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721B1 - 지중 송, 배전용 맨홀 - Google Patents

지중 송, 배전용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721B1
KR101010721B1 KR1020100043204A KR20100043204A KR101010721B1 KR 101010721 B1 KR101010721 B1 KR 101010721B1 KR 1020100043204 A KR1020100043204 A KR 1020100043204A KR 20100043204 A KR20100043204 A KR 20100043204A KR 101010721 B1 KR101010721 B1 KR 10101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block
manhole
block
distribution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진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용화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화콘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화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이 간편하며, 누수발생의 우려가 적은 지중 송,배전용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송전용 케이블이 위치되는 공동구를 형성하는 제1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상호 마주보는 결합면에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에 설치된 상기 체결부에 차례로 엮어져 결합면의 길이방향으로 긴장되고, 긴장 시 상기 각 체결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을 밀착 고정시키는 인장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중 송, 배전용 맨홀{Manhole Constructed Underground Electric Power Transmit or distribute}
본 발명은 지중 송, 배전용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이 간편하며, 누수발생의 우려가 적은 지중 송, 배전용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지하 공간에는 가정이나 건물 또는 시설에 전력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전력구, 통신구등의 공동구를 형성하는 지중 송전용 맨홀 및 지중 배전용 맨홀이 설치되는데, 도로 등을 파서 매설로를 형성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제작된 맨홀을 서로 연결하여 서로 연통된 공동구를 형성한 후, 그 공동구 내에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활용한다.
상기와 같은 맨홀들은 도1a 및 도 1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맨홀블록(10)들이 서로 연결되는 형식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맨홀블록(10)들을 각각 부설될 위치에 배열한 후, 밀착시켜 연결하게 된다.
상기 각 맨홀블록(10)들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1a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블록(10)의 모서리 부분에 맨홀블록(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서로 연통되는 홀을 형성 한 후, 상기 홀에 긴장강선(30)을 삽입한 후, 이를 당겨 맨홀블록(10)들을 서로 압착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맨홀블록(10)의 내측면에 긴장강선(30)의 끝단이 노출되는 정착홀(12)이 형성되어 체결봉(30)의 끝단을 고정시키거나 당기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다른 밀착조립 방법으로는 도 1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맨홀블록(10)의 외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연결부재(23)에 고정플레이트(24)와 연결바(26)을 이용하여 볼트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밀착 고정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맨홀 체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상기 긴장강선이 상기 맨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므로, 긴장강선을 당기는 긴장작업 시 당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상대적으로 많은 작업량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체결봉의 긴장작업 시 이용되는 정착홀에서 상기 긴장강선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부식방지를 위하여 상기 정착홀을 메우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상기 각 맨홀블록은 지반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맨홀블록을 지지하는 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한 경우, 어느 하나의 맨홀블록만 침하량이 크게 되어 해당 맨홀블록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긴장강선에 큰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장시간 경과 시 크리프에 의해 긴장강선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긴장강선의 장력이 약화되며 해당 맨홀블록의 밀착력이 약화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더욱 진행되면 맨홀블록과 맨홀블록 사이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으며, 그 사이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긴장강선의 부식을 야기하고, 이는 맨홀블록의 밀착력을 더욱 약화시키며 긴장강선의 끊어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밀이 파괴되어 누수가 발생할 경우 송전용 케이블내에 수분이 접촉되어 케이블이 부식되거나 누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넷째, 상기 긴장강선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때 상기 맨홀블록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손상시켜 맨홀블록의 구조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다섯째, 상기 맨홀블록이 곡선부분으로 시공될 시에 상기 체결봉의 장력이 어느 일측에만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맨홀블록간의 밀착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봉 또는 맨홀블록의 조기파손을 야기할 수도 있다.
여섯째, 상기 맨홀블록에는 지상과 연통되기 위한 연직구체블록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직구체블록은 중공의 원형 또는 사각의 상부구체와 하부구체 등의 블록이 복수개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구체와 하부구체의 전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스틸바아(14)로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편등을 사용하여 상부구체와 하부구체의 결합부위를 고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상부구체와 하부구체의 전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하는 방법은 바아의 길이가 길어져 제작원가가 상승하며, 단순히 상, 하, 좌, 우로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기능만 가지고 있어 상부구체와 하부구체 사이의 수밀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의 체결편등을 사용하는 방법은 상부구체와 하부구체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며 압착하거나 밀착시키지 못하여 수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곱째, 상기 맨홀블록의 벽체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하여 긴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장기간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장기적으로 긴장강선의 부식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긴장력이 약화되어 수밀이 파괴되고 부등침하에 취약해 질 수 있다.
