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392A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392A
KR20110035392A KR1020090093083A KR20090093083A KR20110035392A KR 20110035392 A KR20110035392 A KR 20110035392A KR 1020090093083 A KR1020090093083 A KR 1020090093083A KR 20090093083 A KR20090093083 A KR 20090093083A KR 20110035392 A KR20110035392 A KR 2011003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fastening
hole
ke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218B1 (ko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09009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하고자 하는 두 부재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어느 일측에 삽입 체결되는 제1체결구의 외경에 해당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는 제2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2체결홀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을 일측으로 밀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압착 고정하도록, 상기 제2체결홀과 제2체결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될 때 제2체결홀의 내주면과 연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키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체결, 압착, 고정

Description

체결장치{Device for Combining}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하고자 하는 두 부재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 도로공사 등의 공사에는 우수 및 오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수적이고 하수관거의 중간 중간에는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의 목적으로 맨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 축조 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맨홀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맨홀의 단점인 공사기간의 장기화, 공사비의 증가, 교통체증의 유발, 시공품질의 저하, 기능공 확보의 어려움, 민원의 증가, 완전한 누수 차단의 어려움, 높이 조절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을 점차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선진국에서 보편화 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의 사용을 권장하기 위하여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92년에 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립식 맨홀블록의 사용으로 공기의 단축, 제품의 표준화 등으로 공사의 편 리성은 향상되었으나, 현장에서의 맨홀 설치높이의 다양성 및 공장제품의 운반성 등으로 인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1개조의 맨홀 공급이 어려워 수개의 조각으로 나뉜 제품의 공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뉜 맨홀은 일반적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구체(8),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구체(5) 및 상기 상부구체(8)와 하부구체(5)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직구체(7) 등으로 칭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부구체(8) 및 하부구체(5)로 이루어진 맨홀블록들은 현장으로 이송된 뒤에 현장에서 결합된 후 설치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맨홀블록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구체(8)와 연직구체(7) 및 하부구체(5)를 관통하는 관통공(9)을 형성한 후에 상기 관통공(9)에 체결강봉(10)을 삽입한 후에 이를 너트(11)로 죄어 상기 상부구체(8)와 하부구체(5) 및 연직구체(7)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체(8)와 하부구체(5)에 각각 아이볼트(12)를 구비시킨 후에, 상기 상부구체(8)의 아이볼트(12)와 하부구체(5)의 아이볼트(12)에 체결되는 체결강선(13)을 결합시킨 후 죄어 상기 각 상부구체(8)와 하부구체(5) 및 연직구체(7)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에 제1홀(61) 및 제2홀(62)이 형성된 멤버(60) 및 상기 제1홀(61) 및 제2홀(62)을 관통하여 고정대상물들을 고정하는 결합볼트 (72,82)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2홀(62)은 제1홀(6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홀(62)에는 결합볼트(72, 82)가 삽입되는 제3 홀(63)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편심고정볼트(83)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홀(61)에 결합볼트(72)를 관통하여 일측 고정대상물에 고정한 후, 상기 편심고정볼트(83)를 상기 제2홀(62)에 삽입한 후 결합볼트(82)를 상기 제3홀에 삽입하여 타측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고, 상기 편심고정볼트(83)를 회전시켜 제1홀(61)과 제3홀(63)의 간격을 변화시켜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첫번째의 종래기술에 의한 방법은 맨홀블록의 높이가 달라질 경우 상기 체결강봉의 길이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조절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현장에서 체결강봉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상기 맨홀블록의 높이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고, 장기적으로 체결강봉의 부식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체결강봉의 길이가 길므로 재료가 많이 소모되어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두번째의 종래기술에 의한 방법은, 일단 지중에 매설된 후에는 상기 체결강선의 장력이 완화되었을 때 이에 대응하여 긴장력을 추가시킬 수 없고, 상기 체결강선이 와이어 로프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와이어 로프의 이완에 의해 긴장력이 완화되기 쉬우며, 최상부와 최하부의 맨홀블록에 의해 긴장되므로 중간 부위 부재의 변위에 유효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비틀림력이 발생시 내력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번째 방법 또한, 상기 편심고정볼트(83)가 회전되어 고정되었을 때, 제3홀(63)의 위치가 상기 멤버(60)의 연장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된다면 회전력이 작용하여 편심고정볼트(83)가 회전되면서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첫번째와 두번째 방법 모두 맨홀블록의 체결에 적합하며, 관형의 블록 또는 판재의 결합 등 다양한 부재의 결합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이 쉬우면서도 압착력을 제공하며, 제작비가 저렴하고, 다양한 부재의 체결에 이용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어느 일측에 삽입 체결되는 제1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편,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되는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홀에 삽입되는 제2체결홀에 의해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압착고정하도록,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의 내주면과 연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키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은 일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각각 매립되며, 그 중 상기 키이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는 상기 키이 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이는,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의 나사머리에 의해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측으로 가압되는 면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둘레의 