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77B1 -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377B1
KR101553377B1 KR1020150103493A KR20150103493A KR101553377B1 KR 101553377 B1 KR101553377 B1 KR 101553377B1 KR 1020150103493 A KR1020150103493 A KR 1020150103493A KR 20150103493 A KR20150103493 A KR 20150103493A KR 101553377 B1 KR101553377 B1 KR 10155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dden
vehicle
accident
signal
analy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웅
Original Assignee
하임나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임나노(주) filed Critical 하임나노(주)
Priority to KR102015010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77B1/ko
Priority to US15/192,701 priority patent/US97194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82Control of electrical fue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38Limiting the input power, torque o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5Sensor drifts or sens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04Thrott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7Limping Home, i.e. taking specific engine control measures at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6Driving style, e.g. sporty or economic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차량 블랙박스에서 엑셀 포지션(accel position)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throttle position) 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 차량 급발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정보로 저장하고, 차량 급발진시 연료펌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블랙박스에 내장되며, 엑셀 포지션 신호와 영상 녹화를 위한 수직 동기신호를 동기화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고 기록부에 전송하고,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조합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로 사고 기록부에 전송해줌과 아울러 급발진을 판단하며, 급발진 판별시 자동으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는 급발진 사고 방지부; 및 영상 저장을 위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 제공해주며, 제1 급발진 분석정보와 녹화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사고 기록부를 포함하여,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jackrabbit accident using car black box}
본 발명은 차량 블랙박스(car black box)를 이용한 급발진(jackrabbit) 사고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블랙박스에서 엑셀 포지션(accel position)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throttle position) 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 차량 급발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정보로 저장하고, 차량 급발진시 연료펌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발진이란 시동상태에서 운전자의 가속 페달 및 변속 조작행위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이 스스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말한다.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스스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차량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가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고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첫째, 운전자의 조작 오류, 둘째, 차량 자체의 결함, 셋째, 차량 부속의 노후화에 따른 결함, 넷째, 변속 레버의 위치가 P나 N일 때 차량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출발하게 되는 경우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중 차량 부속의 노후화에 따른 결함으로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 및 연료 분사량 제어장치(ECU)를 작동하게 하는 센서들(예를 들어, 흡기 공기 온도센서(ATS; Air Temperature Sensor), 냉각 수온센서(WTS; Water Temperature Sensor),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 산소 센서, 기타)의 노후화를 들 수 있다.
차량에서 급발진이 발생하면, 통상 제동을 시도해도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차량에서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17690호(2012.02.29. 공개)와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3-0011076호(2013.01.30. 공개) 및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2857호(2014.02.07. 등록)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급발진에 따른 고장일 때 마이컴에서 즉시 감지하여 ECU 분사신호를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CPU 분사신호를 대신 출력하여 자동차의 엔진 출력을 정속으로 유지시켜 급발진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 내 전기적인 에러가 없는 상태에서 가속페달 제어를 통해 차량 제어를 수행할 시, 차량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속페달 열림 값 및 스로틀 열림 값 중 1 이상을 확인한 후, 확인한 결과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관련 학습 값을 비교하여 차량 급발진인지를 판정하고, 차량 급발진으로 판정되면 스로틀 열림 제어를 미리 정해진 스로틀 열림 한계 값 미만으로 실행하여,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가속 페달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ECU와 연계하여 작동되지 않도록 구동 제어부에만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페달조작 감지수단, 스로틀 밸브의 개폐각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밸브 체와 접촉되면, 엔진을 정지시키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밸브감지수단, 페달조작 감지수단 및 밸브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고, 급발진 시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제어시스템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급발진을 차단하여, 급발진 방지작용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17690호(2012.02.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3-0011076호(2013.01.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2857호(2014.02.07. 등록)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차량 급발진이라고 판단이 되면,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 들어, 마이컴)에서 스로틀 제어와 같은 분사 제어를 수행하여 급발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제어장치의 오류 여부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적의 급발진 제어라고는 볼 수 없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다른 마이컴을 분사장치에 연결하여 급발진 제어를 구현한다는 것은 차량 구조상 자동차 회사에서 인정하기 어려우며, 구조상 실현하기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급발진 상태에서 스로틀 제어와 같은 분사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급발진이라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스로틀 제어를 수행한다는 것 역시 불합리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급발진을 규명할 수 있는 증거 자료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발진 방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급발진 발생시 최적으로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블랙박스에서 엑셀 포지션(accel position)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throttle position) 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 차량 급발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정보로 저장하고, 차량 급발진시 연료펌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로틀 포지션 신호(스로틀 밸브 열림 정도)와 블랙박스의 영상 기록을 위한 수직 동기신호(V_sync.)