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40B1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40B1
KR101439840B1 KR1020120134560A KR20120134560A KR101439840B1 KR 101439840 B1 KR101439840 B1 KR 101439840B1 KR 1020120134560 A KR1020120134560 A KR 1020120134560A KR 20120134560 A KR20120134560 A KR 20120134560A KR 101439840 B1 KR101439840 B1 KR 10143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bending
micro
plat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390A (ko
Inventor
김지훈
홍람호
Original Assignee
김지훈
홍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홍람호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2013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형성된 그라운드 바에 대해 벤딩작업할 수 있도록 벤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벤딩부재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를 지지하여 상기 벤딩부재를 회전플레이트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시켜 벤딩작업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 및 그 벤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운드 바 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고정프레임의 안착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상, 하부에서 접지되는 벤딩부재의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접지 한 후 상기 벤딩부재를 접지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시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대한 벤딩작업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에 주안점을 두어 그라운드 바 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접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벤딩작업을 할 수 있어 벤딩작업 후 진행되는 탈피공정에서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For micro-coaxial cable bending device and the micro coaxial cable bending methods}
본 발명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형성된 그라운드 바에 대해 벤딩작업할 수 있도록 벤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벤딩부재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를 지지하여 상기 벤딩부재를 회전플레이트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시켜 벤딩작업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 및 그 벤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중심도체의 동축 상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구조의 케이블로서, 크기별/종류별로 매우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져 왔으며, 주로 건물지하의 안테나 또는 CATV 등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동축케이블에 관한 주된 개발방향은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구조설계, 유전특성의 개선 및 외부도체 외부에 여러 가지 방법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로 인해 개발된 것이 극세동축케이블(마이크로동축케이블)이며, 상기 극세동축케이블(Micro Coaxial Cable)은 머리카락 4분의 1 굵기의 아주 가는 동축 케이블로서, 구리 도체를 꼬아 난연 테플론으로 절연함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사용된다.
마이크로 동축케이블은 일반 동축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구리합금 등의 재질의 원형선재로 이루어진 중심도체와 중심도체 및 금속차폐층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금속 차폐층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자켓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내시경 등 의료기기 등의 극소형화가 진행되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경 1mm 이하의 극세동축케이블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극세동축케이블도 내부도체, 절연층, 외부도체, 보호피복층 등으로 구성된 기본구성은 기존의 동축케이블과 거의 동일하다. 극세동축케이블은 경우에 따라 GHz 대역의 고주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고주파 전송에 의한 ‘표피효과(Skin Effect)'가 발생하여 극세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고분자 절연층의 유전율이 극세동축케이블의 전송 특성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한편, 극세동축케이블의 발포셀이 있는 부분과 셀이 없는 부분이 교차하도록 형성된 고분자 절연층은 ’표피효과‘에 의하여 유전율이 국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송특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 절연층 내의 ‘발포의 균일성’은 매우 중요한 특성변수가 된다. 종래의 일반 동축케이블 또는 대구경 동축케이블에 있어서는 통상 직경이 5~42mm 수준으로 절연층의 두께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발포과정에 있어서도 균일한 외경이 유지되며 균일한 발포사이즈 구현이 가능하였으나, 극세 동축케이블에 있어서는 전체 직경이 1mm 이하인 구조상 특성으로 인하여 기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거나 외경 불균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절연층의 두께가 0.05mm 정도에 불과한 만큼 절연두께의 불균일은 유전율의 국부적인 차이를 가져와 전송특성의 악화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극세동축케이블은 심선을 센서의 전극과 연결하기 위해서 각 심선을 감싸고 있는 내피, 외피를 탈피하고, 노출된 각 심선의 세심들이 풀리지 않도록 용접한 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도체(導體)와 상기 도체의 외부로 전기가 통하지 아니하는 물질로 겉을 감싼 전화선이나 전력선을 말한다.