일부범위로부터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체결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된 테이퍼 키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되는 키이는 상기 테이퍼 키이부가 제2체결홀을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는 키이는 상기 테이퍼 키이부가 제1체결홀을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키이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중 상기 테이퍼 키이가 삽입되지 아니하는 어느 한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중 상기 고정와셔가 삽입되는 하나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고정와셔의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와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홈이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와 결합하며 결합면이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와 상호 직각을 이루는 제3부재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를 결합시키는 절곡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편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체결되는 제3체결구가 삽입되는 제3체결홀이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제3부재에 체결되는 제4체결구가 삽입되는 제4체결홀이 형성된 타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결합부재 및 결합대상물에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간편하며, 관통공 형성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철근의 손상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서로 맞닿는 결합면 부위에 형성될 수 있어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체결하는 체결편의 길이가 최대한 짧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동일하중에 대해서 늘어나는 신장량 또한 적어지므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이 이완될 가능성이 적다.
셋째, 상기 체결편이 체결되면서 상기 키이에 의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압착되므로 체결력이 더욱 강화되며, 결합면 사이로 물 등이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체결편이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와 결합되는 부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체결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부재와 제2부재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과 제2체결홈의 형성위치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체결편을 가공하지 아니하여도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호 결합하는 두 부재의 결합면에 단순하게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맨홀 등의 지중 매설물 뿐만 아니라, 파이프 또는 벽면 등 지상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결합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 적용의 폭이 넓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130) 및 키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호 결합되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는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의 상부구체(8)와 연직구체(7) 및 연직구체(7) 또는 하부구체(5)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는 서로 결합되거나 조립되도록 이루어지며, 제1부재(110)의 일측에 제2부재(12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서로 결합되는 면을 결합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결합면 인근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제1체결구(114)와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구(114)와 제2체결구(12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머리(126)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반적인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22)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에 매립되는 인서트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편(130)은 일단에 상기 제1부재(110)에 형성된 제1체결홈(112) 또는 제2부재(120)에 형성된 제2체결홈(122)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제1체결구(114)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132)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체결홈(112) 또는 제2체결홈(122)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1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홀(132) 및 제1체결구(114)가 체결되는 제1체결홈(112)은 상기 제1체결구(114)의 직경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140)는 상기 제2체결구(124) 및 제2체결홀(134)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키이(140)는 상기 제2체결구(124)가 제2체결홀(134)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체결구(124)의 나사머리 등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2체결홀(134) 및 제2체 결구(124)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에 넣어져, 상기 체결편(130)을 일측으로 밀어 가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키이(140)는 헤드부(142)와 테이퍼 키이부(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142)는 상기 제2체결구(124)가 관통하는 삽입공(14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홀(134)에 삽입되는 제2체결구(124)의 나사머리에 의해 제2체결홀(134)로 가압되는 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는 상기 헤드부(142)의 체결편(130)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홀(134)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때,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는 상기 헤드부(142)의 둘레의 일부범위로부터 상기 제2체결홀(134) 측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형성되는 범위는 상기 헤드부(142) 둘레의 상기 제1체결홀(132)이 형성된 반대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는 뿌리부분이 두껍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체결홀(134)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면이 상기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상기 제2체결홀(134)에 삽입될수록 경사진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상기 체결편(130)을 일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이(140)의 테이퍼 키이부(146)와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122) 또한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측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구(114)를 상기 체결편(130)의 제1체결홀(132)을 통해 제1체결홈(112)에 체결한 후에 상기 키이(140)를 제2체결홀(134)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체결구(124)를 제2체결홀(134)을 통해 상기 제2체결홈(122)에 삽입시키면, 상기 키이(140)가 제2체결구(124)에 의해 제2체결홀(134)에 삽입될 때,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상기 제2체결홀(134)을 일측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편(130)도 일측으로 밀린다.