여덟째, 상기 맨홀블록을 연결부재, 고정플레이트, 연결바를 사용하여 볼트결합하는 경우에는 맨홀블록 접합부 전 단면에 골고루 접합력을 부여할 수 없게 되어 수밀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홉째, 상기 맨홀블록을 연결부재, 고정플레이트, 연결바를 사용하여 볼트결합하는 경우에는 맨홀블록 제작용 거푸집이 복잡하게 형성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취급에도 보다 높은 정도의 주의를 필요로 하여 비 효율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문제는 지중 송전용 맨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맨홀 및 수로관등 분할된 블록 등의 부분품 형태로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 설치되는 것에도 공히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 블록간의 체결이 간편하면서도 밀착력이 우수하고 수밀 성이 뛰어나며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비소요가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송전용 케이블 또는 배전용 케이블이 위치되는 공동구를 형성하는 제1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상호 마주보는 결합면에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에 설치된 상기 체결부에 차례로 엮어져 결합면의 길이방향으로 긴장되고, 긴장 시 상기 각 체결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을 밀착 고정시키는 인장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이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의 상호 각 결합면에 소정간격으로 매립되는 인서트 너트,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아이볼트,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장강선에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강선고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강선고정장치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결합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너트부, 상기 너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플랜지는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너트부와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랜지의 경사진 끝단부를 따라 보강플랜지의 단면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응력분산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구비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플러그 키,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이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키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장강선은,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 끝단에 구비된 PC강연선, 상기 와이어 로프와 PC강연선을 접합하는 고정그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을 따라 수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밀재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밀재 충진홈의 체결부가 설치된 부분 및 그 맞은편에 상기 수밀재 충진홈보다 더 깊숙하게 단차지게 이루어진 전단방지블록 형성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블록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하로 상호 결합되는 상부구체와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직구체블록이 구비되고, 일단에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의 상측 중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제1체결구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의 상측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제2체결구가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체결홀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을 타측으로 밀어 상기 상부구체와 하부구체를 압착하도록, 상기 제2체결홀과 제2체결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어 제2체결홀의 내주면과 연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편심키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편심키이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은 일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 또는 제2블록에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각각 구비되며, 그 중 상기 제2체결구에 대응 하는 인서트 너트는 상기 편심키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중 송, 배전용 맨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인장강선이 맨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맨홀의 높이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그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반의 부등침하 시 종래와 동일한 하중이 작용되어도 늘어나는 길이는 짧아질 수 있어 맨홀의 침하량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른 수밀 파괴현상 및 하수 유출, 지하수 유입, 인장강선의 부식 등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에는 맨홀을 밀착시킨 후 정착홀에 메움 작업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맨홀은 맨홀 중간의 정착홀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해당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셋째, 인장강선의 삽입을 위해 맨홀에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맨홀 내부에 배치된 철근이 손상될 우려가 없다.
넷째, 맨홀이 곡선으로 시공될 시에도 직선부분과 동일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인장강선 및 맨홀의 조기파손이 방지된다.
다섯째, 인장강선의 강선고정장치와 결합되는 부분이 와이어로프가 아닌 PC강연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선고정장치와의 고정력이 증대되며, 그 외의 부분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져 있어 휨이 자유로워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연직구체블록을 체결하는 체결편에 편심키이가 구비되어 체결편을 당김으로써 연직구체블록들을 상호 압착하므로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충분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일곱째, 인서트 너트에 보강플랜지 및 응력분산리브가 구비되므로, 인서트 너트에 주변의 본체블록에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인서트 너트 및 본체블록의 파손이 방지된다.
