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717B1 -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717B1
KR101558717B1 KR1020137016024A KR20137016024A KR101558717B1 KR 101558717 B1 KR101558717 B1 KR 101558717B1 KR 1020137016024 A KR1020137016024 A KR 1020137016024A KR 20137016024 A KR20137016024 A KR 20137016024A KR 101558717 B1 KR101558717 B1 KR 10155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ndensed water
notches
notch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199A (ko
Inventor
사토시 하마구치
마도카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58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side by side or with individual headers, e.g. section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3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4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에서 최외측 하측 핀으로부터 응축수가 가능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기(1)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두개의 헤더 파이프(2), (3); 상기 헤더 파이프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상기 헤더 파이프와 연통하게 제공되는 냉각 통로(5)를 배치한 복수의 편평 튜브(4); 각 편평 튜브의 편평면에 장착된 복수의 핀(6); 및 상기 복수의 핀 중에서 더 외측을 향해 위치되는 핀(6aU), (6aD)의 외측에 부착되는 사이드 시트(10U), (10D)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사이드 시트(10D)는 상기 열교환기(1)에서 응축수가 모이는 측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11)를 갖는다. 상기 노치에는 여러 핀의 길이만큼 상기 핀의 간격 피치(P)를 커버하는데 충분한 폭이 각각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side-flow type parallel-flow heat exchanger)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병류 열교환기는 복수의 헤더 파이프 사이에 복수의 편평 튜브가 배열되어 상기 편평 튜브 내의 복수의 냉매 통로가 헤더 파이프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편평 튜브 사이에 코러게이트형 핀(corrugated fin)과 같은 핀이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병류 열교환기는 차량 공기 조화기, 건물용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병류 열교환기에서, 상기 코러게이트형 핀은 편평 튜브 사이에만 설치되거나, 이들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복수의 편평 튜브 중에서 각각 최외측에 위치되는 편평 튜브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후자의 예는 특허 문헌 1 내지 3에서 볼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열교환기는 편평 튜브가 수평으로 배열된 병류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 상기 편평 튜브 중 각 최외측 편평 튜브의 외측으로 향하는 편평면에도 코러게이트형 핀이 장착되고, 상기 코러게이트형 핀 중 각 최외측 코러게이트형 핀의 외측에 핀 보호용 사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열교환기도 편평 튜브가 수평으로 배열된 병류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 상기 편평 튜브 중 각 최외측 편평 튜브의 외측으로 향하는 편평면에도 코러게이트형 핀이 장착되고, 상기 코러게이트형 핀 중 각 최외측 코러게이트형 핀의 외측에 서로 교대로 적층되는 편평 튜브와 코러게이트형 핀으로 구성된 코어부를 보강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열교환기도 편평 튜브가 수평으로 배열된 병류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양 단부의 각각에서의 코러게이트형 핀 중 하나의 외부에 사이드 시트가 납땜된다.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된 표면에 대기 내의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수가 형성된다.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에서, 편평 튜브나 코러게이트형 핀의 표면에 응축수가 축적되면, 공기류 통로의 면적이 상기 응축수에 의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어 상기 응축수가 그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공기 온도가 낮은 경우, 응축수는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서리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서리는 얼음으로 바뀔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응축수"라는 용어는 이러한 서리나 얼음의 용해로 발생하는 물인 이른바 제상수(defrosted wat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구성에서와 같이, 각 최외측 핀의 외측에 제공된 사이드 시트를 포함하는 병류 열교환기가 헤더 파이프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편평 튜브가 수평으로 배열되는 이른바 측류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이용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시트 중 하측 사이드 시트에 의해 응축수가 유지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이 특허 문헌 4 및 5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열교환기에서, 아래로부터 본 경우, 하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코러게이트형 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노출부를 갖는다. 상기 노출부는 이러한 최외측 코러게이트형 핀의 외측에 위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도록 이루어진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열교환기에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이 바닥면 플레이트로서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하측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배수홀은 사이드 플레이트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크기와 개수로 제공된다.