이 때, 상기 체결편(130)은 상기 제1체결홀(132) 및 제1체결구(114)에 의해 상기 제1부재(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편(130)이 일측으로 밀려짐에 따라 상기 제1부재(110)를 제2부재(120)측으로 당기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홀(134) 및 제2체결구(124)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 형태의 제2체결홈(122) 또한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체결구(124)가 상기 제2체결홀(134)에 나사 체결될 때, 상기 키이(1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의 상기 체결편(130)이 구비되는 부위는 내측으로 단차지게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1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5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체결완료 후에는 상기 홈(150)에 시멘트 또는 몰탈 등의 보호재(160)를 타설하여 상기 체결편(130)을 부식 및 이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호 직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 외에도 결합방향이 상기 제1부재(110) 및 제2부재와는 절곡된 방향을 이루는 제3부재(170)가 도 8과 같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와 절곡된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3부재(170)와의 결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편(180)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절곡편(180)은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에 체결되는 제3체결구(128)가 삽입되는 제3체결홀(184)이 형성된 일면(182)과, 상기 일면(182)으로부터 소정각도 절곡되고, 상기 제3부재(170)에 체결되는 제4체결구(172)가 삽입되는 제4체결홀(188)이 형성된 타면(1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3체결구(128)를 제3체결홀(184)을 통하여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에 체결하며, 상기 제4체결구(172)를 제4체결홀(188)을 통하여 상기 제3부재(170)에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와 제3부재(17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가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파이프(200)일 수도 있고,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300) 등의 구조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홀(132)은 제1체결구(114)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키이(140)는 상기 제2체결홀(134)에만 삽입되어 상기 체결편(130)을 일측으로 당김으로써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압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 모두에 상기 키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키이(140)가 상기 제1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 모두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홀 (133)에 삽입되는 키이(140)는 상기 테이퍼 키이부(146)가 상기 제2체결홀(134)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2체결홀(134)에 삽입되는 키이(140)는 상기 테이퍼 커이부(146)가 제1체결홀(133)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 모두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에 구비되는 키이(140)의 테이퍼 키이부(146)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상기 키이(140)가 상기 제1 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에 삽입되면서 상기 체결편(140)을 일측과 타측으로 밀어 상기 제1부재 (110)와 제2부재 (120)가 압착 결합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이(140)가 제1체결홀(132) 또는 제2체결홀(134) 중 하나에만 구비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이(140)가 제1체결홀(133)과 제2체결홀(134) 양측에 키이(140)가 구비됨으로써 체결 시 압착되는 양이 두배가 될 수 있어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더욱 강하게 압착할 수 있다.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홀(232)과 제2체결홀(234)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키이(14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고정와셔(2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체결홀(232)에 상기 고정와셔(25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홀(234)에는 상기 키이(140)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홀(232) 및 고정와셔(250)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와셔(250)는 상기 제1체결구(114)가 관통되는 관통공(2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232)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체결홀(232)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254)가 복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공(252)은 상기 제1체결구(114)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와셔(250)가 고정되는 제1체결홀(232)은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배열되는 방향 또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결합면의 직각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와셔(250)의 고정돌기(254)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33)이 상기 제1체결홀(232)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걸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와셔(250)를 상기 제1부재(110)의 제1체결홈(112)의 위치에 맞는 위치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돌기(254)가 고정홈(233)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후에 상기 고정와셔(250)의 관통공(252)에 제1체결구(114)를 삽입하여 제1부재(11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홀(234)에 상기 키이(1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체결구(126)를 체결하면, 상기 키이(140)가 상기 제2체결구(126)에 의해 상기 제2체결홀(234)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230)이 일측으로 밀려 당겨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체결편(230)은 상기 제1체결구(114) 및 고정와셔(250)에 의해 제1부재(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부재(110)가 당겨져 제2부재(120)와 압착된다.
