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77B1 -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77B1
KR101552577B1 KR1020140094809A KR20140094809A KR101552577B1 KR 101552577 B1 KR101552577 B1 KR 101552577B1 KR 1020140094809 A KR1020140094809 A KR 1020140094809A KR 20140094809 A KR20140094809 A KR 20140094809A KR 101552577 B1 KR101552577 B1 KR 10155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ective film
connection frame
insertion groov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9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패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과 제4삽입홈이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프레임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이송시켜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보호필름과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촬영한 후 측정하여 회로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간격조절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장시킬 수 있고,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부착테이블로 이송되는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촬영하기 위해 커버레이촬영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및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져 부착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Attaching header of protective film by using attaching equipment of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필름을 픽업한 후 회로기판의 상부로 이송시켜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이송시켜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PWB: Printed Wire Board)은, 여러 종류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선회로면의 수에 따라 단면회로기판, 양면회로기판, 다층회로기판 등으로 분류되며, 기판의 굴곡특성에 따라 경성(rigid)회로기판, 연성(Flexible)회로기판, 경-연성(rigid Flexible) 회로기판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연성 회로기판 및 경-연성 회로기판은 최근 전자산업기술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형전자제품 등에 널리 적용되는 것으로, 굴절 가능하기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 작동부위가 있는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연성 회로기판은 여러 소재가 중첩된 적층구조로서, 그 제조과정은 원판인 동박적층판을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는 재단공정, 재단된 원판에 가이드홀을 형성하는 드릴링공정, 가이드홀이 형성된 동박표면에 회로를 인쇄하는 노광공정, 동박을 부식시켜 회로를 형성하는 에칭공정, 동박에 커버레이를 부착한 후, 고온에서 상기 커버레이를 압착하는 커버레이 압착공정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레이는 기판표면의 절연 및 회로보호를 위해 부착되는 것으로, 기판에 부착되기에 앞서 펀칭작업에 의해 회로부분이 노출되도록 가공된 다음 원판에 부착되는데, 이 같은 펀칭작업은 그 형태에 따라 이른바 시트(sheet) 방식과, 릴(reel)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커버레이장치를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505호(2010.07.05)에서는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를 적재하고 상기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이송하며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과, 도체 패턴이 형성된 동박시트를 적재하는 동박시트 적재수단과,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으로부터 커레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 적재수단으로부터 동박시트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동박시트를 정렬하고 상기 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동박시트에 가접하는 가접수단을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 또는 모서리부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때,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다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레이 이송수단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흡착하는 커버레이 흡착판과,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가접 수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제1이송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박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간지를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는 간지배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접수단은 상기 커버레이가 상기 동박시트에 가접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를 정렬하고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부와, 상기 가접부를 이동시키는 안내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의 이송 경로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가접수단에 의하여 가접 완료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직교하는 이송 경로들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502호(2010.07.05)에서는 동박시트의 외곽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커버레이의 절단선을 따라 상기 커버레이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이동시키는 커터 이동부와, 상기 커버레이를 픽업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이동시키는 홀더이동부를 구비하는 능동형 절단기와, 상기 능동형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커버레이를 상기 동박시트에 가접하는 가접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이동부는 상기 커버레이가 접합될 동박시트의 외곽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커버레이의 절단선의 좌표값을 입수하고, 상기 좌표값에 추종하도록 상기 커터를 이동시키되, 상기 동박시트의 외곽 형상은 제1형상이고, 상기 커버레이는 그 외곽 형상이 제2형상으로 절단되며, 상기 커버레이의 절단선은 상기 제2형상이 상기 제1형상을 전체적으로 덮는 크기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레이 가접장치는 커버레이와 회로기판을 정확하게 가접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커버레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측정포인트들을 커버레이촬영수단이 일일이 이동하면서 촬영하고, 일측에 구비된 회로기판촬영수단이 구비된 픽업수단이 X축으로 이동한 후 회로기판의 위치를 촬영하여, 그 결과 값에 따라 가접공정을 수행하였는데, 이 경우 커버레이와 회로기판의 상대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접합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커버레이가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해 사이즈가 축소 또는 신장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에 가접 시 회로기판의 사이즈와 커버레이의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의 사이즈와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회로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신축시킨 후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보호필름이 픽업된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회로기판으로 이동시킨 후 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패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과 제4삽입홈이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프레임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좌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우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3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단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후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 및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패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단연결프레임 및 후단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상기 전단프레임과 상기 후단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프레임 및 우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모터부와, 상기 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전단연결프레임과 제2전단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단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후단연결프레임과 제2후단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과 제2후단연결프레임이 제1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제1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일의 양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테이블과,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1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1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1코일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1전류인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좌측연결프레임과 제2좌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우측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우측연결프레임과 제2우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좌측연결프레임과 제1우측연결프레임이 제2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제2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레일의 양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과 상기 제2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영구자석과, 상기 제2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2코일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2전류인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보호필름을 픽업하고, 픽업된 상기 보호필름을 선택적으로 신축시키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상기 보호필름을 픽업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상기 제1이송수단과 결합시키는 슬라이더 브라켓을 포함하는 픽업몸체;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보호필름을 촬영하여 사이즈를 측정하는 보호필름촬영카메라; 외부에서 공급된 회로기판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부착테이블; 상기 부착테이블에 안치된 상기 회로기판을 촬영하여 사이즈를 측정하는 회로기판촬영카메라; 및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즈 및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비교한 후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조작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신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보호필름과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촬영한 후 측정하여 회로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간격조절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장시킬 수 있다.
