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09B1 -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기 및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공급 구역 요소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기 및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공급 구역 요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7209B1 KR101557209B1 KR1020137020074A KR20137020074A KR101557209B1 KR 101557209 B1 KR101557209 B1 KR 101557209B1 KR 1020137020074 A KR1020137020074 A KR 1020137020074A KR 20137020074 A KR20137020074 A KR 20137020074A KR 101557209 B1 KR101557209 B1 KR 101557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ngitudinal
- wall
- transverse wall
- walls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1/20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an abrasion-resistant conveyor or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33—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feed accelerator inside the conveying screw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원심 분리기는 컨베이어 본체 내부에서 근위 횡단 벽(36) 및 원위 횡단 벽(38)을 포함하는 유입 챔버(42)를 갖는다. 길이방향 벽들(40)이 근위 횡단 벽(36)과 원위 횡단 벽(38) 사이에서 연장한다. 근위 횡단 벽(36)은 중앙 개구부(41)를 포함하고, 공급 포트들(44)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40) 사이에 존재한다. 횡단 벽들(36, 38) 및 길이방향 벽들(40)이 내부 표면들(36a, 38a, 40a)을 갖는다. 공급 경로가 중앙 개구부(41)로부터 유입 챔버(42)를 통과하여 그리고 공급 포트(44)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한다. 상기 공급 포트들(44)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내마모성 부재들(46, 54, 68)이 상기 공급 경로로부터 길이방향 벽들(40) 및 원위 횡단 벽(38)의 내부 표면들(38a, 40a)을 완전히 스크리닝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52)을 갖는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원심 분리기, 특히 디캔터 원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원심 분리기는: 사용 중에 바람직하게 수평 회전 축 주위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이 상기 회전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회전 본체는 보울(bowl) 및 상기 보울 내에서 동축적으로 배열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용 중에 상기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권선을 지지하는(carrying) 코어 본체를 포함하고, 유입 챔버가 상기 코어 본체 내에 제공되고, 분리 챔버가 상기 보울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상기 코어 본체의 외측 원주에 의해서 방사상 내측으로 제한되며, 상기 유입 챔버는 2개의 횡단(cross) 벽들, 즉 근위 횡단 벽 및 원위 횡단 벽, 및 상기 근위 횡단 벽과 상기 원위 횡단 벽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횡단 벽은 상기 유입 챔버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중앙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챔버로부터 상기 분리 챔버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공급 포트들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횡단 벽들 및 길이방향 벽들이 상기 코어 본체의 외측 원주 내의 내부 표면들을 가지며, 상기 내부 표면들이 상기 유입 챔버와 대면하며, 공급 경로가 상기 중앙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입 챔버를 통과하여 그리고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한다.
추가적으로, 본원 발명은 원심 분리기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코어 본체 내에 장착하기 위한 공급 구역 요소에 관한 것이다.
WO-A-03/076078는 전술한 디캔터 원심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마모 보강부 또는 내마모성 부재들이 엣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공되며, 상기 원심기의 동작 중에 상기 엣지 위에서 공급 재료가 유입 챔버로부터 분리 챔버 내로 유동한다.
US-A-3 568 920은 함께 볼트로 체결된 부분들로 형성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는 디캔터 원심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하나의 부분은 유입 챔버를 구성하는 단일체의(monolithic) 삽입체이고, 그리고 부싱들이 삽입체 또는 유입 챔버로부터 스크류 컨베이어와 보울 사이의 분리 챔버로 연장되는 도관들을 제공한다. 삽입체 및 부싱들은 바람직하게 무심 경화(through hardening)에 적합한 스틸과 같은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다. 함께 볼트로 체결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분해함으로써, 삽입체 및 부싱들이 마모된 경우에 이러한 삽입체 및 부싱들이 비교적 용이하게 교환된다.
JP-A-9 239291은 유입 챔버 및 상기 유입 챔버와 분리 챔버 사이의 길이방향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는 디캔터 원심기를 개시한다. 유입 챔버는 격벽 또는 구획부에 의해서 유입 구역 및 드레인 구역으로 분할된다. 유입 구역(및 드레인 구역) 내부에서, 재료가 유입 챔버 내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사진 평면 성분들"이 제공된다. "경사진 평면 성분들"은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내부 표면들이 내마모성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입 구역의 단부 벽이 내마모성 플레이트에 의해서 커버된다.
