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916B1 -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16B1
KR102159916B1 KR1020190005016A KR20190005016A KR102159916B1 KR 102159916 B1 KR102159916 B1 KR 102159916B1 KR 1020190005016 A KR1020190005016 A KR 1020190005016A KR 20190005016 A KR20190005016 A KR 20190005016A KR 102159916 B1 KR102159916 B1 KR 10215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coupled
circular gear
move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583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102019000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00Weighing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counterweight or other counterbalancing m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적재 바닥면(2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돌출되며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판(30)과;
상기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형성된 홀(21)과 가이드 결합하며 하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수직로드(40)와;
상기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40)가 하강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무게측정모듈(5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의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로드(40)의 말단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제1 원형기어(6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RFID 시스템(70)과;
상기 수직로드(4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일단이 접촉하는 수평로드(80)와;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신호가 달라지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을 포함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Shelf system for checking stock}
본 발명은 선반에 놓여있는 재고량을 디지털적으로 측정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며, 별도의 무게센서를 사용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자동으로 물품의 재고를 파악하는데 있어 전자저울과 RFID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 저울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 전자저울 내부의 로드셀의 물리적 특성 변화로 인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RFID 시스템은 물품의 재고량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기본 정보와 재고의 유무만을 파악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물품의 정보와 재고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에서 측정된 정보를 공급부서와 물품을 공급하는 회사에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04748호(실시간 스마트 선반 시스템)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물품의 정보와 재고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적재 바닥면(2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돌출되며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판(30)과;
상기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형성된 홀(21)과 가이드 결합하며 하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수직로드(40)와;
상기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40)가 하강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무게측정모듈(5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의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로드(40)의 말단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제1 원형기어(6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RFID 시스템(70)과;
상기 수직로드(4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일단이 접촉하는 수평로드(80)와;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신호가 달라지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을 포함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모듈(50)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한 풀리(51)와;
상기 수직로드(40)에 결합되며 상기 풀리(51)의 상부에 걸쳐져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바닥면(12)까지 연장된 와이어(52)와;
상기 와이어(52)의 말단에 결합된 무게추(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53)는 상기 와이어(52)의 말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되며,
상기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무게추(53)의 중력으로 상기 와이어(52)를 하부로 당겨 상기 적재판(30)이 상부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될 경우 상기 적재판(30)이 하부로 내려오며 상기 물건(200)의 무게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무게추(53) 중에서 일부의 무게추(53)가 상기 하부 바닥면(12)에서 공중으로 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모듈(50)은 상기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전자파 차단막(91)과;
상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의 하부에 위치하는 RFID 테그(92)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에 결합된 상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이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RFID 테그(92)의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상기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지며,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테그(97)와;
상기 RFID 테그(97)의 상부에 위치하는 RFID 전자파 차단막(96)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에 결합된 상기 RFID 테그(97)가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RFID 테그(97)가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상기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지며,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과 접촉하는 제2 원형기어(93)와;
신호를 달리하는 RFID 테그(94)가 표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심이 상기 제2 원형기어(93)의 중심에 결합된 드럼(95)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시,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기 수평로드(80)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원형기어(93)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드럼(9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드럼(95)이 회전함에 따라 노출되는 상기 RFID 테그(94)가 달라지고, 상기 RFID 테그(94)를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읽어 상기 물건(200)의 무게나 갯수를 측정하여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물품의 정보와 재고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2개 적재된 경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1개 적재된 경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2개 적재된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1개 적재된 경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2개 적재된 경우)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1개 적재된 경우)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2개 적재된 경우)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의 단면도(물건이 1개 적재된 경우)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ID 신호생성모듈의 작동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적재 바닥면(2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돌출되며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판(30)과;
상기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형성된 홀(21)과 가이드 결합하며 하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수직로드(40)와;
상기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40)가 하강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무게측정모듈(5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의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로드(40)의 말단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제1 원형기어(6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RFID 시스템(70)과;
상기 수직로드(4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일단이 접촉하는 수평로드(80)와;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신호가 달라지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를 포함한다. 몸체부(10)의 내부에 물건(200)을 적재할 수 있다.
몸체부(10)의 내부의 중간에는 적재 바닥면(20)이 위치한다. 적재 바닥면(20)을 기준으로 몸체부(10)의 내부는 상부와 하부로 구별된다. 몸체부(10) 내부의 상부는 물건을 적재하는 공간이고, 하부는 각종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적재판(30)은 적재 바닥면(20)에 돌출되며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수직로드(40)는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직로드(40)는 적재 바닥면(20)에 형성된 홀(21)과 가이드 결합한다.
무게측정모듈(50)은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40)가 하강되는 깊이를 조절한다. 추후, 본 명세서에서는 2가지 무게측정모듈(50)을 설명한다.
제1 원형기어(60)는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의 몸체부(10)에 결합된다. 제1 원형기어(60)는 수직로드(40)의 말단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다. 즉,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면 제1 원형기어(5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몸체부(10)에는 RFID 시스템(70)이 결합되어 있어서, RFID 테그(92,94)의 신호를 읽어들이고, 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 신호를 분석하여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이 무게로부터 물건의 개수까지 카운트될 수 있다.
