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817B1 -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817B1
KR101552817B1 KR1020150081877A KR20150081877A KR101552817B1 KR 101552817 B1 KR101552817 B1 KR 101552817B1 KR 1020150081877 A KR1020150081877 A KR 1020150081877A KR 20150081877 A KR20150081877 A KR 20150081877A KR 101552817 B1 KR101552817 B1 KR 10155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ivoting
module
dischar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2015008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7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진 측면을 구비한 제품;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품을 중력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를 구비한 수납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수납 하우징의 하부 개방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배출 방향을 따라 좌우 1쌍으로 관통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송 커버와,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으로 기립 연장되어 상기 제품과 접촉하는 1쌍의 회동 레그와, 상기 회동 레그의 대향 측에 형성된 무게 추를 포함한 회동체가 회동 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레그가 기립하거나 가이드 홈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한 회동 모듈 및, 상기 회동 모듈을 상기 이송 커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이송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에 의하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당하게 소요되는 카트리지를 구비한 제품 배출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직관적 구조로서 1개 단위의 제품의 정량 배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DISPENSER FOR LAMINATED PRODUCTS}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적층된 제품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상하 평면을 구비한 제품을 적층식으로 수납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1개 단위로서 제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출장치는 일명 디스펜서(dispenser)로 명명되어, 액체를 분말 상으로 외부로 토출하거나 고형의 물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특히 커피 등의 액체 내지 일상생활용품 등의 고체로 이루어진 제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자동판매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사람의 행위 없이 제품을 사용자에게 배출 및 공급하는 장치로서, 주로 사용자가 제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입하면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되었던 제품이 토출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인스턴트식품, 과자, 음료수는 물론 다양한 일상생활용품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제품의 대상과 형상에 따라 로봇 암 또는 행렬 구획 구조 내에 수납된 제품을 이동식 배출부, 즉 카트리지에 의하여 픽업 후 낙하시키는 배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할 것이다.
국내 특허 제 417167호인 '자동판매기의 제품 저장 및 배출장치'는 내측에 일정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저부에 배출호퍼가 장착되며, 그 전방에 개폐토록 연결되는 도어에 코인인식부 및 배출호퍼에 대응되는 배출구가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모터에 연결되는 체인에 다수의 선반이 기준봉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퍼의 상부에 위치토록 행 및 열방향에 복수개 장착되며, 카트리지 몸체의 내측에 일정궤적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회전모터와 이에 제 1체인으로서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제 2체인으로서 연결되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는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제 2체인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축에 슬라이딩판이 고정브라켓과 케이블로서 제품을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배출호퍼의 상측에 열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가 일체로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리하면 카트리지에 의해 제품을 픽업하여 배출하는 구조 및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장된 제품의 종류와 형상이 복수 개 또는 다양하지 않고 1 종류 또는 규격화되어 있는 경우 굳이 상술한 구조와 같이 복잡하지 않고 슬림하게 구성하여도 정량(1개) 배출을 충분히 추구할 수 있는데, 상술한 제품은 종합 제품(복수 개의 종류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종 제품군)을 판매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직관적이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정량(1개 단위) 배출을 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제품 배출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부각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림하고 간단한 기계적 구성으로도 1개 단위로 제품의 정량 배출을 구현하는 제품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과의 접촉과 접촉 위치에 따라 회동 여부가 결정되는 회동 레그에 의하여 합리적이자 과학적으로 제품을 밀어내거나 회피하는 회동 레그를 포함한 회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정량 배출 여부, 잔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회동 레그에 의해 밀릴 수 있는 일정 높이를 가진 측면을 구비하여 적층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진 측면을 구비한 제품;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품을 중력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를 구비한 수납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수납 하우징의 하부 개방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배출 방향을 따라 좌우 1쌍으로 관통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송 커버와,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으로 기립 연장되어 상기 제품과 접촉하는 1쌍의 회동 레그와, 상기 회동 레그의 대향 측에 형성된 무게 추를 포함한 회동체가 회동 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레그가 기립하거나 가이드 홈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한 회동 모듈 및, 상기 회동 모듈을 상기 이송 커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이송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커버는, 