따라서, 제작시 오차에 의해 상기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홈(122)의 위치가 틀려진다던가 또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규격이 서로 다르다고 하더라도 상기 고정와셔(250) 및 고정홈(233)이 형성된 제1체결홀(232)에 의해 상기 제1체결구(114)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유로운 현장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블록에 적용된 체결구조의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맨홀블록에 적용된 체결구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체결구조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맨홀블록에 적용되는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장치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체결장치에 보호재가 타설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장치의 절곡편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파이프의 체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판재의 체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제1부재 112: 제1체결홈
114: 제1체결구 120: 제2부재
122: 제2체결홈 124: 제2체결구
126: 나사머리 128: 제3체결구
130: 체결편 132: 제1체결홀
134: 제2체결홀 140: 키이
142: 헤드 144: 삽입공
146: 테이퍼 키이부 150: 홈
160: 보호재 170: 절곡편
230: 체결편 232: 제1체결홀
233: 고정홈 234: 제2체결홀
250: 고정와셔 252: 관통공
254: 고정돌기

Claims (7)

  1. 일단에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어느 일측에 삽입 체결되는 제1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편;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되는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홀에 삽입되는 제2체결홀에 의해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압착고정하도록,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의 내주면과 연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키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은 일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각각 매립되며, 그 중 상기 키이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는 상기 키이 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는,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의 나사머리에 의해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측으로 가압되는 면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둘레의 일부범위로부터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의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체결편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된 테이퍼 키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되는 키이는,
    상기 테이퍼 키이부가 제2체결홀을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는 키이는,
    상기 테이퍼 키이부가 제1체결홀을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키이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중 상기 테이퍼 키이가 삽입되지 아니하는 어느 한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구 또는 제2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와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홀 또는 제2체결홀 중 상기 고정와셔가 삽입되는 하나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고정와셔의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와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홈이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KR1020090093083A 2009-09-30 2009-09-30 체결장치 KR10113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83A KR101132218B1 (ko) 2009-09-30 2009-09-30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083A KR101132218B1 (ko) 2009-09-30 2009-09-30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92A true KR20110035392A (ko) 2011-04-06
KR101132218B1 KR101132218B1 (ko) 2012-03-30

Family

ID=4404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083A KR101132218B1 (ko) 2009-09-30 2009-09-30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55B1 (ko) * 2014-02-17 2015-02-12 (주)한주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철개 높이조절장치
KR102641740B1 (ko) * 2022-03-28 2024-02-27 김준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982U (ja) 2003-02-18 2003-08-29 小河原セメント工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用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218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2720B2 (ja) 鉄筋継手具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CA2597018A1 (en) A reinforcing bar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1132218B1 (ko) 체결장치
KR101010721B1 (ko)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200386336Y1 (ko) 철근 연결구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2307B1 (ko)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
KR10119405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이 시공방법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04217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10253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유니트의 접속 장치 및 접속시공 방법과, 이중 접속 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박스 유니트
KR20060047233A (ko) 볼트겸용 머리붙이 스터드
KR20130074627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KR100307569B1 (ko) 철근이음쇠
KR20060081996A (ko) 철근 연결구
KR20110022124A (ko) 암거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JP44690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KR200446754Y1 (ko) 맨홀블록 조립장치 및 이에 의해 조립된 맨홀블록
RU24969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150131905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36039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
KR10095785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