본원 발명자들은, 특정 공급 재료들을 이용한 디캔터 원심기의 동작 중에 유입 챔버 전체를 통해서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두의 문단에서 언급한 디캔터 원심기에 의해서, 본원 발명에 따라서 달성되며, 상기 디캔터 원심기는, 공급 포트들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내마모성 부재들이 공급 경로로부터 길이방향 벽들 및 원위 횡단 벽의 내부 표면들을 완전히 스크리닝하는 것(fully screen), 그리고 내마모성 부재들이 각각의 길이방향 벽에서 길이방향 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가 상기 길이방향 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 및 상기 원위 횡단 벽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의 곡선이 전체적으로 곡선형이고 그리고 직선형 섹션들뿐만 아니라 곡선형 섹션들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이 또한 공급 경로로부터 근위 횡단 벽의 내부 표면을 완전히 스크리닝한다. 본원 발명의 적용에 의해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수명 전체에 걸쳐서, 표면 마모로 인해서 스크류 컨베이어를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급 포트들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마모성 부재들이 공급 포트들을 통한 그들의 삽입을 허용하는 치수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부재의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이 길이방향 벽의 내부 표면을 스크리닝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벽 부재가 근위 횡단 벽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다른 플랜지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의 플랜지 부분들이 서로 결합된다. 그에 의해서, 길이방향 벽들의 수에 상응하는 유사한 수의 내마모성 부재들을 이용하여 유입 챔버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내부 표면을 커버할 수 있을 것이고, 이때 횡단 벽들의 중앙 영역들이 예외적으로 커버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마모성 부재들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 사이에 위치된 횡단 벽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횡단 벽 부재들은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의 플랜지 부분들과 결합된다. 그에 의해서, 개별적인 내마모성 부재들이 보다 작을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작은 것이 이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은 적어도 횡단 벽들 중 하나에서 중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중앙 부재를 중앙에서 통과하여 연장하며, 상기 중앙 부재는 인접한 플랜지 부분들 또는 횡단 벽 부재들과 결합된다. 이는, 횡단 벽들의 중심들을 제외하고, 길이방향 벽들 및 횡단 벽들을 커버하는 내마모성 부재들의 대칭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튜브형 중앙 부재가 중앙 개구부를 통해서 연장하고, 상기 튜브형 중앙 부재는 상기 유입 챔버 내부의 통합된 플랜지 및 상기 유입 챔버 외부의 차단 부재를 지지한다. 내마모성 부재들의 위치들이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록킹되는 실시예에서, 튜브형 중앙 부재가 최종 브릭(brick)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상기 튜브형 중앙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차단 부재가 내마모성 부재들의 전체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마모성 부재가 횡단 벽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횡단 벽 부분 및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스크리닝하는 2개의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의 위치들이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록킹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내마모성 부재의 위치가 차단 부재에 의해서 록킹된다. 그에 의해서, 내마모성 부재들의 기계적인 또는 기하형태적인 록킹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 인접한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조인트들이 내마모성 충전재들로 충전된다. 그에 따라, 연마성 공급 재료가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에서 챔버의 내부 표면들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한편으로 횡단 벽들 및 길이방향 벽들의 내부 표면들과 다른 한편으로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간극들이 접착제와 같은 충전재로 충전된다. 그에 따라, 내마모성 부재들이 추가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덜걱거림(rattling)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상호 결합하는 내마모성 부재들의 인접한 엣지들이 서로 중첩된다. 이는, 내마모성 부재들의 기하형태적인 록킹을 돕고 그리고 연마성 공급 재료가 인접한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이, 텅스텐 탄화물과 같은 내마모성 재료들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내마모성 재료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은 본원 발명에 따라 원심 분리기, 특히 디캔터 원심기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코어 본체 내에 장착하기 위한 공급 구역 요소에 의해서 달성되고, 상기 원심 분리기는 사용 중에 바람직하게 수평 회전 축 주위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이 상기 회전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회전 본체는 보울 및 상기 보울 내에서 동축적으로 배열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용 중에 상기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권선을 지지하는 코어 본체를 포함하고, 분리 챔버가 상기 보울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상기 코어 본체의 외측 원주에 의해서 방사상 내측으로 제한되며, 상기 유입 챔버는 상기 공급 구역 요소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유입 챔버는 2개의 횡단 벽들, 즉 근위 횡단 벽 및 원위 횡단 벽, 및 상기 근위 횡단 벽과 상기 원위 횡단 벽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횡단 벽은 상기 유입 챔버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중앙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챔버로부터 상기 분리 챔버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공급 포트들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횡단 벽들 및 길이방향 벽들이 상기 코어 본체의 외측 원주 내의 내부 표면들을 갖고, 상기 내부 표면들이 상기 유입 챔버와 대면하며, 공급 경로가 상기 중앙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입 챔버를 통과하여 그리고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공급 포트들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내마모성 부재들이 공급 경로로부터 원위 횡단 벽 및 길이방향 벽들의 내부 표면들을 완전히 스크리닝하고, 그리고 내마모성 부재들이 각각의 길이방향 벽에서 길이방향 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가 상기 길이방향 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 및 상기 원위 횡단 벽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급 구역 요소는 기존의 원심기 내에서 개량될(retrofitted)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의 예들로서 본원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디캔터 원심기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섹션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선 IV-I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내마모성 부재의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내마모성 부재의 다른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원위 중앙 부재의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원위 중앙 부재의 다른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 4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섹션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선 IV-I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내마모성 부재의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내마모성 부재의 다른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원위 중앙 부재의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원위 중앙 부재의 다른 경사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 4 실시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원심 분리기, 즉 디캔터 원심기를 도시하고, 상기 원심 분리기는 사용 중에 회전 방향(6)을 따라서 수평 회전 축(4) 주위의 회전되는 회전 본체(2)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상기 회전 본체(2)는 보울(8) 스크류 컨베이어(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는 나선형 권선(14)을 지지하는 코어 본체(12)를 갖는다. 상기 코어 본체(12)는 유입 구역(16) 및 드레인 구역(18)을 갖는 공급 구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구역 요소는 튜브형 부분들(20 및 22)에 부착된다. 상기 드레인 구역(18)은 외측 유입 파이프(24)에 부착된다. 보울(8)의 내측 벽(8a)과 코어 본체(12)의 외측 또는 외부 원주(26) 사이에서, 상기 회전 본체(2)가 분리 챔버(28)를 포함한다. 드레인 구역(18)은 드레인 챔버(30)와 분리 챔버(28)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드레인 개구부(32)를 갖는 드레인 챔버(30)를 포함한다. 정지형 내측 유입 파이프(34)가 상기 회전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외측 유입 파이프(24)를 통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드레인 챔버(30)를 통해서 연장한다. 유입 구역 및 드레인 구역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3 및 4에 또한 도시된 유입 구역(16)은 2개의 횡단 벽들, 즉 근위 횡단 벽(36) 및 원위 횡단 벽(38), 및 많은 수의 길이방향 벽들(40)을 포함하고, 그 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3이 된다. 횡단 벽들(36 및 38)에 부착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들은 드레인 챔버(30) 내부의 내측 유입 파이프(34)의 단부를 지칭하고, 이러한 단부는, 동작 중에, 분리 챔버(28)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공급 재료의 공급원을 구성한다. 중앙 개구부(41)가 근위 횡단 벽(36) 내에 제공된다.
횡단 벽들(36, 38) 및 길이방향 벽들(40) 사이에서, 유입 챔버(42)가 코어 본체(12)의 외측 원주(26) 내에 제공된다. 중앙 개구부(41)는 드레인 챔버(30)와 유입 챔버(42) 사이의 유체 소통을 제공한다.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40) 사이에서 공급 포트들(44)이 존재하여 유입 챔버(42)와 분리 챔버(28) 사이의 유체 소통을 제공한다. 유입 챔버(42) 내에서, 횡단 벽들(36, 38) 및 길이방향 벽들(40)이 각각 내부 표면들(36a, 38a 및 40a)을 갖는다.