를 동기화하여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고, 스로틀 포지션 신호와 엑셀 포지션 신호를 급발진 분석정보로 저장하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로틀 포지션 신호와 엑셀 포지션 신호를 기초로 초기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고, 초기 급발진 판단 이후에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이 정상상태로 복귀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 상태로 최종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고, 급가속 또는 급제동 상태가 자주 발생하면 이를 운전성향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의 조합을 통해 급발진과 엑셀 포지션 센서의 에러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엑셀 포지션 센서의 에러상태 시 이를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차량 블랙박스에 내장되며, 엑셀 포지션 신호와 영상 녹화를 위한 수직 동기신호를 동기화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고 기록부에 전송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조합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로 상기 사고 기록부에 전송해줌과 아울러 급발진을 판단하며, 급발진 판별시 자동으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는 급발진 사고 방지부; 상기 차량 블랙박스에 내장되며, 영상 저장을 위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 제공해주며,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제공되는 제1 급발진 분석정보와 녹화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사고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방지부는 엑셀 포지션 센서에서 차량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으로 전송되는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되는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각각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화시켜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기초로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또는 급발진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태 표시 및 엔진 제어를 실행하는 급발진 사고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결과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연산하여 급발진 판별을 위한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사고 기록부에 전송하여 급발진 규명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음의 값을 가지면 엑셀 포지션 센서 또는 그에 연관된 기계 장치의 고장 및 이상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급발진을 판별하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이면 정상 운행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이면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되면, 해당 상태의 지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기준 값 미만으로 복귀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하고,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지속하면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되면 횟수를 내부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되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 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에는 운전습관 정보로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급발진 사고 방지부는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에서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되면 급발진 판별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차량이 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상태 표시기를 구동하며 엔진 정지를 위해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상태 표시 및 엔진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차량 블랙박스는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센서 에러 상태 표시기; 상기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급발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급발진 상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에러 상태 표시기와 상기 급발진 상태 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발생하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퓨즈를 단선시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는 상기 퓨즈의 후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퓨즈와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퓨즈를 단선시키는 릴레이 또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블랙박스에서 엑셀 포지션(accel position)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throttle position) 신호 및 촬영된 영상신호를 동기화하여 차량 급발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차량 급발진 사고시 급발진을 판단하기 위한 원인 규명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급발진 시 연료펌프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포지션 신호와 엑셀 포지션 신호를 연산하여 급발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정확하게 급발진 여부를 판별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급발진으로 인한 차량 사고와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포지션 신호와 엑셀 포지션 신호를 기초로 초기 급발진을 판단하고, 초기 급발진 판단 이후에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이 정상상태로 복귀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 상태로 최종 판단하며, 급가속 또는 급제동 상태가 자주 발생하면 이를 운전성향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의 조합을 통해 급발진과 엑셀 포지션 센서의 에러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엑셀 포지션 센서의 에러상태 시 이를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급발진 및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엔진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급발진 사고 방지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엑셀 포지션 신호(APS1, APS2)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의 위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의 획득 라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급발진 분석정보가 포함된 녹화 영상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블랙박스(100),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는 파워 트랜지스터(power TR.)로 구현하고, 이를 블랙박스(100)에 내장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운전습관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400)는 추가로 구현하거나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과 같은 헤드 유닛(head unit)을 이용하거나 운전자가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블랙박스(100)는 통상의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로서, 사고 기록부(110) 및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를 포함한다.
