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819B1 - 전력구 - Google Patents

전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819B1
KR102668819B1 KR1020210172235A KR20210172235A KR102668819B1 KR 102668819 B1 KR102668819 B1 KR 102668819B1 KR 1020210172235 A KR1020210172235 A KR 1020210172235A KR 20210172235 A KR20210172235 A KR 20210172235A KR 102668819 B1 KR102668819 B1 KR 10266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dy
fixing part
power bulb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854A (ko
Inventor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북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북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북건설
Priority to KR102021017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8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력이 강화된 전력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1)을 지중에 매립설치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전력구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1)이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지반(2)과의 간섭을 통해 상기 전력구본체(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전력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구{Structure for underground cable wiring}
본 발명은, 전력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력이 강화된 전력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구란, 다회선의 케이블 및 부속재를 수용하고 케이블의 접속공간을 겸하는 기능을 가진 설비로서, 전력공급자가 전력수요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 배전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력수요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상에 송전 케이블 등을 설치하는 경우, 도심의 경관을 해칠 수 있고, 일반에 고압 케이블이 노출됨으로써, 고압 감전사고 등의 위험이 따르는바, 지하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지중전력구를 이용하여 전력을 송, 배전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지중전력구 내부에는 통로를 따라 케이블 지지대들이 이격설치되어, 케이블 지지대 위에 각종 송, 배전용 케이블들이 얹혀진 상태로 배선되며, 케이블 지지대는 지중전력구의 통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고, 지중전력구의 통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력구에 대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지중전력구는, 지하 굴착공간에 설치됨에 일반적인데, 지하에 매립된 상태에서 주변환경의 변화, 내부 지반의 침하, 침식 등으로 전력구의 위치가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력구의 위치 변화 및 설치상태 변화는,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용 케이블들의 안정적인 지지 및 설치에 영향을 주는 바, 전력공급을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구의 설치위치 및 상태 변화는 내부에 설치되는 고전압 케이블로의 영향으로 화재 등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증대되어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력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블(1)을 지중에 매립설치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전력구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1)이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지반과의 간섭을 통해 상기 전력구본체(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전력구를 개시한다.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상기 고정부(200)가 설치되는 측벽(110)과,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전후방에 구비되는 접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2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 중 전방 및 후방 중 하나에 전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접합부(121)와, 나머지 하나에 상기 돌출접합부(121)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접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반에 삽입 설치되는 돌출고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돌출고정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0)에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력구본체(100)에 접촉 결합하는 고정본체부(231)와, 상기 고정본체부(231)로부터 상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간섭부(232)를 포함하는 절곡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정면 상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지하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증대되어 설치상태 및 위치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용 고전압 케이블의 지지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송배전용 고전압 케이블을 지지하여 이를 통한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력구의 지중 설치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력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력구 중 고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전력구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전력구의 보강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전력구의 보강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을 지중에 매립설치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전력구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1)이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지반(2)과의 간섭을 통해 상기 전력구본체(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은 전기를 송배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력구 내에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1)은, 송전용 케이블로서 고중량으로 전력구 내에서 설치되며, 지중에서 설치되는 전력구에 따라 지중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구는, 지하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지하에 매립되어 설치되는데, 다수개가 케이블(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케이블(1)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지하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전력구는, 지하에 형성되는 공간에 단순 배치되어 설치되므로, 고정되지 못해 지반(2)의 침하, 침식으로 인해 위치가 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설치된 케이블(1)에 영향을 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전력구가 케이블(1)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서의 주변환경의 변화로 인해 특정 전력구가 틀어지는 경우, 연속된 전력구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1)이 손상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지하에 매립됨과 동시에 위치를 고정하여 주변환경의 영향에도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주변 전력구와의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케이블(1)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측벽(110) 내면에 케이블(1)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양 측벽(110) 모두에 케이블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케이블(1)이 설치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측벽(110) 외면에 후술하는 고정부(200)가 구비되어,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와의 결합 및 정렬이 유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정면에서 바라봤을때, 외벽을 기준으로 가로 2540mm, 높이 250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벽을 기준으로, 가로 2100mm, 높이 2060mm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때, 가로 길이가 2250mm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력구본체(10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지하에 케이블(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동일한 전력구본체(100) 복수개를 공장제작하여,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뒤 설치되는 구성인바,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품질로서 제작되기 위하여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외면에 고정부(200)가 설치되는 측벽(110)과, 전력구본체(100)의 설치를 위한 돌출접합부(121) 및 요홈접합부(122)를 포함하는 접합부(120)와, 이웃하여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 사이의 연결을 위한 강선이 관통되는 정착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110)은, 외면에 고정부(2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110)은,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고정부(200)가 설치됨으로써, 전력구본체(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200)는 일단이 하나의 측벽(110)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측벽(110)에 설치됨으로써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들을 고정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00)는, 측벽(110)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합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여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간의 접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합부(120)는, 전력구본체(100)의 정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접합부(121)와, 돌출접합부(121)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파인 요홈접합부(122)가 번갈아 형성되며, 전력구본체(100)의 후면부에 전면부에 대응되도록, 전면부의 돌출접합부(121) 위치에는 요홈접합부(122)가, 