함께 이용되도록 채용되고, 하부 스템(532)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630)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하부 구형부는 여기에서 설명된 여러 흐름 레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는 흐름 레버의 밀봉 면(192)과 결합하기 위한 라운드진 전방 밀봉면(234) 및 대향하는 편평한 후방면(236)을 갖는 밀봉 부재(23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밀봉 부재(132)는 그 단면이 대체로 라운드진 것으로 나타내었고(도 7 내지 도 9 참조), 그 밀봉 부재(132)의 일측에서만 밀봉 면(192)과 결합한다. 밀봉 부재(132)의 대향 측은 홈(156)의 대략 편평한 외벽(178)에 대하여 받쳐져 있다. 맥주 고형물이나 다른 침전물은 밀봉 부재(132)와 홈(156)의 벽 사이에 축적될 수 있다. 밀봉 부재(132)의 모든 측에 대한 유체의 흐름은 밀봉 부재(132)로부터 이러한 물질을 흘러 보내는데 일조할 수 있지만, 밀봉 부재(132)에 대한 다른 디자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밀봉 부재(232)는 이러한 다른 하나의 디자인을 포함한다. 밀봉 부재(132)는 외벽(178)에 대해 라운드진 밀봉 면이 존재하고, 대략 라운드진 면과 외벽(178) 사이에서 대체로 좁은 밀봉을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축적되는 침전물 또는 다른 물질은 기밀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132)의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설명에 따른 급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유체는 이러한 침전물 문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잠재적인 침전물을 포함하는 이들 유체의 배출을 위하여, 밀봉 부재(232)는 외벽(178)에 대하여 보다 넓은 밀봉면을 제공하며, 이러한 물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밀봉의 형성에 일조한다.
더욱 넓은 밀봉 면을 제공함으로써, 밀봉 부재(232)는 보다 큰 면에 걸쳐 밀 봉을 형성하는 압력을 분포시킨다. 전체 밀봉력은 동일하게 유지될 있지만, 이는 보다 큰 영역에 걸쳐 분포되어 평당 인치당 밀봉력은 감소한다. 단위 면적당 큰 압력은 밀봉 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으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른 물질의 경화가 발생할 수 있고, 단위 면적당 압력의 감소는 경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조력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밀봉 부재의 가용 수명을 연장한다.
급수전(102, 22, 302, 402) 각각의 후방 단(108)의 인접부에는 마운트(mount)에 대하여 급수전의 위치결정 및 고정을 돕도록 이용될 수 있는 스플라인(510)의 내부 원주링(508)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플라인은 마운트의 대응 스플라인과 결합함으로써 급수전을 요구하는 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지향시킨 다음,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부(512)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예를 들면 록킹링에 의해 그 위치에 급수전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플라인은 일반적으로 스플라인 마운트와 결합하도록 후방 단(108)의 전체 원주에 대하여 형성되지만, 스플라인(510)은 다른 급수전 바디(5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내부 원주에 대하여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급수전 바디(502)의 스플라인(510)은 별개의 3개의 부분(504)에서 후방 단(108)의 내부 원주(506)에 대하여 위치된다. 약간 더 많은 수의 부분(504)이 내부 원주(506) 내에 이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대응 스플라인 마운트에 대해 설치함에 있어 급수전 바디(502)의 위치를 위치결정하고 고정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임은 알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은 다른 실시예의 비연속적인 구성의 스플라인(510)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예의 급수전 바디(520)는 급수전(102, 202, 302, 402)의 스플라인으 로부터 거리를 두 배로 이격시킨 스플라인(510)을 포함한다. 스플라인은 원주(506)에 대하여 대체로 연속하는 링을 형성하는 반면, 절반 수의 스플라인(510) 만이 포함된다.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통상의 다중의 이격 스플라인(510)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어떤 급수전을 수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마운트의 공통적인 이격 스플라인은 중심으로부터 중심까지 스플라인 사이가 대략 6도 정도이다. 도 52 및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중심까지의 스플라인의 이격은 대체로 12도이다.
또한, 도 53은 급수전(520) 내의 흐름 중심선 또는 축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급수전(102, 202, 302, 4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 중심선 또는 축(154)은 중앙 흐름 캐비티(152)를 통해 연장한다. 그러나 전방 개구(134) 인접부에서는 흐름 중심선(154)에 대해 경사진 중간 흐름 중심선 또는 축(522)이 형성된다. 중간 흐름 중심선(154)은 급수전 바디(520)가 갖는 흐름 중심선(154)에 대략 평행하게 흐르고, 앞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출관(304) 등의 분리가능한 배출관의 흐름 중심선 또는 축(164)에 대략 평행하게 흐르는 유체의 흐름 변화를 돕는다.