수평로드(80)는 수직로드(4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원형기어(60)와 일단이 접촉한다. 따라서,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함에 따라서 수평로드(80)가 좌우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원형기어들은 톱니 형태일 수도 있고, 풀리 형태일 수도 있다.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수평로드(80)의 타단에 결합되어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RFID 테크(92,94)의 신호가 달라지도록 한다. 이 신호를 RFID 시스템(70)이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이 신호를 분석하면 물건(2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을 2가지 실시예를 추후 설명한다.
- 무게측정모듈(50)의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무게측정모듈(50)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한 풀리(51)와;
상기 수직로드(40)에 결합되며 상기 풀리(51)의 상부에 걸쳐져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바닥면(12)까지 연장된 와이어(52)와;
상기 와이어(52)의 말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된 복수의 무게추(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무게추(53)를 예시하였으나, 무게추(53)는 하나일 수도 있다. 하나의 무게추(53)를 사용하더라도 적재판(30)에 물건이 올려져 있는지 유무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풀리(51)는 몸체부(10)에 결합되며, 몸체부의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에 결합된다. 풀리(51)는 회전가능하다.
와이어(52)는 수직로드(40)에 결합되며 풀리(51)의 상부에 걸쳐져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바닥면(12)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52)가 수직로드(4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52)의 말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무게추(53)가 결합되어 있다.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되지 않을 경우, 복수의 무게추(53)의 중력으로 상기 와이어(52)를 하부로 당겨 적재판(30)이 상부로 이동하게 한다.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될 경우 물건(200)의 무게에 의해서 적재판(30)이 하부로 내려온다. 이때, 하부 바닥면(12)에 올려져 있었던 무게추(53)가 들려올려지게 된다. 이때,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부방향으로 들려올려지는 무게추(53)의 개수가 달라진다. 즉, 물건(200)의 무게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무게추(53) 중에서 일부의 무게추(53)가 하부 바닥면(12)에서 공중으로 들려진다.
이렇게 물건(200)을 적재판(30)에 올려두면 적재판(30)이 하강으로 이동하고, 수직로드(40)도 하강으로 이동한다. 이때,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한다.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면 이와 접촉하는 수평로드(8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수평로드(80)의 말단에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이 결합되어 있어서, 수평로드(80)의 이동에 따라 RFID 테그(92,94)의 신호를 다르게 생성한다.
- 무게측정모듈(50)의 제2 실시예-
무게측정모듈(50)은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54)일 수 있다. 적재판(200)에 물건(200)이 올려지면, 스프링(54)이 수축하고, 적재판(30)의 하부의 수직로드(40)가 하강한다. 이때,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한다.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면 이와 접촉하는 수평로드(8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수평로드(80)의 말단에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이 결합되어 있어서, 수평로드(80)의 이동에 따라 RFID 테그(92,94)의 신호를 다르게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의 3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 RFID 신호생성모듈(90)의 제1 실시예(도 6 참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전자파 차단막(91)과;
상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의 하부에 위치하는 RFID 테그(92)를 포함한다.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된다.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면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평로드(80)의 말단에는 RFID 전자파 차단막(91)이 결합되어 있다. RFID 전자파 차단막(91)이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RFID 테그(92)의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진다. RFID 시스템(70)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 RFID 신호생성모듈(90)의 제2 실시예(도 7 참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테그(97)와;
상기 RFID 테그(97)의 상부에 위치하는 RFID 전자파 차단막(96)를 포함한다.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된다.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면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평로드(80)의 말단에는 RFID 테그(97)가 결합되어 있다. RFID 테그(97)의 상부에 위치하는 RFID 전자파 차단막(96)이 위치한다. RFID 테그(97)가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RFID 전자파 차단막(96)에 의해서 RFID 테그(97)의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진다. RFID 시스템(70)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이 수평로드(80)에 결합되어 이동하나,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RFID 테그(97)가 수평로드(80)에 결합되어 이동하한다.
