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188B1 -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88B1
KR101551188B1 KR1020140002721A KR20140002721A KR101551188B1 KR 101551188 B1 KR101551188 B1 KR 101551188B1 KR 1020140002721 A KR1020140002721 A KR 1020140002721A KR 20140002721 A KR20140002721 A KR 20140002721A KR 101551188 B1 KR101551188 B1 KR 10155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upler
male
fema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217A (ko
Inventor
최낙현
Original Assignee
최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현 filed Critical 최낙현
Priority to KR102014000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면과 연결면에 대하여 계단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연결공간홈부를 갖는 콘크리트재질의 블럭바디부와 로드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간홈부의 상기 연결면에 나란한 바닥면을 넘어 상기 로드나사산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럭바디부에 매립되어 있는 연결로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이음부와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숫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로드 상호간을 결속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와, 관형태로 형성되고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측면부와 상기 암커플러측면부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암커플러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대향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커플러와, 평볼록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평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가압접촉되고 볼록면이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숫이음부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로드통과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커플러결합나사산과 상기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되는 숫커플러와, 상기 연결로드의 종단에서 상기 숫커플러에 가압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된 숫인장저항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결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의 연결로드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커플러와 숫커플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Precast Block}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블럭을 사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할 때 프리캐스트블럭의 연결로드를 상호 결속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로(水路), 옹벽(擁壁)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은 현장에서 직접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구축되기도 하지만,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블럭을 현장으로 운반한 후 현장에서 적절하게 연결하는 방법으로 구축될 수 있다.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캐스트블럭은 콘크리트재질의 블럭바디부(211)와, 블럭바디부(211)에 매립된 연결로드(212)를 갖고 있다(도1 참조).
블럭바디부(211)는 연결면(211a)과, 연결면(211a)에 대하여 계단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연결공간홈부(211b)를 갖고 있다.
연결로드(212)에는 로드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로드(212)는 연결공간홈부(211b)의 연결면(211a)에 나란한 바닥면을 넘어 로드나사산이 노출되도록 블럭바디부(211)에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결로드(212)는 철근 등과 같이 강재(鋼材)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프리캐스트블럭들은 연결면(211a)이 접촉시키는 단계, 연결로드(212)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공간홈부(211b)에 채움콘크리트를 채우는 단계를 거쳐 상호 연결된다.
연결로드 상호간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4는 종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의 설치단면도이다.
종래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에 각각 나누어 설치된 암이음부(110) 및 숫이음부(130)를 갖고 있다.
암이음부(110)는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111) 및 암압축저항너트(112)와, 연결로드(212)에 설치된 암커플러(120)를 갖고 있다.
암인장저항너트(111)는 암커플러(120)에 가압접촉되도록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너트(141)가 설치된다.
암압축저항너트(112)는 암커플러(120)에 가압접촉되도록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다.
암커플러(120)는 관형태의 암커플러측면부(121)와, 암커플러측면부(121)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암커플러측면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암커플러바닥면부(122)를 갖고 있다.
암커플러측면부(121)는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암커플러바닥면부(122)에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122a)이 형성되어 있다.
암커플러로드통과공(122a)은 암커플러바닥면부(122)의 중앙에서 연결로드(212)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암커플러(120)는 연결로드(212)가 암커플러로드통과공(122a)을 통과하도록 연결로드(212)에 설치된다.
숫이음부(130)는 연결로드(212)에 결합된 숫커플러(131)와,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 숫압축저항너트(133)를 갖고 있다.
숫커플러(131)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1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숫커플러(131)에는 로드결합홈(131b)이 일단으로부터 숫커플러(131)의 일부 길이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로드결합나사홈(131b)은 내주면에 로드결합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숫커플러(131)는 로드결합나사홈(131b)을 통해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되고 암커플러결합나사산(1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121a)을 통해 암커플러(120)에 결합된다.
숫압축저항너트(133)는 숫커플러(131)에 가압접촉되도록 연결로드(212)의 중간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로드를 결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212)에 암압축저항너트(112), 암커플러(120) 및 암인장저항너트(111)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암압축저항너트(112)는 연결공간홈부(211b)의 바닥면(211c)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암인장저항너트(111)는 연결로드(212)의 종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212)에 숫압축저항너트(133) 및 숫커플러(131)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숫압축저항너트(133)는 연결공간홈부(211b)의 바닥면(211c)에 접촉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면(211a)을 접촉시킨다.