급수전 바디(520)와 배출관(304) 등의 배출관 내의 흐름 사이의 변화를 원활하게 하는 것은 유체의 방출을 도울 수 있고, 배출되는 유체의 난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원하지 않는 거품 생성이나 다른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급수전 바디(520)는 중간 중심선(522)에 대략 직교하는 전방 밀봉 면(524)을 포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전방 밀봉 면(524)은 중간 흐름 축(522)에 대해 대략 직교하게 경사지지만, 각도 경사진 지향성을 갖는 전방 밀봉 면(524)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예상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급수전의 생산 또는 제조에 일조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54는 다른 급수전(530)을 나타내고 있으며, 캐비티(152) 내에 흐름 중심선(154)을 갖는 급수전 바디(532) 및 전방 개구(134)에 인접하는 경사진 중간 흐름 중심선(522)을 포함한다. 흐름 중심선(154)과 대략 직교하는 전방 밀봉 면(526)이 제공된다. 분리가능한 배출관(528)은 개구(134)에 대하여 전방 밀봉 면(526)에 설치되며, 흐름 채널(164)을 형성한다. 중간의 경사진 흐름 중심선(522)이 급수전 바디(532) 내의 중심선(154)에 평행하는 흐름과 배출관(528) 내의 중심선(164)에 평행한 흐름으로부터 덜 급한 변화를 어떻게 제공하는지 알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은 급수전 바디 내의 흐름으로부터 배출관(600) 내의 흐름까지의 유체의 변화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약간 다른 접근법을 제공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변화 영역(160)에서의 배출관(600) 내에는, 유체가 제1단(158)으로 들어와 제2단(162)으로 흘러나감에 따라, 급수전 바디 내의 흐름 중심선(154)에 대략 평행하고, 흐름 중심선(164)에 대략 평행한 흐름의 변화를 돕도록 보다 점진적이고 완만한 곡선 내면(602)이 제공된다. 내면(602) 곡률의 정확한 프로파일(profile)은 일정한 반경, 타원 곡선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특성에 조화될 수 있는 다른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7, 도 58, 도 59 및 도 60은 각각 분리가능한 배출관(610, 6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관(610, 620)은 유체 흐름의 변화를 돕도록 대략 흐름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는 흐름 변류기를 제공한다. 배출관(610)의 변화 영역(160)에는 한 쌍의 흐름 변류기, 즉 흐름 중심선(154)에 대략 평행하는 제1 변류기(612) 및 흐름 중심선(164)에 대략 평행하는 제2 변류기(614)가 제공된다. 이 두 흐름 변류기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되거나 그 사이에서 흐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흐름 변류기는 변화 영역(160) 내에서 흐름의 변화를 돕도록 중심에 위치되는 면 또는 면들을 제공한다. 이는 중심선(164) 측으로의 흐름의 방향 전환을 제공하도록 변화 영역(160)의 외면(616)에만 단독적으로 의지하여 유체가 배출관(160) 내를 흐르도록 하는 최적인 경우보다 덜할 수 있다. 상기 흐름 변류기(612, 614)는 배출관(610)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방향 전환하도록 중앙에 위치되는 면을 제공하며, 배출관(610) 내의 압력 곡선을 향상시킨다. 유사하게, 배출관(620)은 그 배출관(620)의 흐름 중심선(164)에 대략 평행하는 단일 흐름 변류기(614)를 포함한다.
