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51A -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51A
KR20140123651A KR20130040582A KR20130040582A KR20140123651A KR 20140123651 A KR20140123651 A KR 20140123651A KR 20130040582 A KR20130040582 A KR 20130040582A KR 20130040582 A KR20130040582 A KR 20130040582A KR 20140123651 A KR20140123651 A KR 2014012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parts
storage box
storage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화
Original Assignee
정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화 filed Critical 정승화
Priority to KR2013004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651A/ko
Publication of KR2014012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이 보관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보관함(10)과;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에 단일 종류의 부품이 저장되는 부품보관서랍(14)과; 상기 부품보관서랍(14)에 저장되는 다양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위치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입·출고를 감지하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감지부재(20)와;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부품의 입·출고가 감지된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하고, 해당 부품의 단위 중량을 산출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재(20)를 통해 변경된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 변화값을 검출하여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수량을 파악하는 메인컨트롤러(30);를 포함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보관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보관서랍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고 및 출고되는 부품을 산출하고 변동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부품의 입고량 및 출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전자저울에 의한 부품의 입고 및 출고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설치시 비용이 절감되고 정확한 부품의 입고 및 출고가 확인된다.
또한, 부품보관함의 무게를 감지하여 부품의 입고량 및 출고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작은 물품의 재고관리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작은 물품의 전체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품종, 소량의 부품이 부품보관함에 저장되어도 각각의 부품별로 정확한 입고량 및 출고량이 산출되며, 연산부를 통해 입고량, 출고량 및 현재고가 정확하게 산출되어 관리자 화면에 표시되어 원활할 재고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Using electronic scale and sensor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sens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보관함의 하부에 전자저울을 설치하고, 부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부품의 입고 및 출고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고 관리시스템이란 재고 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하며, 통상적인 생산재고는 기업의 생산 산출에 필요하거나 혹은 일부가 되는 품목을 가르키며, 대체로 원자재, 완제품, 부품, 가지재, 재공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물류의 재고를 유지하는 이유는 작업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기 위해서 작업장에 어느 정도 재고를 보유함에 따라 작업당 소요시간 차이를 상호 중화시킬 수도 있고 산출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 수요의 변동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 수요는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요변동을 흡수하려면 어느 정도의 안전재고가 필요하고, 원자재 조달 측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장에서는 물류창고의 재고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장에서의 안정된 물류를 확보하기 위한 물류 재고관리시스템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9552호와 제551248호 및 제5678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715호에서는 물류의 재고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물류 재고관리시스템은 창고에 보관하는 물품의 입력수단을 전자저울이나 키보드, 바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력수단을 선택하여 재고관리를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고체, 액체, 분말 등 다양한 형태의 부품류들의 재고량 파악을 통합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재고 관리에서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비용이 증가하고, 유선 재고 측정 장비를 이용하더라도 계속 변화하는 재고 상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재고 수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단일의 무게감지부재로 부품보관함에 보관된 다양한 부품에 대한 재고 파악이 가능한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부품이 보관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보관함과, 상기 부품보관함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에 단일 종류의 부품이 저장되는 부품보관서랍과, 상기 부품보관서랍에 저장되는 다양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상기 부품보관서랍의 위치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위치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입·출고를 감지하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와, 상기 부품보관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보관함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감지부재와,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에 의해 부품의 입·출고가 감지된 부품보관서랍의 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하고 해당 부품의 단위 중량을 산출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재를 통해 변경된 상기 부품보관함의 무게 변화값을 검출하여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수량을 파악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는,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부품보관서랍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부품보관서랍 일면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부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상기 부품보관서랍을 감지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보관서랍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부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상기 부품보관서랍을 감지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의해 산출된 부품정보에 따라 부품의 입고 수량, 출고 수량 및 현재고를 외부로 나타내는 관리자 화면이 더 구비된다.
