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578B1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578B1
KR101555578B1 KR1020120134611A KR20120134611A KR101555578B1 KR 101555578 B1 KR101555578 B1 KR 101555578B1 KR 1020120134611 A KR1020120134611 A KR 1020120134611A KR 20120134611 A KR20120134611 A KR 20120134611A KR 101555578 B1 KR101555578 B1 KR 10155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coaxial cable
cable
fram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416A (ko
Inventor
김지훈
홍람호
Original Assignee
김지훈
홍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홍람호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2013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5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6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후 외피 또는 내피를 탈피시키는 장치 및 그 탈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안착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커팅부에 상부와 하부에서 인입되어 접지되는 상, 하부탈피지그를 이용하여 접지 한 후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를 외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외피 또는 내피를 탈피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탈피방법에 주안점을 두어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커팅부에 접지되는 상, 하부탈피지그를 이용하여 탈피시킬 수 있어 탈피작업 후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Stripping device and the micro-coaxial cable for Micro Coaxial Cable Stripping}
본 발명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형성된 커팅부에 상, 하부탈피지그가 접지하여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표피를 탈피시키는 장치 및 그 탈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중심도체의 동축 상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구조의 케이블로서, 크기별/종류별로 매우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져 왔으며, 주로 건물지하의 안테나 또는 CATV 등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동축케이블에 관한 주된 개발방향은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구조설계, 유전특성의 개선 및 외부도체 외부에 여러 가지 방법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로 인해 개발된 것이 극세동축케이블(마이크로동축케이블)이며, 상기 극세동축케이블(Micro Coaxial Cable)은 머리카락 4분의 1 굵기의 아주 가는 동축 케이블로서, 구리 도체를 꼬아 난연 테플론으로 절연함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사용된다.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은 일반 동축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구리합금 등의 재질의 원형선재로 이루어진 중심도체와 중심도체 및 금속차폐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금속 차폐층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자켓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내시경 등 의료기기 등의 극소형화가 진행되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경 1mm 이하의 극세동축케이블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극세동축케이블도 내부도체, 절연층, 외부도체, 보호피복층 등으로 구성된 기본구성은 기존의 동축케이블과 거의 동일하다. 극세동축케이블은 경우에 따라 GHz 대역의 고주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고주파 전송에 의한 ‘표피효과(Skin Effect)'가 발생하여 극세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고분자 절연층의 유전율이 극세동축케이블의 전송 특성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한편, 극세동축케이블의 발포셀이 있는 부분과 셀이 없는 부분이 교차하도록 형성된 고분자 절연층은 ’표피효과‘에 의하여 유전율이 국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송특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 절연층 내의 ‘발포의 균일성’은 매우 중요한 특성변수가 된다. 종래의 일반 동축케이블 또는 대구경 동축케이블에 있어서는 통상 직경이 5~42mm 수준으로 절연층의 두께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발포과정에 있어서도 균일한 외경이 유지되며 균일한 발포사이즈 구현이 가능하였으나, 극세 동축케이블에 있어서는 전체 직경이 1mm 이하인 구조상 특성으로 인하여 기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거나 외경 불균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절연층의 두께가 0.05mm 정도에 불과한 만큼 절연두께의 불균일은 유전율의 국부적인 차이를 가져와 전송특성의 악화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극세동축케이블은 심선을 센서의 전극과 연결하기 위해서 각 심선을 감싸고 있는 내피, 외피를 탈피하고, 노출된 각 심선의 세심들이 풀리지 않도록 용접한 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847738호는 ‘자동 케이블 콤팩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되 케이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케이블 반탈피용 네스트와 케이블 용접용 네스트 및 케이블 절단용 네스트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케이블 고정 프레임, 상기 케이블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 네스트들에 안착되는 케이블 각각을 클램핑하는 케이블 클램핑 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탈피용 네스트에 클램핑된 케이블의 내심들을 감싸는 내피를 반탈피시키는 케이블 반탈피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반탈피된 후 상기 케이블 용접용 네스트에 클램핑된 케이블의 각 내심을 용접하는 케이블 용접 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용접된 후 상기 케이블 절단용 네스트에 클램핑된 케이블의 내심 끝단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 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네스트들에 안착되는 케이블들을 수평이동시키는 케이블 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케이블 콤팩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1143970호는 ‘케이블 절연부의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에 외피 또는 쉴드부가 절개된 절연부의 탈피공정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절연부 탈피장치에 있어서, 구성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하는 제1안착대, 절개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는 제2안착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2안착대의 양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포스트바와, 상기 포스트 바의 상측 단부에 구성되어 중앙으로 수직공압실린더부의 실린더 로드가 수용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공압을 통해 실린더 로드를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는 수직공압실린더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부로 구성되되, 수직공압실린더부의 실린더 로드 선단이 결합되며 하부로는 제1, 2안착홈에 대응되는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작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2실린더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2안착대의 측부로 제2안착대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후부로 