여덟째, 체결부 주위에 형성된 전단방지블록 형성홈에 의해 전단방지블록이 형성되므로 체결부가 보호받을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전단방지블록이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이 전단방향으로 엇갈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결합면에 플러그 키 및 상기 플러그 키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가 구비되므로, 결합시 상기 플러그 키가 인서트 너트에 먼저 삽입되면서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이 안내되며, 결합된 후에는 상기 플러그 키가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을 지지하는 지반이 부등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본체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아이볼트 및 인서트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고정볼트 및 강선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제1본체블록 또는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키 및 인서트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인장강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결합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에 인장강선이 엮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의 결합이 완료된 후 수밀재 충진홈에 수밀재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연직구체블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연직구체블록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편 및 편심키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13의 연직구체블록과 제1본체블록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절곡편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 및 체결부(500)와 인장강선(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송전용 케이블 및 장치 등이 위치되는 공동구(102)가 형성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블록(200)은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블록(100) 내부의 공동구(102)와 연통되는 공동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본체블록(200)은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공동구(102)를 막아 폐쇄하는 단부구체블록(210)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블록(200)이 단부구체블록(210)일 경우, 송, 배전용 케이블(C)이 삽입되어 관통되도록 관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은 복수개 연이어 결합되어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은 여러 가지 단면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본체블록(100) 및 제2본체블록(200)의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서로 연통되는 공동구(102)가 형성되는 것을 들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 형태 및 L 이나 T 자 또는 원형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은 체결부(500)와 인장강선(600)을 통해 압착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514)와 아이볼트(510) 및 고정볼트(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서로 결합되어 맞닿는 면을 결합면(106)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 및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볼트(510)와 고정볼트(520)가 결합면(106)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도 4에 상기 아이볼트(510)와 고정볼트(520)가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결합면(106) 양측에 제1본체블록(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 또한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결합면(106)과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이볼트(510)와 고정볼트(520)가 상기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 양측에 제2본체블록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106)의 상기 아이볼트(510)와 고정볼트(520)가 구비되는 부위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볼트(510)와 고정볼트(520)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514)가 삽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은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아이볼트(510) 및 고정볼트(520)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 긴장되면서 자체의 장력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제1본체블록(100)의 아이볼트(510) 및 제2본체블록(200)의 아이볼트(510)를 잡아당겨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을 서로 밀착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아이볼트(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강선(600)이 관통되는 관통홀(512)이 형성되며, 결합면에 매립되는 인서트 너트(514)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결합면(106)에 구비된 아이볼트(510)와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106)에 구비된 아이볼트(510)는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서로 엇갈리는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아이볼트(510)의 길이 또한,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횡단면상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볼트(510)가 상기 결합면(106)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인장강선(600)은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결합면(106) 및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아이볼트(5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면의 길이방향으로 긴장된다.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됨에 따라 상기 아이볼트(510)들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그 장력이 결합면(106)의 길이방향에 지그재그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고정볼트(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강선(600)을 긴장된 상태로 고정하여 장력을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고정볼트(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 또는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의 모서리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20)는 일측에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522)은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의 끝단에는 강선고정장치(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선고정장치(530)는 상기 인장강선(600)의 각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고정홀(523)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 즉 인장강선(600)의 끝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강선(600)이 긴장될 때 상기 고정볼트(520)의 테이퍼진 내부 중공(52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인장강선(600)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고정장치(530)의 외주면에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강선고정장치(530)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강선고정장치(530)가 고정볼트(520)의 내주면(522)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목적의 오링(O-ring)형태의 고무링(534)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20)의 중공의 내주면(522)에 상기 강선고정장치(530)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이를 결합홀(522)이라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된 강선고정장치(530) 중 어느 일단의 강선고정장치(530)가 상기 고정볼트(520)의 결합홀에 삽입된다. 