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043B1 -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043B1
KR101553043B1 KR1020140179443A KR20140179443A KR101553043B1 KR 101553043 B1 KR101553043 B1 KR 101553043B1 KR 1020140179443 A KR1020140179443 A KR 1020140179443A KR 20140179443 A KR20140179443 A KR 20140179443A KR 101553043 B1 KR101553043 B1 KR 10155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ish
roller
dispersion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호
Original Assignee
김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호 filed Critical 김평호
Priority to KR102014017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을 계량하여 포장상자에 담기 위한 생선 계량투입장치로 생선을 공급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부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키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 하측에 분산컨베이어장치를 수평 설치하여 상향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던 생선이 분산 컨베이어장치에서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1마리씩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에서 생선이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한꺼번에 무더기로 낙하되어 생선의 외관이 손상되던 문제를 해소하고,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분산 컨베이어장치에는 생선이 낙하되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배출안내판을 설치하여 작업현장의 공간에 따라 계량투입장치를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길이방향 전방측이나, 또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일측방에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선과 물이 담겨지는 수조부(5)와 수조부(5)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켜 계량투입장치(1)로 공급하는 상향이송 컨베이어(6)로 이루어지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에 있어서,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단부 하측에는, 컨베이어케이싱(6a)의 상단부 양측 하부에 전방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설치대(11a)(11b)와 상기 수평설치대(11a)(11b) 사이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롤러(14) 및 종동롤러(15)와 상기 구동롤러(14) 및 종동롤러(15) 사이에 감겨지게 설치되는 분산컨베이어(17)를 포함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1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M)의 모터축에는 구동스프라켓(8)이 설치되고, 상향이송 컨베이어(6)가 감겨지는 상부컨베이어축(7)의 일측단부에는 2단스프라켓(7a,7b)이 설치되며, 상기 분산 컨베이어장치(10)의 구동롤러(14)의 축 일단부에는 롤러스프라켓(12)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8)과 2단스프라켓(7a) 사이에는 제1체인(9)이 설치되며, 상기 2단스프라켓(7b)과 상기 롤러스프라켓(12) 사이에는 제2체인(18)이 설치되고, 상기 분산 컨베이장치(10)의 일측 수평설치대(11a)에는 생선의 이송 낙하를 안내하는 배출안내판(20)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에는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를 타측 수평설치대(11b)에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부(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Fish supply conveyor with distribution conveyor}
본 발명은 생선을 계량하여 포장상자에 담기 위한 생선 계량투입장치로 생선을 공급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부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키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 하측에 분산컨베이어장치를 수평 설치하여 상향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던 생선이 분산 컨베이어장치에서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1마리씩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에서 생선이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한꺼번에 무더기로 낙하되어 생선의 외관이 손상되던 문제를 해소하고,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분산 컨베이어장치에는 생선이 낙하되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배출안내판을 설치하여 작업현장의 공간에 따라 계량투입장치를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길이방향 전방측이나, 또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일측방에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계량호퍼로 투입되는 생선을 계량하여 하측의 포장상자에 담는 생선 계량투입장치가 특허등록 제10-1395901호(발명의 명칭 :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로 등록되어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발명에는 어류공급컨베이어의 상단부 하측에 계량호퍼가 곧 바로 설치되어있다.
상기 어류공급컨베이어의 후방측 하단부는 어류저장호퍼에 삽입되어 있어서 어류저장호퍼에 물과 함께 담긴 생선이 어류공급컨베이어에 실려서 상향 이송하게 되는데, 어류공급컨베이어에 실리는 생선의 양이 일정한 것이 아니라, 생선이 실리는 부분의 어류공급컨베이어 하부측에 생선이 모여 있을 경우에는 어류공급컨베이어에 많은 양의 생선이 실리게 된다.
이렇게 어류공급컨베이어에 부분적으로 많은 양의 생선이 실린 상태로 상향 이송되다가 어류공급컨베이어의 상단부 전방까지 도달하게 되면, 그 많은 양의 생선들이 계량호퍼의 내측으로 무더기로 낙하되게 된다.