상기 수납 하우징의 하부 개방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 중 맨 아래의 제품을 안착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배출 단 측 일 부위가 경사진 경사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평탄부에서 경사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1쌍으로 관통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회동 모듈은, 상기 이송 모듈에 결합되는 것으로, 좌우 양측으로 일정 높이로 기립 연장된 기립부를 포함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기립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기립부 양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회동 축을 매개로 상기 회동체에 연결된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후단 양 측에서 절곡되어 블록 역할을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배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에 의하면,
1)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당하게 소요되는 카트리지를 구비한 제품 배출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직관적 구조로서 1개 단위의 제품의 정량 배출을 구현할 수 있고,
2) 회동 레그가 배출을 위한 이송 시에는 제품을 밀어내고 복귀를 위한 이송 시에는 제품을 밀어내지 않고 회피하도록 기계적 구조를 이루어, 전자적 구조에 비하여 직관적이자 명확한 구동을 담보할 수 있으며,
3) 제품 배출을 위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부가하여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일상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제품군을 적층하여 배출할 수 있어 활용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의 수납 하우징을 제외한 베이스 하우징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 하우징에서 이송 커버를 제거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 모듈의 이동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는 제품(1)을 적층 식으로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110)를 구비한 수납 하우징(100)이 길이 방향으로 기립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 제품(1)을 1개 단위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베이스 하우징(200)이 결합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배출장치는 그 자체의 단독 구조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품(1) 및 제품 외의 다른 물건(예를 들어 제품이 봉지라면인 경우, 즉 봉지라면과 세트 구성이 되는 용기 등의 물건)을 배출하는 장치와 함께 특정 자동판매기, 예를 들어 라면 자동판매기(본 발명인 봉지라면 배출장치와 별도의 용기 배출장치를 함께 구비), 도시락이나 과자 자동판매기나 기타 디스펜서 내에서 하나의 모듈 구조로서 구비/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적층 수납될 수 있는 제품(1)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상품이나 일상생활용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할 회동 레그(341)에 의해 밀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진 측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수납 스페이스(110)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 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는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품(1)은 책, 봉지라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에 보관된 기타 다양한 외관 구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는 제품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110)를 구비한 수납 하우징(100)과, 이 수납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220) 및 제품을 픽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모듈(300)을 포함한 베이스 하우징(2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납 하우징(100)은 제품(1)을 적층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110)를 구비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러한 수납 하우징(100)의 형상은 제품(1)을 적층식으로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규격화된 사이즈를 가진 제품(1)을 적은 체적 대비로 가급적 상대적으로 많이 수용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한 하방 낙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종 방향(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수납 하우징(100)은 좌우측에 각각 기립 설치된 측벽(120)과, 제품(1)을 수납하는 공간인 수납 스페이스(110)로 구성된다.
수납 스페이스(110)는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품(1)을 적층 방식으로, 즉 종 방향으로 수납하는 공간 구조로서, 전면부의 개방 공간으로는 제품(1)의 인입/인출을 수행할 수 있고 하면부의 개방 공간으로는 배출이 될 제품(1), 즉 적층된 제품들 중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이 안착되어 있어 이에 후술할 회동 레그(341)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하면부의 개방 공간이 제품(1)을 배출하기 전 단계의 1차적 배출구가 되고, 맨 아래 위치한 제품은 후술할 회동 레그(34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송 방향으로 밀어 내어 결과적으로 제품(1)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납 하우징(100)은 다양한 입체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반드시 상술한 구성 또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품 배출장치의 수납 하우징을 제외한 베이스 하우징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베이스 하우징(200)은 수납 하우징(100)의 하단에서 일정한 이송 거리를 확보하도록 연장된 상태로 결합된 것으로, 수납 스페이스(110)에 적층된 제품들 중에서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송 및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납 스페이스(110)에 적층된 제품들 중에서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은 이송 커버(210)에 안착되는바, 이송 커버(210)는 제품(1)이 안착된 상태에서 회동 레그(341)와의 물리적 접촉에 따라 제품(1)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 및 배출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커버(210)는 평탄부(211), 경사부(212), 가이드 홈(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탄부(211)는 적층된 제품(1) 중에서 맨 아래 제품(1)이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고, 경사부(212)는 배출구 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평탄부(211)의 끝단까지 이송된 제품이 경사부(212)를 따라 중력방향, 즉 하방 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공간 및 중력 작용을 제공한다.