상기 케이블을 목적하는 지점에 상호 연결되어 접속되도록 사용되며 이러한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를 커넥터라 하는데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전력도구가 없으면 생활이 안될 만큼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커넥터와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절연부를 절개하여 커넥터에 상호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은 도체의 외부로 도체를 보호하는 쉴드부와 상기 쉴드부 외부로 절연하는 외피로 이루어지는 절연부가 구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에 결합하기 위하여 케이블 내의 도체를 커넥터에 결합한 후 다른 케이블에 상호 연결하여 전기 회로 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해 우선 케이블을 보호하는 절연부의 절개공정과, 상기 절연부가 절개된 도체의 올바른 정렬을 위해 도체의 외부에 그라운드 바를 체결하는 체결공정과. 상기 절개된 절연부의 탈피공정과, 상기 절연부가 탈피된 도체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해 도체의 단부의 절단 및 그라운드 바의 제거를 위한 절단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은 통상 인력에 통한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상기 수작업을 통한 케이블 도체의 단부 및 그라운드 바의 절단작업은 각종 공구를 통해 숙련된 작업자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상기 케이블은 대량의 물량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전선을 절단 과정을 인력에 의존하게 되면, 과도한 인건비 지출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의 지연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수작업인 만큼 높은 케이블 내부 도체가 꼬이거나 절단되는 등의 불량률이 발생되며 또한 도체의 절단 구간이 불균일하여 양질의 케이블을 얻기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그라운드 바 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고정프레임의 안착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상부와 하부에서 접지되는 벤딩부재의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접지 한 후 상기 벤딩부재를 접지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시켜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대한 벤딩작업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에 쉴드 작업이 완료되어 그라운드 바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이 장착된 블록지그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일 측에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안착플레이트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일 측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지지대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일 측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지그와 타 측에는 외측에 롤러가 구성된 벤딩부재와 상기 벤딩부재의 지지플레이트와 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을 연결 축으로 고정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벤딩부재의 롤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이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는 유동부재로 구성된 벤딩프레임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에 의하면, 그라운드 바 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 바에 접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벤딩작업을 할 수 있어 벤딩작업 후 진행되는 탈피공정에서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지그와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와 A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작동상태도
본 발명인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쉴드 작업이 완료되어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 유동하되 일 측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어 지지대(310)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고정하는 고정지그(412)와 타 측에는 외측에 롤러(430)가 구성된 벤딩부재(41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지지플레이트(411)와 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의 양측을 연결 축(421)으로 고정한 회전플레이트(42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는 유동부재(440)로 구성된 벤딩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에 대해 도 1 내지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상측에 안착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는 상기 안착대(210)에 안착된 블록지그(600)에 끼움 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안착대(210)는 상기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자석은 상기 블록지그(600)가 안착 시 상기 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적용된 것으로서, 상기 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착플레이트(220)는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블록지그(600)에 끼움 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상기 블록지그(600)에 끼움 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지그(600)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본 발명에 안착되기 이전에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운드 바(710)의 중심부를 지지한 후 상기 그라운드 바(710)에 벤딩 작업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지지프레임(3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실린더로 작동되는 지지대(3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10)를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시켜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310)는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닿는 부분이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축 방향으로 지지되되 끝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딩프레임(4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벤딩프레임(4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대분구성하면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지지하는 벤딩부재(41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유동 시 중심 축 역할을 하며 연결 축(421)이 구비된 회전플레이트(420)와, 롤러(430)가 유동 홈(441)에서 유동되며 상기 벤딩부재(410)가 회전플레이트(420)의 연결 축(4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유동부재(440)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부재(410)는 일 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어 지지대(310)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부분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일 측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고정하는 고정지그(412)가 구비되며, 타 측의 외측에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롤러(4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는 일 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 측은 개방되어 있고, 실린더와 같은 작동부재의 작동으로 고정지그(412)를 작동시켜 개방된 부분이 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 부분에 대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지그(412)와 지지플레이트(411)가 구비되어 상기 그라운드 바(710)를 고정하며 지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20)는 상기 벤딩부재(410)의 일 측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411)의 양측을 연결 축(421)으로 고정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축 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20)는 벤딩부재(410)의 상하 유동 시 상기 연결 축(42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에 의해 고정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에 대해 벤딩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재(440)는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한다. 상기 유동부재(440)는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홈(441)이 일 측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동 홈(441)으로 상기 롤러(430)가 유동한다.
