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291A -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291A
KR20010026291A KR1019990037538A KR19990037538A KR20010026291A KR 20010026291 A KR20010026291 A KR 20010026291A KR 1019990037538 A KR1019990037538 A KR 1019990037538A KR 19990037538 A KR19990037538 A KR 19990037538A KR 20010026291 A KR20010026291 A KR 2001002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ensor
vehicle
position sensor
sudden 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김하형
박영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3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291A/ko
Publication of KR2001002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throttle position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와, 크랭크 각 센서(13)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위치를 인식하는 P/N 스위치(14)와, 엔진 경고등(15)과,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와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과,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서, 급발진 모드를 판별하면 급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조절하며, 엔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RAM에 급발진 플래그를 써넣어 K-Line을 통한 엔진 정비 작업 시에 급발진 모드 발생 사실을 정비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 및 급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클러치를 분리시키는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서,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 APPARATUS FOR PREVENTING QUICK-STARTING OF VEHICLES }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 내에 공기와 연료를 적절한 비율로 압축한 상태에서 적절한 시기에 점화시켜야 한다.
특히, 기존의 AT 차량의 경우, 운전자는 액셀 페달에서 발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 위치시킨 후 점화 스위치(IG)를 온시키므로써 시동을 건다. 이때, 스로틀밸브는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는 단지 아이들 스피드 엑츄에이터를 통해서만 공급되며, 운전자가 시동을 건 후 액셀 페달을 밟지 않으면, 상기 아이들 스피드 엑츄에이터가 완전히 개방되더라도 엔진은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는 RPM(약, 2000 RPM) 이상으로 구동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가 시동을 건 후, 액셀 페달을 밟으면 상기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실린더로 공급되는 연료량도 역시 흡입 공기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차량의 RPM이 증가하며, 변속 기어의 위치가 주행단(D)으로 변경되면 차량의 출발 속도가 증가하여 차량이 발진하게 된다.
한편, LPG 차량의 경우는, 운전자가 액셀 페달에서 발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 위치시킨 후 점화 스위치(IG)를 온시키므로써 시동을 걸면, 믹서의 스로틀밸브가 소정치로 개방되어 실린더로 LPG를 공급하여 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주행 중에는 액셀 페달과 연동하는 스로틀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LPG 공급량이 가변되며, 이에 따라서 차속이 증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AT 차량이나 LPG 차량은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 위치시키고 점화 스위치(IG)를 온시켜 시동을 걸었을 때 엔진 RPM이 아이들 상태(약 800RPM)를 유지하지 않고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는 RPM(약, 2000 RPM)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밝으면 금속 와이어로 연결된 기계식 스로틀밸브가 열리고, 반대로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놓으면 기계식 스로틀밸브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데, 이때 스로틀밸브의 복귀력이 저하되어 있으면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스로틀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과도한 연료 및 공기가 실린더에 공급되어 RPM이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는 RPM(약, 2000 RPM)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급발진 사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차량의 엔진 전자 제어 장치(ECU) 또는 크루즈 제어 장치(CCU)를 사용하여 액셀 페달의 상태에 따라서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전자식 스로틀밸브는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ECU) 또는 크루즈 제어 장치(CCU)가 오작동할 경우, 함께 오작동하여 상기와 같이 차량의 RPM을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는 RPM(약, 2000 RPM)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시켜 급발진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급발진 요인이 감지되면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와,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와 연동하는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와, RPM을 계산하기 위한 크랭크 각을 감지하는 크랭크 각 센서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는 P/N 스위치와, 엔진 경고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엔진 경고등과,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와 상기 크랭크 각 센서의 출력값과, 상기 P/N 스위치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서, 급발진 모드를 판별하고, 급발진 모드 판별 시에 급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인젝터를 최소 시간으로 온시켜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조절하며, 엔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시동 오프 후에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에 급발진 플래그를 써넣어 K-Line을 통한 엔진 정비 작업 시에 급발진 모드 발생 사실을 정비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전자 제어 장치, 및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의 급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급발진 요인이 감지되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켜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와, 차속 센서와, RPM을 계산하기 위한 크랭크 각을 감지하는 크랭크 각 센서, 및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액셀 페달의 열림 각도와 상기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입 공기량이 가속 조건이 아닌 경우에, 상기 차속 센서와 크랭크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속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고 엔진 RPM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키는 엔진 전자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LPG 차량의 급발진 요인이 감지되면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는 P/N 스위치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 및 상기 P/N 스위치가 주차단(P)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스포틀 포지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로 제한하는 LPG ECU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LPG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1: 스로틀 포지션 센서 11,20: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
12,21: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 13,23: 크랭크 각 센서
14,30: P/N 스위치 15: 엔진 경고등
16,24: 엔진 전자 제어 장치 17: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
22: 차속 센서 32: LPG ECU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연동한다.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한다.