각 부품의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와, 상기 각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별 부품의 품명, 부품번호, 단위 중량, 적정재고가 입력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입력단계와, 부품입출고감지부재를 통해 부품보관서랍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부품보관함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보관함 중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부품보관서랍을 검출하는 부품입출고감지단계와, 상기 메모리부로 부터 상기 입·출고가 검출된 부품보관서랍의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해당 어드레스에 따른 부품의 단위 중량을 검출하는 부품단위중량검출단계와, 현재 부품보관함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부품보관함의 무게와 비교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산출하는 무게산출단계와, 변경된 무게값과 부품의 단위 중량의 중량비를 계산하여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과 현재고를 산출하는 수량산출단계와, 산출된 부품의 입고량과 출고량 및 현재고를 관리자 화면에 나타내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보관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보관서랍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고 및 출고되는 부품을 산출하고 변동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부품의 입고량 및 출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전자저울에 의한 부품의 입고 및 출고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설치시 비용이 절감되고 정확한 부품의 입고 및 출고가 확인된다.
또한, 부품보관함의 무게를 감지하여 부품의 입고량 및 출고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작은 물품의 재고관리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작은 물품의 전체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품종, 소량의 부품이 부품보관함에 저장되어도 각각의 부품별로 정확한 입고량 및 출고량이 산출되며, 연산부를 통해 입고량, 출고량 및 현재고가 정확하게 산출되어 관리자 화면에 표시되어 원활할 재고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보관함과 전자저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보관함과 전자저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보관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보관함과 전자저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부품이 보관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보관함(10)과,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에 단일 종류의 부품이 저장되는 부품보관서랍(14)과, 상기 부품보관서랍(14)에 저장되는 다양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위치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입·출고를 감지하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감지부재(20)와,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부품의 입·출고가 감지된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하고, 해당 부품의 단위 중량을 산출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재(20)를 통해 변경된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 변화값을 검출하여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수량을 파악하는 메인컨트롤러(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전면부에 다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을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는 적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은 다수의 부품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는 부품보관서랍(14)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은 서랍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12)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은 상기 삽입홈(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저장된다.
즉, 작업자가 부품을 상기 부품보관서랍(14)에서 꺼내는 경우,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도 2과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부품을 꺼내고, 원하는 갯수 만큼 부품을 다 꺼내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우측방향으로 밀어넣어 상기 삽입홈(12)의 내부에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완전하게 밀어 넣는다.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상부에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마이크로스위치,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근접센서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도 2 와 같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움직임을 감지하여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것을 감지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상기 삽입홈(12)에서 외부로 꺼내면, 이를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가 감지하여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 작업이 어떤 부품보관서랍(14)에서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벽면에는 서랍감지부재(18)가 설치된다.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마이크로스위치,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도 3과 같이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벽면 좌측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우측면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좌우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려져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감지한다.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메인컨트롤러(30)와 연결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송신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부품을 꺼내기 위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서랍감지부재(18)는 오프(off)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에서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의 하부에는 무게감지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20)는 일반적인 전자저울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20)는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20)는 메인컨트롤러(30)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가 내장된 피씨비(PCB) 또는 컴퓨터로 상기 무게감지부재(20)에 측정한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가 입력된다.
즉,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부품보관서랍(14)을 검출하고, 검출된 부품보관서랍(14)에 대한 부품정보를 아래에서 설명한 메모리부(50)에서 산출한다. 산출된 부품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무게감지부재(20)에 의해 측정된 부품보관함(10)의 현재 부품보관함(10)의 무게와 기저장된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비교하여 부품의 입고 수량 또는 출고 수량과 현재고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저장된 부품보관함의 무게값이 100kg이고, 현재 측정된 부품보관함의 무게값이 110kg이면, 차이값이 +10kg으로 부품이 입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부품이 입고된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을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부품정보를 기준으로 단위 중량에 따라 입고 수량을 판단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입력부(40)와 연결된다. 상기 입력부(40)는 키보드, 마우스, 바코드스캔 등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작업자가 직접입력하는 방식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40)는 작업자에 의해 품명, 부품번호, 부품의 단위 중량, 부품보관서랍의 어드레스(IP), 적정중량 등의 부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에 저장된 부품정보는 메모리부(5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50)는 작업자가 저장한 부품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러(30)와 연결되어 부품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관리자 화면(60)과 연결된다. 상기 관리자 화면(60)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자 화면(60)에는 전체 부품현황이 표시되면,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시 부품의 입고 수량 또는 출고 수량이 표시되고, 부품의 현재고가 표시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보관함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보관함(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전면부에 다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을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는 적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은 다수의 부품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는 부품보관박스(15)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보관박스(15)는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박스형태로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품보관박스(15)는 상기 부품보관함(10)의 삽입홈(12)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삽입홈(12)은 상하 길이가 상기 부품보관박스(15)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의 내부에는 상기 부품보관박스(15)가 삽입되며, 상기 부품보관박스(15)의 상측 공간을 통해 부품의 입고 또는 출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부품을 상기 부품보관박스(15)에서 꺼내는 경우, 도 4와 같이, 상기 부품보관박스(15)의 상측 공간을 통해 내부의 부품을 입고 또는 출고 할 수 있다.