상기한 롤러(430)의 유동은 상기 유동부재(440)가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 시 유동 홈(441)에 인입된 롤러(430)가 유동부재(440)의 유동 홈(441) 내에서 자동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부재(440)의 상승 시 롤러(430)도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벤딩부재(410)의 전면부는 회전플레이트(420)의 연결 축(421)에 의해 제자리에 위치되며, 후면부는 상기 유동부재(440)의 상승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동부재(440)의 하강 시 상기 벤딩부재(410)도 하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벤딩프레임(4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연결되어 레일과 같은 유동수단을 통해 상기 벤딩프레임(400)을 케이블고정프레임(20)으로 전후 유동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한 구성 중 케이블지지프레임(300)에 구성되어 작동되는 지지대(310)와, 벤딩프레임(400)의 고정지그(412), 유동부재(44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벤딩프레임(400)은 각각이 실린더로 인해 작동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식 또는 공기압축식 및 LM가이드와 같은 유동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설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동부재(440)의 작동으로 벤딩부재(410)의 후면부가 상하 회전 시 상기 벤딩부재(410)의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 사이에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가 일정만큼의 벤딩이 될 수 있도록 미연에 제어시킬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어부로 인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설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우선,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쉴드 작업이 완료되어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 유동하되 일 측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어 지지대(310)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고정하는 고정지그(412)와, 타 측에는 외측에 롤러(430)가 구성된 벤딩부재(41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지지플레이트(411)와 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의 양측을 연결 축(421)으로 고정한 회전플레이트(42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는 유동부재(440)로 구성된 벤딩프레임(400)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10)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구성의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10)가 구비되면,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시키고,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대(310)를 이용하여 그라운드 바(710)의 내측을 지지한 후 상기 벤딩프레임(400)을 유동시켜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고 고정지그(420)를 하강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고정한 후 벤딩부재(410)가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부재(440)를 상하 유동시켜 상기 유동부재(440)의 유동 홈(441)에 인입된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상기 유동 홈(441)에서 유동하며 상기 벤딩부재(410)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0)의 연결 축(421)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하며 마이크로둥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벤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표면에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블록지그(600)에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는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되면,
이때 상기 안착대(210)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있어 상기 블록지그(600)의 이탈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블록지그(600)에 장착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의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다.
상기에서 커팅부(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하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의 지지대(310)가 하강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커팅부(710)는 안착플레이트(220)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310)는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지지되면,
상기 유동프레임(500)에 연결된 벤딩프레임(400)을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위치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이때 상기 벤딩프레임(400)의 지지플레이트(411)는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플레이트(22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고정지그(412)의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있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안착플레이트(411)에 위치된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부분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다.
상기에서 벤딩프레임(400)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411)가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에 도달하면,
벤딩부재(410)의 고정지그(412)가 하강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411) 상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며 고정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의 끝부에는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부분이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 사이에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가 지지되면,
유동부재(440)가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부재(440)의 상하 유동으로 벤딩부재(410)의 후면부에 구비된 롤러(430)가 유동부재(440)의 유동 홈(441)을 타며 유동하고 회전플레이트(420)의 연결 축(421)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에 벤딩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에서 벤딩작업이 완료되면,
유동부재(440)가 원위치되며 그로 인해 벤딩부재(410)도 상하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벤딩부재(410)의 유동이 완료되면, 고정지그(412)가 작동하여 일 측이 개방되고 상기 벤딩프레임(400)은 외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벤딩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유동부재(440)의 상하 유동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하 유동 횟수를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제어부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그라운드 바(710) 작업이 완료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에 접지되는 지지플레이트(411)와 고정지그(412)를 이용하여 벤딩 작업을 할 수 있어 벤딩 작업 후 진행되는 탈피공정에서 제품에 대한 균일한 탈피가 진행되어 제품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였고,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에 대한 생산성을 높였으며, 그로 인해 불필요한 작업자를 줄여 부가적인 인건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벤딩 방법이다.