이렇게 많은 양의 생선이 무더기로 계량호퍼의 내측으로 낙하하게 되면, 생선들이 낙하하는 하중에 의해 생선의 몸체 외부면에 흠집이 발생되어 제품에 대한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계량호퍼의 안쪽으로 많은 양의 생선이 한꺼번에 무더기로 쏟아져 내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계량호퍼의 안쪽에 센서를 설치할 경우에, 한꺼번에 무더기로 쏟아져 내리는 생선이 센서를 타격하여 센서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계량호퍼로 담겨지는 생선의 양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395901호(발명의 명칭 :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조부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키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 하측에 분산 컨베이어장치를 수평 설치하여 상향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던 생선이 분산 컨베이어장치에서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1마리씩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에서 생선이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한꺼번에 무더기로 낙하되어 생선의 외관이 손상되던 문제를 해소하고,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분산 컨베이어장치에는 생선이 낙하되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배출안내판을 설치하여 작업현장의 공간에 따라 계량투입장치를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길이방향 전방측이나 또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일측방에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선과 물이 담겨지는 수조부와 수조부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켜 계량투입장치로 공급하는 상향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 하측에는, 컨베이어케이싱의 상단부 양측 하부에 전방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설치대와 상기 수평설치대 사이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 사이에 감겨지게 설치되는 분산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의 모터축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향이송 컨베이어가 감겨지는 상부컨베이어축의 일측단부에는 2단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구동롤러의 축 일단부에는 롤러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2단스프라켓 사이에는 제1체인이 설치되며, 상기 2단스프라켓과 상기 롤러스프라켓 사이에는 제2체인이 설치되고, 상기 분산 컨베이장치의 일측 수평설치대에는 생선의 이송 낙하를 안내하는 배출안내판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안내판의 타단부에는 배출안내판의 타단부를 타측 수평설치대에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는, 수조부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키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 하측에 분산 컨베이어장치를 수평 설치하여 상향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던 생선이 분산 컨베이어장치에서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1마리씩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에서 생선이 계량투입장치의 계량호퍼로 한꺼번에 무더기로 낙하되어 생선의 외관이 손상되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와, 계량호퍼에 센서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계량호퍼에 설치한 센서가 낙하하는 생선으로부터 충격을 받지 않아서 센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산 컨베이어장치에는 생선이 낙하되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배출안내판을 설치하여 생선계량투입장치가 설치되는 작업현장의 공간에 따라 계량투입장치를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길이방향 전방측이나, 또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일측방에 설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단부 하측에 분산 컨베이어장치(10)가 수평 설치되어 상향이송 컨베이어(6)에 실려서 이송되어 오는 생선(미도시)들이 무더기로 쌓이지 않고 흩어져서 펼쳐지게 한 뒤에, 계량투입장치(1)의 계량호퍼(2)로 1마리씩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분산 컨베이어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단부측 컨베이어케이싱(6a)의 양측 하부에 수평설치대(11a)(11b)를 전방측을 향하도록 수평 설치하고, 이 양측 수평설치대(11a)(11b) 사이의 전후방에 종동롤러(15)와 구동롤러(14)를 간격으로 두고 설치하며, 이들 종동롤러(15)와 구동롤러(14)의 사이에는 분산컨베이어(17)가 감겨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14)의 일측 축에는 롤러스프라켓(12)이 설치되어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롤러(14)를 회전시키게 되는 제2체인(18)이 롤러스프라켓(12)에 감겨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터(M)의 모터축에는 구동스프라켓(8)이 설치되고,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부측 컨베이어케이싱(6a)에 수평 설치되어 상향이송 컨베이어(6)가 감겨지는 상부컨베이어축(7)의 일측단부에는 2단스프라켓(7a)이 설치되어 구동스프라켓(8)과 2단스프라켓(7a) 사이에 제1체인(9)이 감겨지고, 2단스프라켓(7b)과 롤러스프라켓(12)에는 제2체인(18)이 감겨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14)와 종동롤러(15)에는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둘레에 "V"벨트풀리와 같은 형태의 홈(13)이 형성되고, 그 홈(13)에 대응되는 분산컨베이어(17)의 내면에는 상기 홈(13)에 삽입 안내되는 "V"벨트와 같은 형태의 돌기부(1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설치대(11a)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안내판설치대(19)가 설치되고, 이 안내판설치대(19)에 분산컨베이어(17)에 실려 이송되는 생선을 분산컨베이어(17)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낙하시키거나, 또는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는 측방으로 이송 낙하시키는 배출안내판(20)이 힌지(21)에 의해 안내판설치대(19)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에는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를 수평설치대(11b)에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동롤러(15)는 양측 수평설치대(11a)(11b)의 전방측으로 볼트에 의해 전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장력조절기(26)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 