더불어, 가이드 홈(213)은 평탄부(211)에서 경사부(212)에 이르기까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1쌍으로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 하우징(200)의 내부 구성과 연결되는 홈으로서, 회동 레그(341)가 돌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 다시 말해 회동 레그(341)가 이송 커버(2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품(1)과 접촉 및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 하우징에서 이송 커버를 제거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베이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크게 이송 모듈(220)과 배출 모듈(300)이 포함되어 있다.
이송 모듈(220)은 후술할 배출 모듈(3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배출 모듈(300)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는 구동 모터(221)에 의해 구동되는 랙/피니언, 벨트/풀리 조합체, 롤러/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LM 가이드/이송 스크류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구조 내지 조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이송 모듈(220)이 가이드 레일(222)에 고정된 배출 모듈(300)을 벨트(224) 및 풀리(223)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는바,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이송 모듈(220)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다양한 기계적 구조 내지 수단으로 설계 변경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배출 모듈(300)은 기립(수직 상태)되거나 누울 수 있도록(수평 상태) 회동되는 회동 레그(341)가 제품(1)에 접촉하여 제품(1)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송시켜 배출구 측으로 배출시키고 원 위치(시작 위치)로의 복귀 시에는 제품(1)에 자연스럽게 눌리면서 수평 상태로 이동되어 제품(1)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정 브라켓(310), 회동축(320), 배출 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310)은, 이송 모듈(220)(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에 고정 결합된 것으로서, 이송 모듈(220)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기반 및 배출 프레임(3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10)은, 좌우 양측으로 일정 높이로서 기립 연장된 기립부(311)를 구비하여 이를 매개로 배출 프레임(330)과 결합된다.
배출 프레임(330)은 회동 레그(341)의 일 측 방향으로의 회동성 및 복원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측벽(331) 및 스토퍼(332)와 회동체(340)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331)은 배출 프레임(330)의 좌우 측 각각에 형성된 구조로서 고정 브라켓(310)의 기립부(311)와 결합이 됨과 동시에 결합공(331a)이 관통 형성된 상태에서 회동축(320)을 매개로 회동체(340)와 결합되는 수단이다.
회동체(340)는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회동 레그(341) 및 지지판(342), 무게 추(343) 및 벽체(344)로 구성된다.
회동 레그(341)는 지지판(342)에서 좌우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각각, 즉 1쌍으로 기립 연장된 것으로 이 회동 레그(341)가 이송 커버(210)의 가이드 홈(213)을 지나 적층된 제품 중 맨 아래 위치한 제품(1)에 접촉되는 것이며 1개씩 정량으로 제품(1)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하여 가이드 홈(213)으로 돌출되는 회동 레그(341)의 길이/높이는 제품의 측면 높이에 상응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수치로 형성되도록 한다.