도 61은 급수전의 전방 단에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562)을 갖는 급수전(560)의 다른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급수전(56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내부적으로 대체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급수전(56)과 전술한 실시예들 간의 한 가지 다른 점은 분리가능한 배출관(562)을 급수전 바디(570)의 전방 단(568)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분리가능한 배출관(562)은 그 배출관(562)의 대향하는 측부를 따라 구멍을 통해 연장하고, 급수전 바디(570)의 대응하는 나사산 형성 개구와 결합하는 한 쌍의 스크류(564)에 의해 급수전 바디(57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새로운 관점을 독자에게 익숙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논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화,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관점들 및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설명된 개념의 변형 및 이에 상응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 및 이에 상응하는 것은 이에 첨부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30)
- 가압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급수전으로서,개방 제1단과 개방 제2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바디;상기 제1단과 제2단 사이에서 상기 바디를 통해 상기 캐비티로 연장하는 레버 개구;상기 레버 개구를 통해 상기 캐비티로 연장하며, 원위 단은 상기 캐비티 내에 위치되고, 근위 단은 상기 캐비티 외측에 위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며,상기 레버의 원위 단은 상기 제1단으로부터 상기 캐비티를 거쳐 상기 제2단을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단을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상기 레버의 원위 단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단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 내에서 밀봉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캐비티 내에 위치되는 시트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을 빠져나가는 유체에 대한 밀봉을 제공하며,상기 캐비티 내의 시트는 밀봉 부재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이루어져,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유체는 상기 밀봉 부재의 주위로 흐를 수 있어 상기 바디의 제2 단을 통해 흐르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개구 내에서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레버의 원위 단의 이동은 상기 레버의 근위 단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급수전.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레버는 상기 원위 단과 근위 단 사이에 위치되는 구형부를 포함하고.상기 구형부는 상기 바디의 레버 개구 내에 포획되게 유지되며,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원위 단의 이동은 상기 구형부에 대하여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급수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밀봉 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레버의 원위 단의 일부분은 그 형태가 구형 으로 이루어지는급수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레버의 원위 단의 구형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바디의 레버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급수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레버는 상기 원위 단과 근위 단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구형부를 포함하고,상기 중앙 구형부는 상기 바디의 레버 개구 내에 포획되게 유지되고,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원위 단의 이동은 상기 중앙 구형부에 대하여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고,상기 원위 단의 구형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중앙 구형부와 대략 동일한 반경을 형성하며,상기 레버의 원위 단은 상기 바디의 레버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밀봉 부재는 오-링으로 이루어지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레버와 결합하도록 위치되는 라운드진 측 및 상기 라운드진 측에 대향하는 대략 편평한 측을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편평한 측은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디의 제2 단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급수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관은 상기 바디의 제2단에 인접하는 제1단 및 상기 배출관의 제1단에 대향하는 제2단을 포함하고,상기 캐비티는 상기 바디의 제1단과 제2단 사이에서 유체에 대한 제1 흐름 축을 형성하고,상기 배출관의 제2단은 제2 흐름 축을 형성하며,상기 제1 흐름 축과 제2 흐름 축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는급수전.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1단으로부터 제2단으로 유체가 흐르는 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배출관의 내부는 상기 제1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부터 상기 제2단에 인접하는 상기 제2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 방향 전환하는 변화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변화 영역은 상기 배출관의 벽을 통해 연장하여 상기 벽을 통해 상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급수전.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변화 영역은 내부 가장자리 및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고,상기 통기구는 상기 내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을 통해 연장하는급수전.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변화 영역의 내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흐름 축과 제2 흐름 축 사이에서 휨 지점을 형성하고,상기 통기구는 상기 휨 지점과 상기 배출관의 제2 단 사이에 위치되는급수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바디의 제2단에 상기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유지시키는 해제가능한 클립을 더 포함하는급수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바디와 결합하며, 상기 바디에 상기 분리가능한 배출관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능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급수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분리가능한 배출관과 상기 바디의 제2단 사이에 위치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캐비티는 상기 바디의 제1단을 통하는 유체에 대한 제1 흐름 축 및 상기 바디의 제2단을 통해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제2 흐름 축을 형성하며,상기 제1 흐름 축과 상기 제2 흐름 축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는급수전.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바디의 캐비티는 상기 제1단으로부터 상기 제2단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캐비티의 내부는 상기 제1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부터 상기 제2단에 인접하는 상기 제2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으로 방향 전환하는 변화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변화 영역은 상기 바디의 벽을 통해 연장하여 상기 벽을 통해 상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급수전.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변화 영역은 내부 가장자리 및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고,상기 통기구는 상기 내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을 통해 연장하는급수전.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변화 영역의 내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흐름 축과 제2 흐름 축 사이에서 휨 지점을 형성하고,상기 통기구는 상기 휨 지점과 상기 배출관의 제2단 사이에 위치되는급수전.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바디의 제2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2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 흐름 축을 형성하는급수전.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 흐름 축을 따르는 흐름으로부터 상기 제2 흐름 축을 따르는 흐름으로 유체가 방향 전환되는 변화 영역 내에 중간 흐름 축을 더 포함하고,상기 중간 흐름 축은 상기 제1 흐름 축과 제2 흐름 축 모두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지는급수전.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변화 영역을 갖는 분리 가능한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상기 중간 흐름 축은 상기 바디와 상기 분리가능한 배출관 모두에 형성되는급수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개구에 인접하는 대향하는 한 쌍의 편평부를 포함하고,상기 바디의 레버 개구 내에서 상기 레버의 편평부와 결합하는 상기 레버에 대하여 U-클램프가 위치되며,상기 U-클램프는 상기 편평부와 결합하고, 장축에 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급수전.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U-클램프는 복수의 멈춤 위치를 포함하되,제1 멈춤 위치는 상기 레버의 제1 위치에 대응하고, 제2 멈춤 위치는 상기 레버의 제2 위치에 대응하며,상기 U-클램프는 상기 멈춤 위치 중 하나에 상기 레버를 분리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급수전.