둘째,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부착테이블로 이송되는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촬영하기 위해 커버레이촬영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및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져 부착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단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측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모터부 및 제2모터부가 동작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가 제1이송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촬영카메라가 제2이송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보호필름을 보호필름촬영카메라가 촬영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회로기판을 회로기판촬영카메라가 촬영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단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측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모터부 및 제2모터부가 동작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가 제1이송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촬영카메라가 제2이송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보호필름을 보호필름촬영카메라가 촬영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회로기판을 회로기판촬영카메라가 촬영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10)는 몸체(100)와, 복수개의 패드(200)와, 간격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패드(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패드(200)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몸체(100)의 각 둘레면에 서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개의 패드(200)는 공급되는 보호필름(A)을 상부에서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100)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200)는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이격거리가 가변되며, 상기 간격조절부(300)는 복수개의 삽입프레임(310)과, 복수개의 연결프레임(320)과, 모터부(330)를 포함한다.
사각형상을 가지는 상기 몸체(100)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삽입홈(110), 제2삽입홈(120), 제3삽입홈(130) 및 제4삽입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10)과 제2삽입홈(120)은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3삽입홈(130)과 상기 제4삽입홈(140) 역시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즉, 상기 제1삽입홈(110)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120)은 상기 몸체(100)의 우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삽입홈(130)은 상기 몸체(100)의 전단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삽입홈(140)은 상기 몸체(100)의 후단 둘레면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310)의 하부에는 보호필름(A)을 흡착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200)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310)은 좌측프레임(311)과, 우측프레임(312)과, 전단프레임(313)과, 후단프레임(314)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프레임(311)은 상기 제1삽입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우측프레임(312)은 상기 제2삽입홈(120)에 삽입되며,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상기 후단프레임(314)는 각각 제3삽입홈(130)과 제4삽입홈(140)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상기 좌측프레임(311), 우측프레임(312), 전단프레임(313) 및 후단프레임(314)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110,120,130,140)에 삽입된 후 후술되는 연결프레임(320)과 모터부(33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상기 우측프레임(312)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상기 우측프레임(3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프레임(311)은 제1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삽입단(311a)과, 상기 몸체(100)의 좌측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착단(311b)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단(311a)과 상기 제1삽입홈(110)은 상기 좌측프레임(311)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측프레임(312)는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대응되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삽입홈(130)에 삽입되는 전단프레임(313) 및 상기 제4삽입홈(140)에 삽입되는 후단프레임(314)은 각각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전단프레임(313a)과 제2전단프레임(313b) 및 제1후단프레임(314a)과 제2후단프레임(314b)으로 구성된다. 이격되게 구성되는 상기 제1전단프레임(313a)과 제2전단프레임(313b)은 상기 전단프레임(313)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2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후단프레임(314a)과 제2후단프레임(314b)은 상기 후단프레임(314)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200)에 의해 연결된다.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310)은 복수개의 연결프레임(320)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우측프레임(312)은 전단연결프레임(321) 및 후단연결프레임(32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후단프레임(314)은 좌측연결프레임(323) 및 우측연결프레임(324)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전단연결프레임(321) 및 후단연결프레임(322)은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우측프레임(312)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좌측연결프레임(323) 및 우측연결프레임(324)은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후단프레임(314)의 양단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전단연결프레임(321) 및 후단연결프레임(322)과 상기 좌측연결프레임(323) 및 우측연결프레임(324)은 모터부(33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프레임(312)과 상기 전단프레임(313)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부(330)는 상기 전단연결프레임(321)과 연결되는 제1모터부(332)와, 상기 우측연결프레임(324)와 연결되는 제2모터부(334)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연결프레임(321)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전단연결프레임(321a)과 제2전단연결프레임(321b)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연결프레임(322)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후단연결프레임(322a)과 제2후단연결프레임(32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321b)과 상기 제2후단연결프레임(322b)이 상기 제1모터부(332)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우측프레임(312)을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우측프레임(312)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상기 우측프레임(312)의 이격거리가 가변되게 되고, 상기 좌측프레임(311)과 상기 우측프레임(312)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200)의 이격거리가 가변됨으로써 이격된 패드(200)에 흡착되는 보호필름(미도시)의 일단(우측단)이 신장되게 된다.
