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45B1 - 드럼 무게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무게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745B1
KR101556745B1 KR1020150080989A KR20150080989A KR101556745B1 KR 101556745 B1 KR101556745 B1 KR 101556745B1 KR 1020150080989 A KR1020150080989 A KR 1020150080989A KR 20150080989 A KR20150080989 A KR 20150080989A KR 101556745 B1 KR101556745 B1 KR 101556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nel
adsorber
mov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대석
Original Assignee
대영용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용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용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8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40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mecha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또는 세척후 재활용 공정 상에서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고 마킹하는 공정까지 일괄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착기를 이용해 드럼을 들어 올리고, 로드 셀을 이용해 드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드럼의 무게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면서, 드럼의 상면에 구비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여, 드럼의 무게를 미리 설정된 마킹 위치에 신속하게 마킹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 무게 측정 장치{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drum}
본 발명은 드럼 무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은 기름 등의 유류나 화학 약품 등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원기둥 모양의 큰 통이다. 상기 드럼은 두꺼운 철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종래에는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제조된 드럼이나 세척된 드럼의 무게를 별도의 무게 측정기를 이용해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작업자는 상기 무게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드럼의 무게를 기록한 후, 별도 수작업으로 상기 드럼에 무게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드럼의 무게를 무게 측정기로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수작업으로 표시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서, 작업효율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서,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의 내용을 개시한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50947호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50947호 (2002.06.2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의 제조 또는 재활용 공정 상에서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무게 측정 장치는, 드럼을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드럼을 들어 올리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가 결합되어, 상기 흡착기와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 설치된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기의 상향 이동시 변형되어 상기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무게를 상기 드럼의 상면에 마킹하는 마킹기와; 상기 흡착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상기 드럼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킹기에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이 상기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동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중심이 상기 무게측정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밀어주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는, 상기 드럼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드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기는,상기 드럼의 상면에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판들과;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는 고정하고 상기 회전부만 회전시키는 스위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패널에서 상기 드럼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확인하는 마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들과, 상기 적외선 센서들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상면에 구름 접촉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상기 이동 패널에서 하향 돌출되게 구비된 센서 수직 로드와, 상기 센서 수직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적외선 센서들과 상기 바퀴가 구비된 센서 수평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포토센서(photo sensor) 또는 이미지센서(image sensor)와, 상기 포토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상면에 구름 접촉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마개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대형 마개와 상기 소형 마개의 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마킹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드럼 무게 측정 장치는, 드럼을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이 상기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동작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드럼을 들어 올리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가 결합되어, 상기 흡착기와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 설치된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기의 상향 이동시 변형되어 상기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고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중심이 상기 무게측정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밀어주는 수평 액추에이터와; 상기 이동 패널에서 상기 드럼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확인하는 마개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무게를 상기 대형 마개와 상기 소형 마개 중 어느 하나의 주변에 마킹하는 마킹기와; 상기 흡착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상기 드럼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킹기에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럼 무게 측정 장치에 따르면, 제조 또는 재활용 공정 상에서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고 마킹하는 공정까지 일괄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착기를 이용해 드럼을 들어 올리고, 로드 셀을 이용해 드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드럼의 무게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면서, 드럼의 상면에 구비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여, 드럼의 무게를 미리 설정된 마킹 위치에 신속하게 마킹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무게 측정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드럼 무게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수평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무게 측정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무게 측정 장치(1)는, 컨베이어(10), 흡착기(20), 이동 패널(30), 고정 패널(40), 로드 셀(50), 마킹기(60), 수평 액추에이터(70), 마개 감지 센서(80) 및 제어기(90)를 포함한다.
먼저, 컨베이어(10)는, 드럼(2)을 미리 설정된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컨베이어(10)는 드럼(2)의 제조 라인(또는 세척후 재활용 라인)과 연결되어, 제조 또는 세척된 드럼(2)을 무게측정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롤러로 구성된 롤러 타입 컨베이어일 수 있다.
한편, 흡착기(20)는, 컨베이어(10)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구비된다. 흡착기(20)는, 무게측정위치로 이동된 드럼(2)의 상면을 진공을 이용해 흡착하여 드럼(2)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흡착기(20)는, 복수의 흡착판들(21), 회전부(24), 수직 액추에이터(26) 및 진공 발생부(28)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착판들(21)은 드럼(2)의 상면에 흡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판들(21)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3개의 흡착판들(21)은 하나의 지지패널(22)에 결합된다.