수평설치대(11a)(11b)의 사이에 분산컨베이어(17)의 처짐에 대응하는 아이들롤러(23)와 처짐방지대(24)가 분산컨베이어(17)를 받쳐주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 부호 "25"는 수평설치대(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측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수조부(5)에는 물을 담아놓은 상태에서 포장상자에 담을 생선을 투입하면 그 생선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물에 의해 세척되게 되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모터(M) 구동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상면에 생선들이 실려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상향 이동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M)의 회전력이 제1체인(9)을 통하여 상부컨베이어축(7)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상부컨베이어축(7)과 하측의 하부컨베이어축(7-1) 사이에 상향이송 컨베이어(6)가 감겨지게 설치되어서 상향이송 컨베이어(6)가 회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향이송 컨베이어(6)에 실려서 상향 이송되는 생선들은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상부측에서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데,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하측에 분산 컨베이어장치(10)가 수평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낙하되는 생선들은 분산 컨베이어장치(10)의 분산컨베이어(17) 상면으로 얹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산 컨베이어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M)의 동력이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스프라켓(8)과 상부컨베이어축(7)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2단스프라켓(7a) 사이에 설치된 제1체인(9)를 통하여 상부컨베이어축(7)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상부컨베이어축(7)의 회전력이 상부컨베이어축(7)의 일측에 설치된 2단스프라켓(7b)과 구동롤러(14)의 롤러스프라켓(12) 사이에 설치된 제2체인(18)를 통하여 구동롤러(1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향이송 컨베이어(6)와 분산컨베이어(17)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분산컨베이어(17)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향이송 컨베이어(6)의 상측에서 아래로 낙하되는 생선들이 분산컨베이어(17)에 무더기로 쌓이기 전에 낙하되는 각각의 생선들이 분산컨베이어(17)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얹혀져 이동함으로써 분산컨베이어(17)에 낙하되는 생선들은 무더기로 쌓이지 않고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전방으로 이송되게 되며, 이렇게 평평하게 펼쳐지면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생선들이 분산컨베이어(17)의 전방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무더기로 떨어지지 않고 1마리씩 계량투입장치(1)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분산 컨베이어장치(10)의 전방측 하부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계량투입장치(1)의 계량호퍼(2)가 위치하고 있어서 1마리씩 낙하하는 생선이 계량호퍼(2) 내측으로 낙하되게 되고, 1마리씩 낙하되는 생선이 하부가 일시적으로 닫친 계량호퍼(2)에 쌓이면서 그렇게 쌓이는 생선의 양을 센서(3)가 감지하여 일정량의 생선을 계량 한 뒤에 계량호퍼(2)의 하부를 열어서 계량투입장치(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포장상자(미도시)로 투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산 컨베이어장치(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롤러(14)와 종동롤러(15)의 외주연에 "V"벨트풀리와 같은 형태의 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감겨지는 분산컨베이어(17)의 안쪽면에는 홈(13)에 삽입 안내되는 돌기부(1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구동롤러(14)와 종동롤러(15)에 감겨져 회전이동하는 분산컨베이어(17)가 삐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이동하여 생선도 바르게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분산 컨베이어장치(10)에는 분산컨베이어(17)에 실리서 이송되는 생선이 낙하되는 방향을 선택하게 하는 배출안내판(20)이 설치되어서 생선을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이나, 또는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는 측방향으로 낙하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생선 계량투입장치(1)가 설치되는 작업현장의 조건에 따라 생선의 낙하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안내판(20)을 분산컨베이어(17)의 상부에서 경사지게 설치한 경우에는 분산컨베이어(17)에 실려서 전방측으로 이송되던 생선이 경사지게 설치된 배출안내판(20)에 안내되면서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는 측방향으로 낙하되게 된다.
그리고, 배출안내판(20)을 가상선으로 표시된 "B"와 같이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분산컨베이어(17)에 실려서 이송되는 생선은 배출안내판(20)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분산컨베이어(17)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그 하측으로 낙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안내판(20)을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분산컨베이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힌지(21)의 반대편에 설치된 고정부(22)를 수평설치대(11b)에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안내판(20)을 경사방향이나 또는 직선방향으로 힌지(21)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배출안내판(20)을 회동시킨 뒤에는 배출안내판(20)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22)를 고정하고자 하는 고정부(22)와 근접한 수평설치대(11b)에 대면하도록 방향을 돌린 뒤에, 그 고정부(22)에 형성된 나사구멍으로 나사를 관통하여 수평설치대(11)에 체결하면 배출안내판(20)을 경사방향이나 직선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산 컨베이어장치(10)에는 안쪽에 돌기부(16)가 돌출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평벨트형태로 형성된 분산컨베이어(17)가 처지는 것에 대응하는 아이들롤러(23)와, 판형태의 처짐방지대(24)가 분산컨베이어(17)을 받쳐주게 설치되어서 분산컨베이어(17)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장력조절기(26)를 이용하여 종동롤러(15)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구동롤러(14)와 종동롤러(1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서 분산컨베이어(17)의 처짐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1 : 계량투입장치 2 : 계량호퍼