전면부의 요홈접합부(122) 위치에는 돌출접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접합부(120)는, 복수개의 전력구본체(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될 때, 전력구본체(100)의 후면부가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의 전면부에 대응되어, 각각 돌출접합부(121)가 요홈접합부(122)에 접합됨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되는 전력구의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20)는, 전력구본체(100)의 정면 및 후면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접합부(121)와 요홈접합부(122)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접합부(121) 및 요홈접합부(122)는, 각각에 대응되어, 돌출접합부(121)의 돌출정도에 따라 요홈접합부(122)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도 각각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접합부(120)는, 설치과정에서 돌출접합부(121) 및 요홈접합부(122)의 사이에 폴리머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력구본체(100)의 표면에는 프라이머등을 추가로 도포하여 수밀성을 추가로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정착구(130)는, 이웃하여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 사이의 연결을 위한 강선이 관통되기 위하여 전력구본체(10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정착구(130)는, 전력구본체(100)의 정면이 사각형 형상일 때, 꼭지점 부분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꼭지점에 한개씩 4개의 정착구(130)가 전력구본체(100)의 정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구(130)는, 내부에 전력구본체(1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전력구본체(100)를 관통하고,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와 연결되는 강선이 설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의 전력구 사이에서 강선을 고정하기 위한 강선정착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강선은, 정착구(130)에 삽입 설치되고,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정착장치에 고정됨으로써, 전력구본체(100)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강선은, 일단이 전력구본체(100)의 전면과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의 후면의 정착구(130)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정착장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력구본체(100)의 후면과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의 전면의 정착구(13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복수개의 전력구본체(10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선의 설치로서, 지반(2)이 무너지거나, 기타 지진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강선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전력구본체(100)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 합선 등에 따른 2차사고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선정착장치는,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의 정착구(130)에 설치되어, 강선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강선정착장치는, 외부의 영향에 따라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사이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전력구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지반(2)과의 간섭을 통해 전력구본체(10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200)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지반(2)에 삽입 설치되는 돌출고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전력구본체(100)와 돌출고정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지반(2)에 삽입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전술한 측벽(110) 또는 후술하는 전력구본체(100) 측벽(110)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측벽(110)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고정플레이트(220)에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측벽(110)에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측벽(110)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2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끝단이 지반(2)에 삽입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반(2)과 전력구본체(100) 사이의 고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력구본체(100)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지반(2)과의 마찰력 증대를 통해 인장력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단순 봉 형상의 돌출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지반(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끝단이 지반(2)에 고정되어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쐐기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플레이트(220)에 설치되고 타단이 지반(2)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212)이 형성되는 돌출고정샤프트(211)와, 돌출고정샤프트(211)의 끝단에서 나사결합하는 돌출고정너트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고정너트부(213)는, 돌출고정샤프트(211)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12)과 나사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끝단에서 돌출고정샤프트(211) 측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삽입 설치되는 지반(2)과의 인장력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중 적어도 일부가 지반(2)에 단순 삽입설치되는 것을 넘어서, 지반(2)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돌출고정부(210)와 지반(2) 사이에 그라우팅을 통한 충전재를 주입하여 경화에 따라 인장력이 증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끝단 중 적어도 일부가 지반(2)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지반(2)과 돌출고정부(210) 사이에 그라우팅을 통한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돌출고정부(210)와 지반(2) 사이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전력구본체(100)와 돌출고정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측벽(110)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돌출고정부(21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측벽(110)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21)와, 플레이트(221)를 측벽(110)에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나사(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나사(222)가 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측벽(110)에 결합함으로써, 플레이트(221)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나사(222)는, 플레이트(221)의 모서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꼭지점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복수의 돌출고정부(210)들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고정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볼트공(미도시)에 돌출고정부(210) 외주면 나사산(212)을 통해 볼트결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들의 측벽(110)들 사이에서 설치되어 이들 전력구본체(100)들이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221)는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들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나사(222)를 통해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들 측벽(110)에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서로 이웃하여 케이블(1)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전력구본체(100)들 사이를 결합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변화에도 전력구본체(100)들 사이의 결합 및 정렬이 유지됨으로써, 케이블(1)로 손상 등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후술하는 내용 중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며, 생략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며, 전력구본체(100)에 접촉 결합하는 고정본체부(231)와, 고정본체부(231)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간섭부(232)를 포함하는 절곡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는, 고정부(200)를 통한 전력구본체(100)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전술한 돌출고정부(210)와 같이 전력구본체(100)의 측벽(110)에 설치되어 지반(2)과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본체부(231)가 전력구본체(100)에 접촉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본체부(231)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간섭부(232) 중 적어도 일부가 지반(2)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지반(2)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정면 상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본체부(231)의 하측 끝단에서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전술한 고정플레이트(220)와 같이 전력구본체(100)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300)는, 절곡고정부(230)에 설치되어 지반(2)으로 연장됨으로써, 절곡고정부(230)의 지반(2)과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300)는, 끝단이 절곡고정부(230) 중 절곡간섭부(232) 상면에 설치되는 지오그리드(310)와, 지오그리드(310)를 절곡간섭부(232)에 고정 설치하는 보강나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300)는, 지오그리드(310)의 일단을 보강나사(320)를 통해 절곡간섭부(232)의 상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을 지반(2) 경사면에 설치함으로써 전력구본체(100)의 지반(2)과의 고정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력구본체 200: 고정부
300: 보강부