실린더 로드가 체결되는 수평공압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안착홈의 후부에서 중단부에 이르는 조절홈을 구성하고 상기 조절홈에 체결되되, 체결되는 단부측이 케이블 절개부의 단부에 접지되는세트 스크류를 구성하고,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돌출부 및 제1, 2안착홈이 상호 마찰되는 부위의 표면 안으로 음각되는 음각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와 돌출부를 구분 구성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장공을 구성하고, 돌출부로는 상기 장공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장공 및 고정홈부에 관통되는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돌출부가 작동 플레이트에 체결 시 장공의 길이에 의해 돌출부의 고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절연부 탈피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0881684호는 ‘다중케이블 박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홈을 갖는 그라운드 바가 부착된 다중케이블의 피복을 박피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의 일 측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다중케이블의 타 측에 부착된 그라운드 바의 타 측을 당겨 그라운드 바의 타 측에 의해 고정된 피복을 박피하는 박피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피수단은 테이블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다중케이블을 지지하는 수평 이동판과, 상기 수평 이동판의 상부에 구비된 주축대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하여 다중케이블에 형성된 그라운드 바의 타 측을 눌러 고정시키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 및 상기 수평 이동판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케이블 박피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탈피 또는 박피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미세한 굵기의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대한 탈피장치가 불완전하게 제작되어 탈피 시 외피 또는 내피가 제대로 탈피되지 않아 제품의 균일성에 대해 기대하기 어려우며, 그로 인해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나쁘고, 이에 대한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이 문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안착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커팅부에 상부와 하부에서 인입되어 접지되는 상, 하부탈피지그를 이용하여 접지 한 후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를 외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외피 또는 내피를 탈피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탈피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면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되어 커팅부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이 장착된 블록지그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탈피하려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이 위치되는 안착플레이트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커팅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하며 각각 구성되는 상, 하부탈피지그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를 일 측에 형성된 홈에 연결하여 상하로 작동시키는 탈피프레임 및 상기 탈피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탈피프레임을 케이블고정프레임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유동프레임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탈피방법에 의하면,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커팅부에 접지되는 상, 하부탈피지그를 이용하여 탈피시킬 수 있어 탈피작업 후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지그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10은 도 9의 A를 확대시킨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11읠 B를 확대시킨 확대도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되어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탈피하려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되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 커팅부(710)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하며 각각 구성되는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를 일 측에 형성된 홈(430)에 연결하여 상하로 작동시키는 탈피프레임(400)과, 상기 탈피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0)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유동프레임(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9, 도 11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측에 안착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는 상기 안착대(210)에 안착된 블록지그(600)에 끼움 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안착대(210)는 상기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자석은 상기 블록지그(600)가 안착 시 상기 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것으로서, 상기 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착플레이트(220)는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블록지그(600)에 끼움 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상기 블록지그(600)에 끼움 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지그(600)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본 발명에 안착되지 이전에 1차 커팅작업이 이루어져 있어야 하며, 상기한 1차 커팅작업으로 인해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커팅부(710)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케이블지지프레임(3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9, 도 11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실린더로 작동되는 지지대(3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10)를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시켜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310)는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닿는 부분이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축 방향으로 지지되되 끝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피프레임(400)에 대해 도 1,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탈피프레임(400)에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형성된 커팅부(710)를 중심으로 상하에서 지지하는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가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는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며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는 탈피프레임(400)에 연결되는데, 상기 탈피프레임(400)의 일 측에 형성된 홈(430)에 연결되어 상하 유동된다. 이는 상기 탈피프레임(400)의 홈(430)을 타며 유동하는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마주하는 끝부가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닿을 수 있도록 상호 상승, 하강시킨다.