JP-A-H5-79788 JP-A-2006-64194 JP-A-2007-139376 JP-A-2010-249388 JP-A-S61-223465
본 발명의 목적은,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에 있어서, 하측의 최외측 핀으로부터 응축수를 가능한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는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헤더 파이프; 상기 복수의 헤더 파이프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헤더 파이프의 내부와 연통하는 냉매 통로를 제각기 갖는 복수의 편평 튜브; 상기 복수의 편평 튜브의 편평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핀; 및 상기 복수의 핀 중 각 최외측에 위치되는 핀의 외측에 부착되는 사이드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사이드 시트들 중 하나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수 결집측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노치는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상기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상기 에지로부터 테이퍼(tapered)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는,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노치는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 상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에 형성된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깊이의 반을 넘는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 상에 형성된 노치 및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에 형성된 노치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는 벤딩(bending)에 의해 만곡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벤딩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벤딩 후에 볼록하게 되는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는, 벤딩 후에 오목하게 되는 에지에,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는 노치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각각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서, 깊이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는 상기 핀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핀은 응축수 결집측 및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상기 열교환기가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 하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핀 상에 응축수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열교환기의 하부까지 하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이러한 응축수가 신속하게 적하, 즉 신속하게 배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열교환기의 하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기초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핀의 간격 피치와 노치의 폭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핀의 간격 피치와 관통홀의 폭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1 도면이다.
도 9는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2 도면이다.
도 10은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3 도면이다.
도 11은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4 도면이다.
도 12는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5 도면이다.
도 13은 노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6 도면이다.
도 14는 관통홀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1 도면이다.
도 15는 관통홀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2 도면이다.
도 16은 관통홀의 형상을 설명하는 제3 도면이다.
도 17은 열교환기의 만곡부에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사이드 시트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난방 운전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냉방 운전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A-A 라인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은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 및 도 23의 각각에서, 도면의 상부측은 열교환기의 상측이고, 도면의 하부측은 열교환기의 하측이다. 열교환기(1)에 있어서, 2개의 수직한 헤더 파이프(2 및 3)가 수평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헤더 파이프(2 및 3) 사이에 복수의 수평 편평 튜브(4)가 수직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 각 편평 튜브(4)는 압출에 의해 성형된 세장형(elongated) 금속 부재이고, 그 내부에 냉매를 유통시키기 위한 냉매 통로(5)를 갖는다. 상기 편평 튜브(4)는 수평으로 설정되는 그의 길이 방향이기도 한 압출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냉매가 상기 냉매 통로(5)를 통해 흐르는 방향도 수평이 된다. 단면 형상 및 단면 면적이 동일한 복수의 냉매 통로(5)는 도 22의 깊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각 편평 튜브(4)의 수직 단면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모니카 형상을 갖는다. 각 냉매 통로(5)는 헤더 파이프(2 및 3)의 내부와 연통한다. 상기 편평 튜브(4)의 편평면에 핀(6)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핀(6)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코러게이트형 핀이 이용되고 있지만, 플레이트 핀도 이용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실제로 기기에 통합되는 단계에서, 상기 병류 열교환기(1)는 설계 관점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어, 엄밀한 의미의 "수직" 및 "수평"은 적용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상기 헤더 파이프(2 및 3), 편평 튜브(4), 및 핀(6)은 모두 알루미늄과 같은 양호한 열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평 튜브(4)는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헤더 파이프(2 및 3)에 고정되고, 상기 핀(6)은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편평 튜브(4)에 고정된다.
상기 핀(6)은 편평 튜브(4) 사이에 배치되어 각 핀(6)의 상하 단부의 양자는 상기 편평 튜브(4) 중 각 쌍의 인접한 상하 편평 튜브(4)의 편평면에 각각 고정된다. 당연히,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편평 튜브(4) 중 각 최외측(최상측 또는 최하측)에 위치되는 편평 튜브(4)의 외측으로 향하는 편평면에 배치된 핀의 상하 단부 중 하나만이 각 튜브의 편평면에 고정된다. 이후, 이러한 핀을 최외측 핀이라 한다. 상기 열교환기(1)의 상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핀은 참조 부호 6aU로 나타내고, 상기 열교환기(1)의 하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핀은 참조 부호 6aD로 나타낸다.