지지판(342)의 하면에는 무게 추(343)가 장착되어 있는바, 무게 추(343)는 그 하중에 의하여 회동체(340)의 회동 레그(341)가 상부를 향하도록, 즉 무게 추(343)가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회동체(340)를 배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판(342)의 양 측면에는 결합공(344a)이 관통 형성된 벽체(344)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320)은 상기 배출 프레임(330)의 측벽(331) 및 회동체(340)의 벽체(344)에 형성된 결합공(331a,344a)에 삽입된 상태로 베어링 등의 기계적 수단의 결합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회동체(340)와 고정 브라켓(310)을 연결하는 역할을 겸비한다. 즉, 회동축(320)은 회동체(340)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브라켓(3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스토퍼(332)는 배출 프레임(330)의 측벽(331)의 후단 양 측에서 절곡되어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스토퍼(332)는 회동 레그(341)가 후단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로막는 블록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회동체(340)는 무게 추(343)에 의하여 특정 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다른 위치에서 이 특정 위치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는바, 다시 말해 회동축(320)에 의하여 회동체(340)가 회전되어도 무게 추(343)의 하중에 의해 무게 추(343)가 회동체(340)의 하 측에 위치하도록 회동축(320) 회전되면서 회동 레그(341)가 회동체(3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유지/복원되는 성질을 가지며, 이 원리를 이용하여 배출 모듈(300)이 제품(1)을 배출구로 이송 및 배출시킨 후 적층된 제품 중에서 새로이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과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원 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출 모듈(300)의 구성에 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 모듈의 이동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동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 모듈(300)의 회동체(340)는 베이스 하우징(200)의 후단에 위치하며, 이 때 무게 추(343)의 하중에 의해 회동 레그(341)는 상부로 기립된 상태를 취하고 있는바, 다시 말해 수납 하우징(100)이 설치된 위치의 후단 측에서 회동 레그(341)가 기립된 상태를 취하고 있다.
제품(1)의 배출 모드에서는, 이송 모듈(220)이 구동되면서 이에 결합된 배출 모듈(300)의 회동체(340)가 베이스 하우징(200)의 선단 측, 즉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면 이송 커버(210)의 가이드 홈(213)을 관통하여 돌출 기립된 회동 레그(341)가 수납 스페이스(110) 내에 적층된 제품(1) 중 맨 아래 위치한 제품(1)과 접촉을 한다.
회동 레그(341)는 회동축(3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1)과 접촉 시 그 반발력으로 후단 측으로 눕거나 회전되려는 성질을 가지나 스토퍼(332)에 의해 블로킹(blocking)되기 때문에 후단 측으로 회동되지 않고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송 모듈(220)의 구동에 의하여 이와 같이 기립 상태를 유지한 회동 레그(341)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접촉되어 있는 제품(1)을 이송 커버(210)의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제품(1)이 이송 커버(210)의 평탄부(211)를 따라 이송된다.
이와 같이 회동 레그(341)가 기립된 상태(수직 상태)로서 제품(1)의 일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 모듈(220)의 구동에 따라 회동체(340)가 베이스 하우징(200) 내의 후단에서 선단까지 이동하면, 제품(1)은 이송 커버(210)의 평탄부(211)를 지나 경사부(212)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이송 커버(210)의 경사부(212)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제품(1)이 낙하하면서 배출구로 배출이 된다.
제품(1)이 배출되면 중력에 의해 적층된 제품들이 배출된 제품(1)의 두께(높이)만큼 낙하하고, 배출된 제품(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던 제품(1)이 새로이 맨 아래로 위치하게 된다.
제품(1)이 배출이 된 후에 다시 배출 모듈(300)은 이송 모듈(220)의 연속 구동을 통해 베이스 하우징(200)의 선단에서 원 위치였던 후단 측으로 복귀를 하는데, 회동 레그(341)는 기립 상태에서 후단 측으로 이동되다가 새로이 맨 아래에 위치하게 된 제품(1)과 접촉하게 된다.
제품(1)과의 접촉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회동 레그(341)는 회동축(320)에 의하여 선단 방향으로 회전하는바, 다시 말해 배출 모듈(300)이 후단으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제품(1)에 접촉하면서 그 반발력에 의하여 회동 레그(341)가 점진적으로 선단 측으로 접히게 되는데(즉,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변환이 되는데), 접힌 회동 레그(341)는 가이드 홈(213) 내에 수용된다.