상기 유동프레임(5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동프레임(500)은 상기 탈피프레임(40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탈피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으로 전후 유동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한 구성 중 케이블지지프레임(300)에 구성되어 작동되는 지지대(310)와, 탈피프레임(400)의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 및 유동프레임(50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탈피프레임(400)은 각각이 실린더로 인해 작동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식 또는 공기압축식 및 LM가이드와 같은 유동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이용한 탈피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우선,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되어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탈피하려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되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 커팅부(710)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하며 각각 구성되는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를 일 측에 형성된 홈(430)에 연결하여 상하로 작동시키는 탈피프레임(400) 및 상기 탈피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상기 탈피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0)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유동프레임(500)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10)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에서처럼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10)가 구비되면,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시키고,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대(310)를 이용하여 1차 커팅 작업된 내측을 지지한 후 상기 탈피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내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대응되는 끝부를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위치시키고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를 각각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로 상하 유동시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닿게 한 후 탈피프레임(400)을 외측방향으로 유동시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탈피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되어 축 방향으로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블록지그(600)에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는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되면,
이때 상기 안착대(210)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있어 상기 블록지그(600)의 이탈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의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다.
상기에서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하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의 지지대(310)가 하강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는 안착플레이트(220)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310)는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지지되면,
상기 유동프레임(500)에 연결된 탈피프레임(400)을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이때 상기 탈피프레임(400)의 홈(430)에 연결된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는 상호 상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상호 마주하는 양 끝부가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탈피프레임(400)을 유동시킨다.
상기에서 탈피프레임(400)에 구비된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상호 대응되는 양 끝부가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도달하면,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작동으로 양 끝부가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와 접지되어 닿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부(710)를 중심으로 블록지그(600)가 위치된 내측과, 외측이 구분되어지며,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끝부로 인해 구분되어진 외측의 표피(720)를 상기 유동프레임(500)을 이용하여 탈피프레임(400)을 외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표피(720)를 탈피시킨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통상적으로 외피와 내피가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외피와 내피를 포함한 표피(720)를 각각 탈피 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블록지그(600)를 안착대(2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 및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블로지그(600)과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대한 고정력과 지지력을 높여 표면(720)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접지되는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를 이용하여 탈피시킬 수 있어 탈피력을 상승시켰고, 탈피작업 후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10)와 그 장치를 이용한 탈피방법이다.