상기 최외측 핀(6aU)의 외측에 사이드 시트(10U)가 배치되고, 상기 최외측 핀(6aD)의 외측에 사이드 시트(10D)가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시트(10U 및 10D)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최외측 핀(6aU 및 6aD)에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1)는 측류형이고, 상기 헤더 파이프(3)에만 냉매 출입구(7 및 8)가 제공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3)에서, 두개의 칸막이 플레이트(9a 및 9c)가 수직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상기 헤더 파이프(2)에서, 상기 칸막이 플레이트(9a 및 9c)가 각각 제공되는 높이 사이의 중간 높이에 칸막이 플레이트(9b)가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기(1)가 증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냉매는 도 22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냉매 출입구(7)를 통해 유입된다. 상기 냉매 출입구(7)를 통해 들어간 냉매는 칸막이 플레이트(9a)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편평 튜브(4)의 일부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2)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흐름은 좌향의 블록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헤더 파이프(2)로 들어간 냉매는 칸막이 플레이트(9b)에 의해 차단되어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3)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흐름은 우향의 블록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헤더 파이프(3)로 들어간 냉매는 칸막이 플레이트(9c)에 의해 차단되어 또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2)로 다시 향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흐름이 다른 좌향의 블록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헤더 파이프(2)로 들어간 냉매는 반전되어 또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3)로 다시 향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흐름이 다른 우향의 블록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헤더 파이프(3)로 들어간 냉매는 냉매 출입구(8)를 통해 유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냉매는 지그재그 경로를 형성하며 열교환기(1)의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3개의 칸막이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단지 일례로 나타나 있지만, 상기 사용된 칸막이 플레이트의 수와 그 결과로 초래되는 반전되는 냉매 흐름의 회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가 응축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은 반대로 된다. 즉, 냉매는 도 22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 출입구(8)를 통해 헤더 파이프(3)로 들어간 후에 상기 칸막이 플레이트(9c)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편평 튜브(4)의 일부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2)로 향하게 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2)에서, 상기 냉매는 칸막이 플레이트(9b)에 의해 차단되어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3)로 향하게 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3)에서, 상기 냉매는 칸막이 플레이트(9a)에 의해 차단되어 또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2)로 다시 향하게 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2)에서, 상기 냉매는 반전되어 또 다른 편평 튜브(4)를 경유하여 헤더 파이프(3)로 다시 향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냉매는 다른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 출입구(7)를 통해 유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냉매는 지그재그 경로를 형성하며 열교환기(1)의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상기 열교환기(1)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헤더 파이프(2 및 3)의 양자에 냉매 출입구가 제공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헤더 파이프(2 및 3) 내에 칸막이 플레이트가 제공되지 않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열교환기(1)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기본 구조와 공통되는 구성요소는 도 22 및 도 23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교환기(1)가 증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1)의 냉각된 표면에 대기 내의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수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의 의도된 의미는 전술한 대로이다. 상기 열교환기(1)와 같은 병류 열교환기에서, 편평 튜브나 핀의 표면에 응축수가 축적되면, 공기류 통로의 면적이 상기 응축수에 의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열교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는 측류형이고, 상부의 편평 튜브(4)나 핀(6) 상에 형성된 응축수가 이로부터 차례로 하부의 편평 튜브(4)나 핀(6)까지 아래로 흐르므로, 최외측 핀(6aD)은 응축수의 축적이 가장 쉽게 생기는 개소가 된다.