회전부(24)는, 지지패널(22)에 결합되어, 복수의 흡착판들(21)을 회전시켜 드럼(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24)와 수직 액추에이터(26)사이에는 수직 액추에이터(26)에 대해 회전부(24)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벨(swivel)(25)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24)와 수직 액추에이터(26)사이에 스위벨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액추에이터(26)에 대해 회전부(24)만을 상대 회전시키는 기구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한편, 수직 액추에이터(26)는, 흡착판들(2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직 액추에이터(26)는 진공 발생부(28)와 연결된다.
여기서, 진공 발생부(28)는, 복수의 흡착판들(21)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흡착판들(21)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 진공 발생부(28)는, 진공 발생기(28a)와, 진공 발생기(28a)와 흡착판들(21)을 연결하는 진공 라인(2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패널(30)은, 흡착기(20)가 결합되어 흡착기(20)의 상하방향 이동시 흡착기(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패널이다. 이동 패널(30)은 드럼(2)의 상부에 배치된다.
고정 패널(40)은, 이동 패널(30)의 상측에서 이동 패널(3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대(4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고정 패널(40)의 상부에는 제어기(90), 인디케이터(92) 및 마킹기(6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로드 셀(50)은, 이동 패널(30)과 고정 패널(4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 패널(30)의 상하방향 이동시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드럼(2)의 무게를 측정한다. 로드 셀(50)은 이동 패널(30)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 셀(50)은 4개가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4개의 로드 셀(50)의 측정 값을 합산하여 드럼(2)의 무게를 산출한다.
마킹기(60)는, 이동 패널(30)과 고정 패널(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제어기(90)로부터 로드 셀(50)에서 측정한 드럼(2)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드럼(2)의 무게를 드럼(2)의 상면에 마킹하는 기기이다. 마킹기(60)는, 마킹기 본체(61)와, 마킹기 본체(61)에서 드럼(2)을 향해 돌출된 마킹기 헤드(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킹기(60)는 도트 프린트 방식 또는 잉크젯 프린트 방식으로 숫자와 문자를 마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평 액추에이터(70)는, 복수의 지지대(41) 중 적어도 일부에서, 드럼(2)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수평 액추에이터(70)는 드럼(2)의 이동 방향에서 드럼(2)보다 전방에서 역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무게측정위치로 이동한 드럼(2)을 역방향으로 밀어줘서 무게측정위치의 중심과 드럼(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드럼(2)을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평 액추에이터(70)는 유압, 전기, 압축 공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와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평 액추에이터(70)는, 드럼(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액추에이터(70)는, 2개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마개 감지 센서(80)는, 이동 패널(30)에서 드럼(2)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드럼(2)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의 위치를 확인한다. 마개 감지 센서(80)는, 이동 패널(30)에서 하향 돌출되게 구비된 센서 수직 로드(81)와, 센서 수직 로드(81)의 단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적외선 센서들(83)과 바퀴(84)가 결합된 센서 수평 로드(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 감지 센서(80)로는 적외선 영역을 감지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들(83)을 대신하여, 포토센서(photo sensor) 또는 이미지센서(image sensor)를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포토센서는 투과형 포토센서, 미러 반사형 포토센서,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고, 이미지센서로는 CMOS 이미지센서, CCD 이미지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센서 수평 로드(82)는 센서 수직 로드(8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바퀴(84)는, 적외선 센서들(83) 주변에 구비되어 드럼(2)의 상면에 구름 접촉한다. 상기 센서 수평 로드(82)가 센서 수직 로드(8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바퀴(84)가 구비됨으로써, 마개 감지 센서(80)의 적외선 센서들(83)이 마개에 근접될 수 있으므로 마개의 감지가 보다 원활하다. 바퀴(84)의 재질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드럼(2)의 상면을 긁지 않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어기(90)는, 흡착기(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로드 셀(50)에서 측정한 드럼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마킹기(6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기(90)는, 마개 감지 센서(80)에서 감지한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마킹기(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기(90)는 제어용 PC를 포함한다.