10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
100 : 베이스플레이트
200 : 케이블고정프레임 210 : 안착대 220 : 안착플레이트
300 : 케이블지지프레임 310 : 지지대
400 : 벤딩프레임
410 : 벤딩부재 411 : 지지플레이트 412 : 고정지그
420 : 회전플레이트 421 : 연결 축
430 : 롤러 440 : 유동부재 441 : 유동 홈
600 : 블록지그
700 : 마이크로동축케이블 710 : 그라운드 바 720 : 표피

Claims (2)

  1.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쉴드 작업이 완료되어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 유동하되
    일 측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어 지지대(310)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고정하는 고정지그(412)와, 타 측에는 외측에 롤러(430)가 구성된 벤딩부재(41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지지플레이트(411)와 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의 양측을 연결 축(421)으로 고정한 회전플레이트(42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는 유동부재(440)로 구성된 벤딩프레임(4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
  2.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되 표피(720)에 쉴드 작업이 완료되어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석이 내장된 안착대(210)와 상기 안착대(210)의 일 측에 상기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는 안착플레이트(220)로 구성된 케이블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성된 케이블지지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 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 유동하되 일 측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에 안착되어 지지대(310)로 지지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일 측이 위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고정하는 고정지그(412)와, 타 측에는 외측에 롤러(430)가 구성된 벤딩부재(41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지지플레이트(411)와 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의 양측을 연결 축(421)으로 고정한 회전플레이트(420)와 상기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 홈(441)이 형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하 유동하는 유동부재(440)로 구성된 벤딩프레임(400)으로 구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10)를 이용하되,
    그라운드 바(710)가 형성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이 장착된 블록지그(600)를 케이블고정프레임(200)의 안착대(210)에 안착시키고, 안착플레이트(220)에 위치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지지대(310)를 이용하여 그라운드 바(710)의 내측을 지지한 후 상기 벤딩프레임(400)을 유동시켜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을 위치시키고 고정지그(420)를 하강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위치된 마이크로동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고정한 후 벤딩부재(410)가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부재(440)를 상하 유동시켜 상기 유동부재(440)의 유동 홈(441)에 인입된 벤딩부재(410)의 롤러(430)가 상기 유동 홈(441)에서 유동하며 상기 벤딩부재(410)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0)의 연결 축(421)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하며 마이크로둥축케이블(700)의 그라운드 바(710)를 벤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
KR1020120134560A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KR10143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60A KR101439840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60A KR101439840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90A KR20140067390A (ko) 2014-06-05
KR101439840B1 true KR101439840B1 (ko) 2014-09-17

Family

ID=5112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560A KR101439840B1 (ko) 2012-11-26 2012-11-26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683A (ko) * 2003-07-22 2005-01-29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결선 장치 및 결선 방법
KR20100115839A (ko) * 2009-04-21 2010-10-29 김도완 케이블의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683A (ko) * 2003-07-22 2005-01-29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결선 장치 및 결선 방법
KR20100115839A (ko) * 2009-04-21 2010-10-29 김도완 케이블의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90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578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US10056743B2 (en) Cabl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removing a screening film from a screened multi-core round cable
US8878062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connection method
US7696436B2 (en) Multi-coaxial cab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W201110157A (en) Shielded electrical cable
CN101743667A (zh) 电连接器组件
US10033168B2 (en) Modular blade cartridge for a cable stripping tool and a stripping tool utilizing a modular blade cartridge
CN101483283A (zh) 同轴电缆束的连接构造
US8215986B1 (en) Cable connection method priority
JP2003257514A (ja) 同軸ケーブルジャンパ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74002A1 (ja) 絶縁電線、同軸ケーブル及び多心ケーブル
KR101439840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벤딩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벤딩방법
KR101197744B1 (ko) 케이블 외피 탈피기
CN108899816B (zh) 一种电缆线去皮装置
KR101506502B1 (ko) 마이크로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블록지그
WO2005052957A1 (ja) 同軸ケーブル
KR20100115237A (ko) 케이블 절연부의 탈피 장치
CN212304177U (zh) 一种适用于单股或多股具有夹线结构的线材剥皮机
JP5247404B2 (ja) 切断刃ユニット
JP2014207834A (ja) 極細同軸ケーブルの外部導体の除去装置
CN215070836U (zh) 一种Fakra连接器线缆剥芯用装置
CN109066252B (zh) 一种半刚电缆焊接空洞率控制方法和配套工装
CN109066486B (zh) 一种电缆尺寸可调定位剥线工具
CN220692713U (zh) 一种线缆剥外皮装置
CN214506365U (zh) 一种用于剥除长距离双绞电线绝缘层的剥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