사용시에, 공급 재료가 내측 유입 파이프(34)를 통해서 중앙으로 도입되고, 공급 재료가 중앙 개구부(41)를 통해서 유입 챔버(42) 내로 그리고 유입 챔버를 통해서 공급 포트들(44)을 통해 분리 챔버(28) 내로의 경로를 따른다. 유입 챔버에 도달하는 대신에 내측 유입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유출되거나 또는 유입 챔버로부터 역으로 튀는(splash-back) 임의 공급 재료가 드레인 챔버(30)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리고 드레인 개구부(32)를 통해서 분리 챔버(28)로 빠져나간다.
본원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원위 횡단 벽(38)의 내부 표면(38a) 및 길이방향 벽들(40)의 내부 표면들(40a)이 유입 챔버(42) 내의 공급 재료의 경로 또는 유동으로부터 스크리닝되거나 차폐되어, 이러한 표면들이 연마성을 가질 수 있는 공급 재료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근위 횡단 벽(36)의 내부 표면(36a)이 차폐된다.
그에 따라, 스크리닝 또는 차폐 내마모성 부재들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벽 부재들(46) 각각은, 길이방향 벽들(40) 중 하나의 전체 내부 표면(40a)을 따라서 연장하고 스크리닝하는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48), 및 각각의 원위 벽(38)의 내부 표면(38a) 및 근위 벽(36)의 내부 표면(36a)의 부분들을 따라서 연장하고 스크리닝하는 2개의 플랜지 부분들, 즉 근위 플랜지 부분(50) 및 원위 플랜지 부분(52)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48)이 2개의 곡선형 섹션들(48a, 48b) 그리고 중간의 선형적인 섹션(48c)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플랜지 부분들(50 및 52)이 유사한 곡선형의 엣지 섹션들(50a, 50b 및 52a, 52b)을 각각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3개의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도 3 및 4에 도시된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하나의 길이방향 벽 부재(46a)의 오목한 곡선형의 엣지 섹션(52a)이 제 1의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46b)의 볼록한 곡선형 엣지 섹션(52b)과 결합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 벽 부재(46a)의 볼록한 곡선형 엣지 섹션(52b)이 제 2의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46c)의 오목한 곡선형 엣지 섹션(52a)과 결합한다. 따라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 벽 부재(46a)의 오목한 곡선형 엣지 섹션(50a)이 제 1의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46b)의 볼록한 곡선형 엣지 섹션(50b)과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 벽 부재(46a)의 볼록한 곡선형 엣지 섹션(50b)이 제 2의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46c)의 오목한 곡선형 엣지 섹션(50a)과 결합한다.
도 5 및 6에서, 곡선형 엣지 섹션들(50a, 50b, 52a, 52b)이 단차화되며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된 곡선형 엣지 섹션들이 중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중앙 영역이 길이방향 벽 부재들(46a, 46b, 46c) 사이에서 길이방향 벽 부재들(46a, 46b, 46c)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고 남게 된다. 이러한 삼각형의 남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내마모성 부재들은 회전 축(4)에 대해서 대칭적인 원위 중앙 부재(54)를 포함한다. 원위 중앙 부재(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횡단 벽(38) 내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편평한 원형의 원통형 부분(56), 측부들이 각각의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의 곡선형 엣지 부분들(52a)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제 1의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부분(58), 및 유입 챔버(42) 내로 연장하는 중앙 돌출부(62)를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보다 큰 부분(60)을 포함한다. 상기 편평한 원통형 부분(56)은, 내마모성 부재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었을 때, 원위 중앙 부재(5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다. 삼각형의 보다 큰 부분(60)은, 제 1 삼각형 부분(58)과 길이방향 벽 부재들(46a, 46b, 46c) 사이의 조인트들을 커버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화살표들(64)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벽 부재들이 코어 본체(12)의 외측으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위치들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의 곡선형 엣지 섹션들(50a, 50b, 52a, 52b)의 배향 및 곡률이 구성된다.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도 3에 표시된 그들의 위치들로 슬라이딩되기에 앞서서, 원위 중앙 부재(54)의 원형의 원통형 부분(56)이 원위 횡단 벽 내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원위 중앙 부재(54)를 배치하는 것은, 원위 중앙 부재(54)를 기하형태적으로 록킹된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근위 플랜지 부분들(50)은 곡선형 엣지 섹션들(50a 및 50b) 사이에서 원형으로 곡선화된 리세스(66)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들(66)은,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도 3 및 4에 도시된 조립된 위치에 있을 때, 근위 횡단 벽(36) 내의 중앙 개구부(41)와 정렬되는 개구부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플랜지(70)를 갖는 튜브형 중앙 부재(68)가 중앙 개구부(41) 및 리세스들(66)에 의해서 제공되는 개구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튜브형 중앙 부재(68)는 상기 유입 챔버(42)를 통해서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위치에 있을 때, 튜브형 중앙 부재(6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 홈 내에 피팅되는 유지 링(72)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일체형 플랜지(70)에 의해서 일 측부 상에서 록킹된다. 리세스들(66)에서의 근위 플랜지 부분들(50)과의 결합으로 인해서, 튜브형 중앙 부재(68)는 화살표(64)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들에 반대되는 방향들을 따라서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도 3에 도시된 위치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원위 중앙 부재(54) 및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의 위치들이 내마모성 부재들 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록킹되는 반면, 튜브형 중앙 부재(68)의 위치는 차단 부재 즉, 유지 링(72)에 의해서 록킹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들(74)이 길이방향 벽 부재들(46)과 유입 챔버 내의 내부 표면들 사이에, 특히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들(48)과 길이방향 벽들(40)의 내부 표면들(40a) 사이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에폭시를 포함하는 2-성분 접착제(glue)와 같은 충전재 재료를 상기 간극들(74) 내로 주입하기 위해서, 채널들(76)이 상기 길이방향 벽들(40)을 통해서 제공된다. 상기 충전재는 내마모성 부재들을 도시된 위치들에서 유지하는 것을 도울 것이고 그리고 내마모성 부재들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특히 길이방향 벽 부재들(46) 사이의 조인트들이, 내마모성 그레인들 또는 입자들을 포함하는 에폭시 기반의 충전재와 같은 내마모성 충전재에 의해서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재들이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플라스틱 상태로 도포되고 이어서 보다 경질인 상태로 경화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마모성 부재들 즉, 길이방향 벽 부재들(46)이 유입 챔버(42) 외부로 약간 연장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내마모성 부재들(46, 54 및 68)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텅스텐 탄화물이고 또는 상응하는 내마모성 성질들을 갖는 재료이다.