- RFID 신호생성모듈(90)의 제3 실시예(도 8 참조)-
본 실시예의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과 접촉하는 제2 원형기어(93)와;
신호를 달리하는 RFID 테그(94)가 표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심이 상기 제2 원형기어(93)의 중심에 결합된 드럼(95)을 포함한다.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시,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수평로드(8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평로드(80)와 접촉하는 제2 원형기어(93)가 회전하게 되면서 드럼(95)도 회전하게 되고, 드럼(95)이 회전함에 따라 노출되는 RFID 테그(94)가 달라진다. RFID 테그(94)를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읽어 물건(200)의 무게나 갯수를 측정하여 외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드럼(95)은 원통형이거나 다각형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몸체부(10) 적재 바닥면(20)
적재판(30) 수직로드(40)
무게측정모듈(50) 제1 원형기어(60)
RFID 시스템(70) 수평로드(80)
RFID 신호생성모듈(90)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100)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적재 바닥면(2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돌출되며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판(30)과;
    상기 적재판(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에 형성된 홀(21)과 가이드 결합하며 하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수직로드(40)와;
    상기 적재판(30)에 올려진 물건(200)의 무게에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40)가 하강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무게측정모듈(50)과;
    상기 적재 바닥면(20)의 하부의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로드(40)의 말단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한 제1 원형기어(60)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된 RFID 시스템(70)과;
    상기 수직로드(4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일단이 접촉하는 수평로드(80)와;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신호가 달라지는 RFID 신호생성모듈(90)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모듈(50)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 바닥면(20)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한 풀리(51)와;
    상기 수직로드(40)에 결합되며 상기 풀리(51)의 상부에 걸쳐져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바닥면(12)까지 연장된 와이어(52)와;
    상기 와이어(52)의 말단에 결합된 무게추(53)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53)는 상기 와이어(52)의 말단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결합되며,
    상기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무게추(53)의 중력으로 상기 와이어(52)를 하부로 당겨 상기 적재판(30)이 상부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적재판(30)에 물건이 적재될 경우 상기 적재판(30)이 하부로 내려오며 상기 물건(200)의 무게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무게추(53) 중에서 일부의 무게추(53)가 상기 하부 바닥면(12)에서 공중으로 들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전자파 차단막(91)과;
    상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의 하부에 위치하는 RFID 테그(92)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에 결합된 상기 RFID 전자파 차단막(91)이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RFID 테그(92)의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상기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지며,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부에 결합된 RFID 테그(97)와;
    상기 RFID 테그(97)의 상부에 위치하는 RFID 전자파 차단막(96)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판(30)의 상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로드(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로드(80)의 말단에 결합된 상기 RFID 테그(97)가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RFID 테그(97)가 노출되는 영역이 달라져서 상기 RFID 시스템(70)이 센싱하는 신호가 달라지며,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신호생성모듈(90)은,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수평로드(80)의 타단과 접촉하는 제2 원형기어(93)와;
    신호를 달리하는 RFID 테그(94)가 표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심이 상기 제2 원형기어(93)의 중심에 결합된 드럼(95)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로드(40)가 상하로 이동시, 상기 제1 원형기어(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원형기어(60)와 접촉하는 상기 수평로드(8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기 수평로드(80)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원형기어(93)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드럼(9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드럼(95)이 회전함에 따라 노출되는 상기 RFID 테그(94)가 달라지고, 상기 RFID 테그(94)를 상기 RFID 시스템(70)이 신호를 읽어 상기 물건(200)의 무게나 갯수를 측정하여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1020190005016A 2019-01-15 2019-01-15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10215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16A KR102159916B1 (ko) 2019-01-15 2019-01-15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16A KR102159916B1 (ko) 2019-01-15 2019-01-15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83A KR20200088583A (ko) 2020-07-23
KR102159916B1 true KR102159916B1 (ko) 2020-09-24

Family

ID=7189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016A KR102159916B1 (ko) 2019-01-15 2019-01-15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31B1 (ko) * 2014-04-28 2015-06-05 주식회사 에스아이티코리아 덱 첵커기
KR101528073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 공정의 조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35962B1 (ko) * 2014-11-05 2015-07-13 (주)케이지에스테크 정준점 설정용 추 공급장치
KR101556745B1 (ko) * 2015-06-09 2015-10-01 대영용기 주식회사 드럼 무게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748A (ko)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액체세제 잔량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31652A (ko) * 2012-09-05 2014-03-13 한국전력공사 지중구조물의 수평 변위 측정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73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 공정의 조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26331B1 (ko) * 2014-04-28 2015-06-05 주식회사 에스아이티코리아 덱 첵커기
KR101535962B1 (ko) * 2014-11-05 2015-07-13 (주)케이지에스테크 정준점 설정용 추 공급장치
KR101556745B1 (ko) * 2015-06-09 2015-10-01 대영용기 주식회사 드럼 무게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83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0399B (zh) 储料器系统和管理储料器的方法
US20070069867A1 (en) Stock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ocking
US11946795B2 (en) Weighing load cells and arrangements employing them in shelves
US20150220764A1 (en) RFID Reading Apparatus for Shelf Occupancy Detection
US7142124B2 (en) Packaging incorporating volume-measurement capability using RFID tags
RU25970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чета товарного запаса торговой точки и/или склада, а также оснащенная этим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кладом
JP2004500293A (ja) 貯蔵システム
CN107822400B (zh) 库存管理装置及控制方法、终端设备
KR101614811B1 (ko)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US20170147969A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JP5757820B2 (ja) 重量選別システム
US202101487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ing products on a shelf
US20210270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impacts applied to an article during production
CN108629325B (zh) 物品位置的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10403400B (zh) 货柜
US2019032538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quantities of retail products
KR102159916B1 (ko)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20210147305A (ko)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20140123651A (ko)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549838B2 (en) Fill level measuring device
US11624645B2 (en) Method and refrigerating device for determining an object weight of an object for refrigeration
JP3135150U (ja) 秤量装置
GB2610904A (en) Inventory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190293456A1 (en) Capacitive sensing system for the detection of food products disposed within a food warming tray or food storage container
US10114989B2 (en) RFI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in occupancy recognition in a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