사고 기록부(110)는 미리 정해진 모드에 따라 영상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사고 기록부(110)는 영상 저장을 위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에 제공해주며,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에서 제공되는 제1 급발진 분석정보와 녹화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고 기록부(110)는 통상의 블랙박스에 구비된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는 이벤트 발생시 영상(음성 포함할 수 있음)을 녹화하는 이벤트 모드와 상시 영상을 녹화하는 상시 모드로 대별된다.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는 엑셀 포지션 신호(APS1)와 영상 녹화를 위한 수직 동기신호(V_sync.)를 동기화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고 기록부(110)에 전송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신호(APS1, Line1)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TPS1, Line2)를 조합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로 상기 사고 기록부(110)에 전송해줌과 아울러 급발진을 판단하며, 급발진 판별시 자동으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고 기록부(110) 및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는 주지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100)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차량에서 급발진이 발생하면, 차량과 관계된 제어장치도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과 관계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급발진 제어를 할 경우, 정상적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급발진 사고 방지를 위해서, 차량 제어장치와 무관하게 동작하는 블랙박스(100)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였다.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엑셀 포지션 센서(301)에서 차량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메인 제어 유닛(MCU)(302)으로 전송되는 엑셀 포지션 신호(LINE1)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304)에서 상기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으로 전송되는 스로틀 포지션 신호(LINE2)를 각각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변환된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화시켜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기초로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또는 급발진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태 표시 및 엔진 제어를 실행하는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에서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되면 급발진 판별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장치(예를 들어, TCU, ECU)로 전송하여 차량이 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상태 표시기를 구동하며 엔진 정지를 위해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상태 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출력되는 엑셀 포지션 데이터(APS1)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생성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1)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결과(TPS)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연산하여 급발진 판별을 위한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를 생성한다.
아울러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사고 기록부(110)에 전송하여 급발진 규명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음(-)의 값을 가지면 엑셀 포지션 센서 또는 그에 연관된 기계 장치의 고장 및 이상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급발진을 판별하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예를 들어, 2.5) 미만이면 정상 운행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이면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한다.
아울러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되면, 해당 상태의 지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예를 들어, 1.5초) 이내에 상기 기준 값 미만으로 복귀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하고,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지속하면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되면 횟수를 내부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되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 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에는 운전습관 정보로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 블랙박스(100)는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센서에러 상태 표시기(131); 상기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급발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급발진 상태 표시기(1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러 상태 표시기(131)와 상기 급발진 상태 표시기(132)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에서 발생하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퓨즈(312)를 단선시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퓨즈(312)의 후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퓨즈(312)와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퓨즈(312)를 단선시키는 릴레이(210) 또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블랙박스(100)를 이루는 사고 기록부(110)는 통상의 블랙박스에서 하는 기능과 동일하게 작용을 하여, 영상 및/또는 음성을 기록하게 된다. 특히, 차량 충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 이전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의 영상 및/또는 음성을 저장한다.
한편,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블랙박스(100)에 내장된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는 엑셀 포지션 센서를 이용한 엑셀 포지션 신호(Line1) 중 엑셀 페달의 밟은 정도를 나타내는 엑셀 포지션 신호(APS1)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엑셀 포지션 신호(Line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엑셀 포지션 센서(301)에서 차량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메인 제어 유닛(MCU)(302)으로 전송되는 신호로서, 엑셀 페달의 눌림 양에 대응하는 신호가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가솔린 차량의 엔진 부분은 엔진 제어를 위한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 연료 탱크(308), 연료 분사 블록(309), 크랭크 샤프트 부분(310) 등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엑셀 페달이 눌러지면 엑셀 포지션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엑셀 포지션 신호(Line1)를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6은 엑셀 포지션 센서에서 검출한 엑셀 포지션 신호가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여기서 APS1 signal 및 APS2 signal이 디지털적으로 합해져 엑셀 포지션 신호가 된다.
아울러 엑셀 포지션 신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엑셀 페달의 조작에 따라 0 ~ 5V의 전압 range를 갖는다. 엑셀 포지션 센서에 의해 2개의 엑셀 포지션 신호(APS1, APS2)가 발생하며, 엑셀 페달의 조작을 판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APS1을 사용한다.
아울러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의 제어에 따라 스로틀 밸브(303)의 개도가 조절되며, 이렇게 조절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를 스로틀 포지션 센서(304)가 검출하여 스로틀 포지션 신호(Line2)로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에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블랙박스(100)와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 간에 별도의 통신 등을 통해서 상기 엑셀 포지션 신호 및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고,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의 전단 입력단의 엑셀 포지션 신호 입력라인과 스로틀 포지션 신호 입력라인에 각각 별도의 연결라인을 결합하여 블랙박스(100)에서 입력받는 구조를 취하였다. 이로써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 등과 같이 차량 제어장치가 오동작하는 경우에도 블랙박스(100)에서는 정확하게 상기 2개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엑셀 포지션 센서(301)에서 출력되는 엑셀 포지션 신호(APS, Line1)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304)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포지션 신호(Line2)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각각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 즉, 엑셀 포지션 데이터(APS1)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 입력되는 엑셀 포지션 신호는 엑셀 페달의 밟힘 정도에 따라 0 ~ 5V의 range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스로틀 포지션 신호는 스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에 따라 0 ~ 5V의 range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는 이렇게 각각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하여,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출력되는 엑셀 포지션 데이터(APS1)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1) 및 사고 기록부(110)에서 전달되는 수직 동기신호(V_sync.)를 이용하여, 급발진 사고시 원인 규명을 위한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아울러 급발진 유무를 판별하며, 급발진시 급발진 표시와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수직 동기신호(최대 30프레임)(30frame/s)마다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APS1)를 샘플링하여, 수직 동기신호에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 이렇게 수직 동기신호에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획득한 디지털 엑셀 포지션 데이터가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가 된다.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산출한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사고 기록부(110)에 전달한다. 사고 기록부(110)는 전달되는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와 촬영된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즉,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생성할 때 사용한 수직 동기신호의 시간 정보와 해당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도 7은 상기와 같이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와 동일 시간의 영상이 매핑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이다. 화면 좌측 상단에 표시되는 2.31V 또는 0.8V가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2.31V는 실제 엑셀 페달을 밟았을 때 나타나는 제1 급발진 분석정보이며, 0.8V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엑셀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엑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되는 기본 값이다.
