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98B1 -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98B1
KR101378998B1 KR1020120135592A KR20120135592A KR101378998B1 KR 101378998 B1 KR101378998 B1 KR 101378998B1 KR 1020120135592 A KR1020120135592 A KR 1020120135592A KR 20120135592 A KR20120135592 A KR 20120135592A KR 101378998 B1 KR101378998 B1 KR 10137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ontrol unit
accelerator pedal
su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아
Original Assignee
김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아 filed Critical 김진아
Priority to KR102012013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카메라 유닛과,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카메라 유닛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가속페달의 가압면에 설치되어 가압여부를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력시트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 및 압력시트에서 전송되는 가속페달의 가압여부 검지신호를 동기화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에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경우 그 발생원인에 대한 주장 및 입증책임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부담되고 있으나 자동차 운전자가 이를 증명하기는 대단히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차량 급발진의 경우 운전미숙에 의하여 가속페달을 밟아서 급발진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고처리 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과 가속페달의 가압여부에 대한 신호가 동기화되어 저장됨으로써 급발진 상황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증거자료를 제시하여 주장 및 입증책임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SYSTEM FOR JUDGING ABRUPT ACCELERATION OF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급발진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사실을 판단할 수 있는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는 가속페달이 밟아지면 스로틀밸브가 개방되면서 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엔진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혼합물이 연소되면서 그 폭발에 의하여 엔진 회전하면서 자동차가 주행하게 된다.
가속페달의 밟아진 정도에 따라 스로틀밸브가 열리는 정도가 제어되는 기계식에서, 최근에는 이를 전자적으로 판단하여 스로틀밸브의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이 광범위하게 채용되고 있다.
즉, 가속페달이 밟아지면 이의 밟아진 정도를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에서 검지하고, 해당 검지된 신호를 전자제어유닛으로 전송하고, 전자제어유닛은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스로틀밸브의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주행속도가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제어방식의 경우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점에서 편리한 점을 주는 것과 반대급부로, 전자적인 오신호 또는 오작동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자동차를 제어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도 이러한 위험 중 하나이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그 발생원인에 대한 주장 및 입증책임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부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자동차 운전자가 이를 증명하기는 대단히 어려우며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없고 사고가 터진 후 사후처리과정에서도 여러 문제가 많이 지적되고 있다.
이때, 가장 쟁점이 되는 사안이 급발진 사고 발생시 가속페달을 밟았느냐 밟지 않았느냐이며, 대부분의 사건종결이 운전미숙에 의하여 가속페달을 밟아서 급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결론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급발진이라고 하는 것은 자동차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가 급상승하면서 운전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를 직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급발진에 의한 사건 또는 사고로 인하여 인명사고 뿐만 아니라 재산상 피해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급발진 사고의 사고처리를 위하여 많은 시간낭비가 초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의 급발진 현상이 발생한 경우 가속페달을 밟았는지 밟지 않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가압면에 설치되어 가압여부를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력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 및 상기 압력시트에서 전송되는 가속페달의 가압여부 검지신호를 동기화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시트에서 압력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에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경우 그 발생원인에 대한 주장 및 입증책임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부담되고 있으나 자동차 운전자가 이를 증명하기는 대단히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차량 급발진의 경우 운전미숙에 의하여 가속페달을 밟아서 급발진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고처리 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과 가속페달의 가압여부에 대한 신호가 동기화되어 저장됨으로써 급발진 상황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증거자료를 제시하여 주장 및 입증책임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급발진이라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급발진 발생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강력한 증거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급발진 발생시에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 상황이 단시간내에 강제로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가압면 반대쪽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가속페달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유닛에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수광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 및 상기 수광유닛에서 수광여부 검지신호를 동기화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유닛에서 수광 검지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에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경우 그 발생원인에 대한 주장 및 입증책임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부담되고 있으나 자동차 운전자가 이를 증명하기는 대단히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차량 급발진의 경우 운전미숙에 의하여 가속페달을 밟아서 급발진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고처리 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과 가속페달의 가압여부에 대한 신호가 동기화되어 저장됨으로써 급발진 상황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증거자료를 제시하여 주장 및 입증책임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급발진이라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급발진 발생시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강력한 증거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급발진 발생시에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 상황이 단시간내에 강제로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시트 또는 수광유닛에 의하여 가속페달이 가압되고 있는지 판단하여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에서의 신호에 따라 엔진으로의 연료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가속페달이 밟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에서 오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엔진으로의 연료투입을 중지시킴으로써 차량 급발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의 중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의 중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압력시트(120), 카메라 유닛(130), 메모리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압력시트(120)는, 압력을 검지하도록 시트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가속페달(P)의 가압면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는 경우 그에 대한 압력을 검지하여 제어부(110)으로 검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시트형태의 압력센서는 공지의 기술로서 압력센서 자체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메라 유닛(130)은, 차량의 전방을 촬상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전방, 후방 및 측면을 촬상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메모리부(140)는, 카메라 유닛(130)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 및 압력시트(120)에서 검지된 신호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급발진 현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저장된 영상 및 가속페달(P)의 가압여부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운전자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건 현장이나 차량 내부에서도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영상 및 가속페달 가압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타낸다.