상기 부품보관박스(15)의 상측에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마이크로스위치,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근접센서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도 4 와 같이, 상기 부품보관박스(15)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작업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보관박스(15)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송신한다.
상기 부품보관함(10)의 하부에는 도 1과 같이, 무게감지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20)의 구조는 도 1과 동일한 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저울을 이용한 재고관리 방법은, 각 부품의 품명, 부품번호,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 단위 중량, 적정재고를 입력하는 입력단계(S100)와,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부품보관함(10)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보관함(10) 중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부품보관서랍(14)을 검출하는 부품입출고감지단계(S110)와, 검출된 부품보관서랍(14)의 어드레스(IP)와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어드레스(IP), 단위 중량을 검출하는 부품단위중량검출단계(S120)와, 현재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부품보관함(10)의 무게와 비교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산출하는 무게산출단계(S130)와, 변경된 무게값과 부품의 단위 중량을 계산하여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 및 현재고를 산출하는 수량산출단계(S140)와, 산출된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 및 현재고를 관리자 화면(60)에 나타내는 표시단계(150)를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단계(S100)는 상기 입력부(40)를 이용하여 각 부품에 대한 품명, 부품번호,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 단위 중량, 적정재고 등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적정재고의 입력시에는 많이 사용되는 부품의 경우에는 다소 많은 적정재고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게 사용되는 부품의 경우에는 다소 적은 적정재고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단계(S110)는 각각의 부품보관서랍(14)의 상측에 설치된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이 감지되며, 할당된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의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를 검출한다.
상기 부품단위중량검출단계(S120)는 상기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에 해당되는 부품정보를 상기 메모리부(50)에서 검출하여 해당 부품의 단위 중량을 검출한다.
상기 무게산출단계(S130)는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이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이 감지되면 무게감지부재(20)가 상기 부품보관함(10)를 측정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2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와 기저장된 부품보관함(10)의 무게값을 비교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산출한다.
상기 수량산출단계(S140)는 변경된 무게값과 부품의 단위 중량을 메인컨트롤러(30)에서 계산하여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 및 현재고를 산출한다.
상기 표시단계(150)는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관리자 화면(6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산출된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 및 현재고가 상기 관리자 화면(60)에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부품보관함에 적재된 부품들의 입고량, 출고량 및 현재고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부품알림단계(S160)는 산출된 부품의 현재고가 입력된 적정재고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화면(60)을 각 부품별 표시창 중 해당 부품표시창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점등되게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관리자 화면(60)을 통해 적정재고 이하의 부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부족한 부품에 대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부품보관함 12. 삽입홈
14. 부품보관서랍 15. 부품보관박스
16. 부품입출고감지부재 18. 서랍감지부재
20. 무게감지부재 30. 메인컨트롤러
40. 입력부 50. 메모리부
60. 관리자 화면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이 보관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보관함(10)과;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에 단일 종류의 부품이 저장되는 부품보관서랍(14)과;
    상기 부품보관서랍(14)에 저장되는 다양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된 부품의 단위 중량과 부품명 및 위치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 내부에 저장된 부품의 입·출고를 감지하는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와;
    상기 부품보관함(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감지부재(20)와;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에 의해 부품의 입·출고가 감지된 부품보관서랍(14)의 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하고, 해당 부품의 단위 중량을 산출한 후, 상기 무게감지부재(20)를 통해 변경된 상기 부품보관함(10)의 무게 변화값을 검출하여 부품의 입고 및 출고 수량을 파악하는 메인컨트롤러(30);를 포함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부품보관서랍(14)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부품보관서랍(14) 일면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부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부품보관서랍(14)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입출고감지부재(16)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보관서랍(14)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부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부품보관서랍(14)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30)에 의해 산출된 부품정보에 따라 부품의 입고 수량, 출고 수량 및 현재고를 외부로 나타내는 관리자 화면(6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5. 각 부품의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와, 상기 각 부품보관서랍 어드레스(IP)별 부품의 품명, 부품번호, 단위 중량, 적정재고가 입력되어 메모리부(50)에 저장되는 입력단계(S100)와;