길이방향 벽들(40)이 중실형인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채널(76)의 어느 측부 상에서 길이방향 벽들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리세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벽들이 중공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9는 도시된 단면에서 원형 원호들이 수반되는 내부 표면들(140a)을 갖는 5개의 길이방향 벽들(140)을 포함하는 변형예의, 도 3에 상응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8의 실시예의 특징들 또는 항목들에 상응하는 도 9의 실시예의 특징들 및 항목들에는 '1'을 앞머리에 붙인 상응하는 참조 번호들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위 중앙 부재(154)는, 도 3, 4, 7 및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삼각형의 보다 큰 부분 대신에, 원형의 보다 큰 부분(160)을 구비한다. 원위 중앙 부재(154)에 의해서 차폐되는 작은 중앙 영역과 별개로, 길이방향 벽 부재들(146)의 원위 플랜지 부분들(152)이 함께 원위 횡단 벽을 차폐하고, 그에 따라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원위 횡단 벽은 원위 플랜지 부분들(152) 및 원위 중앙 부재(154) 뒤에 은폐된다. 원위 플랜지 부분들(152)은 곡선형 엣지 섹션들(152a 및 152b)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하나의 길이방향 벽 부재의 곡선형 섹션(152a)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의 곡선형 섹션(152b)과 결합되고 중첩된다. 길이방향 벽 부재들(146)이 상응하게 성형된 근위 플랜지 부분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6의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하게, 곡선형 엣지 섹션들의 형상들은, 길이방향 벽 부재들(146)이 화살표들(164)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위치들의 내외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허용하고, 그리고 유사하게, 미도시된, 튜브형 중앙 부재가 길이방향 벽 부재들(146)의 위치들을 록킹한다. 내부 표면들(140a)의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벽 부재들(146)의 원형의 원호형 형상은 제조 상의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이점은 2개의 길이방향 벽 부재들이 큰 범위의 선반 작업(large extent lathe turning)을 이용하여 하나의 브랭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0 및 11은, 내마모성 부재가 횡단 벽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횡단 벽 부분 및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스크리닝하는 2개의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8의 실시예의 특징들 또는 항목들에 상응하는 도 10 및 11의 실시예의 특징들 및 항목들에는 '2'을 앞머리에 붙인 상응하는 참조 번호들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도 10 및 11의 실시예는 드레인 개구부들(232)을 갖는 드레인 챔버(230), 공급 포트들(244)을 갖는 유입 챔버(242), 상기 드레인 챔버(230)와 상기 유입 챔버(242) 사이의 근위 횡단 벽(236), 상기 근위 횡단 벽(236)에 반대되는 원위 횡단 벽(238), 그리고 상기 근위 횡단 벽(236)과 상기 원위 횡단 벽(238) 사이에서 연장하는 길이방향 벽들(240)을 포함한다. 드레인 챔버(230) 및 유입 챔버(242)를 포함하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회전 축(204)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내마모성 부재들은 원위 플랜지 부분들(252) 및 근위 플랜지 부분들(250)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을 포함하고, 이러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은, 도 10 및 11에 도시된 장착 위치에 있을 때, 회전 축(204)에 근접한 영역을 제외하고 유사한 윤곽들을 갖는다. 근위 플랜지 부분과 원위 플랜지 부분 사이에서, 2개의 상보적인 곡선형의 길이방향 벽 부분들(248' 및 248")이 연장하여,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240)의 일부, 2개의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의 상보적인 곡선형의 길이방향 벽 부분들(248' 및 248")을 각각 차폐하고, 그에 따라 길이방향 벽(240)을 유입 챔버(242)를 통한 공급 재료의 경로 또는 유동으로부터 함께 차폐하고, 상기 2개의 곡선형의 길이방향 벽 부분들(248' 및 248")이 상기 길이방향 벽(240)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차폐한다.
내마모성 부재들은 원위 중앙 부재(254) 및 튜브형 중앙 부재(268)를 더 포함한다.
튜브형 중앙 부재(268)는, 근위 횡단 벽(236)과 접하고 근위 플랜지 부분들(250)의 인접한 엣지들에 의해서 중첩되는 일체형 플랜지(270)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내마모성 부재들의 장착 중에, 튜브형 중앙 부재(268)는, 예를 들어, 근위 횡단 벽(236)의 중앙 개구부(241) 내로 나사체결됨(threaded)으로써,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에 앞서서 장착된다.