10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
100 : 베이스플레이트
200 : 케이블고정프레임 210 : 안착대 220 : 안착플레이트
300 : 케이블지지프레임 310 : 지지대
400 : 탈피프레임
410 : 상부탈피지그 420 : 하부탈피지그 430 : 홈
500 : 유동프레임
600 : 블록지그
700 : 마이크로동축케이블 710 : 커팅부 720 : 표피

Claims (2)

  1.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며 블록지그가 위치되는 케이블고정프레임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 커팅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하며 각각 구성되는 상, 하부탈피지그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를 일 측에 형성된 홈에 연결하여 상하로 작동시키는 탈피프레임 및 상기 탈피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탈피프레임을 케이블고정프레임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유동프레임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에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에는 자석이 내장되는 안착대(210)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는 상기 안착대(210)에 안착되는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되는 안착플레이트(2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
  2. 베이스플레이트와,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에는 자석이 내장되는 안착대(210)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는 상기 안착대(210)에 안착되는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되는 안착플레이트(220)가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 커팅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닿을 수 있도록 끝부가 좁게 형성되고 일 측 방향으로 꺾임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하며 각각 구성되는 상, 하부탈피지그와,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를 일 측에 형성된 홈에 연결하여 상하로 작동시키는 탈피프레임 및 상기 탈피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탈피프레임을 케이블고정프레임으로 전후 유동시키는 유동프레임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이용하되,
    표피(720)에 1차 커팅작업이 완료되어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시키고, 상기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대(310)를 이용하여 커팅부(710)의 내측을 지지한 후 상기 탈피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내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의 대응되는 끝부를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위치시키고 상기 상, 하부탈피지그(410, 420)를 각각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로 상하 유동시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에 닿게 한 후 탈피프레임(400)을 외측방향으로 유동시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표피(720)를 탈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KR1020120134611A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KR10155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11A KR101555578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11A KR101555578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16A KR20140067416A (ko) 2014-06-05
KR101555578B1 true KR101555578B1 (ko) 2015-09-24

Family

ID=5112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611A KR101555578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08A1 (ko)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가교 절연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18B1 (ko) * 2015-01-15 2016-08-22 한국원자력연구원 소 직경용 mi 케이블 종단의 피복 제거 장치
CN107785817B (zh) * 2017-12-06 2023-10-31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气动剥线机构
CN108317935B (zh) * 2018-03-22 2024-02-06 国家电网公司 电缆精准剥皮装置
KR102137099B1 (ko) * 2020-02-19 2020-07-23 (주)레아테크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CN111244833B (zh) * 2020-03-12 2021-05-14 蓝光元 一种用于智能交通项目中的线缆回收剥皮辅助装置
CN113130147B (zh) * 2021-04-23 2022-09-16 江苏吉达电缆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回收再利用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3555824B (zh) * 2021-07-25 2023-03-03 启晗电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方便对高压电缆剥皮的剥皮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516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처리기기의 전선 절단탈피장치
JP2006311673A (ja) 2005-04-27 2006-11-09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機における電線皮剥ぎ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673A (ja) 2005-04-27 2006-11-09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機における電線皮剥ぎ方法
KR200403516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처리기기의 전선 절단탈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08A1 (ko)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가교 절연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16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578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US10056743B2 (en) Cabl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removing a screening film from a screened multi-core round cable
US5969295A (en) Twisted pair communications cable
US8043102B2 (en) Connector sheath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US20100132973A1 (en) Electrical power cable with frangible insulation shield
US11605480B2 (en) Electrical cable with dielectric foam
US7696436B2 (en) Multi-coaxial cab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3257514A (ja) 同軸ケーブルジャンパ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EP3340256B1 (en) Cable core and transmission cable
CN101483283A (zh) 同轴电缆束的连接构造
KR101439840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KR20100115237A (ko) 케이블 절연부의 탈피 장치
JP2011228298A (ja) 多心ケーブル
KR101506502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블록지그
JPH02202334A (ja) 巻線リード成端方法
JP3288676B2 (ja)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1228064A (ja) 高周波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高周波同軸ケーブル並びに押出装置
KR20210015688A (ko) 전기 도체를 크림핑하기 위한 중간 제품 및 방법
CN215070836U (zh) 一种Fakra连接器线缆剥芯用装置
CN212518190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铺设排线装置
CN215988224U (zh) 一种电缆线芯绞制机构
CN217719147U (zh) 半圆电缆芯的生产线
CN216413485U (zh) 一种圆管端子压接装置
JP2009224079A (ja) 内導体端子、連鎖端子、及び、同軸ケーブルと内導体端子との圧着接続方法
EP0938100B1 (fr) Câble de transmission à haute fréquence à deux groupes de conducteu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