이 때, 강선고정장치(530)의 최대지름은 고정볼트(520)의 테이퍼진 결합홀(522)의 최소 지름보다 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장강선(600)에 장력이 작용할 때 및 강선고정장치(530)가 상기 고정볼트(520)에서 탈거되지 않으며, 장력이 작용될수록 상기 분할된 강선고정장치(530)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인장강선(600)을 더욱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520) 또한 상기 결합면(106)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는데, 상기 고정볼트(520)는 인장강선(600)이 긴장됨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볼트(520)가 체결된 인서트 너트가 매립된 주변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제1본체블록(100) 또는 제2본체블록(20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20)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540)는 상기 인서트 너트(540)가 매립된 주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기 위하여 보강플랜지(544) 및 응력분산리브(5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플랜지(544)는 상기 고정볼트(520)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너트부(542)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너트부(542)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이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너트부(542)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면(106)의 상측부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540)는 하측으로 당겨지고, 결합면(106)의 하측부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540)는 상측으로 당겨지므로, 상기 인서트 너트(540)는 상기 보강플랜지(544)가 향하는 방향이 상기 인서트 너트(540)가 당겨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결합면(106)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응력분산리브(546)는 상기 경사진 보강플랜지(544)의 끝단부를 따라 상기 보강플랜지(534)의 단면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형태로 뭉툭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부(500)는 플러그 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키(55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 또는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 중 어느 일측에 맞은편의 결합면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키(550)가 구비된 맞은편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키(550)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552)가 매설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결합될 때, 끝단부가 경사진 플러그 키(550)가 맞은편 인서트 너트(55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위치가 안내되며, 결합 후에는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 즉, 전단방향으로 엇갈려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은 상기 아이볼트(510)들을 당겨서 제1본체블록(100) 및 제2본체블록(200)을 압착 고정시키므로 인장력에 강하고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 로프(610)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로프(610)는 표면이 미끄러워 상기 강선고정장치(530)와의 고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고정장치(530)와 결합되는 인장강선(600)의 양 끝단부는 PC 강연선(620)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610)와 PC강연선(620)을 접합하는 고정그립(6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그립(630)은 상기 와이어 로프(610)의 끝단과 PC강연선(620)의 끝단을 압착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마찰력이 중요시되는 강선고정장치에 고정되는 부분은 PC강연선(620)으로 이루어지고, 인장력 및 유연성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부분은 와이어 로프(610)로 이루어져, 마찰력과 인장력 및 유연성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을 따라 내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수밀재 충진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은 상호 결합된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의 수밀재가 충진되는 홈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00)는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 내부에 위치되는데, 제1본체블록(100) 및 제2본체블록(200)의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의 체결부(500)가 구비된 부분 및 그 맞은편의 결합면에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보다 더 깊숙하도록 단차지게 이루어진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 내부에 체결부(500)가 위치된다.
즉, 상기 결합면(106)에 수밀재 충진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 내부에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의 내부에 체결부(500)가 위치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지하 송, 배전용 맨홀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블록(100) 및 제2본체블록(200)의 각 결합면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에 아이볼트(510) 및 고정볼트(520), 플러그 키(550) 등을 설치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또는 상측에 설치된 고정볼트(520)에 인장강선(600)의 일단이 끼워진 강선고정장치(5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은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결합면과 제2본체블록(200)의 결합면에 설치된 아이볼트(510)의 관통홀(512)에 차례로 교차되면서 끼워진다.
상기 인장강선(600)을 각 아이볼트(510)에 교차하여 끼운 후에는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을 결합시킨 후, 상기 인장강선(600)을 잡아당겨 긴장시킨다. 상기 인장강선(600)에 장력이 작용되면서 상기 제1본체블록(100)의 아이볼트(510)와 제2본체블록(200)의 아이볼트(510)가 당겨져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600)을 충분히 긴장시킨 후에 상기 인장강선(600)의 타단에 상기 강선고정장치(530)를 끼우고 이를 인장강선(600)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볼트(520)의 반대편에 설치된 고정볼트(520)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을 고정시킨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에 수밀재(700)를 타설한다. 상기 수밀재(700)는 콘크리트, 무수축 그라우팅재, 시멘트 몰탈, 발포 방수제 등의 타설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설재는 기능적으로 방수기능을 하며, 상기 아이볼트(510), 고정볼트(520), 인장강선(600)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재료를 망라한다.
따라서,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결합된 후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에 수밀재(700)를 충진시키면 수밀재가 상기 수밀재 충진홈(110) 및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에 채워진 후 굳게 되어 상기 고정볼트(520), 아이볼트(510), 인장강선(600)을 매립하면서 정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에 의해 형성된 전단방지블록(720)이 상기 전단방지블록 형성홈(1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본체블록(100)과 제2본체블록(200)이 상하로 전단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송, 배전용 맨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 및 보수시 사람 또는 장비가 상기 공동구(102)에 입출 할 수 있도록 상기 공동구(102)와 지상을 연통시키는 연직구체블록(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직구체블록(300)은 상기 제1본체블록(100)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연직구체블록(300)이 결합되는 제1본체블록(100)에 상기 연직구체블록(300)과 연통되는 점검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직구체블록(3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상호 결합되는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구체(310)의 하부에 하부구체(3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는 복수개 결합되어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의 결합부위에 체결편(410) 및 편심키이(42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편(410)은 일단에 상기 상부구체(310)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320)의 상측 중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제1체결구(432)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412)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구체(310)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320)의 상측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434)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4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구(432) 및 제2체결구(434)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머리가 형성된 일반적인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구(432) 및 제2체결구(434)가 체결되는 상부구체(310) 및 하부구체(320)의 외주면에는 인서트 너트(442, 444)가 삽설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412) 및 제1체결구(432)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442)는 상기 제1체결구(432)의 직경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구(434) 및 제2체결홀(414)의 사이에는 편심키이(420)가 구비된다. 상기 편심키이(420)는 제2체결구(434)가 제2체결홀(414)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체결구(434)의 나사머리 등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2체결홀(414) 및 제2체결구(434)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444)에 넣어지도록 일측이 소정길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편심키이(420)의 제2체결홀(414)에 삽입되는 부분은 일측의 뿌리 부분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하측으로 두꺼워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키이(420)가 상기 제2체결홀(414)에 삽입될 때, 상기 테이퍼진 부분이 상기 제2체결홀(414)을 하측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편(410)도 일측, 즉, 하측으로 밀린다.