또한, 드럼 무게 측정 장치는, 드럼(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드럼 무게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수평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럼 무게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드럼(2)이 컨베이어(10)를 타고 미리 설정된 무게측정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제어기(90)는, 위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드럼(2)의 위치를 확인하고, 컨베이어(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베이어(10)가 정지하여 드럼(2)이 정지하면, 제어기(90)는 수평 액추에이터(70)를 작동시킨다. 수평 액추에이터(70)의 피스톤부가 전진하면서 드럼(2)을 드럼(2)의 이동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밀어준다. 도 7을 참조하면, 2개의 수평 액추에이터(70)가 드럼(2)의 외주면을 밀기 때문에, 드럼(2)의 중심과 무게측정위치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어, 드럼(2)이 정위치될 수 있다. 드럼(2)이 정위치되고 나면, 수평 액추에이터(70)의 피스톤부가 후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90)는 흡착기(20)를 하향 이동시켜, 흡착판들(21)이 드럼(2)의 상면에 흡착되어 드럼(2)을 들어 올린다. 이 때, 흡착판들(21)은 진공을 이용해 드럼(2)의 상면에 흡착된다. 흡착판들(21)을 드럼(2)을 들어 올리면, 이동 패널(30)도 함께 상향 이동된다. 이동 패널(30)이 상향 이동되면, 이동 패널(30)과 고정 패널(40)사이에 구비된 로드 셀(50)이 변형되면서, 드럼(2)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기(90)는 4개의 로드 셀(50)의 측정 값을 합산하여 드럼(2)의 무게를 산출한다. 제어기(90)는 로드 셀(50)에서 측정한 드럼(2)의 무게를 마킹기(60)에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24)가 흡착판들(21)을 회전시켜 드럼(2)이 회전된다. 드럼(2)의 회전시, 마개 감지 센서(80)와 마킹기(60)는 회전하지 않는다. 드럼(2)이 회전되면, 마개 감지 센서(80)는 적외선 센서들(83)을 통해 회전하는 드럼(2)의 상면을 감지한다. 마개 감지 센서(80)는 드럼(2)의 상면에 구비된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마개 감지 센서(80)는 7개의 적외선 센서들(83)이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가령 7개의 적외선 센서들(83) 중에서 3개 이상의 적외선 센서들로부터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대형 마개(2a)로 인식하고, 3개 미만의 적외선 센서들로부터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소형 마개(2b)로 인식하여,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를 구분할 수 있다.
마개 감지 센서(80)는,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의 위치를 제어기(90)로 전송하고, 제어기(90)는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마킹기(60)에 전송한다. 마킹기(60)는, 제어기(9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소형 마개(2b)의 주변에 드럼(2)의 무게를 마킹한다.
여기서, 드럼(2)에는 대형 마개(2a)와 소형 마개(2b)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기 때문에, 마개 감지 센서(80)가 대형 마개(2a)를 인식하면, 대형 마개(2a)와 반대측에 위치한 마킹기(60)가 소형 마개(2b) 주변에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소형 마개(2b) 주변이라 함은, 소형 마개(2b)의 외곽에 있는 드럼(2)의 상면을 의미한다.
소형 마개(2b)의 주변에 마킹할 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마킹기(60)는 소형 마개(2b)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드럼(2)의 무게를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마킹기(60)는 도트를 뿌려서 드럼(2)의 무게를 마킹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럼(2)의 무게를 마킹하고 나면, 흡착기(20)가 하향 이동하면서 드럼(2)을 컨베이어(10) 위에 내려놓는다. 드럼(2)이 컨베이어(10) 위로 내려지면, 제어기(90)는 컨베이어(10)를 이동시켜 드럼(2)을 배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드럼 10: 컨베이어
20: 흡착기 21: 흡착판
30: 이동 패널 40: 고정 패널
50: 로드 셀 60: 마킹기
70: 수평 액추에이터 80: 마개 감지 센서
90: 제어기

Claims (12)

  1. 드럼을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드럼을 들어 올리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가 결합되어, 상기 흡착기와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 설치된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기의 상향 이동시 변형되어 상기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무게를 상기 드럼의 상면에 마킹하는 마킹기와;
    상기 흡착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상기 드럼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킹기에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이 상기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동작센서를 더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중심이 상기 무게측정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밀어주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는,
    상기 드럼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드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된 드럼 무게 측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기는,
    상기 드럼의 상면에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판들과;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흡착판들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발생부를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는 고정하고 상기 회전부만 회전시키는 스위벨을 더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널에서 상기 드럼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확인하는 마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들과, 상기 적외선 센서들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상면에 구름 접촉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상기 이동 패널에서 하향 돌출되게 구비된 센서 수직 로드와, 상기 센서 수직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적외선 센서들과 상기 바퀴가 구비된 센서 수평 로드를 더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개 감지 센서는,
    포토센서(photo sensor) 또는 이미지센서(image sensor)와, 상기 포토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상면에 구름 접촉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마개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대형 마개와 상기 소형 마개의 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마킹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12. 드럼을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이 상기 무게측정위치로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동작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드럼을 들어 올리는 흡착기와;
    상기 흡착기가 결합되어, 상기 흡착기와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 설치된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기의 상향 이동시 변형되어 상기 드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고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중심이 상기 무게측정위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밀어주는 수평 액추에이터와;
    상기 이동 패널에서 상기 드럼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마개와 소형 마개의 위치를 확인하는 마개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무게를 상기 대형 마개와 상기 소형 마개 중 어느 하나의 주변에 마킹하는 마킹기와;
    상기 흡착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한 상기 드럼의 무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킹기에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드럼 무게 측정 장치.