다음에 암커플러(120)의 회전조작을 통해 암커플러결합나사산(1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121a)의 나사결합위치를 이동시켜 가면서 암커플러(120)와 숫커플러(131)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암커플러결합나사산(1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121a)의 나사결합위치 이동은 암커플러바닥면부(122)가 암인장저항너트(111)에 가압접촉할 때까지 계속한다.
다음에 숫커플러(131)에 가압접촉하도록 숫압축저항너트(133)를 연결로드(212)를 따라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연결공간홈부(211b)에 채움콘크리트를 채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는 2002년 특허출원 제36239호(발명의 명칭 :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따르면, 연결면(211a)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가 교차되는 경우 암커플러결합나사산(1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121a)이 엇갈려 숫커플러(131)의 회전조작이 제한되기 때문에 암커플러(120)와 숫커플러(131)를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의 연결로드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커플러와 숫커플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면과 연결면에 대하여 계단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연결공간홈부를 갖는 콘크리트재질의 블럭바디부와 로드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간홈부의 상기 연결면에 나란한 바닥면을 넘어 상기 로드나사산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럭바디부에 매립되어 있는 연결로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이음부와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숫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를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로드 상호간을 결속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와, 관형태로 형성되고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측면부와 상기 암커플러측면부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암커플러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대향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인장저항너트보다 큰 평면을 갖는 평볼록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평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가압접촉되고 볼록면이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숫이음부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로드통과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커플러결합나사산과 상기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되는 숫커플러와, 상기 연결로드의 종단에서 상기 숫커플러에 가압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된 숫인장저항너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숫이음부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로드결합나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드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커플러결합나사산과 상기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되는 숫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연결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의 연결로드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압축저항너트에 의한 암커플러의 가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암커플러바닥면부는 외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이음부는 평오목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오목면이 상기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보조부재와, 상기 교차보정보조부재의 평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압축저항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암커플러바닥면부의 내표면에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을 형성하고 볼록면이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평볼록렌즈형태의 교차보정부재를 포함하도록 암이음부를 구성함으로써, 연결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의 연결로드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커플러와 숫커플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의 설치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보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6, 도7, 도8, 도9,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블럭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2은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의 설치단면도,
도14는 종래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의 설치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의 설치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교차보정보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에 각각 나누어 설치된 암이음부(10) 및 숫이음부(30)를 갖고 있다.
암이음부(10)는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11) 및 암압축저항너트(12)와, 연결로드(212)에 설치된 암커플러(20), 평볼록렌즈형태의 교차보정부재(13) 및 평오목렌즈형태의 교차보정보조부재(14)를 갖고 있다.
암인장저항너트(11)에는 조임너트(41)이 설치된다.
암압축저항너트(12)는 교차보정보조부재(14)의 평면을 가압하도록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다.
암커플러(20)는 관형태의 암커플러측면부(21)와, 암커플러측면부(21)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암커플러측면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된 암커플러바닥면부(22)를 갖고 있다.
암커플러측면부(21)는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암커플러바닥면부(22)에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22a),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 및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22c)이 형성되어 있다.
암커플러로드통과공(22a)은 암커플러바닥면부(22)의 중앙에서 연결로드(212)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은 암커플러바닥면부(22) 내표면의 암커플러로드통과공(22a)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22c)은 암커플러바닥면부(22) 외표면의 암커플러로드통과공(22a)의 둘레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암커플러(20)는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이 암인장저항너트(11)에 대향하고 연결로드(212)가 암커플러로드통과공(22a)을 통과하도록 연결로드(212)에 설치된다.
교차보정부재(13)에는 연결로드(212)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블럭로드통과공(13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교차보정부재(13)는 암인장저항너트(11)보다 큰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차보정부재(13)는 평면이 암인장저항너트(11)에 가압접촉되고, 볼록면이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에 접촉되고, 연결로드(212)가 보정블럭로드통과공(13a)을 통과하도록 연결로드(212)에 설치된다.
