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57B1 -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157B1
KR101555157B1 KR1020140147383A KR20140147383A KR101555157B1 KR 101555157 B1 KR101555157 B1 KR 101555157B1 KR 1020140147383 A KR1020140147383 A KR 1020140147383A KR 20140147383 A KR20140147383 A KR 20140147383A KR 101555157 B1 KR101555157 B1 KR 10155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inflow
bl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식
Original Assignee
한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식 filed Critical 한영식
Priority to KR102014014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유닛이 설치되며, 단위 유닛들의 상부에는 천정패널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가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각 단위 유닛은 상부차단판, 전면부, 양쪽 측벽 및 후면부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구획되며,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단위 유닛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단위 유닛의 상부차단판 위에는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는 제2 유입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차단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부 공간에는 유입블로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studying facility having a plurality of basic uni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독서실이나 고시원 등 면학시설에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이 개별적으로 에어 컨디셔닝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면학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독서실이나 고시원 등의 면학시설은 다수의 이용자에게 학습 또는 독서를 위한 개인공간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한 면학시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면학시설, 예컨대, 독서실에는 다수의 개인공간인 단위 유닛(10)이 형성되고 있으며, 천정패널(P)에는 냉난방기기(A/C)가 매립 설치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각 단위 유닛(10)은 도어가 형성되는 전면 하부에 냉기 유입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뚫려 있어, 천정패널(P)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A/C)로부터의 냉기 및 온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위 유닛(10)이 전면 하부에 냉기 유입개구(11)를 구비하고 상부는 뚫린 구조로 형성되다 보니,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단위 유닛(10)을 더욱 밀폐시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동시에 에어 컨디셔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59275호
본 발명은 다수의 독서실이나 고시원 등 면학시설에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이 개별적으로 에어 컨디셔닝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면학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유닛이 설치되며, 단위 유닛들의 상부에는 천정패널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가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각 단위 유닛은 상부차단판, 전면부, 양쪽 측벽 및 후면부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구획되며,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단위 유닛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단위 유닛의 상부차단판 위에는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는 제2 유입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차단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부 공간에는 유입블로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단위 유닛의 전면부에는 냉기 유입홀 및 온기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입덕트는 상기 냉기 유입홀 및 상기 온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에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상기 유입블로워와 연동되어, 상기 온도조절기의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유입블로워가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유닛의 상기 상부차단판에는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로워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입덕트는 상기 상부차단판과 상기 천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부의 상부는 상기 천정패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단위 유닛의 상부차단판과 상기 천정패널 사이에 제2의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 유닛 내부의 공기는 환기를 위하여 상기 제2의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천정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독서실이나 고시원 등 면학시설에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이 개별적으로 에어 컨디셔닝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면학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독서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학시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학시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단위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학시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단위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학시설에는 다수의 단위 유닛(100)이 설치되며, 단위 유닛들(100)의 상부에는 천정패널(P)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A/C)가 구비된다.
각 단위 유닛(100)은 상부차단판(101), 전면부(102), 양쪽 측벽(103) 및 후면부(104)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구획되는 개인공간으로 형성된다. 특히, 종래와는 달리 상부차단판(101)에 의하여 상부가 막힌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부(102)에 냉기 유입개구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인해, 주변 소음의 차단에 효과적일 수 있다. 후면부(104)에는 책상이나 책꽂이와 같은 가구가 붙박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에는 일단이 각 단위 유닛(100)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1 유입덕트(110)가 구비되고 각 단위 유닛(100)의 상부차단판(101) 위에는 제1 유입덕트(110)와 연결되는 제2 유입덕트(120)가 형성된다. 제2 유입덕트(120)의 일단은 제1 유입덕트(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단위 유닛(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기 위하여 상부차단판(101)에 연결된다.
제2 유입덕트(120)는 상부차단판(101)과 천정패널(P)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부(102)의 상부는 천정패널(P)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상부차단판(101)과 천정패널(P) 사이에 제2의 밀폐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소음 전달 방지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유입덕트(120)의 일부 공간에는 유입블로워(121)가 구비되어 제1 유입덕트(110)를 통해 냉기 또는 온기를 유입시켜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입블로워(121)는 제2 유입덕트(120)의 길이 방향 중간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단위 유닛(100) 내부 공간으로의 블로워의 소음 전달을 방지함에 효과적일 것이다.
각 단위 유닛(100)의 전면부(102)에는 출입도어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단위 유닛(100)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천정패널(P)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냉기 유입홀(102a) 및 온기 유입홀(102b)이 구비되고 각 단위 유닛(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유입덕트(110)는 냉기 유입홀(102a) 및 온기 유입홀(102b)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냉난방기기(A/C)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는 바닥면으로 가라앉아 바닥부터 시원해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냉기 유입홀(102a)은 전면부(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냉난방기기(A/C)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는 바닥면으로 가라앉지 않고 상부부터 데워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온기 유입홀(102b)은 전면부(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난방기기(A/C)가 에어컨으로 가동하여 냉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온기 유입홀(102b)은 닫고 냉기 유입홀(102a)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난방기기(A/C)가 온풍기로 가동하여 온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냉기 유입홀(102a)은 닫고 상부의 온기 유입홀(102b)만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냉기 유입홀(102a)과 온기 유입홀(102b)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 기능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차단판(101)에는 배출블로워(130)와 조명등(101a), 그리고 인체감지센서(S)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블로워(130)는 단위 유닛(100)의 환기를 위하여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출블로워(1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부차단판(103)들과 천정패널(P) 사이의 제2의 밀폐공간으로 모아진 후 천정패널(P)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기(103a)가 구비된다. 온도조절기(103a)는 제2 유입덕트(120)의 유입블로워(121)와 연동되어, 온도조절기의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유입블로워(121)가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차단판(101)에 설치되는 인체감지센서(S)는 각 단위 유닛(100) 내부의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조명등(101a) 및/또는 유입블로워(121)가 온오프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먼저 천정패널(P)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A/C)로부터 냉기가 토출되면, 각 단위 유닛(100)의 전면부(102)에 설치되는 냉기 유입홀(102a)을 통해 냉기가 유입되어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유입덕트(110)를 거쳐 상부차단판(101) 위에 설치되며 일단은 제1 유입덕트(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차단판(101)과 연결되어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제2 유입덕트(120)를 통해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로 냉기를 유입시킴으로써, 밀폐 공간인 각 단위 유닛(100)의 냉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음 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103a)와 제2 유입덕트(120)의 유입블로워(121)가 연동되어 온도조절기(103a)의 설정 온도에 맞춰 유입블로워(121)가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각 단위 유닛(100)의 상부 차단판(101)에 설치되는 조명등(101a)과 유입블로워(121)도 인체감지센서(S)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기(A/C)로부터 온기가 토출되는 경우에는 냉기 유입홀(102a)은 닫히고 전면부(102)의 온기 유입홀(102b)만이 개방되어 온기가 유입되어 냉기 유입시와 동일한 루트를 통해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로 온기가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단위 유닛(100)의 내부 환기를 위하여 상부차단판(101)에는 배출블로워(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블로워(13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천정패널(P)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덕트(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유닛이 개별적으로 에어 컨디셔닝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면학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학시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만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배출블로워(130)가 상부차단판(101)에 매립설치되고 배출블로워(13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2의 밀폐공간에 모아진 후 천정패널(P) 상부의 배출덕트(140)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차단판(101) 위에 설치되되, 일단이 인접한 두개의 단위 유닛(100)과 연통되며, 타단에는 배출블로워(130)가 설치되며, 배출블로워(13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2의 밀폐공간에 모아진 후 천정패널(P) 상부의 제2 배출덕트(140)를 통해 외부 배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블로워(130)가 상부차단판(101)에 직접 매립 설치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단위 유닛(100)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서도, 각각의 단위 유닛(100)이 개별적으로 에어 컨디셔닝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면학시설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의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단위 유닛 101 : 상부차단판
102 : 전면부 103 : 측벽
104 : 후면부 110 : 제1 유입덕트
120 : 제2 유입덕트 121 : 유입블로워
130 : 배출블로워 140 : 배출덕트