- 가압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급수전으로서,후방 단과 전방 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당 단과 후방 단 사이에 형성되는 흐름 캐비티를 구비하는 바디;상기 바디를 통해 상기 후방 단으로부터 상기 전방 단을 거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바디를 통한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흐름 제어 레버;를 포함하며,상기 후방 단은 상기 캐비티의 중심선 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내주연을 구비하며,상기 스플라인은 상기 내주연에 대하여 비연속적으로 이격되는급수전.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스플라인은 그룹을 이루되, 전체적으로 상기 내주연에 대하여 이격된 둘 이상의 그룹이며, 상기 각 그룹 내에서 상기 스플라인은 대략 6도로 이격되는급수전.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스플라인은 상기 내주연에 대하여 대략 동일하게 분포되고, 대략 12도로 이격되는급수전.
- 가압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급수전으로서,후방 단과 전방 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단과 후방 단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흐름 축을 형성하는 흐름 캐비티를 구비하는 바디;상기 바디를 통해 상기 후방 단으로부터 상기 전방 단을 거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바디를 통한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흐름 제어 레버;상기 바디의 제1단에 설치되며, 제2 흐름 축을 형성하는 분리가능한 배출관;상기 제1 흐름 축과 상기 제2 흐름 축 사이에 형성되는 변화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배출관은 상기 변화 영역 내에 위치되는 흐름 변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 변류기의 일부분은 상기 제2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급수전.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관은 상기 변화 영역 내에 제2 흐름 변류기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2 흐름 변류기는 상기 제1 흐름 축에 대략 평행하는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358,739 | 2006-02-21 | ||
US11/358,739 US8066257B2 (en) | 2006-02-21 | 2006-02-21 | Faucet with floating seal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5282A true KR20080095282A (ko) | 2008-10-28 |
Family
ID=3842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2328A KR20080095282A (ko) | 2006-02-21 | 2007-02-21 | 플로팅 실 부재를 갖는 개선된 급수전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066257B2 (ko) |
EP (1) | EP1994318B1 (ko) |
JP (1) | JP5179385B2 (ko) |
KR (1) | KR20080095282A (ko) |
CN (1) | CN101426716B (ko) |
AU (1) | AU2007238478B2 (ko) |
BR (1) | BRPI0708121A2 (ko) |
CA (1) | CA2643007C (ko) |
RU (1) | RU2008134010A (ko) |
WO (1) | WO2007120984A2 (ko) |
ZA (1) | ZA2008069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71103B2 (en) * | 2008-06-19 | 2013-02-12 | Zajac Optimum Output Motors, Inc. |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high temperatur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KR101116953B1 (ko) * | 2009-05-14 | 2012-03-14 | 강남진 | 수도용 콕 |
JP5367472B2 (ja) * | 2009-06-15 | 2013-12-11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飲料注出コック |
US9249696B2 (en) | 2009-06-16 | 2016-02-02 | Zajac Optimum Output Motors, Inc. |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high temperature engines |
JP5601448B2 (ja) * | 2010-02-26 | 2014-10-08 | 株式会社ノーリツ | 飲料水供給装置 |
US8656952B2 (en) * | 2010-09-29 | 2014-02-25 | Perlick Corporation | Beverage faucet and flow reducer |
ITMI20102363A1 (it) * | 2010-12-22 | 2012-06-23 | Vin Service Srl | Rubinetto per l' erogazione di bevande |
KR101858926B1 (ko) | 2013-02-06 | 2018-05-18 | 삿뽀로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카란, 서버, 주출 부재 및 탈착 공구 |
AT515295B1 (de) * | 2013-09-17 | 2015-08-15 | Ramsauer Alfred | Bierzapfventil |
US10703620B1 (en) * | 2015-04-06 | 2020-07-07 | Steven P. Keeling | Beverage dispensing system |
US10144630B1 (en) | 2015-04-06 | 2018-12-04 | Steven P. Keeling | Beverage dispensing system |