교차보정보조부재(14)는 연결로드(212)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1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차보정보조부재(14)는 오목면이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22c)에 접촉되고, 연결로드(212)가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14a)을 통과하도록 연결로드(212)에 설치된다.
숫이음부(30)는 연결로드(212)에 결합된 숫커플러(31)와,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 숫인장저항너트(32) 및 숫압축저항너트(33)를 갖고 있다.
숫커플러(31)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숫커플러(31)에는 로드통과공(31b)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숫커플러(31)는 연결로드(212)가 로드통과공(3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을 통해 암커플러(20)에 결합된다.
숫인장저항너트(32)는 숫커플러(31)에 가압접촉되도록 연결로드(212)의 종단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너트(41)가 설치된다.
숫압축저항너트(33)는 연결로드(212)의 중간에서 숫커플러(31)에 가압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를 결속하는 방법을 도6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212)에 숫압축저항너트(33), 숫커플러(31) 및 숫인장저항너트(32)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도6 및 도7 참조). 여기서 숫압축저항너트(33)는 연결공간홈부(211b)의 바닥면(211c)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숫인장저항너트(32)는 연결로드(212)의 종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212)에 암압축저항너트(12), 교차보정보조부재(14), 암커플러(20), 교차보정부재(13) 및 암인장저항너트(11)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도8 및 도9 참조). 여기서 암압축저항너트(12)는 연결공간홈부(211b)의 바닥면(211c)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암인장저항너트(11)는 연결로드(212)의 종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면(211a)을 접촉시킨다(도10 참조).
다음에 숫인장저항너트(32)에 접촉하도록 숫커플러(31)를 이동시킨 다음, 암커플러(20)의 회전조작을 통해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의 나사결합위치를 이동시켜 가면서 암커플러(20)와 숫커플러(31)를 결합시킨다(도11 참조). 여기서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의 나사결합위치 이동은 교차보정부재(13)의 볼록면이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에 가압접촉되고 교차보정부재(13)의 평면이 암인장저항너트(11)에 가압접촉할 때까지 계속한다.
암커플러(20)와 숫커플러(31)를 결합시킬 때, 연결면(211a)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가 교차되는 경우 교차보정부재(13)의 볼록면에 대한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의 접촉위치는 면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달라지게 된다.
다음에 숫커플러(31)에 가압접촉하도록 숫압축저항너트(33)를 연결로드(212)를 따라 이동시킨다(도1 참조).
마지막으로 연결공간홈부(211b)에 채움콘크리트를 채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숫커플러(31)에 로드통과공(31b)을 전 길이구간에 걸쳐 관통형성하고 있으나,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커플러(31)에 로드나사결합홈(31'b)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숫커플러(31)는 연결로드(212)가 로드통과공(3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을 통해 암커플러(2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숫커플러(31)는 연결로드(212)가 로드통과공(3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암커플러결합나사산(31a)과 숫커플러결합나사홈(21a)을 통해 암커플러(2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커플러바닥면부(22)의 내표면에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을 형성하고 볼록면이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22b)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평볼록렌즈형태의 교차보정부재(13)를 포함하도록 암이음부(10)를 구성함으로써, 연결면(211a)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커플러(20)와 숫커플러(31)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도12 참조).