Claims (10)

  1. 케이블(1)을 지중에 매립설치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전력구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1)이 설치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지반(2)과의 간섭을 통해 상기 전력구본체(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력구본체(100)에 접촉 결합하는 고정본체부(231)와, 상기 고정본체부(231)로부터 상기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간섭부(232)를 포함하는 절곡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구본체(100)는,
    상기 고정부(200)가 설치되는 측벽(110)과,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전후방에 구비되는 접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2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 중 전방 및 후방 중 하나에 전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접합부(121)와, 나머지 하나에 상기 돌출접합부(121)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접합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반(2)에 삽입 설치되는 돌출고정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력구본체(100)와 상기 돌출고정부(21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2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0)에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일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전력구본체(1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고정부(230)는,
    정면 상 'L'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KR1020210172235A 2021-12-03 2021-12-03 전력구 KR10266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35A KR102668819B1 (ko) 2021-12-03 2021-12-03 전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35A KR102668819B1 (ko) 2021-12-03 2021-12-03 전력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54A KR20230083854A (ko) 2023-06-12
KR102668819B1 true KR102668819B1 (ko) 2024-06-25

Family

ID=8677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235A KR102668819B1 (ko) 2021-12-03 2021-12-03 전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50B1 (ko) * 2008-06-26 2008-12-29 (주)영상엔지니어링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101010721B1 (ko) 2010-05-07 2011-01-25 용화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101828501B1 (ko) * 2017-04-26 2018-02-12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952895B1 (ko) * 2018-06-15 2019-05-22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전력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251U (ko) * 2014-02-21 2015-08-31 강승국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50B1 (ko) * 2008-06-26 2008-12-29 (주)영상엔지니어링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101010721B1 (ko) 2010-05-07 2011-01-25 용화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101828501B1 (ko) * 2017-04-26 2018-02-12 (주)영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1952895B1 (ko) * 2018-06-15 2019-05-22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전력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54A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2306103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US7568320B2 (en) Wall reinforcement system
KR102668819B1 (ko) 전력구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010721B1 (ko) 지중 송, 배전용 맨홀
KR100449935B1 (ko)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KR100828657B1 (ko)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CA2156731A1 (en) Joint structure and joint method for a concrete structure
KR102108410B1 (ko)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2079710B1 (ko) 강선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KR100997673B1 (ko)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KR101257387B1 (ko) 절토부 보강토 옹벽
KR20150050012A (ko)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20753A (ko) 소일네일링 공법용 이종 철근 연결구
CN214783963U (zh) 一种地基基础结构
KR102446074B1 (ko)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KR20190108963A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JP742861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及びその使用方法
JP4182425B2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埋設電路
JP2024049693A (ja) プレキャスト基礎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基礎構造の施工方法
CN215164641U (zh) 一种桥梁护栏及电力设施的底座钢筋结构
KR200235117Y1 (ko) 보강철근 고정체
KR20240127574A (ko) 강봉형 영구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