제어부(110)는, 상기의 압력시트(120), 카메라 유닛(130), 메모리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유닛(130)에서 촬상된 영상과 압력시트(120)에서 검지된 가속페달 가압여부에 대한 신호를 동기화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따라서, 촬상된 영상과 동기화되어 가속페달이 밟아졌는지에 대하여 객관적 증거자료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압력시트(120)에서의 검지신호 분석하여 압력시트(120)가 가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되는 경우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으로 판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속페달이 밟아졌는지를 이미지화하여 촬상된 영상과 동기화하여 나타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즉시 영상이 촬상된 시점에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급발진 현상이 발생한 경우 가속페달을 밟았느냐에 대한 쟁점에 대한 강력한 증거자료를 확보하는 기능에 더하여, 급발진 현상을 신속하게 멈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10)는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170)으로 급발진이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전자제어유닛(170)은 자동차의 엔진, 자동변속기 및 ABS 등의 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초기에는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었으나,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화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및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게 되었다.
엔진제어를 예로 들면, 엔진의 회전수와 흡입 공기량, 흡입압력, 가속페달의 밟아진 정도 등에 맞추어 미리 정해 놓은 점화시기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값과 연료분사 MAP 값 등을 조회하여 수온센서, 산소센서 등을 보정하고 인젝터의 개폐율을 조정한다. 이렇게 하여 연료의 분사량과 점화시기를 결정하며 엔진이 고장나지 않도록 각 항목별 수치에 한계값이 설정된다.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미도시)는 운전자가 가속페달(P)을 밟는 경우 밟는 정도에 따른 신호를 전자제어장치(170)로 전송하고, 전자제어장치(170)에서 밝는 정도에 따라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스로틀 밸브(18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에서 가속페달(P)이 깊이 밟아진 경우에는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스로틀 밸브(180)의 개방을 넓게 하고 가속페달(P)이 얕게 밟아진 경우에는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량이 줄어들 수 있도록 스로틀 밸브(180)의 개방을 적게 하도록 한다.
스로틀 밸브(180)는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P)이 깊게 밟아지면 가속하기 위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개방이 넓게 되고, 가속페달(P)이 얕게 밟아지면 감속하기 위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개방이 적게 된다.
전자제어유닛(170)은 제어부(110)에서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 상태라는 신호가 전송되고, 스로틀 밸브(180)를 차단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이 차단되게 한다.
이로써,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의 오작동에 의하여 실제로 가속페달(P)이 밟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페달(P)이 밟아진 것으로 전자제어유닛(170)에서 오판단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급발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중으로 가속페달(P)의 가압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어느 하나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하게 자동차가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각종 인명사고나 재산상 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급발진 판단 시스템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급발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급발진 판단 시스템(200)은 제어부(210), 발광 유닛(220), 수광 유닛(225), 카메라 유닛(230), 메모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발광 유닛(220)은, 가속페달(P)의 가압면 반대쪽에 설치되어 발광하며 발광상태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10)로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수광 유닛(225)은 발광 유닛(220)에서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것으로서, 가속페달(P)이 밟아지지 않은 초기상태에서의 발광 유닛(220) 위치에서는 광이 수광되고, 가속페달(P)이 밟아지는 상태에서의 발광 유닛(220) 위치에서는 광이 수광되지 않게 위치한다. 수광 유닛(225)은 이러한 수광 상태에 대한 검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닛(210)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즉, 수광 유닛(225)에서 광이 수광되는 경우에는 가속페달(P)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며,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페달(P)이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는 발광 유닛(225)의 고장으로 발광이 안되서 수광이 안될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발광 유닛(225)에서 발광하고 있다는 신호 및 수광 유닛(225)에서 수광하고 있다는 신호를 동시에 판단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메모리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와 그 기능 및 작동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10)는, 상기의 발광 유닛(220), 수광 유닛(225), 카메라 유닛(230), 메모리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유닛(230)에서 촬상된 영상과 수광 유닛(225)에서 검지된 수광여부 신호 즉, 가속페달 가압여부에 대한 신호를 동기화하여 메모리부(240)에 저장한다. 따라서, 촬상된 영상과 동기화되어 가속페달(P)이 밟아졌는지에 대하여 객관적 증거자료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10)는 수광 유닛(225)에서의 검지신호를 분석하여 가속페달(P)이 가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되는 경우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으로 판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속페달이 밟아졌는지를 이미지화하여 촬상된 영상과 동기화하여 나타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즉시 영상이 촬상된 시점에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급발진 현상이 발생한 경우 가속페달을 밟았느냐에 대한 쟁점에 대한 강력한 증거자료를 확보하는 기능에 더하여, 급발진 현상을 신속하게 멈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210)는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270)으로 급발진이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전자제어유닛(270)은 제어부(210)로부터 급발진 또는 이상 주행이라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스로틀 밸브(280)를 차단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이 차단되게 한다.