따라서 추후 급발진 사고 규명시 차량 블랙박스(100)에 저장된 도 7과 같은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급발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엑셀 페달의 밟음의 정도와 함께 연동하는지 아니면 엔진이 엑셀 페달의 밟음 상태와는 무관하게 이상 출력을 발생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급발진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엑셀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엑셀 포지션 신호는 0.8V가 되고, 엑셀 페달을 최대로 밟았을 경우 4.10V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사이 전압을 1/100V(volt)까지 세분화하여 엑셀 페달의 밟음 양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압이 0.80V일 때 정지 혹은 관성 운전, 0.81V ~ 4.1V 사이일 경우 운행 중, 4.10V일 때 최대 출력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엑셀 밟은 정도 데이터와 화면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엔진의 이상동작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1)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결과(TPS)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연산하여 급발진 판별을 위한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를 생성한다. 즉,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수직 동기신호(최대 30프레임)(30 frame/s)마다 상기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1)를 샘플링하여, 수직 동기신호에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 이렇게 수직 동기신호에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획득한 디지털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가 TPS가 된다. 이후 상기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감산하고, 그 결과치를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로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제2 급발진 분석정보는 상기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APS)를 감산(TPS - APS)한 후, 얻어지는 신호의 전압 차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APS1)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TPS1)를 상기 사고 기록부(110)에 전송하여 급발진 규명에 활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를 기반으로 급발진 상태, 센서 이상 상태, 급가속이나 급제동을 판별한다.
예컨대,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음(-)의 값을 가지면 엑셀 포지션 센서 또는 그에 연관된 기계 장치의 고장 및 이상 상태로 판별한다. 그리고 엑셀 포지션 센서 또는 그와 연계된 기계장치의 고장이나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를 통해 센서에러 상태 표시기(131)를 점등시켜, 센서 이상이나 연관된 기계 장치 이상을 외부에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센서에러 상태 표시기(131)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점등됨으로써, 센서 에러나 기계 고장 상태를 표시해준다. 이렇게 시각적으로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인지 아니면 급발진 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어,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장점을 제공해준다. 특히,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를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엑셀 포지션 센서를 교체하도록 도모해주어,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로 인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와 급발진을 판별하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예를 들어, 2.5V)을 비교하여, 그 비겨 결과를 기반으로 급발진 또는 급가속 상태 등을 판별한다. 예컨대,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정상 운행 상태로 판별한다. 정상 운행 상태는 신호대기, 정차 상태 등을 포함한다. 차량마다 약간 상이할 수 있으나, 차량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대부분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는 2.5V 미만이 된다. 여기서 기준 값은 실제 엑셀 페달의 밟음 정도와 스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0 ~ 90°)를 실험을 통해 산출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이면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한다. 여기서 제2 급발진 분석정보(jackrabbit 신호)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데도 바로 급발진으로 판단하지 않고, 초기 급발진이라고 판단한 이유는 언덕 주행시 또는 급가속시 고출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급발진과 극히 유사한 패턴을 보이기 때문이므로, 정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실제 차량이 출발할 때나 급가속을 할 때 엔진 제어장치는 상당한 엔진의 부하를 감지, 일시적으로 스로틀 밸브를 엑셀 페달의 밟음 양보다 더 많이 열어주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아주 짧은 시간에만 유지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로틀 밸브는 상기 APS1 신호에 연동하여 거의 정비례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되면, 해당 상태의 지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예를 들어, 1.5초) 이내에 상기 기준 값 미만으로 복귀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하고,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지속하는 경우에만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되면, 그 횟수를 내부 메모리에 누적 저장한다. 그리고 누적 저장되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 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횟수(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 이상일 경우에는 운전습관 정보로 운전자에게 제공해준다. 운전자에게 운전습관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은 별도로 구현된 표시장치(400)를 이용하거나,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헤드 유닛(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와는 USB 포트나 기타 통신 포트를 통해 쉽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급발진 사고 제어기(122)는 급발진으로 최종 판별되면,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를 통해 급발진 상태 표시기(132)를 구동하여, 급발진 상태를 외부에 알려준다.