Claims (5)

  1. 다수의 단위 유닛이 설치되며, 단위 유닛들의 상부에는 천정패널에 매립 설치되는 냉난방기기가 구비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각 단위 유닛은 상부차단판, 전면부, 양쪽 측벽 및 후면부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구획되며,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단위 유닛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유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단위 유닛의 상부차단판 위에는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는 제2 유입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유입덕트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차단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일부 공간에는 유입블로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의 전면부에는 냉기 유입홀 및 온기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입덕트는 상기 냉기 유입홀 및 상기 온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의 내부에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제2 유입덕트의 상기 유입블로워와 연동되어, 상기 온도조절기의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유입블로워가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의 상기 상부차단판에는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블로워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덕트는 상기 상부차단판과 상기 천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부의 상부는 상기 천정패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단위 유닛의 상부차단판과 상기 천정패널 사이에 제2의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 유닛 내부의 공기는 환기를 위하여 상기 제2의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천정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140147383A 2014-10-28 2014-10-28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155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83A KR101555157B1 (ko) 2014-10-28 2014-10-28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83A KR101555157B1 (ko) 2014-10-28 2014-10-28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157B1 true KR101555157B1 (ko) 2015-09-22

Family

ID=5424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383A KR101555157B1 (ko) 2014-10-28 2014-10-28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1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16Y1 (ko) 2014-01-21 2014-05-09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16Y1 (ko) 2014-01-21 2014-05-09 김철호 룸식 독서실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KR102090584B1 (ko) 조리 과정 및 조리 후 오염물질의 신속 배출이 가능한 복합기능의 주방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환기방법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20140136199A (ko) 공기 조화기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7271128A (ja) 空調設備
JP6978291B2 (ja) クリーンブース
CN111795464A (zh) 一种厨房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713807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555157B1 (ko)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170019195A (ko) 다수의 단위 유닛을 구비하는 면학시설용 공기조화 시스템
US20100048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t air cooling, exchange and circulation
NO127939B (ko)
JP2019070489A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4924031B2 (ja) 換気システム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JPH1078244A (ja) 空気調和装置
JP3203432U (ja) 環境コントロール型集合住宅
JP2019195316A (ja) ペット用トイレ空間を備えた建物
TWI644061B (zh) 室內換氣循環氣流導引系統
US20200263897A1 (en) Air handler cabinet and method of treating air
JP3871859B2 (ja) セントラル換気式建物
JPH07269918A (ja) トイレ室の換気構造
JP2007187339A (ja) 無線操作システム
JPH06193925A (ja) 住宅内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