상기 축적된 응축수는 열교환기(1)의 공기류 통로의 면적을 좁히고, 이에 따라 통풍을 저해하여 열교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통합되는 경우, 외부 공기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지면, 응축수는 동결되어 상기 열교환기(1)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1)에 형성된 응축수는 가능한 신속하게 배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의 하부에 위치된 사이드 시트(10D)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사이드 시트(10D)에는, 열교환기(1)에서 응축수 결집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11)가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기(1)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통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1)의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응축수가 결집된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서이다. 즉, 실외기에서, 상기 열교환기(1)는 기울어지지 않고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가 (예를 들면, 난방 운전에서와 같이) 증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바람이 불어가는 측보다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서 열교환이 더 활발히 행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응축수가 축적된다. 그러므로, 상기 바람이 불어오는 측이 응축수 결집측이 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통합되게 설계되고, 그의 길이를 따라 일부 지점에 하나의 만곡부(1a)를 갖고, 이에 따라 대략 L자형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만곡부(1a)의 볼록측은 실외기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측이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각각에서, 도면의 하측은 응축수 결집측이 되고, 상기 사이드 시트(10D)는 이러한 측의 에지에 형성된 노치(11)를 갖는다.
상기 개별적인 노치(11)는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사이드 시트(10D)의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으로서, V자 형상이 선택적으로 채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치(11)의 최광부는 상기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 연장되는 폭(W1)을 갖는다.
상기 노치(11)는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으로부터 테이퍼지므로, 상기 각 노치(11)의 에지와 접촉함에 따라 응축수는, 도 8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노치(11)의 안쪽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노치(11)의 최심 지점에서, 상기 응축수의 흐름이 합쳐져서 액적을 형성한다. 이러한 액적은 빠르게 성장하여 적하, 즉 배수된다. 상기 노치(11)는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 연장되는 폭을 가지므로, 응축수가 결집하여 큰 액적을 형성하는데 단지 짧은 시간이 소요되어, 응축수의 효율적인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노치(11)의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임의의 여러 형상 또는 그 이외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노치(11)는 반원 형상 또는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그의 깊이 방향으로 각도를 갖지는 않지만,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테이퍼지는 조건을 만족한다.
도 10에 도시된 노치(11)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180°보다 작은 각도와 90°보다 큰 각도의 두 각도, 즉 두개의 둔각(11a)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그의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테이퍼지는 조건도 만족한다.
도 11에 도시된 노치(11)는 역전된 M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90°보다 작은 두 각도, 즉 두개의 예각(11b)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그의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테이퍼지는 조건도 만족한다.
도 12에 도시된 노치(11)는 역전된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각 노치(11)는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제공된 노치의 입구에서 감소되며 상기 입구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증가하는 폭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노치(11)는 90°보다 작은 두 각도, 즉 두개의 예각(11b)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그의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조건을 만족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형상 중에서 노치(11)가 어떤 형상을 갖든, 상기 각 노치(11)의 에지와 접촉함에 따라, 응축수는 각 노치(11)의 안쪽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노치(11)의 최심 지점에서, 상기 응축수의 흐름이 합쳐져서 큰 액적을 형성한 후에 적하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시트(10D)에는, 열교환기(1)에서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도,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12)가 제공된다. 즉, 상기 사이드 시트(10D)는 그의 양측의 에지에 형성된 노치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의 각각에서, 도면의 상측은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이 된다. 상기 열교환기(1)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통합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은 열교환기(1)의 바람이 불어가는 측이 된다. 상기 노치(11)와 유사하게, 상기 노치(12)는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져서,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로부터 테이퍼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노치(11)와 노치(12)는 동일한 형상(V자 형상) 및 크기를 갖지만,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노치(12)는 노치(11)와 다른 형상(도 9 내지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임의의 형상 또는 그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노치(11)와 노치(12) 사이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통합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시트(10D)에는, 열교환기(1)에서 응축수 결집측(바람이 불어오는 측)과 반대측(바람이 불어가는 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도, 노치(12)가 제공되므로,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양측의 에지에 노치가 형성된다. 이는 사이드 시트(10D)의 응축수 배수 능력을 더 향상시켜서, 상기 최외측 핀(6aD)에서의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 시트(10D)에는, 열교환기(1)에서 응축수 결집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 및 그의 반대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노치가 제공되는 구성, 다시 말해서 상기 사이드 시트(10D)가 사이드 시트(10D)의 양측의 에지에 형성된 노치를 갖는 구성을 채용하였지만, 상기 사이드 시트(10D)는 응축수 결집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만 형성된 노치를 갖는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노치(11 및 12)는 사이드 시트(10D)의 깊이의 반을 넘는 각 깊이를 갖는 정도로 증가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사이드 시트(10D)는 도 13에 도시된 형상을 가져서, 상기 최외측 핀(6aD)으로부터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되게 한다.