원위 중앙 부재(254)는 유입 챔버(242) 내로 연장하는 중앙 돌출부(262)를 갖는 둥근 편평한 부분(260)을 구비한다. 중앙 돌출부(262)에 반대되는 측부 상에서, 둥근 편평한 부분(2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었을 때, 원위 플랜지 부분들(252) 내의 상응하는 환형 홈(282) 내로 연장하는 환형 돌출부(280)를 지지하고, 상기 원위 플랜지 부분들의 각각은 환형 홈의 섹터를 포함한다. 원위 중앙 부재(254)는 중앙 돌출부(262)에 반대되는 측부로 개방된 중앙의 나사형 홀(286)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길이방향 벽 부재(246)의 원위 플랜지 부분(252)은 각각 볼록한 곡선 및 오목한 곡선을 갖는 유사하게 곡선화된 엣지 섹션들(252a 및 252b)을 가지며, 상기 곡선들은 원위 횡단 벽(238)의 외측 원주(226)까지 연장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곡선들은 원형 원호들이다. 근위 플랜지 부분(250)은 원위 플랜지 부분(252)의 곡선형 엣지 섹션들과 유사한 곡선형 엣지 섹션들을 갖는다. 중심에서, 즉 회전 축(204)에 인접하고 그와 동축적인 곳에서, 원형으로 곡선화된 리세스들(266 및 284)이 근위 플랜지 부분들(250) 및 원위 플랜지 부분들(252) 내에 각각 제공되어, 미도시된, 체결 부재 및 튜브형 중앙 부재(268) 각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원형으로 곡선화된 리세스(266)의 지름이 원형으로 곡선화된 리세스(284)의 지름 보다 상당히 더 크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마모성 부재들을 장착할 때, 튜브형 중앙 부재(268)가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장착되고, 그 후에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이 화살표들(26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위치들 내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원위 중앙 부재(254)가 유입 챔버(242)를 통해서 삽입되어, 그 환형 돌출부(280)가 환형 홈(282) 내에 수용되게 하며, 그 후에 원위 중앙 부재가 원위 횡단 벽(238) 내의 중앙 홀(288)을 통해서, 원형적으로 곡선화된 리세스(284)의 영역을 통해서 그리고 원위 중앙 부재(254) 내의 나사형 홀(286) 내로 삽입된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다. 환형 돌출부(280)와 환형 홈(282) 사이의 결합이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을 고정한다. 그에 따라, 튜브형 중앙 부재(268) 및 길이방향 벽 부재들(240)이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결합에 의해서 그들의 위치들에 록킹되는 반면, 원위 중앙 부재(254)의 위치는 나사형 홀(286) 내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서 록킹되며, 상기 나사는 차단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길이방향 벽들 내에 나사형 홀을 제공하고, 화살표들(290)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나사의 단부가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248')의 후방 표면에 대해서 접하도록 상기 홀을 통해서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길이방향 벽 부재들(246)을 더욱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교적 큰 간극들 또는 폐쇄된 중공형 공간들(292)이 길이방향 벽들(240)과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248') 사이에 존재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중공형 공간들이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로 침투된 공급 재료에 의해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중공형 공간들이 바람직하게 포옴(foam) 재료로 충전된다. 일반적으로, 내마모성 부재들 및 횡단 벽들 및 길이방향들 벽들 사이의 간극들 및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조인트들이 바람직하게 도 3 내지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된다.
도 12 및 13은, 내마모성 부재들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 사이에 위치된 횡단 벽 부재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횡단 벽 부재들은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의 플랜지 부분들과 결합된다. 도 3 내지 8의 실시예의 특징들 또는 항목들에 상응하는 도 12 및 13의 실시예의 특징들 및 항목들에는 '3'을 앞머리에 붙인 상응하는 참조 번호들을 부여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2 및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횡단면에서 원형 원호들이 수반되는 내부 표면들(340a)을 갖는 5개의 길이방향 벽들(340)을 포함한다. 드레인 구역이 생략된 도 12 및 13은 근위 횡단 벽(336), 원위 횡단 벽(338) 및 길이방향 벽들(340)에 의해서 형성된 유입 챔버(342)를 도시하고, 공급 포트들(344)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340) 사이에 존재한다. 근위 횡단 벽(336)은,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급 재료를 미도시된 유입 파이프로부터 유입 챔버(342) 내로 유입하기 위한 회전 축(304)과 동축적인 중앙 개구부(341)를 갖는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유입 챔버(342)의 내부 표면들을, 중앙 개구부(341)를 통해서 유입 챔버(342) 내로, 상기 챔버를 통해서, 그리고 공급 포트들(344)을 통해서 외부로 유동하는 공급 재료의 경로 또는 유동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해서 내마모성 부재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마모성 부재들은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348) 및 그 각각의 단부들에서의 비교적 작은 유사한 근위 및 원위 플랜지 부분들(350 및 352)을 갖는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을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348)이 회전 축(304)의 축방향으로 길이방향 벽들(340)을 따라서 플랜지 부분들(350, 35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한다.
근위 및 원위 횡단 벽(336, 338)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근위 및 원위 플랜지 부분들(350, 352)을 수용하도록 리세스들이 제공된다.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 사이에, 근위 및 원위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이 제공되어, 근위 및 원위 횡단 벽(336, 338)을 각각 차폐한다.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직선형의 엣지들(398)(원위 횡단 벽 부재들(394) 만을 도시하는 도 12 참조)을 따라서 서로 결합되는 편평한 내마모성 부재들이며, 이는 계단형으로 구성되며, 그에 따라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이 직선형 엣지들(398)을 따라서 중첩 조인트들을 형성한다.
횡단 벽 부재들이 중앙 원형 리세스로부터 원위 횡단 벽(338) 및 근위 횡단 벽(336)의 외측 원주(326)를 약간 지나는 위치까지 중앙 원형 리세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방사상 외측 연장 이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원위 횡단 벽 부재들(394)은 중앙 리세스(400)로부터 연장한다. 편평한 원형의 원통형 부분(358), 중앙 돌출부(362)를 갖는 실질적으로 보다 큰 부분(360) 및 상기 편평한 원통형 부분(358) 내로 개방된 나사형 홀(386)을 포함하는 원위 중앙 부재(354)가 제공되어 중앙 리세스(400) 주위의 영역을 커버한다. 그에 따라, 내마모성 부재들이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때, 편평한 원형의 원통형 부분(362)이 중앙 리세스(400) 내에 수용된다. 원위 횡단 벽(336)이 중앙 홀(388)을 포함한다.
근위 횡단 벽 부재들(396)은, 중앙 리세스(400)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고 중앙 개구부(341)와 부합하는 중앙 리세스(402)로부터 연장한다. 일체형 플랜지(370)를 갖는 튜브형 중앙 부재(368)가 중앙 리세스(402) 및 중앙 개구부(341)를 통해서 연장하고 도 3 내지 8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유지 링(372)에 의해서 록킹된다.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각각의 플랜지 부분들(350, 352)과 중첩되는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의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348)까지 연장한다.