이로써,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의 오작동에 의하여 실제로 가속페달(P)이 밟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페달(P)이 밟아진 것으로 전자제어유닛(270)에서 오판단하여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급발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중으로 가속페달(P)의 가압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어느 하나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하게 자동차가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각종 인명사고나 재산상 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은, 소위 차량 블랙박스라 할 수 있으며 종래 블랙박스 장치에 가속페달(P)의 가압여부를 판단하여 급발진을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개량된 블랙박스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 급발진 판단 시스템 110, 210 : 제어부
120 : 압력 시트 130, 230 : 카메라 모듈
140, 240 : 메모리부 150, 250 : 디스플레이부
170, 270 : 전자제어장치(ECU) 180, 280 : 스로틀 밸브
220 : 발광 유닛 225 : 수광 유닛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의 가압면 반대쪽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발광유닛; 및
    상기 가속페달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유닛에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수광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상되는 영상 및 상기 수광유닛에서 수광여부 검지신호를 동기화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유닛에서 수광 검지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급발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급발진이라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KR1020120135592A 2012-11-27 2012-11-27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KR10137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92A KR101378998B1 (ko) 2012-11-27 2012-11-27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592A KR101378998B1 (ko) 2012-11-27 2012-11-27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98B1 true KR101378998B1 (ko) 2014-03-27

Family

ID=5064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592A KR101378998B1 (ko) 2012-11-27 2012-11-27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77B1 (ko) 2015-07-22 2015-09-16 하임나노(주)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20150118553A (ko) 2014-04-14 2015-10-22 이수웅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WO2017030240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690A (ko) * 2010-08-19 2012-0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690A (ko) * 2010-08-19 2012-0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553A (ko) 2014-04-14 2015-10-22 이수웅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KR101696540B1 (ko) * 2014-04-14 2017-01-13 이수웅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KR101553377B1 (ko) 2015-07-22 2015-09-16 하임나노(주)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US9719455B2 (en) 2015-07-22 2017-08-01 Mureu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jackrabbit accident using vehicle black box
WO2017030240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US9815467B2 (en) 2015-08-19 2017-11-14 Lg Electronics Inc.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99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7957880B2 (en) Slip detection and traction control for a vehicle
CN110386118B (zh) 驾驶辅助装置
KR101553377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US9404437B2 (en) Engine control apparatus performing automatic engine restart for ensuring brake booster assistance after automatic engine stop
KR101378998B1 (ko)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US10487761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CA2628891A1 (en) Key for vehicle and drunken driving preventing device
US1151176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1696540B1 (ko)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US78488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nsor signal indicating a position of an accelerator pedal of a motor vehicle
US20110245037A1 (en) Engine controlling apparatus for motorcycle
KR200473663Y1 (ko) 차량 급발진 판단 시스템
KR101260628B1 (ko) 급발진 확인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랙박스
US8706384B2 (en) Determination of an overspeed-shutdown event in a combustion engine
KR20140046573A (ko) 급발진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 제어장치
KR101378996B1 (ko) 차량 급발진 방지 시스템
US10960890B2 (en) Idling stop control device
US8205605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78999B1 (ko) 차량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150026214A (ko) 차량의 급발진 데이터를 블랙박스 영상에 저장하는 블랙박스 장치
US20150204259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488116B2 (ja) 車両制御装置
KR102474666B1 (ko) 급발진 상황모니터링장치
KR100350135B1 (ko) 오류 인젝터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