상기 제1모터부(332)는 제1레일(332a)과, 제1코일(332b)과, 제1테이블(332c)과, 제1영구자석(332d)과, 제1전류인가수단(332e)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일(332a)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일면이 상기 제1전단연결프레임(321a)과 연결되며, 상기 제1레일(332a)에 의해 상기 몸체(100)과 상기 제1전단연결프레임(321a)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레일(332a)의 일면에는 제1코일(332b)이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332b)의 상부에는 제1테이블(332c)이 위치한다. 상기 제1테이블(332c)은 상기 제1코일(332b)과 후술되는 제1영구자석(332d)에 의해 상기 제1레일(332a)의 양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테이블(332c)은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321b)과 연결된다. 상기 제1코일(332b)과 상기 제1테이블(332c) 사이에는 제1영구자석(332d)이 구비되며, 상기 제1영구자석(332d)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일(332b)은 제1전류인가수단(332e)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전류인가수단(332e)은 상기 제1코일(332b)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코일(332b)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류인가수단(332e)이 상기 제1코일(332b)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제1테이블(332c)이 상기 제1레일(332a)의 일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으나, 상기 제1전류인가수단(332e)이 상기 제1코일(332b)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제1테이블(332c)이 상기 제1레일(332a)의 일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테이블(332c)과 연결된 제2전단연결프레임(321b)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우측프레임(312)과 상기 제2후단연결프레임(322b)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상기 후단프레임(314)의 연결하는 상기 좌측연결프레임(323)과 우측연결프레임(324)은 각각 제1좌측연결프레임(323a) 및 제2좌측연결프레임(323b)과 제1우측연결프레임(324a) 및 제2우측연결프레임(324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좌측연결프레임(323a)과 상기 제1우측연결프레임(324a)이 상기 제2모터부(334)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단프레임(313)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상기 후단프레임(314)의 이격거리가 가변되게 되고, 상기 전단프레임(313)과 상기 후단프레임(314)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200)의 이격거리가 가변됨으로써 패드(200)에 흡착되는 보호필름(미도시)의 일단(전단)이 신장되게 된다.
상기 제2모터부(334)는 상기 제1모터부(332)와 구성이 동일한 바, 상기 제2모터부(334)의 동작관계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모터(334)의 제2레일(334a)은 상기 제2우측연결프레임(324b)과 연결되고, 상기 제2테이블(334c)은 상기 제1우측연결프레임(324a)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모터부(332)는 제1레일(332a)과, 제1코일(332b)과, 제1테이블(332c)과, 제1영구자석(332d)과, 제1전류인가수단(3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부(334))는 상기 제1모터부(332)와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서보 모터 및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필름(미도시)를 흡착하는 복수개의 패드(200)가 상기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이격거리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패드(200)에 흡착된 보호필름(미도시)이 길이 및 폭이 가변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는 공급수단(1100)과,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와, 제1이송수단(1300)과, 픽업몸체(1400)와,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와, 부착테이블(1600)과,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와, 제어부(1800)를 포함하며, 제2이송수단(1350)과, Y축이송수단(1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은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의 베이스(1000B)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수단(1100)은 상기 베이스(1000B)의 상면 일측 전방에 배치되고, 보호필름(A)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110)가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1110)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보호필름(A)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보호필름(A)은 상기 컨베이어(1110)에 의해 후방에 위치하는 픽업대기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픽업대기위치에는 픽업몸체(1400)이 구비되며, 상기 픽업몸체(1400)는 상기 공급수단(1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업몸체(1400)에는 상기 공급수단(1100)에 의해 공급되는 보호필름(A)을 픽업하고 픽업된 보호필름(A)을 선택적으로 신축시키는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가 장착된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는 몸체(12100)와, 복수개의 패드(12200)와, 간격조절부(1230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의 구성 및 동작관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헤더(10)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픽업몸체(1400)는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410)과,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를 제1이송수단(1300)과 결합시키는 슬라이더 브라켓(142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1410)은 신속한 작동응답성을 위해 유체에 의해 작동하는 엑츄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몸체(1400)는 슬라이더 브라켓(1420)에 의해 제1이송수단(1300)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1이송수단(1300)은 베이스(1000B)의 후방측에 가로로 배치되어 X축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가 구비되는 픽업몸체(1400)이 이송되며, 상기 픽업몸체(1400)의 슬라이더브라켓(1420)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1310)가 구성될 수 있고, 제1구동모터(132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볼스크류(133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수단(1300)의 제1구동모터(1320)가 구동하면, 상기 제1볼스크류(13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상기 제1볼스크류(13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1420)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바(1310)를 따라 이동됨으로 상기 제1이송수단(1300)이 구동함에 따라 보호필름(A)를 픽업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 및 픽업몸체(1400)가 상기 공급수단(1100) 상측 위치에서 후술되는 부착테이블(1600) 상측의 위치 및 부착테이블(1600)의 상측 위치에서 상기 공급수단(1100) 상측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A)을 픽업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 및 상기 픽업몸체(1400)가 상기 공급수단(1100) 상측 위치에서 부착테이블(1600) 상측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에 픽업된 보호필름(A)은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에 의해 촬영되어 픽업된 보호필름(A)의 사이즈가 측정된다.