회전 축(304)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이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348)의 상응하는 방사상 연장부를 지나서 연장하고, 그리고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이 길이방향 벽들(340)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곡선형의 길이방향 부분들(348)을 따라서 방사상 외측으로 원주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로 연장하는 원주방향 돌출부들(404)을 갖는다. 원주방향 돌출부들 대신에 또는 그에 보충적으로, 길이방향 벽 부재의 각각의 플랜지 부분(350, 352)의 인접한 엣지를 지나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횡단 벽 부재의 엣지가 벤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내마모성 부재들을 장착할 때,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은, 원형의 내부 표면(340a)을 따라서 각각의 길이방향 벽(340) 주위로 회전식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도 12 및 13에 도시된 그들의 위치들 내로 초기에 배치된다. 후속하여, 근위 및 원위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이 삽입된다. 유입 챔버(342)를 통해서 중앙 리세스(402) 및 중앙 개구부(341) 내로 삽입된 튜브형 중앙 부재(368)에 의해서, 근위 횡단 벽 부재들(396)이 고정된다. 삽입 후에, 튜브형 중앙 부재(368)는, 장착되는 유지 링(372)에 의해서 고정된다. 편평한 원형의 원통형 부분(358)이 중앙 리세스(400) 내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유입 챔버(342)를 통해서 삽입된 원위 중앙 부재(354)에 의해서 원위 횡단 벽 부재들(394)이 고정되고, 상기 편평한 원형의 원통형 부분(358)은 상기 원위 횡단 벽(338)에 접한다. 상기 원위 중앙 부재(354)는, 중앙 홀(388)을 통해서 나사형 홀(386) 내로 삽입된, 미도시된,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다.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길이방향 벽들(340) 및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고정된다.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튜브형 중앙 부재(368)의 플랜지(370)에 의해서 그리고 원위 중앙 부재(354)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 및 횡단 벽들의 내부 표면들 및 길이방향 벽들 사이의 간극들이 접착제로 충전되어, 내마모성 부재들을 추가적으로 고정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조인트들이 도 3 내지 8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내마모성 충전재에 의해서 충전된다.
Claims (19)
- 원심 분리기로서, 사용 중에 회전 축(4) 주위로 회전 방향(6)을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회전 본체(2)는 보울(8) 및 상기 보울(8) 내에서 동축적으로 배열된 스크류 컨베이어(10)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용 중에 상기 회전 축(4) 주위로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권선(14)을 구비하는 코어 본체(12)를 포함하고, 유입 챔버(42)가 상기 코어 본체(12) 내에 제공되고, 분리 챔버(28)가 상기 보울(8)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상기 코어 본체(12)의 외측 원주(26)에 의해서 방사상 내측으로 제한되며, 상기 유입 챔버(42)는 2개의 횡단 벽들, 즉 근위 횡단 벽(36) 및 원위 횡단 벽(38), 및 상기 근위 횡단 벽(36)과 상기 원위 횡단 벽(38)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벽들(40)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횡단 벽(36)은 상기 유입 챔버(42)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중앙 개구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챔버(42)로부터 상기 분리 챔버(28)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공급 포트들(44)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40)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횡단 벽들(36, 38) 및 길이방향 벽들(40)이 상기 코어 본체(12)의 외측 원주(26) 내의 내부 표면들(36a, 38a, 40a)을 가지며, 상기 내부 표면들(36a, 38a, 40a)은 상기 유입 챔버(42)와 대면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41)로부터 상기 유입 챔버(42)를 통과하여 그리고 상기 공급 포트들(44)을 통해서 공급 경로가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 포트들(44)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내마모성 부재들(46, 54, 68)이 공급 경로로부터 길이방향 벽들(40) 및 원위 횡단 벽(38)의 내부 표면들(38a, 40a)을 완전히 스크리닝하고, 그리고 상기 내마모성 부재들은 각각의 길이방향 벽(40)에서 길이방향 벽 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46)는 상기 길이방향 벽(40)의 내부 표면(40a)의 적어도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48), 및 상기 원위 횡단 벽(38)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부재들(46, 68)이 공급 경로로부터 상기 근위 횡단 벽(36)의 내부 표면(36a)을 완전히 스크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46)의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48)이 길이방향 벽(40)의 내부 표면(48a)을 스크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46)가 상기 근위 횡단 벽(36)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다른 플랜지 부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46a, 46b, 46c)의 플랜지 부분들(50, 52)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부재들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 사이에 위치된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을 포함하고, 상기 횡단 벽 부재들(394, 396)은 상기 인접한 길이방향 벽 부재들(346)의 플랜지 부분들(350, 35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5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부재들은 적어도 횡단 벽들(38) 중 하나에서 중앙 부재(54)를 포함하고, 회전 축(4)은 상기 중앙 부재(54)를 중앙에서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중앙 부재는 인접한 플랜지 부분들(5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부(41)를 통해서 튜브형 중앙 부재(68)가 연장되고, 상기 튜브형 중앙 부재(68)는 상기 유입 챔버(42) 내부의 통합된 플랜지(70) 및 상기 유입 챔버(42) 외부의 차단 부재(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부재가 횡단 벽(236, 238)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횡단 벽 부분(250, 252) 및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240)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스크리닝하는 2개의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들(248', 2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부재들의 위치들이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 부재의 위치가 차단 부재(72)에 