크랭크 각 센서(13)는 RPM을 계산하기 위한 크랭크 각을 감지한다.
P/N 스위치(14)는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다.
엔진 경고등(15)은 엔진 경고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어 차량이 현재 급발진 상태에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와 상기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과, 상기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서, 급발진 모드를 판별한다.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이 다르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의 출력값이 소정치 이상 차이가 나며, 상기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할 때 상기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에 의해 산출한 엔진 RPM이 소정치 이상이면, 현재 차량의 상태를 급발진 모드로 판별한다.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급발진 모드 판별 시에 급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인젝터를 최소 시간으로 온시켜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조절하며, 엔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시동 오프 후에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에 급발진 플래그를 써넣어 K-Line을 통한 엔진 정비 작업 시에 급발진 모드 발생 사실을 정비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는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7)의 급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점화 스위치(IG)가 온되어 시동이 걸리면,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현재 차량의 상태가 급발진 모드인가를 판별한다(S10,S11).
만약, 급발진 모드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와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는 모두 정상 모드로 동작한다(S12).
그러나,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이 다르면 스로틀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현재 차량의 상태가 급발진 모드라고 판별한다.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의 출력값이 소정치 이상 차이가 나면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은 정도에 비해 더 많은 공기가 엔진으로 유입되므로, 이때도 역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현재 차량의 상태가 급발진 모드라고 판별한다.
상기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할 때 상기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에 의해 산출한 엔진 RPM이 소정치 이상(예컨대, 2000 RPM 이상)이면, 이때도 역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현재 차량의 상태가 급발진 모드라고 판별한다.
상기와 같이 현재 차량의 상태가 급발진 모드라고 판별되면,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급발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는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S13,S14).
이어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인젝터를 최소 시간으로 온시켜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800RPM 상태)로 조절하고(S15,S16), 엔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엔진 경고등(15)을 점등시킨다(S17).
또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시동 오프 후에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에 급발진 플래그를 써넣어 K-Line이라는 단방향 통신선을 이용하여 HI-SCAN 등과 같은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진단 장치와 통신을 하므로써 엔진 정비 작업을 할 때에 급발진 모드 발생 사실을 정비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8).
상기와 같이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가 급발진 모드로 작동하여 상기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에 급발진 신호를 전송하고 엔진 경고등(15)을 점등시키면, 운전자가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더라도 자동차는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점화 스위치(IG)를 오프시켜 급발진 요인을 해결한 후, 재시동하면 정상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S19).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가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로 P/TR 단자를 통해 점화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시동을 끄면 급경사 도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은 아이들 상태(800RPM)로 계속해서 구동시키며, 운전자가 스스로 점화 스위치(IG)를 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엔진 전자 제어 장치(24)는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액셀 페달의 열림 각도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유입 공기량이 가속 조건이 아닌 경우에(S20,S21), 차속 센서(22)와 크랭크 각 센서(23)에 의해 감지된 차속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고 엔진 RPM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킨다(S22∼S26).
이때, 상기 차속 변화량에 대한 허용값과 엔진 RPM 변화량에 대한 허용값은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값이다.
끝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작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P/N 스위치(30)는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31)는 LPG 차량의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감지한다.
LPG ECU(32)는 상기 P/N 스위치(30)가 주차단(P)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스포틀 포지션 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로 제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LPG ECU(32)는 점화 스위치(IG)가 온되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P/N 스위치(30)가 주차단(P)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였는가를 판별한다(S30,S31).
만약, 현재 기어 위치가 주차단(P)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상기 LPG ECU(32)는 정상 모드로 작동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LPG를 차속에 따라서 조절한다(S32).