도 13에서, 상기 각 노치(11)가 각 노치(12)에 대하여 엇갈리도록 노치(11 및 12)가 배열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노치(12)에 대하여 두개씩의 노치(11)가 엇갈리도록 상기 노치(11 및 12)가 배열되는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시트(10D)는 노치(11 및 12)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사이드 시트(10D)의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13)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노치(11)와 노치(12) 사이의 부분에 복수의 관통홀(13)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은 세장형 원형(경주트랙형 원형)을 갖고, 이의 세로 축은 편평 튜브(4)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W2)을 갖는다.
상기 관통홀(13)이 존재하므로, 상기 최외측 핀(6aD)에 축적된 응축수의 배수는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관통홀(13)의 형상은 세장형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타원 형상과 같은 여러 형상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의 형상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세장형 원형 형상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각도가 없는 형상만은 아니다.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형상이 상기 관통홀(13)의 형상으로서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각 관통홀(13)은 그의 4군데 코너의 각각이 직각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마름모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각 관통홀(13)은 그의 하나의 대각선 축 상에 180°보다 작고 90°보다 큰 두 각도, 즉 두개의 둔각을 갖고, 상기 하나의 대각선 축과 직교하는 다른 대각선 축 상에 90°보다 작은 두 각도, 즉 두개의 예각을 갖는다.
전술한 형상에서와 같이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관통홀(13)에 의해, 응축수의 흐름이 함께 합쳐지는 각도를 향해 응축수가 가이드되어 큰 액적을 형성한 후에 적하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된다.
상기 관통홀(13)은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반드시 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상기 관통홀(13)을 설정하면 다량의 응축수를 응집시켜서 배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사이드 시트(10D)는 관통홀(13)을 갖지만 노치(11 및 12)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사이드 시트(10D)도 상기 최외측 핀(6aD)으로부터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최외측 핀(6aD)의 깊이 방향으로, 즉 통풍 방향으로 상기 최외측 핀(6aD)의 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폭을 비교하면,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폭이 최외측 핀(6aD)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가 결집측과 그 반대측의 각각의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외측으로 상기 최외측 핀(6aD)이 노출된다. 따라서, 노출된 부분이 존재하고, 이러한 노출부가 배수구로서 작용하여, 상기 최외측 핀(6aD)으로부터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된다. 상기 사이드 시트(10U)의 폭은 최외측 핀(6aU)보다 작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사이드 시트(10U)의 폭은 최외측 핀(6aU)과 같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는 그의 길이를 따라 일부 지점에 하나의 만곡부(1a)를 갖고, 이에 따라 대략 L자형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열교환기(1)가 선형 형상의 편평 튜브(4)를 이용하여 형성된 후, 상기 만곡부(1a)는 열교환기(1)를 벤딩하여 형성되고, 이러한 벤딩 가공은 노치(11)를 형성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7의 하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되는 사이드 시트(10D)의 일부에는, 벤딩 후에 볼록하게 되는 상기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절삭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14)이 제공된다. 벤딩의 결과로서, 상기 슬릿(14)은 도 17의 상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개구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노치(11)를 구성한다. 이는 노치(1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시트(10D)에는 벤딩 후에 오목하게 되는 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노치(12)가 제공된다. 상기 벤딩에 의해 노치(12)의 개방 각도가 감소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기 노치(12)가 사이드 시트(10D)의 비벤딩부에서 같은 개방 각도를 갖도록, 즉 상기 핀(6)의 간격 피치(P)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상기 노치(12)가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치(12)는 넓은 사전 벤딩 각도를 갖는 V자 형상을 갖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열교환기(1)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9는 열교환기(1)가 실외기에 통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외기(20)는 대략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판금 하우징(20a)을 포함하고, 상기 판금 하우징(20a)의 장변측은 정면(20F) 및 배면(20B)으로 구성되고, 그의 단변측은 좌측면(20L) 및 우측면(20R)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면(20F)에는 배기구(21)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20B)에는 배면 흡기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20L)에는 측면 흡기구(23)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21)는 복수의 수평 슬릿형 개구의 어셈블리이고, 상기 배면 흡기구(22)와 측면 흡기구(23)는 격자형 개구이다. 