JP2018161773A (ja) * | 2017-03-24 | 2018-10-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供給装置、液体吐出装置及び容器 |
IT201700037089A1 (it) | 2017-04-04 | 2018-10-04 | Illycaffe Spa | Assieme di erogazione di una bevanda fredda |
CN110925456B (zh) * | 2019-11-25 | 2024-07-05 | 广州麦百利科技有限公司 | 一种易清洗流体阀及啤酒机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6438A (en) * | 1894-03-13 | Faucet | ||
US1077387A (en) * | 1912-09-24 | 1913-11-04 | Jessie E Beggs | Beer-faucet. |
US2057231A (en) * | 1935-09-07 | 1936-10-13 | Lester J Dawson | Faucet |
US2169393A (en) * | 1938-01-17 | 1939-08-15 | American Tap Bush Company | Direct tapping faucet structure |
US2262062A (en) * | 1940-11-06 | 1941-11-11 | Strong Mfg Company | Faucet-type valve |
US2627388A (en) * | 1949-07-01 | 1953-02-03 | Weatherhead Co | Transfer check valve |
US3096001A (en) * | 1959-03-09 | 1963-07-02 | Boe | Pressure-packed polymerizable materials |
US3386700A (en) * | 1965-01-07 | 1968-06-04 | Gordon Z. Greene | Pressure seal bib |
GB1135971A (en) * | 1965-02-12 | 1968-12-11 | British Oxygen Co Ltd | Valve assembly and mechanism for dispensing liquids by gaseous pressure |
FR1567210A (ko) * | 1968-02-27 | 1969-05-16 | ||
FR2244948A1 (en) * | 1973-09-21 | 1975-04-18 | Guilbert Fils Anciens Ets Leon | Stop cock having special flow path for low rate setting - formed by recess in valve member |
IE43032B1 (en) | 1976-06-28 | 1980-12-03 | Murphy J & Co Ltd | Beer tap |
US4291821A (en) * | 1979-10-04 | 1981-09-29 | The Perlick Company, Inc. | Keg tapping system unit and valve interlock |
GB8430324D0 (en) * | 1984-11-30 | 1985-01-09 | Alumasc Ltd | Dispense tap |
US4621750A (en) * | 1985-04-12 | 1986-11-11 | The Meyer Company | Dispenser valve |
US4742942A (en) * | 1985-05-17 | 1988-05-10 | Anheuser-Busch Companies, Inc. | Foam producing malt beverage faucet |
IT206816Z2 (it) * | 1985-07-26 | 1987-10-01 | Carpigiani Bruto Mach | Dispositivo a pistone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fabbricazione di gelati |
JPH0632530Y2 (ja) * | 1986-08-15 | 1994-08-24 | 東洋ステンレス工業株式会社 | サニタリ−自動ガス抜き装置 |
US4685598A (en) * | 1986-09-02 | 1987-08-11 | The Perlick Company | Keg valve assembly improved for fast filling |
US4850388A (en) * | 1988-09-19 | 1989-07-25 | Accurate Gas Control Systems, Inc. | Double valve for emptying a cylinder |
US4942976A (en) * | 1988-10-17 | 1990-07-24 | Tapour, Inc. | Container closure with spigot valve |
DE3902527C1 (ko) * | 1989-01-28 | 1990-06-21 | Joachim 7100 Heilbronn De Mogler | |
SU1726885A1 (ru) | 1990-01-18 | 1992-04-15 | Казан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М.Горького |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
GB2247881A (en) * | 1990-09-17 | 1992-03-18 | Leer Koninklijke Emballage | Dispense heads |
JPH07293717A (ja) * | 1994-04-20 | 1995-11-10 | Hisaka Works Ltd | ボールバルブ |
EP0745556A1 (en) * | 1995-05-31 | 1996-12-04 | CELLI S.p.A. | Rapid connection head for pressurized containers in a drink dispenser |
US5794823A (en) * | 1996-07-31 | 1998-08-18 | Stainless One Dispensing Systems | Limited action flow control fluid dispenser |
JPH11325663A (ja) * | 1998-05-08 | 1999-11-26 | Matsushita Seiko Co Ltd | 膨張弁 |
US6109485A (en) * | 1998-06-16 | 2000-08-29 | Vent-Matic Co., Inc. | Self regulating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fluid ingress and egress from a transportable container which stores and distributes liquid under pressure |