그리고 암커플러바닥면부(22)의 외표면에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22c)을 형성하고 오목면이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22c)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평오목렌즈형태의 교차보정보조부재(14)와 교차보정보조부재(14)의 평면을 가압하도록 연결로드(212)에 나사결합된 암압축저항너트(12)를 암이음부(10)에 추가함으로써, 연결면(211a)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프리캐스트블럭(210)의 연결로드(212)가 교차되는 경우에도 암압축저항너트(12)에 의한 암커플러(20)의 가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암이음부 11, 111 : 암인장저항너트
12, 112 : 암압축저항너트 13 : 교차보정부재
14 : 교차보정보조부재 20, 120 : 암커플러
21, 121 : 암커플러측면부 22, 122 : 암커플러바닥면부
30, 130 : 숫이음부 31, 131 : 숫커플러
32, 132 : 숫인장저항너트 33, 133 : 암압축저항너트

Claims (3)

  1. 연결면과 연결면에 대하여 계단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연결공간홈부를 갖는 콘크리트재질의 블럭바디부와 로드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간홈부의 상기 연결면에 나란한 바닥면을 넘어 상기 로드나사산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럭바디부에 매립되어 있는 연결로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이음부와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숫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로드 상호간을 결속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와, 관형태로 형성되고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측면부와 상기 암커플러측면부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암커플러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대향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인장저항너트보다 큰 평면을 갖는 평볼록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평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가압접촉되고 볼록면이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숫이음부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로드통과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커플러결합나사산과 상기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되는 숫커플러와, 상기 연결로드의 종단에서 상기 숫커플러에 가압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된 숫인장저항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2. 연결면과 연결면에 대하여 계단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연결공간홈부를 갖는 콘크리트재질의 블럭바디부와 로드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간홈부의 상기 연결면에 나란한 바닥면을 넘어 상기 로드나사산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럭바디부에 매립되어 있는 연결로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어느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이음부와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 중 나머지 일방의 연결로드에 설치된 숫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한 쌍의 프리캐스트블럭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로드 상호간을 결속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인장저항너트와, 관형태로 형성되고 내표면에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측면부와 상기 암커플러측면부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암커플러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암커플러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대향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인장저항너트보다 큰 평면을 갖는 평볼록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평면이 상기 암인장저항너트에 가압접촉되고 볼록면이 상기 내표면교차보정오목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숫이음부는 외표면에 암커플러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로드결합나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드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커플러결합나사산과 상기 숫커플러결합나사홈을 통해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되는 숫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플러바닥면부는 외표면의 상기 암커플러로드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이음부는 평오목렌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경보다 큰 단면을 갖는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오목면이 상기 외표면교차보정볼록면에 접촉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보정보조블럭로드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된 교차보정보조부재와, 상기 교차보정보조부재의 평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에 나사결합된 암압축저항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KR1020140002721A 2014-01-09 2014-01-09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KR10155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21A KR101551188B1 (ko) 2014-01-09 2014-01-09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21A KR101551188B1 (ko) 2014-01-09 2014-01-09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17A KR20150083217A (ko) 2015-07-17
KR101551188B1 true KR101551188B1 (ko) 2015-09-08

Family

ID=5387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721A KR101551188B1 (ko) 2014-01-09 2014-01-09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86B1 (ko) * 2017-11-16 2019-04-17 박진 연장 커넥터가 구비된 할암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83B1 (ko) 2018-05-10 2018-1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립형 pc 기둥 접합부
KR102024341B1 (ko)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콘크리트부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KR102114890B1 (ko) * 2019-05-29 2020-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c 보-기둥 접합부
KR102339884B1 (ko) * 2020-08-21 2021-12-17 에스피씨이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철근 접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81A (ja) 1999-06-17 2000-12-26 Kaieitechno Co Ltd プレキャスト製品用連結器
KR100923565B1 (ko)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81A (ja) 1999-06-17 2000-12-26 Kaieitechno Co Ltd プレキャスト製品用連結器
KR100923565B1 (ko)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86B1 (ko) * 2017-11-16 2019-04-17 박진 연장 커넥터가 구비된 할암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17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88B1 (ko) 프리캐스트블럭연결장치
KR101708477B1 (ko) 철근연결구
KR20160110291A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KR101595327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CN101356318A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56134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KR101022044B1 (ko)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암거
KR20140001302A (ko) 연결 가능한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및 부유식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JP201005967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の固定装置
JP5914624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150096554A (ko)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72616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JP5370247B2 (ja) H形鋼のボルト継手接合部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9174126A (ja) 鉄筋の機械継手
RU2016105272A (ru) Двухупорн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буровых труб
JP4057020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及び接続部材
KR20110035392A (ko) 체결장치
JP601909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06576B1 (ko) Pc블록 또는 콘크리트용 철근 편심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JP620901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140093388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596663B1 (ko) 시멘트 페이스트 유입방지와 고정장치를 개선한 스플라이스 슬리브
KR102082665B1 (ko) 파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