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는 베이스(1000B) 상면 상기 픽업몸체(1400)의 X축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는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에 흡착된 보호필름(A)를 촬영하여 보호필름(A)의 사이즈를 촬영한다.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에 부착되어 상기 픽업몸체(1400)에 의해 이송되는 보호필름(A)은 부착테이블(1600)에서 회로기판(B)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테이블(1600)은 상기 공급수단(1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회로기판(B)과 상기 제1이송수단(1300) 및 픽업몸체(1400)에 의해 이송된 보호필름(A)을 부착수단(미도시)에 의해 부착시킨다.
상기 부착테이블(1600)에 안치되는 회로기판(B)은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에 의해 사이즈가 측정되고,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가 설치되는 제2이송수단(1350)과 상기 부착테이블(1600)이 설치되는 Y축이송수단(1900)에 의해 그 위치가 측정된다.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는 X축선 상에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제1이송수단(1300)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제2이송수단(1350)과 결합된다. 상기 제2이송수단(1350) 또한 복수개의 가이드바(1360)가 구성될 수 있고, 제2구동모터(137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볼스크류(13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Y축이송수단(1900)은 상기 부착테이블(16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부착테이블(1600)을 선택적으로 Y축 이송되도록 하는데, 상기 Y축이송수단(1900) 또한 복수개의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와 Y축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Y축볼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에서 촬영한 보호필름(A)의 사이즈 및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에서 촬영한 회로기판(B)의 사이즈는 제어부(1800)에서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1800)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일체로 구비되지 않고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0)는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1500)에서 촬영한 보호필름(A)의 사이즈 및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1700)에서 촬영한 회로기판(B)의 사이즈를 비교한 후 회로기판(B)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보호필름(A)을 신축시키기 위해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를 조작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 및 픽업몸체(1400)에 흡착된 보호필름(A)를 제1이송수단(1300)으로 부착위치로 이송시키며, 부착테이블(1600)에 안치되는 회로기판(B)과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에 흡착된 보호필름(A)의 사이즈를 측정한 후 제어부(1800)가 비교한 후 제어부(1800)가 보호필름 부착헤더(1200)를 조작하여 회로기판(B)의 사이즈에 맞게 보호필름(A)을 신장시켜 회로기판(B)에 보호필름(A)를 오차 없이 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보호필름 부착헤더 100 : 몸체
110 : 제1삽입홈 120 : 제2삽입홈
130 : 제3삽입홈 140 : 제4삽입홈
200 : 패드 300 : 간격조절부
310 : 삽입프레임 311 : 좌측프레임
312 : 우측프레임 313 : 전단프레임
314 : 후단프레임 320 : 연결프레임
321 : 전단연결프레임 322 : 후단연결프레임
323 : 좌측연결프레임 324 : 우측연결프레임
330 : 모터부 332 : 제1모터부
334 : 제2모터부 1000 : 보호필름 부착장치
1100 : 공급수단 1200 : 보호필름 부착헤더
1300 : 제1이송수단 1400 : 픽업몸체
1500 : 보호필름촬영카메라 1600 : 부착테이블
1700 : 회로기판촬영카메라 1800: 제어부
1900 : Y축이송수단

Claims (15)

  1. 사각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패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과 제4삽입홈이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프레임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좌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우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3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단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후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 및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패드에 의해 연결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단연결프레임 및 후단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상기 전단프레임과 상기 후단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프레임 및 우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모터부와,
    상기 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전단연결프레임과 제2전단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후단연결프레임과 제2후단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과 제2후단연결프레임이 제1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제1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레일의 양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2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테이블과,
    상기 제1테이블과 상기 제1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1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1코일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1전류인가수단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좌측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좌측연결프레임과 제2좌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연결프레임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우측연결프레임과 제2우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좌측연결프레임과 제1우측연결프레임이 제2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일면이 상기 제2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레일의 양단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테이블과,