아울러 급발진으로 판별시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는 급발진 판별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장치(예를 들어, ECU, TCU)로 전송하여 차량이 안전 모드(Fail Safe Mode)로 동작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엔진 체크(check) 등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급발진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123)는 엔진 정지를 위해 연료 펌프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한다.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120)에서 발생하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퓨즈(312)를 단선시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통상 연료 펌프 구동부는 퓨즈(312), 릴레이(313) 및 연료공급 펌프(314)로 구성된다. 그리고 릴레이(313)는 엔진 메인 제어 유닛(302)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즉, 릴레이(313)가 오프되면 연료공급 펌프(314)의 구동도 오프되고, 이와는 달리 릴레이(313)가 온되면 연료공급 펌프(314)도 동작한다.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200)는 상기 퓨즈(312)의 후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릴레이(210) 또는 파워 트랜지스터가 구동하여 상기 퓨즈(312)와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퓨즈(312)를 단선시키는 방식으로 연료 펌프의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써 스로틀 밸브가 닫혀 엔진은 가속을 멈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급발진도 멈추게 된다. 이 경우, 엑셀은 작동하지 않으며, 엔진은 공회전 상태를 유지하고, 브레이크도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는 흡기 다기관의 진공 상태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vacuum Booster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나, 급발진 상태에서는 스로틀 밸브가 활짝 열려 흡기 다기관의 진공 상태가 대기압 상태로 바뀌게 되어 브레이크 Vacuum booster가 작동을 안해 브레이크가 작동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발진시 스로틀 밸브가 닫혀 엔진은 가속을 멈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급발진도 멈추게 되며, 이때 엑셀은 작동하지 않으며, 엔진은 공회전 상태를 유지하고, 브레이크도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제어장치가 아닌 별도의 장치(특히, 블랙박스)에서 차량 상태가 급발진으로 판단이 되면, 신속하게 연료 펌프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이렇게 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급발진시 차량을 신속하게 정지시켜,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엑셀 포지션 센서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차량 제어장치가 아닌 별도의 장치(블랙박스)에서 급발진을 판단하고, 급발진시 연료 펌프를 정지시켜 엔진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블랙박스
110: 사고 기록부
120: 급발진 사고 방지부
12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22: 급발진 사고 제어기
123: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
131: 센서 에러 상태 표시기
132: 급발진 상태 표시기
200: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
400: 표시장치

Claims (12)

  1.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블랙박스에 내장되며, 엑셀 포지션 신호와 영상 녹화를 위한 수직 동기신호를 동기화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조합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급발진 판별시 자동으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는 급발진 사고 방지부; 및 상기 차량 블랙박스에 내장되며, 영상 저장을 위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 제공해주며,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제공되는 제1 급발진 분석정보와 녹화 영상을 매핑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사고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는 엑셀 포지션 센서에서 차량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으로 전송되는 엑셀 포지션 신호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되는 스로틀 포지션 신호를 각각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화시켜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여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기초로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또는 급발진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태 표시 및 엔진 제어를 실행하는 급발진 사고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음의 값을 가지면 엑셀 포지션 센서 또는 그에 연관된 기계 장치의 고장 및 이상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급발진을 판별하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이면 정상 운행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2 급발진 분석정보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이면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엑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여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수직 동기신호로 샘플링하고, 그 샘플링된 결과에서 상기 제1 급발진 분석정보를 연산하여 급발진 판별을 위한 제2 급발진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엑셀 포지션 데이터와 스로틀 포지션 데이터를 상기 사고 기록부에 전송하여 급발진 규명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로 판별되면, 해당 상태의 지속성을 확인하여,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기준 값 미만으로 복귀되면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하고, 상기 초기 급발진 상태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지속하면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으로 최종 판별되면 횟수를 내부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되는 급가속 또는 급제동 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에는 운전습관 정보로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9.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는 상기 급발진 사고 제어기에서 최종 급발진으로 판별되면 급발진 판별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차량이 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상태 표시기를 구동하며 엔진 정지를 위해 연료 펌프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상태 표시 및 엔진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엑셀 포지션 센서 에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센서 에러 상태 표시기; 상기 상태표시 및 엔진 정지부에서 발생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급발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급발진 상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에러 상태 표시기와 상기 급발진 상태 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11. 