US6435382B1 (en) * | 1999-07-09 | 2002-08-20 |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 Spigot assembly for container |
DE10107111B4 (de) * | 2001-02-14 | 2004-07-01 | Cmb Schankanlagen Gmbh | Zapfhahn für Getränke |
US6626420B2 (en) * | 2001-12-13 | 2003-09-30 | Vent-Matic Company, Inc. | Dispensing faucet for a pressurized source |
US6457614B1 (en) * | 2001-12-13 | 2002-10-01 | Vent-Matic Co., Inc. | Dispensing faucet for a pressurized source |
US7278454B2 (en) * | 2003-03-13 | 2007-10-09 | Laminar Technologies, Llc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
2006
- 2006-02-21 US US11/358,739 patent/US8066257B2/en active Active
-
2007
- 2007-02-21 AU AU2007238478A patent/AU2007238478B2/en active Active
- 2007-02-21 BR BRPI0708121-9A patent/BRPI0708121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2-21 CN CN200780006179.XA patent/CN101426716B/zh active Active
- 2007-02-21 RU RU2008134010/06A patent/RU2008134010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2-21 WO PCT/US2007/062504 patent/WO2007120984A2/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7-02-21 JP JP2008556527A patent/JP5179385B2/ja active Active
- 2007-02-21 CA CA2643007A patent/CA2643007C/en active Active
- 2007-02-21 KR KR1020087022328A patent/KR200800952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2-21 EP EP07778426.2A patent/EP1994318B1/en active Active
-
2008
- 2008-08-12 ZA ZA200806923A patent/ZA200806923B/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7238478B2 (en) | 2012-08-23 |
BRPI0708121A2 (pt) | 2011-05-17 |
CN101426716B (zh) | 2015-04-01 |
EP1994318A2 (en) | 2008-11-26 |
WO2007120984A3 (en) | 2008-11-06 |
WO2007120984A2 (en) | 2007-10-25 |
CA2643007C (en) | 2016-11-15 |
RU2008134010A (ru) | 2010-03-27 |
CA2643007A1 (en) | 2007-10-25 |
AU2007238478A1 (en) | 2007-10-25 |
JP5179385B2 (ja) | 2013-04-10 |
EP1994318B1 (en) | 2014-11-05 |
JP2009527713A (ja) | 2009-07-30 |
US20070194264A1 (en) | 2007-08-23 |
EP1994318A4 (en) | 2013-01-09 |
US8066257B2 (en) | 2011-11-29 |
ZA200806923B (en) | 2009-07-29 |
WO2007120984A8 (en) | 2008-07-10 |
CN101426716A (zh) | 2009-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95282A (ko) | 플로팅 실 부재를 갖는 개선된 급수전 | |
CN103003604B (zh) | 水管适配器 | |
EP1886200B1 (en) | Dispenser | |
AU774193B2 (en) | In-line basket filter and anti-siphon valve assembly for spray spout and the like | |
KR900004457B1 (ko) | 전환 밸브 | |
US10119259B2 (en) | Flow diverter with antisiphon | |
GB2425818A (en) | Set of components for the modular construction of an outlet assembly | |
US7090144B2 (en) | Water fountain attachment for a faucet | |
CA2271526C (en) | Vacuum breaker with buoyant float cup | |
US11028942B2 (en) | Fluid control valve | |
US8695898B2 (en) |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 |
US20100212750A1 (en) | High Purity Water System | |
US20050092377A1 (en) | Diverter valve assembly | |
KR20090081554A (ko) |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 |
DK2971898T3 (en) | fluid valve | |
AU2012101250B4 (en) | Improved faucet with floating seal member | |
KR100955798B1 (ko) | 캐비테이션 방지용 제수밸브 | |
KR101285706B1 (ko) | 나사식 새들 분수전 | |
EP3717710B1 (en) | Rotatable tap head device | |
MX2008010630A (es) | Grifo mejorado con miembro de sello flotante | |
KR200280252Y1 (ko) | 정수기용 밸브 구조 | |
JP4296863B2 (ja) | 流量調整弁 | |
AU2002100069A4 (en) | A diverter valve | |
JPH08178099A (ja) | 逆止弁装置 | |
AU2005202642A1 (en) | A fitting for a tap and a flow regulating valve incorporating said fit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