상기 정면(20F), 배면(20B), 좌측면(20L), 및 우측면(20R)인 4개의 판금 부재는 미도시된 상하 패널과 함께 박스형 하우징(20a)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0a)에서, 상기 배면 흡기구(22) 및 측면 흡기구(23)의 바로 내측에 L자형 열 평면을 갖는 열교환기(1)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와 실외 공기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와 배기구(21) 사이에 송풍기(24)가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24)는 전동기(24a)에 프로펠러 팬(24b)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a)에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면(20F)의 내면 상에, 프로펠러 팬(24b)을 둘러싸도록 벨 마우스(bell mouth)(25)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20a)은 배면 흡기구(22)로부터 배기구(21)로 흐르는 공기류로부터 격벽(26)에 의해 격리되는 우측면(20R)에 대한 내측의 공간을 포함하고, 이 공간에 압축기(27)가 수용된다.
상기 실외기(20)의 열교환기(1)에 형성된 응축수는 공기류 통로의 면적을 좁게하여, 열교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실외 공기 온도가 빙점 아래로 유지되는 한랭 환경에서, 이러한 응축수는 동결될 수 있어서 열교환기(1)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20)에서, 상기 열교환기(1)로부터의 응축수 배수는 중요한 문제이다.
전술한 이유에 의해, 상기 실외기(20)에서, 상기 열교환기(1)의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응축수가 결집된다.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 형성된 응축수는 바람이 불어가는 측으로 좀처럼 흐르는 일이 없지만 바람이 불어오는 측의 열교환기(1)의 하부에 직접 도달하게 된다. 실외 공기 온도가 낮은 경우, 응축수는 서리의 형태로 열교환기(1)에 동결된다. 증가된 서리의 양은 제상 운전을 필요하게 만든다. 제상 운전시, 상기 송풍기(24)는 작동이 정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서리가 녹은 물은 바람의 영향 없이 중력으로 인해 주로 하방향으로 축적된다. 이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1)의 하부에서의 사이드 시트(10D)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에 따라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수되고 이는 응축수의 축적으로 야기되는 폐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최외측 핀(6aD)의 외측에 부착된 사이드 시트(10D)에는, 응축수 결집측의 사이드 시트(10D)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11)가 제공된다. 상기 각 노치(11)는 핀의 간격 피치보다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의 하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핀(6aD)에 응축수가 형성되는 것 또는 상기 열교환기(1)의 상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최외측 핀(6aD)까지 하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상정하면, 상기 응축수는 각 노치(11)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응집하고, 이에 따라 신속하게 적하, 즉 배수된다. 이는 열교환기(1)의 하부에 위치되는 최외측 핀(6aD)에 응축수가 축적되어 통풍 특성이 손상되고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및 21은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열교환기(1)가 통합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서, 실외기는 압축기, 사방 밸브, 팽창 밸브, 실외측 열교환기, 실외측 송풍기 등을 포함하고, 실내기는 실내측 열교환기, 실내측 송풍기 등을 포함한다. 난방 운전에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냉방 운전에서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난방 운전에서,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냉방 운전에서는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도 20은 냉동 사이클로서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히트 펌프 사이클(101)은 압축기(102), 사방 밸브(103), 실외측 열교환기(104), 감압 팽창 장치(105), 및 실내측 열교환기(106)를 루프 형태로 접속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102), 사방 밸브(103), 열교환기(104) 및 감압 팽창 장치(105)는 실외기(110)의 하우징에 수용되고, 열교환기(106)는 실내기(120)의 하우징에 수용된다. 상기 열교환기(104)는 실외측 송풍기(107)와 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106)는 실내측 송풍기(108)와 조합된다. 상기 송풍기(107)는 취출(blow-off)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펠러 팬(107a)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108)는 취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크로스 플로우 팬(108a)을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108a)은 열교환기(106) 아래에 배치되고, 그의 축선은 수평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실내기의 열교환기(106)의 구성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6)는 송풍기(108)를 커버하는 루프 형태로 마련된 3개의 열교환기(106A, 106B 및 106C)로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06A, 106B 및 106C)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열교환기(1)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은 난방 운전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102)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실내측 열교환기(106)로 들어가서, 방열하고 응축한다. 상기 감압 팽창 장치(105)를 경유하여, 상기 열교환기(106)에서 유출된 냉매는 실외측 열교환기(104)로 들어가서, 팽창하고 실외 공기로부터 열을 받은 후에 상기 압축기(102)로 돌아온다. 상기 실내측 송풍기(108)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열교환기(106)로부터 방열을 촉진하고, 상기 실외측 송풍기(107)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열교환기(104)에 의한 흡열을 촉진한다.