그러나, 현재 기어 위치가 주차단(P)이라고 판별되면 상기 LPG ECU(32)는 상기 스포틀 포지션 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로 제한한다(S3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차량의 급발진 요인이 감지되면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키거나,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키고, LPG 차량의 경우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동 후에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어 위치를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에서 주행단(D) 또는 후진단(R)으로 변경하는 순간 차량이 급발진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연동하는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와,
    RPM을 계산하기 위한 크랭크 각을 감지하는 크랭크 각 센서(13)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는 P/N 스위치(14)와,
    엔진 경고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엔진 경고등(15)과,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와 상기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과, 상기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서, 급발진 모드를 판별하고, 급발진 모드 판별 시에 급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인젝터를 최소 시간으로 온시켜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조절하며, 엔진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시동 오프 후에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에 급발진 플래그를 써넣어 K-Line을 통한 엔진 정비 작업 시에 급발진 모드 발생 사실을 정비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 및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7)의 급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클러치를 변속 장치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자동 변속 전자 제어 장치(1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전자 제어 장치(16)는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이 다르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12)의 출력값이 소정치 이상 차이가 나며, 상기 P/N 스위치(14)가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할 때 상기 크랭크 각 센서(13)의 출력값에 의해 산출한 엔진 RPM이 소정치 이상이면, 현재 차량의 상태를 급발진 모드로 판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3.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20)와,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21)와,
    차속 센서(22)와,
    RPM을 계산하기 위한 크랭크 각을 감지하는 크랭크 각 센서(23), 및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액셀 페달의 열림 각도와 상기 흡입 공기량 감지 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유입 공기량이 가속 조건이 아닌 경우에, 상기 차속 센서(22)와 크랭크 각 센서(23)에 의해 감지된 차속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고 엔진 RPM 변화량이 허용값 이상이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중단시키는 엔진 전자 제어 장치(2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4. 주차단(P) 또는 중립단(N)의 기어 위치를 인식하는 P/N 스위치(30)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31), 및
    상기 P/N 스위치(30)가 주차단(P)의 기어 위치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스포틀 포지션 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폐 정도를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상한치로 제한하는 LPG ECU(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KR1019990037538A 1999-09-04 1999-09-04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KR20010026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538A KR20010026291A (ko) 1999-09-04 1999-09-04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538A KR20010026291A (ko) 1999-09-04 1999-09-04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91A true KR20010026291A (ko) 2001-04-06

Family

ID=1961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538A KR20010026291A (ko) 1999-09-04 1999-09-04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29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88B1 (ko) * 2000-12-04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KR20040035254A (ko) * 2002-10-19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534549B1 (ko) * 2014-03-26 2015-07-09 최영석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170000578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만도 엔진 오동작 저감 시스템 및 방법
US9719455B2 (en) 2015-07-22 2017-08-01 Mureu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jackrabbit accident using vehicle black box
CN111497849A (zh) * 2019-01-30 2020-08-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驾驶的装置和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36U (ja) * 1984-06-18 1986-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4342853A (ja) * 1991-05-17 1992-11-30 Daihatsu Motor Co Ltd 走行時のオーバーラン防止方法
JPH051587A (ja) * 1991-06-21 1993-01-0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暖機制御装置
JPH06257495A (ja) * 1993-03-08 1994-09-13 Fujitsu Ten Ltd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932627A (ja) * 1995-07-19 1997-02-04 Kokusan Denki Co Ltd 内燃機関用制御装置の制御データ書替え方法及び装置
JPH11151949A (ja) * 1997-11-19 1999-06-08 Akebono Brake Ind Co Ltd At(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搭載車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9990040508U (ko) * 1999-01-20 1999-12-06 지창헌 자동차의급발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36U (ja) * 1984-06-18 1986-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4342853A (ja) * 1991-05-17 1992-11-30 Daihatsu Motor Co Ltd 走行時のオーバーラン防止方法
JPH051587A (ja) * 1991-06-21 1993-01-0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暖機制御装置
JPH06257495A (ja) * 1993-03-08 1994-09-13 Fujitsu Ten Ltd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932627A (ja) * 1995-07-19 1997-02-04 Kokusan Denki Co Ltd 内燃機関用制御装置の制御データ書替え方法及び装置
JPH11151949A (ja) * 1997-11-19 1999-06-08 Akebono Brake Ind Co Ltd At(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搭載車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9990040508U (ko) * 1999-01-20 1999-12-06 지창헌 자동차의급발진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88B1 (ko) * 2000-12-04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KR20040035254A (ko) * 2002-10-19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534549B1 (ko) * 2014-03-26 2015-07-09 최영석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170000578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만도 엔진 오동작 저감 시스템 및 방법
US9719455B2 (en) 2015-07-22 2017-08-01 Mureu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jackrabbit accident using vehicle black box
CN111497849A (zh) * 2019-01-30 2020-08-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驾驶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408A (en) Failu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CA2051084C (en) System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powering vehicles
KR20010026291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
JP4004131B2 (ja) オートクラッチ車両
US688117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restarting a drive unit
US6271749B1 (en) Semi-automatic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KR20000067635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507467B1 (ko) 디젤 차량의 가속 페달 센서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KR19990083817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방법 및 장치
KR20040035984A (ko) 차량 급발진 방지장치
KR10041115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차량 급발진 방지방법
KR20050017642A (ko) 자동차의 주차시 바퀴 자동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7203B1 (ko) 주유 중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6563989B2 (ja) 変速位置検出装置
KR100394688B1 (ko) 자동 변속기의 엔진 토크 제어방법
JP2011027091A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のアクセルセンサ信号変換装置の減衰出力制御方法
KR100212792B1 (ko) 자동변속차량의 연료 차단 장치
JPH066292Y2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KR20030033264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391215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작동장치 및 그 방법
WO2022208542A1 (en) A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an engine
KR200146972Y1 (ko) 시동시 'd'단 인식 방지 장치
KR100290165B1 (ko) 엘피지 차량의 보조 연료 공급장치
KR20200143535A (ko) 차량의 캔신호와 휴즈를 연동한 차량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49375A (ko) 급출발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