    상기 제2테이블과 상기 제2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영구자석과,
    상기 제2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2코일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2전류인가수단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9. 외부에서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보호필름을 픽업하고, 픽업된 상기 보호필름을 선택적으로 신축시키는 보호필름 부착헤더;
    상기 보호필름을 픽업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상기 제1이송수단과 결합시키는 슬라이더 브라켓을 포함하는 픽업몸체;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보호필름을 촬영하여 사이즈를 측정하는 보호필름촬영카메라;
    외부에서 공급된 회로기판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부착테이블;
    상기 부착테이블에 안치된 상기 회로기판을 촬영하여 사이즈를 측정하는 회로기판촬영카메라; 및
    상기 보호필름촬영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즈 및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즈를 비교한 후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를 조작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즈를 신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촬영카메라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1이송수단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착테이블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착헤더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공급되는 보호필름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패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과 제4삽입홈이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프레임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좌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우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3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단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단 둘레면에 형성된 제4삽입홈에 삽입되는 후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프레임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단프레임과 제2전단프레임 및 제1후단프레임과 제2후단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패드에 의해 연결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상기 좌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전단연결프레임 및 후단연결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상기 전단프레임과 상기 후단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프레임 및 우측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전단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모터부와,
    상기 우측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모터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140094809A 2014-07-25 2014-07-25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55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09A KR101552577B1 (ko) 2014-07-25 2014-07-25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09A KR101552577B1 (ko) 2014-07-25 2014-07-25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577B1 true KR101552577B1 (ko) 2015-09-14

Family

ID=5424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809A KR101552577B1 (ko) 2014-07-25 2014-07-25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96B1 (ko) * 2020-11-30 2022-03-18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지그
CN116437583A (zh) * 2023-06-01 2023-07-14 深圳信恳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适用于超低功耗物联网模组的电路板加工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01B1 (ko) 2008-02-28 2010-08-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01B1 (ko) 2008-02-28 2010-08-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96B1 (ko) * 2020-11-30 2022-03-18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지그
CN116437583A (zh) * 2023-06-01 2023-07-14 深圳信恳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适用于超低功耗物联网模组的电路板加工工艺
CN116437583B (zh) * 2023-06-01 2024-01-02 深圳信恳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适用于超低功耗物联网模组的电路板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106B1 (ko) 이재 장치
JP4097679B2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US6618937B2 (en) Method of assembling electronic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s
US8065121B2 (en) Method for pin-less registration of a plurality of laminate elements
US9282651B2 (en) System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ircuit boards
JP530277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130128950A (ko) 커버레이 로딩장치
KR20190065134A (ko) 릴리스 필름 박리 방법 및 릴리스 필름 박리 장치
KR101354066B1 (ko) 커버레이 가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KR101552577B1 (ko) 보호필름 부착헤더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장치
CN113068319B (zh) 贴膜机构及全自动覆盖膜贴合设备
JP201112430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113004B1 (ko) 보강부재의 부착장치
CN110167279A (zh) 柔性印刷电路板的制造方法及柔性印刷电路板的制造装置
JP2889688B2 (ja) 電子部品の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KR101749181B1 (ko) 세라믹 필름 적층 장치용 다품종 적재식 로딩 시스템
US20170118880A1 (en) Supplemental lighting for reading information on circuit boards for use with a bond head assembly system
KR101553330B1 (ko) 부자재 부착장치
CN114055153A (zh) 一种散热片与插器件组装用装配设备
TW202121561A (zh) 半導體封裝多重夾片黏合裝置及同裝置製造的半導體封裝
KR101751369B1 (ko) 동판 부착장치
KR20180038644A (ko) Fpcb에 부재플레이트를 가접하기 위한 부재플레이트 가접기
JP2012123134A (ja) Fpd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
KR101956629B1 (ko) 그린칩 제조장치
KR101575232B1 (ko) 레이저 솔더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