이 때, 상기 체결편(410)은 상기 제1체결홀(412) 및 제1체결구(432)에 의해 상기 상부구체(3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편(410)이 하측으로 밀려짐에 따라 상기 상부구체(310)를 하부구체 측으로 당기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가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410)의 제2체결홀(414)은 상기 편심키이(420)의 단면형태에 대응하도록 가로방향 직경보다 세로방향 직경이 더 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구(434)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444)의 내경 또한 그 입구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홀(414) 및 제2체결구(434)가 삽입되는 인서트 너트(444)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체결구(434)가 상기 제2체결홀(414)에 나사 체결될 때, 상기 편심키이(42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410)이 위치되는 상부구체(310)의 외주면 하측과 하부구체(320)의 외주면 상측은 단차진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편(410)을 이용하여 상부구체(310)와 하부구체(320)의 결합을 완료한 후에 상기 홈에 콘크리트나 수밀재등의 보호재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편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직구체블록(300)이 상기 제1본체블록(100)에 결합되는 점검구의 둘레로 상기 연직구체블록(300)의 하부구체(320)에 대응하는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된 베이스(10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구체(320)와 베이스(104)도 전술한 체결편(410) 및 편심키이(42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구체(320)와 베이스(104)는 절곡편(450)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편(4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일면에는 하부구체(320)의 외주면 하측에 체결되는 제3체결구(463)가 삽입되는 제3체결홀(453), 타면에는 제1본체블록(100)에 체결되는 제4체결구(464)가 삽입되는 제4체결홀(454)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구체(320)와 베이스(104)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절곡된 절곡편(450)을 사용하면, 상기 제1본체블록(100)에 베이스(104)를 형성하지 않거나 또는 베이스(104)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하여도 연직구체블록(300)의 체결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1본체블록 102: 공동구
104: 베이스 106: 결합면
110: 수밀재 충진홈 120: 전단방지블록 형성홈
200: 제2본체블록 300: 연직구체블록
310: 상부구체 320: 하부구체
410: 체결편 412: 제1체결홀
414: 제2체결홀 420: 편심키이
432: 제1체결구 434: 제2체결구
442: 인서트 너트 444: 인서트 너트
450: 절곡편 453: 제3체결공
454: 제4체결구 463: 제3체결구
464: 제4체결구 500: 체결부
510: 아이볼트 512: 관통홀
520: 고정볼트 522: 결합홀
530: 강선고정장치 523: 고정홀
534: 오링 540: 인서트 너트
542: 너트부 544: 보강플랜지
546: 응력분산리브 550: 플러그 키
552: 인서트 너트 600: 인장강선
610: 와이어로프 620: PC강연선
630: 고정그립 700: 수밀재
720: 전단방지블록

Claims (12)

  1.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송, 배전용 케이블이 위치되는 공동구를 형성하는 제1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본체블록;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상호 마주보는 결합면에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에 설치된 상기 체결부에 차례로 엮어져 결합면의 길이방향으로 긴장되고, 긴장 시 상기 각 체결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을 밀착 고정시키는 인장강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의 상호 각 결합면에 소정간격으로 매립되는 인서트 너트;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아이볼트;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선이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강선고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강선고정장치의 외주면이 삽입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결합홀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너트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너트부;
    상기 너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플랜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랜지는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너트부와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플랜지의 경사진 끝단부를 따라 보강플랜지의 단면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응력분산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용 맨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구비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플러그 키;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이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키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본체블록 및 제2본체블록 중 다른 하나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선은,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 끝단에 구비된 PC강연선;
    상기 와이어 로프와 PC강연선을 접합하는 고정그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블록과 제2본체블록의 결합면을 따라 수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밀재 충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재 충진홈의 체결부가 설치된 부분 및 그 맞은편에 상기 수밀재 충진홈보다 더 깊숙하게 단차지게 이루어진 전단방지블록 형성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블록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하로 상호 결합되는 상부구체와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직구체블록이 구비되고,