3 : 센서 4 :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5 : 수조부 6 : 상향이송 컨베이어
7 : 상부컨베이어축 7-1 : 하부컨베이어축
7a,7b : 2단스프라켓 8 : 구동스프라켓
9 : 제1체인 10 : 분산 컨베이어장치
11 : 수평설치대 12 : 롤러스프라켓
13 : 홈 14 : 구동롤러
15 : 종동롤러 16 : 돌기부
17 : 분산컨베이어 18 : 제2체인
19 : 안내판설치대 20 : 배출안내판
21 : 힌지 22 : 고정부
23 : 아이들롤러 24 : 처짐방지대
25 : 측벽 26 : 장력조절기

Claims (2)

  1. 생선과 물이 담겨지는 수조부(5)와 수조부(5)에 담겨진 생선을 상향 이송시켜 계량투입장치(1)로 공급하는 상향이송 컨베이어(6)로 이루어지는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에 있어서,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단부 하측에는, 컨베이어케이싱(6a)의 상단부 양측 하부에 전방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설치대(11a)(11b)와 상기 수평설치대(11a)(11b) 사이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롤러(14) 및 종동롤러(15)와 상기 구동롤러(14) 및 종동롤러(15) 사이에 감겨지게 설치되는 분산컨베이어(17)를 포함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1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4)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M)의 모터축에는 구동스프라켓(8)이 설치되고, 상향이송 컨베이어(6)가 감겨지는 상부컨베이어축(7)의 일측단부에는 2단스프라켓(7a,7b)이 설치되며, 상기 분산 컨베이어장치(10)의 구동롤러(14)의 축 일단부에는 롤러스프라켓(12)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8)과 2단스프라켓(7a) 사이에는 제1체인(9)이 설치되며, 상기 2단스프라켓(7b)과 상기 롤러스프라켓(12) 사이에는 제2체인(18)이 설치되고,
    상기 분산 컨베이장치(10)의 일측 수평설치대(11a)에는 생선의 이송 낙하를 안내하는 배출안내판(20)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에는 배출안내판(20)의 타단부를 타측 수평설치대(11b)에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부(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4)와 종동롤러(15)에는 홈(13)이 형성되고, 분산컨베이어(17)의 안쪽면에는 상기 홈(13)에 삽입 안내되는 돌기부(16)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양측 수평설치대(11a)(11b)의 사이에 분산컨베이어(17)의 처짐에 대응하는 아이들롤러(23)와 처짐방지대(24)가 분산컨베이어(17)를 받쳐주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20140179443A 2014-12-12 2014-12-12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155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43A KR101553043B1 (ko) 2014-12-12 2014-12-12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443A KR101553043B1 (ko) 2014-12-12 2014-12-12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043B1 true KR101553043B1 (ko) 2015-09-15

Family

ID=5424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443A KR101553043B1 (ko) 2014-12-12 2014-12-12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174B1 (ko) 2020-05-12 2020-12-16 주식회사 에스엔씨메이드 수산물 가공작업용 장치
CN112875328A (zh) * 2021-01-08 2021-06-01 杨美琴 一种养殖用小鱼装框装车装置
KR102409641B1 (ko) * 2022-03-14 2022-06-16 주식회사 동하 선박용 생선 필렛 이송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173Y1 (ko) * 2007-04-20 2008-07-28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을 위한 튜브형 제품의 개별 자동이송장치
KR101395901B1 (ko) * 2013-06-21 2014-05-16 주식회사 청하기계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173Y1 (ko) * 2007-04-20 2008-07-28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을 위한 튜브형 제품의 개별 자동이송장치
KR101395901B1 (ko) * 2013-06-21 2014-05-16 주식회사 청하기계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174B1 (ko) 2020-05-12 2020-12-16 주식회사 에스엔씨메이드 수산물 가공작업용 장치
CN112875328A (zh) * 2021-01-08 2021-06-01 杨美琴 一种养殖用小鱼装框装车装置
KR102409641B1 (ko) * 2022-03-14 2022-06-16 주식회사 동하 선박용 생선 필렛 이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043B1 (ko) 분산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1413961B1 (ko) 공급량 조절 기능을 갖는 펠렛 정량 공급장치
KR101395901B1 (ko)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
JP6777357B1 (ja) 組合せ計量装置
KR101650884B1 (ko)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포장상자 안내장치
KR20170126574A (ko) 어체 투입장치
JP2006320866A (ja) 果実選別装置とその選別方法
KR101488221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493042B1 (ko) 생선 계량투입장치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KR101239374B1 (ko)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
CN112722725B (zh) 一种中药自动调剂系统
KR20120011409A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JP2012162392A (ja) 青果物選別コンベアのチエン張り装置
KR101086279B1 (ko) 떡 정량 포장장치
KR20180125351A (ko) 정량 계량 컨베이어
KR20200132268A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594582B1 (ko) 어류 계량 및 포장장치
KR101205399B1 (ko) 재료 포장 장치
WO2018180309A1 (ja) 物品規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供給装置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CN213594635U (zh) 一种视觉自动计数设备
CN210526904U (zh) 一种瓜子包装用连续称重装置
KR20140144039A (ko) 농작물의 선별자동조합 계량장치
KR100825852B1 (ko) 볼트 인입/선별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