도 21은 냉방 운전시 또는 제상 운전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사방 밸브(103)가 전환되어 난방 운전시의 방향으로부터 냉매의 흐름 방향을 반대로 바꾼다. 즉, 상기 압축기(102)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실외측 열교환기(104)로 들어가서 방열하고 응축한다. 상기 감압 팽창 장치(105)를 경유하여,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유출된 냉매는 실내측 열교환기(106)로 들어가서 팽창하고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받은 후에 상기 압축기(102)에 돌아온다. 상기 실외측 송풍기(107)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열교환기(104)로부터의 방열을 촉진하고, 상기 실내측 송풍기(108)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열교환기(106)에 의한 흡열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가 실내기의 열교환기(106)의 구성요소로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1)의 자세에 따라 하면일 수도 있는 상기 열교환기(1)의 바람이 불어가는 측의 열교환기(1)의 표면에 응축수가 결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의 이용을 통해, 응축수가 형성된다고 해도 상기 응축수는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수가 스플래시되어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108a)을 넘어 적하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일체형 공기 조화기에 적용가능하다.
1: 열교환기
2, 3: 헤더 파이프
4: 편평 튜브
5: 냉매 통로
6: 핀
6aU, 6aD: 최외측 핀
10U, 10D: 사이드 시트
11, 12: 노치
13: 관통홀
20: 실외기
110: 실외기
120: 실내기

Claims (12)

  1.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로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헤더 파이프;
    상기 복수의 헤더 파이프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헤더 파이프의 내부와 연통하는 냉매 통로를 제각기 갖는 복수의 편평 튜브;
    상기 복수의 편평 튜브의 편평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핀; 및
    상기 복수의 핀 중 각 최외측에 위치되는 핀의 외측에 부착되는 사이드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사이드 시트들 중 하나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수 결집측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노치는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측류형 병류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상기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18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형상을 갖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상기 에지로부터 테이퍼(tapered)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는,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의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노치는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 상에 형성된 노치 또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에 형성된 노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깊이의 반을 넘는 깊이를 갖는, 열교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결집측 상에 형성된 노치 및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 상에 형성된 노치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는 벤딩(bending)에 의해 만곡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벤딩되는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벤딩 후에 볼록하게 되는 에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이 제공되는, 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에는, 벤딩 후에 오목하게 되는 에지에,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가 제공되는,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는 노치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갖는,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핀의 간격 피치의 복수 배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깊이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시트들 중 상기 하나는 상기 핀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핀은 응축수 결집측 및 상기 응축수 결집측의 반대측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열교환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상기 열교환기가 통합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KR1020137016024A 2010-12-22 2011-11-11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 KR10155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6627 2010-12-22
JP2010286627A JP5009413B2 (ja) 2010-12-22 2010-12-22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PCT/JP2011/076022 WO2012086333A1 (ja) 2010-12-22 2011-11-11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99A KR20140018199A (ko) 2014-02-12
KR101558717B1 true KR101558717B1 (ko) 2015-10-07

Family

ID=4631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024A KR101558717B1 (ko) 2010-12-22 2011-11-11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40187A1 (ko)
JP (1) JP5009413B2 (ko)
KR (1) KR101558717B1 (ko)
CN (1) CN103261828B (ko)
WO (1) WO2012086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8478B2 (ja) * 2012-09-04 2016-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CN103411281B (zh) * 2012-12-29 2015-10-28 泰铂(上海)实业有限公司 汽车空调室内机用u形状加热制冷芯体