    일단에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의 상측 중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제1체결구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상부구체의 하측 또는 하부구체의 상측 중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제2체결구가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체결홀에 밀려 넣어지면서 상기 체결편을 타측으로 밀어 상기 상부구체와 하부구체를 압착하도록, 상기 제2체결홀과 제2체결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어 제2체결홀의 내주면과 연접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편심키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키이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은 가로방향 직경보다 세로방향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 또는 제2블록에는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가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가 각각 구비되며, 그 중 상기 제2체결구에 대응 하는 인서트 너트는 상기 편심키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입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1020100043204A 2010-05-07 2010-05-07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10101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04A KR101010721B1 (ko) 2010-05-07 2010-05-07 지중 송, 배전용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04A KR101010721B1 (ko) 2010-05-07 2010-05-07 지중 송, 배전용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721B1 true KR101010721B1 (ko) 2011-01-25

Family

ID=4361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204A KR101010721B1 (ko) 2010-05-07 2010-05-07 지중 송, 배전용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7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8780A (zh) * 2016-06-17 2016-08-31 国家电网公司 电缆窨井三用机
KR101822021B1 (ko) * 2016-10-20 2018-01-26 삼성이엔씨(주) 지반 침하에 의한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맨홀 구조물
KR20200029122A (ko) * 2018-09-10 2020-03-18 이용배 프로파일용 밀착 체결장치
KR102506180B1 (ko) * 2022-07-26 2023-03-06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전단키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KR102668819B1 (ko) 2021-12-03 2024-06-25 주식회사 남북건설 전력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226U (ko) * 1998-08-01 2000-03-06 박병무 암거설비
KR20030040874A (ko) * 2001-11-16 2003-05-23 주식회사 토암산업 양방향 프리스트레스트 강선 정착장치, 이를 이용한 강선정착구조를 가진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040045630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리드조립체의 제작방법
KR20080024424A (ko) * 2006-09-13 2008-03-18 이수호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200445630Y1 (ko) 2009-05-07 2009-08-19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돌출형 전단키와 수직 봉부재의 삽입 결합에 의한 콘크리트 암거 유닛의 접합구조 및 이러한 접합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암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226U (ko) * 1998-08-01 2000-03-06 박병무 암거설비
KR20030040874A (ko) * 2001-11-16 2003-05-23 주식회사 토암산업 양방향 프리스트레스트 강선 정착장치, 이를 이용한 강선정착구조를 가진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040045630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리드조립체의 제작방법
KR20080024424A (ko) * 2006-09-13 2008-03-18 이수호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200445630Y1 (ko) 2009-05-07 2009-08-19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돌출형 전단키와 수직 봉부재의 삽입 결합에 의한 콘크리트 암거 유닛의 접합구조 및 이러한 접합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암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8780A (zh) * 2016-06-17 2016-08-31 国家电网公司 电缆窨井三用机
CN105908780B (zh) * 2016-06-17 2018-09-21 国家电网公司 电缆窨井三用机
KR101822021B1 (ko) * 2016-10-20 2018-01-26 삼성이엔씨(주) 지반 침하에 의한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맨홀 구조물
KR20200029122A (ko) * 2018-09-10 2020-03-18 이용배 프로파일용 밀착 체결장치
KR102164462B1 (ko) * 2018-09-10 2020-11-04 이용배 프로파일용 밀착 체결장치
KR102668819B1 (ko) 2021-12-03 2024-06-25 주식회사 남북건설 전력구
KR102506180B1 (ko) * 2022-07-26 2023-03-06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전단키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63B1 (ko)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1010721B1 (ko) 지중 송, 배전용 맨홀
US20210062941A1 (en) Duct Coupler for Use with Ducts in a Wet Joint of Segmental Concrete Construction
KR100934608B1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그 조립방법
KR20080024424A (ko)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CN106838463B (zh) 提高矩形顶管工后纵向整体刚度的预埋组件及用法
KR100517312B1 (ko) 조립식암거 및 그 결합방법
KR20090037053A (ko) 유도핀 매립식 암거
KR101012307B1 (ko)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61932Y1 (ko) 압축형제거용앵커
KR101348219B1 (ko) 내진핀이 매설된 조립식 암거
KR2004217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101806326B1 (ko)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120030857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이 시공방법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0997673B1 (ko)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KR101095457B1 (ko) 터널 상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101132218B1 (ko)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