청구항 1에서, 상기 급발진 사고 방지부에서 발생하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퓨즈를 단선시켜 연료 펌프 구동용 전원을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연료펌프 전원 차단부는 상기 퓨즈의 후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료펌프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퓨즈와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퓨즈를 단선시키는 릴레이 또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20150103493A 2015-07-22 2015-07-22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55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93A KR101553377B1 (ko) 2015-07-22 2015-07-22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US15/192,701 US9719455B2 (en) 2015-07-22 2016-06-24 Apparatus for preventing jackrabbit accident using vehicle black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93A KR101553377B1 (ko) 2015-07-22 2015-07-22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377B1 true KR101553377B1 (ko) 2015-09-16

Family

ID=5424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493A KR101553377B1 (ko) 2015-07-22 2015-07-22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9455B2 (ko)
KR (1) KR101553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24B1 (ko) * 2016-09-12 2017-06-30 (주)소울텍 차량용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WO2017175896A1 (ko) * 2016-04-06 2017-10-12 주식회사 더원 급발진 방지 장치
CN112158149A (zh) * 2020-08-26 2021-01-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加速踏板卡滞识别方法及系统
US20210264697A1 (en) * 2020-02-21 2021-08-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hicle black box, vehicle as well as method of gathering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4662B2 (en) * 2017-06-12 2020-02-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dal actuator states
JP2019206206A (ja) * 2018-05-28 2019-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998B1 (ko) 2012-11-27 2014-03-27 김진아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468A (ko) 1999-03-16 1999-07-05 오석재 자동차급발진제어장치
KR20010026291A (ko) 1999-09-04 2001-04-06 박종섭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KR101675145B1 (ko) 2010-08-19 2016-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1076A (ko) 2011-07-20 2013-01-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KR101362857B1 (ko) 2012-08-28 2014-02-17 박영옥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05663A1 (ko) * 2013-07-10 2015-01-15 주식회사 글로비즈 신호 계측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개별 장치에 적용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6214A (ko) 2013-09-02 2015-03-11 이건하 차량의 급발진 데이터를 블랙박스 영상에 저장하는 블랙박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998B1 (ko) 2012-11-27 2014-03-27 김진아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5896A1 (ko) * 2016-04-06 2017-10-12 주식회사 더원 급발진 방지 장치
KR101752424B1 (ko) * 2016-09-12 2017-06-30 (주)소울텍 차량용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US20210264697A1 (en) * 2020-02-21 2021-08-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hicle black box, vehicle as well as method of gathering data
CN112158149A (zh) * 2020-08-26 2021-01-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加速踏板卡滞识别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9455B2 (en) 2017-08-01
US20170022925A1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377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49158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작동 방법 및 장치
KR10140799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405166A (zh) 车用跟随行驶控制装置和车用跟随行驶控制方法
US946062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acceleration of a motor vehicle
KR101675145B1 (ko)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2424B1 (ko) 차량용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CN202345675U (zh) 汽车多信号防误踩油门智能制动装置
KR20120060111A (ko) 아이에스지 차량의 아이에스지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02185A (ko) 급발진 모니터링용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1260628B1 (ko) 급발진 확인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랙박스
US20130237373A1 (en) Clutch disengagement control mechanism for 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KR101378998B1 (ko)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KR10112583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KR102004709B1 (ko) Ecu를 부스터 제어부가 백업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방법
US113836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start during refueling of hybrid vehicle
KR200473663Y1 (ko)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US20150361909A1 (en) Vehicle
KR101329476B1 (ko) 급발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14345A (ko) 차량의 개문 발차 방지 장치 및 방법
ITMI20060839A1 (it) Sistema e metodo di diagnosi di un motore a iniezione di petrolio liquefatto (lpi)
KR20150026214A (ko) 차량의 급발진 데이터를 블랙박스 영상에 저장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2474666B1 (ko) 급발진 상황모니터링장치
CN110901610A (zh) 用于防止车辆突然加速的控制系统和方法
KR102301100B1 (ko) 자동제동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