KR1020150080989A 2015-06-09 2015-06-09 드럼 무게 측정 장치 KR101556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9A KR101556745B1 (ko) 2015-06-09 2015-06-09 드럼 무게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989A KR101556745B1 (ko) 2015-06-09 2015-06-09 드럼 무게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745B1 true KR101556745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989A KR101556745B1 (ko) 2015-06-09 2015-06-09 드럼 무게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09A (ko) * 2018-08-13 2020-02-21 유상우 드럼 검사 장치
CN111397711A (zh) * 2020-03-31 2020-07-10 刘晓慧 一种测量精度高的使用便捷的地磅
KR20200088583A (ko) * 2019-01-15 2020-07-23 이정훈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54B1 (ko) 2014-07-09 2015-02-06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드럼 충진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54B1 (ko) 2014-07-09 2015-02-06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드럼 충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09A (ko) * 2018-08-13 2020-02-21 유상우 드럼 검사 장치
KR102230015B1 (ko) * 2018-08-13 2021-03-19 유상우 드럼 검사 장치
KR20200088583A (ko) * 2019-01-15 2020-07-23 이정훈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102159916B1 (ko) * 2019-01-15 2020-09-24 이정훈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CN111397711A (zh) * 2020-03-31 2020-07-10 刘晓慧 一种测量精度高的使用便捷的地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4278B1 (en) Device for lifting at least one vehicle wheel or tyre, with detector of the state of wear of the latter
KR101556745B1 (ko) 드럼 무게 측정 장치
KR101319405B1 (ko) 용접 대구경 강관 측정장치
CA2558619A1 (en) Tire balancing apparatus
CN101289052B (zh) 用于将罩胎轮定位在换胎机上的装置
CN207810691U (zh) 取件检测机构及工件转运机构
US9671313B2 (en) Tir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tire
CN209197692U (zh) 一种压缩机壳盖预装平整度检测及调整机构
CN106767424A (zh) 胶轮外径跳动检测机
KR20120138872A (ko) 대구경 파이프 외경 측정장치
KR101190783B1 (ko) 타이어 마크 매처
KR101205202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처짐 보정 장치
CN206862308U (zh) 产品高度检测机
JP5293484B2 (ja) 車両性能試験装置の車輪センタリング装置
CN109655018A (zh) 一种压缩机壳盖预装平整度检测及调整机构
KR20200014966A (ko) 마스크 보관장치
KR20130064208A (ko) 타이어의 포인트 마킹시스템
KR101153965B1 (ko) 그린타이어 하부 바코드 부착 및 인식 장치
JP6795838B2 (ja) バランスウェイト圧着装置
JPWO2009123143A1 (ja) 眼鏡レンズのヤゲン周長測定装置およびヤゲン周長測定方法
CN104390577A (zh) 电容式led生产用蓝宝石基板的位置检测装置
CN208860612U (zh) 零点精准刹擎定位装置
KR20200016332A (ko) 타이어 시험기
KR101179979B1 (ko) 플랜지용 마킹장치
KR101378587B1 (ko) 성형물 치수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