즉, 배출 모듈(300)이 원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회동 레그(341)가 제품(1)에 눌려 가이드 홈(213) 내에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새로이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에 회동 레그(341)가 거치적거리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접힌 상태를 유지하며 후단 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배출 모듈(300)이 제품(1)이 적층된 위치를 지나, 베이스 하우징(200)의 최후 단 위치로 복귀하면 제품(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다시 무게 추(343)의 하중에 의하여 회동 레그(341)가 다시 수직 상태로 기립된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작동 원리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배출장치는 회동체(340)의 일 방향 회동 성질 및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제품(1)의 정량, 즉 1개 단위의 배출을 보장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400)는 제품(1)의 배출 신호에 따라 배출 모듈(300)의 왕복 이동을 위한 이송 모듈(220)의 구동을 on/off 처리해가는 기본 제어 기능은 물론, 제품(1)의 배출에 대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추가적으로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는 구동 제어모듈(410), 배출 파악모듈(420), 잔량 파악모듈(430)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 제어모듈(410)은 이송 모듈(22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말해 베이스 하우징(200)의 시작 위치인 최후 단에서 배출 위치인 최선 단까지 이송 모듈(220)의 구동에 따라 배출 모듈(300)이 이동된 다음 다시 시작 위치로 복귀하는 왕복 운동(왕복 위치, 왕복 속도 등)을 제어한다. 이 때, 베이스 하우징(200)의 최선 단 또는 최후 단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되어 이의 스위칭에 의하여 구동 모터(221)의 정/역회전 변환 등에 의한 이송 모듈(220)의 구동 위치 내지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된 센서의 센싱에 의하여 이송 모듈(2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구동 제어모듈(410)은 회동축(320)에 추가로 장착되는 압력 감지 센서(403)에 의하여 이송 모듈(220)의 복귀 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감지 센서(403)는 이송 모듈(220)이 복귀하면서 기립 상태의 회동 레그(341)가 새로이 맨 아래에 위치하게 된 제품(1)에 접촉하여 회동될 때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이송 모듈(220)이 새로이 맨 아래에 위치한 제품(1)에 접촉되었다는 상태를 인지하고, 이와 같이 제품 접촉을 인지하면 이송 모듈(220)을 다시 배출 방향 측으로 이송 구동시킨 다음 다시 원 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구동 제어 모듈(410)은 제품 인식을 한 다음 배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역이동하다가 복귀하는 이송 속도를 높여 회동 레그(341)가 보다 확실하게 접힐 수 있도록(가이드 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제품(1)과의 접촉을 통하여 제품(1)의 잔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더불어, 배출 모듈(300)이 구동 제어모듈(410)에서 추가로 포함한 리미트 스위치(404,405)(도 3 참조)와 접촉하면서 이송 모듈(220)의 위치 내지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 제어모듈(410)에 따라 이송 모듈(220)의 왕복 운동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제품(1)의 배출에 대한 기본적 작동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배출 파악모듈(420)은 배출 감지 센서(401)의 센싱(sensing)에 의하여 제품(1)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만일 제품(1)이 배출되지 않은 경우 별도로 장착된 알람수단, 예를 들어 스피커 내지 램프를 통해 시그널 출력을 하거나 이송 모듈(220)의 재 구동을 명령 제어할 수 있다.