US20150211807A1 (en) * 2014-01-29 2015-07-30 Trane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with Fluted Fin
JP2015157507A (ja) * 2014-02-21 2015-09-03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車両用空調装置
CN103925742B (zh) * 2014-04-18 2016-06-29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换热器及其制造方法、换热模块、换热装置和热源单元
JP6361452B2 (ja) * 2014-10-16 2018-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蒸発器
CN216432657U (zh) * 2018-12-18 2022-05-03 三菱电机株式会社 热交换器
FR3116593B1 (fr) 2020-11-20 2023-02-10 Cinier Radiateurs Terminal mural de climatisation réversible vertical antivir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388A (ja) * 2009-04-15 2010-11-04 Sharp Corp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7956A (en) * 1969-03-07 1971-08-10 Trane Co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fin-and-tube heat exchanger having a bend formed therein
JPS63154981U (ko) * 1987-03-30 1988-10-12
US4917180A (en) * 1989-03-27 1990-04-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laminated header and tan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2287094A (ja) * 1989-04-26 1990-11-27 Zexel Corp 熱交換器
JPH04340031A (ja) * 1991-05-16 1992-11-26 Sharp Corp 空調機用熱交換器
CA2215173C (en) * 1997-09-11 2004-04-06 Thomas F. Seiler Stepped dimpled mounting brackets for heat exchangers
JP2000241093A (ja) * 1999-02-24 2000-09-08 Daikin Ind Ltd 空気熱交換器
FR2811416B1 (fr) * 2000-07-05 2003-04-18 Const Aero Navales Echangeur de chaleur du type a deux voies d'ecoulement de fluide
JP4193741B2 (ja) * 2004-03-30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FR2873434B1 (fr) * 2004-07-20 2017-12-29 Valeo Thermique Moteur Sa Echangeur de chaleur muni de joues
JP4604759B2 (ja) * 2005-02-22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EP1869390A1 (de) * 2005-04-05 2007-12-26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20070169922A1 (en) * 2006-01-24 2007-07-26 Pautler Donald R Microchannel, flat tube heat exchanger with bent tube configuration
US7699095B2 (en) * 2006-03-29 2010-04-20 Delphi Technologies, Inc. Bendable core unit
JP5125344B2 (ja) * 2006-09-29 2013-01-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4334588B2 (ja) * 2007-10-04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器
JP2010025477A (ja) * 2008-07-22 2010-02-04 Daikin Ind Ltd 熱交換器
JP5550106B2 (ja) * 2009-03-17 2014-07-16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の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388A (ja) * 2009-04-15 2010-11-04 Sharp Corp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09413B2 (ja) 2012-08-22
CN103261828B (zh) 2015-11-25
US20130240187A1 (en) 2013-09-19
CN103261828A (zh) 2013-08-21
JP2012132644A (ja) 2012-07-12
WO2012086333A1 (ja) 2012-06-28
KR20140018199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17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
US888752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exchanger mounted therein
EP3279598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507985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336914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WO2016013100A1 (ja) 熱交換器およ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調冷凍装置
US11175053B2 (en)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8627881B2 (en) Heat exchanger fin including louvers
JP2004271113A (ja) 熱交換器
JP2014043985A (ja)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499530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2037092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2010091145A (ja) 熱交換器
WO2021234953A1 (ja) 熱交換器、熱交換器を備えた室外機、および、室外機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WO2018040037A1 (zh) 微通道换热器及风冷冰箱
WO2018040036A1 (zh) 微通道换热器及风冷冰箱
JP6590957B2 (ja) 冷凍装置
JP7150157B2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8020552A1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WO2020021706A1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009409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7353483B2 (ja) 熱交換器及び該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21095452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1047600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WO2012056790A1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