    부품입출고감지부재를 통해 부품보관서랍(1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부품보관함(10)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보관함(10) 중 부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부품보관서랍(14)을 검출하는 부품입출고감지단계(S110)와;
    상기 메모리부(50)로 부터 상기 입·출고가 검출된 부품보관서랍(14)의 어드레스(IP)를 검출하고, 해당 어드레스(IP)에 따른 부품의 단위 중량을 검출하는 부품단위중량검출단계(S120)와;
    현재 부품보관함(10)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부품보관함(10)의 무게와 비교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산출하는 무게산출단계(S130)와;
    변경된 무게값과 부품의 단위 중량의 중량비를 계산하여 부품의 입고량 또는 출고량과 현재고를 산출하는 수량산출단계(S140)와;
    산출된 부품의 입고량과 출고량 및 현재고를 관리자 화면(60)에 나타내는 표시단계(150);를 포함하는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제어방법.

KR20130040582A 2013-04-12 2013-04-12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3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582A KR20140123651A (ko) 2013-04-12 2013-04-12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582A KR20140123651A (ko) 2013-04-12 2013-04-12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02A Division KR101614811B1 (ko) 2015-05-26 2015-05-26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51A true KR20140123651A (ko) 2014-10-23

Family

ID=5199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582A KR20140123651A (ko) 2013-04-12 2013-04-12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6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0335A (zh) * 2018-03-12 2018-07-31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三明供电公司 一种电力抢修智能存储柜
KR20190006825A (ko) * 2017-07-11 201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9262B1 (ko) * 2018-05-15 2019-04-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창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71141B1 (ko) * 2019-12-30 2021-06-30 주식회사 아이디알인비전 적재 선반과, 적재 선반을 이용한 스마트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88267B1 (ko) * 2022-08-22 2023-10-13 최성민 물류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25A (ko) * 2017-07-11 2019-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340335A (zh) * 2018-03-12 2018-07-31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三明供电公司 一种电力抢修智能存储柜
KR101969262B1 (ko) * 2018-05-15 2019-04-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창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71141B1 (ko) * 2019-12-30 2021-06-30 주식회사 아이디알인비전 적재 선반과, 적재 선반을 이용한 스마트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88267B1 (ko) * 2022-08-22 2023-10-13 최성민 물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811B1 (ko)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KR20140123651A (ko) 전자저울과 센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94488B2 (en) Direct access dispensing system
US20170147969A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JP5692684B1 (ja) ピッキングカート
US20170286907A1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CN204303074U (zh) 检测装置及自动货柜机
JP2020139938A (ja) 物品検知システム、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超音波センサ
KR20090089653A (ko) 디지털 피킹 카트
EP0915325B1 (en) A method for replenishing containers in a storage rack
JP4877953B2 (ja) 仕分カート及び仕分システム
JP2008272012A (ja) 電子棚札システム
JPH0881023A (ja) 入荷部品の保管管理装置
JP6779485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
US20110290567A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Need For Dimensional Weighing
US20220222616A1 (en) Sensor based item level 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KR20210147305A (ko)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JP2008189459A (ja) 物品仕分設備
JP2005231772A (ja) 商品在庫管理装置
JP2023043034A (ja) 部品収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00100016A (ko) 캔의 잔량확인이 가능한 자동판매기
US201502942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of tire balancing weights
KR102159916B1 (ko)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KR101659837B1 (ko) 상품정보 표시 시스템
US11727521B2 (en) Container pack size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