배출 감지 센서(401)는 이송 커버(210)의 경사부(212) 일 측, 또는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품이 제대로 배출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신호를 발생한 다음 이를 배출 파악모듈(4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 감지 센서(401)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잔량 파악모듈(430)은 수납 스페이스(110)에 수용된 제품(1)의 잔량 내지 유무를 파악하는 것으로, 상술한 구동 제어 모듈의 추가 기능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추가적으로 잔량 감지 센서(402)의 센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잔량 감지 센서(402)는 수납 스페이스(110)의 하부 측, 또는 기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수납 스페이스(110) 내에 수용된 제품들의 체적/볼륨(주로 제품이 없는지 체크)을 파악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잔량 파악모듈(4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제품(1)의 볼륨/체적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수치와 비교를 하거나 제품(1)에 표시된 색상이나 형상 파악에 따라 개략적인 제품(1)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잔량 감지 센서(402) 역시 초음파 센서(초음파의 도달 거리로 판단), 적외선 센서(제품의 볼륨/형상 인식으로 판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제품 100: 수납 하우징
110: 수납 스페이스 120: 측벽
200: 베이스 하우징 210: 이송 커버
211: 평탄부 212: 경사부
213: 가이드 홈 220: 이송 모듈
221: 구동 모터 222: 가이드 레일
223: 풀리 224: 벨트
300: 배출 모듈 310: 고정 브라켓
311: 기립부 320: 회동축
330: 배출 프레임 331: 측벽
331a : 결합공 332: 스토퍼
340: 회동체 341: 회동 레그
342: 지지판 343: 무게 추
344: 벽체 344a: 결합공
400: 컨트롤러 401: 배출 감지 센서
402: 잔량 감지 센서 403: 압력 감지 센서
404,405: 리미트 스위치 410: 구동 제어모듈
420: 배출 파악모듈 430: 잔량 파악모듈

Claims (7)

  1.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로서,
    일정 높이를 가진 측면을 구비한 제품;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품을 중력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를 구비한 수납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수납 하우징의 하부 개방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배출 방향을 따라 좌우 1쌍으로 관통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송 커버와,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으로 기립 연장되어 상기 제품과 접촉하는 1쌍의 회동 레그와, 상기 회동 레그의 대향 측에 형성된 무게 추를 포함한 회동체가 회동 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레그가 기립하거나 가이드 홈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한 회동 모듈 및,
    상기 회동 모듈을 상기 이송 커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이송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커버는,
    상기 수납 하우징의 하부 개방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 중 맨 아래의 제품을 안착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배출 단 측 일 부위가 경사진 경사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평탄부에서 경사부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1쌍으로 관통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모듈은,
    상기 이송 모듈에 결합되는 것으로, 좌우 양측으로 일정 높이로 기립 연장된 기립부를 포함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기립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기립부 양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회동 축을 매개로 상기 회동체에 연결된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후단 양 측에서 절곡되어 블록 역할을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배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송 커버의 일 측에 추가로 장착된 배출 감지 센서의 센싱에 의하여 상기 제품이 상기 경사부 측으로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배출 파악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회동 축의 일 측에 추가로 장착된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회동 축에 가해진 압력을 파악하여 상기 압력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제품의 잔량을 파악하는 잔량 파악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7. 삭제
KR1020150081877A 2015-06-10 2015-06-10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KR10155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77A KR101552817B1 (ko) 2015-06-10 2015-06-10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77A KR101552817B1 (ko) 2015-06-10 2015-06-10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817B1 true KR101552817B1 (ko) 2015-09-11

Family

ID=5424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877A KR101552817B1 (ko) 2015-06-10 2015-06-10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83B1 (ko) * 2019-09-05 2020-11-13 안상근 식품캡슐 배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450A (ja) 2001-07-26 2003-02-13 Shibaura Mechatronics Corp 製品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450A (ja) 2001-07-26 2003-02-13 Shibaura Mechatronics Corp 製品搬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83B1 (ko) * 2019-09-05 2020-11-13 안상근 식품캡슐 배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750B2 (en) Product delivery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CN210222905U (zh) 一种货盒及自动售卖装置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101552817B1 (ko) 적층된 제품의 배출 장치
CN110796795A (zh) 自动售货机
CN108564727B (zh) 一种冷冻品自动售卖设备
CN111164657B (zh) 送出装置
CN210721669U (zh) 智能售卖装置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CN113192256B (zh) 一种自动披萨售货机及自动披萨售货系统
CN211787308U (zh) 存料柜及餐食售卖机
JP4968181B2 (ja) 商品搬出装置
CN111243178A (zh) 一种自动下干粉面器及下干粉面方法
CN210666975U (zh) 一种贩售机
WO2021057631A1 (zh) 货斗和自动售货机
CN216853702U (zh) 一种雪糕机
CN217880431U (zh) 送货模组和售货机
CN217880432U (zh) 送货装置及售货机
CN215182218U (zh) 一种自动披萨售货机及自动披萨售货系统
JPS6330641Y2 (ko)
JP33181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41488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251482Y1 (ko) 진공 흡착방식의 비닐 포장 상품용 자동 판매기
JPH08305949A (ja) 自動販売機
JP4811071B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