의해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조인트들이 내마모성 충전재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 벽들 및 길이방향 벽들의 내부 표면들과 내마모성 부재들 사이의 간극들이 충전재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하는 내마모성 부재들의 인접한 엣지들이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원심 분리기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코어 본체 내에 장착하기 위한 공급 구역 요소로서, 상기 원심 분리기는 사용 중에 회전 축(4) 주위의 회전 방향(6)을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회전 본체(2)는 보울(8) 및 상기 보울(8) 내에서 동축적으로 배열된 스크류 컨베이어(10)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용 중에 상기 회전 축(4) 주위로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권선(14)을 구비하는 코어 본체(12)를 포함하고, 분리 챔버(28)가 상기 보울(8)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상기 코어 본체(12)의 외측 원주(26)에 의해서 방사상 내측으로 제한되며, 유입 챔버(42)는 상기 공급 구역 요소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유입 챔버(42)는 2개의 횡단 벽들, 즉 근위 횡단 벽(36) 및 원위 횡단 벽(38), 및 상기 근위 횡단 벽(36)과 상기 원위 횡단 벽(38)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벽들(40)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횡단 벽(36)은 상기 유입 챔버(42)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중앙 개구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챔버(42)로부터 상기 분리 챔버(28) 내로의 공급 재료의 유입을 위한 공급 포트들(44)이 인접한 길이방향 벽들(40)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횡단 벽들(36, 38) 및 길이방향 벽들(40)이 상기 코어 본체(12)의 외측 원주(26) 내의 내부 표면들(36a, 38a, 40a)을 갖고, 상기 내부 표면들(36a, 38a, 40a)은 상기 유입 챔버(42)와 대면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41)로부터 상기 유입 챔버(42)를 통과하여 그리고 상기 공급 포트들(44)을 통해서 공급 경로가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 포트들(44)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내마모성 부재들(46, 54, 68)이 공급 경로로부터 원위 횡단 벽(38) 및 길이방향 벽들(40)의 내부 표면들(38a, 40a)을 완전히 스크리닝하고, 그리고 상기 내마모성 부재들은 각각의 길이방향 벽(40)에서 길이방향 벽 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벽 부재(46)는 상기 길이방향 벽(40)의 내부 표면(48a)의 적어도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곡선형 길이방향 부분(48), 및 상기 원위 횡단 벽(38)의 일부를 스크리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구역 요소.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부재들은 적어도 횡단 벽들(338) 중 하나에서 중앙 부재(354)를 포함하고, 회전 축(304)은 상기 중앙 부재(354)를 중앙에서 통과하여 연장하며, 상기 중앙 부재는 인접한 횡단 벽 부재들(394, 39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6 항에 있어서,
튜브형 중앙 부재(368)가 중앙 개구부(341)를 통해서 연장하고, 상기 튜브형 중앙 부재(368)는 유입 챔버(342) 내부의 통합된 플랜지(370) 및 상기 유입 챔버(342) 외부의 차단 부재(3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 분리기가 디캔터 원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축이 수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KPA201070592 | 2010-12-30 | ||
DKPA201070592A DK201070592A (en) | 2010-12-30 | 2010-12-30 |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n inle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and a feed zone elemen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and a feed zone elemen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
PCT/EP2011/074258 WO2012089824A1 (en) | 2010-12-30 | 2011-12-29 |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n inle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and a feed zone element with wear resistance memb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40838A KR20130140838A (ko) | 2013-12-24 |
KR101557209B1 true KR101557209B1 (ko) | 2015-10-02 |
Family
ID=4549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0074A KR101557209B1 (ko) | 2010-12-30 | 2011-12-29 |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기 및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공급 구역 요소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US (1) | US9333515B2 (ko) |
EP (1) | EP2658657B1 (ko) |
JP (1) | JP5931915B2 (ko) |
KR (1) | KR101557209B1 (ko) |
CN (1) | CN103269803B (ko) |
AU (1) | AU2011351371B2 (ko) |
BR (1) | BR112013011988B1 (ko) |
CA (1) | CA2816397C (ko) |
CL (1) | CL2013001917A1 (ko) |
DK (2) | DK201070592A (ko) |
ES (1) | ES2543433T3 (ko) |
HK (1) | HK1185034A1 (ko) |
MX (1) | MX2013006795A (ko) |
NZ (1) | NZ610116A (ko) |
PE (1) | PE20140399A1 (ko) |
PL (1) | PL2658657T3 (ko) |
RU (1) | RU2540601C1 (ko) |
SG (1) | SG190789A1 (ko) |
WO (1) | WO2012089824A1 (ko) |
ZA (1) | ZA2013029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K176946B1 (da) * | 2007-05-09 | 2010-06-14 | Alfa Laval Corp Ab | Centrifugalseparator og et væskefaseafløbsportelement |
EP2767344B1 (en) * | 2013-02-15 | 2015-07-29 | Alfa Laval Corporate AB | Smoothly accelerating channel inlet for centrifugal separator |
CN103447167A (zh) * | 2013-08-12 | 2013-12-18 | 江苏捷达离心机制造有限公司 | 卧式螺旋卸料沉降离心机用布料加速器 |
CN103433151A (zh) * | 2013-08-12 | 2013-12-11 | 江苏捷达离心机制造有限公司 | 卧式螺旋卸料沉降离心机 |
JP6079700B2 (ja) | 2014-05-27 | 2017-02-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アブソーバシステム |
EP3106230B8 (en) | 2015-06-19 | 2020-04-15 | Andritz S.A.S. | Decanter centrifuge |
US11471896B2 (en) * | 2019-01-08 | 2022-10-18 | 2460257 Ontario Inc. | Feed box for decanter centrifuge |
JP6600427B1 (ja) * | 2019-01-31 | 2019-10-30 | 巴工業株式会社 | 遠心分離装置 |
US11318480B2 (en) | 2019-03-04 | 2022-05-03 | Kennametal Inc. | Centrifuge feed pipes and associated apparatus |
US11772104B2 (en) * | 2020-06-22 | 2023-10-03 | National Oilwell Varco, L.P. | Decanter centrifuge nozz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76078A1 (en) | 2002-03-14 | 2003-09-18 | Alfa Laval Copenhagen A/S | Decanter centrifuge with wear reinforcement inlet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68747A (en) | 1965-10-20 | 1968-02-13 | Pennsalt Chemicals Corp | Centrifuge |
US3428246A (en) * | 1967-12-21 | 1969-02-18 | Pennsalt Chemicals Corp | Centrifuge apparatus |
DK118068B (da) | 1968-01-10 | 1970-06-29 | Titan Separator As | Centrifuge. |
SU535966A1 (ru) | 1975-04-28 | 1976-11-25 |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галургии | Шнекова центрифуга |
DE2654961C3 (de) * | 1975-12-23 | 1978-06-29 | Georg Fischer Ag, Schaffhausen (Schweiz) | Verschleißschutzplatte |
DE4041868C2 (de) * | 1990-12-27 | 1998-07-30 | Deutz Ag | Zentrifuge |
DE4105412A1 (de) * | 1991-02-21 | 1992-08-27 | Kloeckner Humboldt Deutz Ag | Zentrifuge |
DE69226872T2 (de) | 1991-12-31 | 1999-04-01 | Baker-Hughes Inc., Houston, Tex. | Einlassbeschleunigungsvorrichtung mit beschleunigungsschaufelgerät |
JPH09239291A (ja) | 1996-03-08 | 1997-09-16 | Takuma Co Ltd | デカンター型連続遠心分離機 |
GB9611209D0 (en) | 1996-05-29 | 1996-07-31 | Ecc Int Ltd | Decanter centrifuge |
JP2893526B1 (ja) | 1998-03-23 | 1999-05-24 | オーツケミカル株式会社 | 吐出口ブッシュ及び遠心分離機 |
CA2446383C (en) | 2002-12-03 | 2004-10-12 | Knelson Patents Inc. | Centrifugal separation bowl with material accelerator |
CN2933585Y (zh) * | 2006-04-21 | 2007-08-15 | 上海市离心机械研究所有限公司 | 一种卧螺离心机螺旋机构 |
CN201524611U (zh) * | 2009-10-31 | 2010-07-14 | 海申机电总厂(象山) | 离心机螺旋输送器出料口的耐磨块 |
-
2010
- 2010-12-30 DK DKPA201070592A patent/DK201070592A/d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12-29 PL PL11808660T patent/PL2658657T3/pl unknown
- 2011-12-29 RU RU2013135472/05A patent/RU2540601C1/ru active
- 2011-12-29 PE PE2013001483A patent/PE20140399A1/es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9 ES ES11808660.2T patent/ES2543433T3/es active Active
- 2011-12-29 AU AU2011351371A patent/AU2011351371B2/en active Active
- 2011-12-29 US US13/977,383 patent/US9333515B2/en active Active
- 2011-12-29 JP JP2013546714A patent/JP5931915B2/ja active Active
- 2011-12-29 BR BR112013011988-8A patent/BR112013011988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9 NZ NZ610116A patent/NZ610116A/en unknown
- 2011-12-29 CN CN201180063544.7A patent/CN103269803B/zh active Active
- 2011-12-29 WO PCT/EP2011/074258 patent/WO201208982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29 SG SG2013036397A patent/SG190789A1/en unknown
- 2011-12-29 MX MX2013006795A patent/MX2013006795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9 EP EP11808660.2A patent/EP2658657B1/en active Active
- 2011-12-29 KR KR1020137020074A patent/KR101557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9 CA CA2816397A patent/CA2816397C/en active Active
- 2011-12-29 DK DK11808660.2T patent/DK2658657T3/en active
-
2013
- 2013-04-22 ZA ZA2013/02909A patent/ZA201302909B/en unknown
- 2013-06-28 CL CL2013001917A patent/CL2013001917A1/es unknown
- 2013-11-06 HK HK13112488.9A patent/HK1185034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76078A1 (en) | 2002-03-14 | 2003-09-18 | Alfa Laval Copenhagen A/S | Decanter centrifuge with wear reinforcement in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PE20140399A1 (es) | 2014-03-24 |
RU2540601C1 (ru) | 2015-02-10 |
SG190789A1 (en) | 2013-07-31 |
US9333515B2 (en) | 2016-05-10 |
ZA201302909B (en) | 2014-07-25 |
WO2012089824A1 (en) | 2012-07-05 |
CN103269803B (zh) | 2014-11-26 |
EP2658657A1 (en) | 2013-11-06 |
CA2816397A1 (en) | 2012-07-05 |
PL2658657T3 (pl) | 2015-10-30 |
ES2543433T3 (es) | 2015-08-19 |
JP5931915B2 (ja) | 2016-06-08 |
CA2816397C (en) | 2016-02-16 |
NZ610116A (en) | 2014-09-26 |
RU2013135472A (ru) | 2015-02-10 |
DK2658657T3 (en) | 2015-09-07 |
CN103269803A (zh) | 2013-08-28 |
US20140005024A1 (en) | 2014-01-02 |
DK201070592A (en) | 2012-07-01 |
JP2014501173A (ja) | 2014-01-20 |
AU2011351371B2 (en) | 2015-04-16 |
MX2013006795A (es) | 2013-07-29 |
CL2013001917A1 (es) | 2013-12-06 |
KR20130140838A (ko) | 2013-12-24 |
AU2011351371A1 (en) | 2013-07-11 |
EP2658657B1 (en) | 2015-06-17 |
BR112013011988A2 (pt) | 2016-08-30 |
HK1185034A1 (en) | 2014-02-07 |
BR112013011988B1 (pt) | 2020-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7209B1 (ko) |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원심 분리기 및 내마모성 부재들을 갖는 공급 구역 요소 | |
KR101595164B1 (ko) | 원심 분리기 및 원심 분리기용 출구 요소 | |
CN104847992B (zh) | 用于管线的可拆卸连接的卡口联接器 | |
JP4562396B2 (ja) | 摩耗補強注入口を備えたデカンタ遠心分離機 | |
JP5996548B2 (ja) | 遠心分離装置、遠心分離装置のための1つの耐摩耗部材及び一組の耐摩耗部材 | |
TW201124247A (en) | Guide roller | |
TWM321926U (en) | Reinforcing structure of auxiliary lock | |
CN103370555B (zh) | 摩擦紧固连结工具 | |
JP7324608B2 (ja) | 遠心分離装置 | |
RU2193450C1 (ru) | Цапфа загрузочна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