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935B1 -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935B1
KR100449935B1 KR10-2000-7010772A KR20007010772A KR100449935B1 KR 100449935 B1 KR100449935 B1 KR 100449935B1 KR 20007010772 A KR20007010772 A KR 20007010772A KR 100449935 B1 KR100449935 B1 KR 10044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ngitudinal
conduit
cable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242A (ko
Inventor
후쿠이도미오
Original Assignee
후쿠이 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이 도미오 filed Critical 후쿠이 도미오
Publication of KR2001004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1)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을 설치한다.
(2)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강철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inlet) 등을 계류한다.
(3) 또는,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강철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를 계류하고, 상기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을 고정한다.
(4)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강철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한다.

Description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surface using steel cable}
산의 경사면에 다수의 도관 등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 단지 그 도관 등을 부설 또는 매설하는 것만으로는 그들 자체의 무게(중력)나, 낙석, 강우, 강설 등에 의한 외부 압력에 의해 그들이 하방으로 유실되거나, 도중에 굴곡 또는 절단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수의 도관 등을 소정의 방향으로 장거리에 걸쳐서 설치·고정하기 위해서는 도관 등의 하방으로 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매설하거나, 또는 도관 등을 따라서 그 측방향에 난간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고, 이것에 도관 등을 연결·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산의 경사면에서의 도관 등의 고정에 강철 케이블(steel cable)을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였다. 즉, 도관 등이 산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하려고 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는 장력·강도를 갖는 재료로서, 강철 케이블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그와 같이 생각한 것은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강철 케이블에는 큰 현수교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장력·강도를 갖는 것이 있는 것, 및 강철 케이블은 굴곡될 수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면, 곡면을 갖는 관을 끈으로 묶는 것도, 관과 관을 연결하는 삽입부를 끈으로 묶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관 자체를 강철 케이블로 고정할 수 있더라도, 그 강철 케이블을 적절히 고정할 수 없으면, 산의 경사면에서 도관의 고정은 달성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강철 케이블을 거쳐서 도관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는 도관으로 되는 흄(Hume)관이나, 공동 홈(共同溝), 이들을 연결하는 삽입부(inlet)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상당한 고도의 산지에 안정적으로 설치·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고가 높은 산지에 건설된 호텔, 산막(산속 오두막집), 기상 관측 시설 등의 건조물에 상하수도 등의 설비를 부설할 때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산의 한쪽 경사면의 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실시예에 대해서 산의 다른 쪽 경사면(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의 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산의 한쪽 경사면의 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산의 한쪽 경사면의 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와 길이방향 케이블과 횡단 케이블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하 함)을 설치하고,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며, 그리고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며, 그리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의 산의 정상에 가까운 개소에, 산의 경사면을 일주하도록 강철 케이블(이하, 「앵커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 케이블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연결하며,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산의 경사면상에서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상기 도관 등이 간접적으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것은 예를 들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또한 그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다른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더 존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도관 등은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에 직접 계류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계류되어도 좋다.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은 분기하여도 좋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앵커로 되는 중량물도 도관 등일지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관 등의 고정을 위해 필요하게 되는 앵커 기능을 산의 산등성이를 걸쳐서 산의 양경사면에 늘어뜨려 설치된 강철 케이블의 한쪽에는 도관 등을, 다른 쪽에는 앵커로 되는 중량물을 연결시킴으로써, 도관 등과 앵커로 되는 중량물을 분류하는(양쪽을 균등하게 나누는) 짐과 같이 배치시키는 것으로 실현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도관 등이 낙하하려고 하는 힘과, 그 때에 강철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앵커 강도가 실현된다. 그와 같은 앵커 강도는 산의 산등성이의 높이(바꾸어 말하면, 강철 케이블의 길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철 케이블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와 강철 케이블에 계류되는 중량물(앵커)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커진다. 또한, 강철 케이블이 앵커로 되는 중량물 대신에 고정된 거점에 연결되는 경우일지라도 동일한 앵커 강도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앵커 강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면 작은 경향이 있다. 그러나, 큰 앵커 강도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방법도 채용될 수 있다.
산의 형상이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채용에 의해 큰 앵커 강도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도관 등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라 도관 등을 연결·설치하여도 되고, 또한 지진이나 그 밖의 충격에 의해 도관 등이 굴곡 또는 단열(斷裂)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와 같은 도관 등의 굴곡 또는 단열과 같은 사고의 발생이 우려될 것과 같은 장소에 도관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도 사용하고, 그와 같은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를 강철 케이블로 계류하는 방식을 채용하면, 그러한 사고가 예방된다고 생각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또는 벽에 고정하며, 그리고 상기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또는 벽에 고정하며,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의 산정상에 가까운 개소에 산의 경사면을 일주하도록 강철 케이블(이하, 「앵커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 케이블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연결하며,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설치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또는 벽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다.
상기 베이스 등은 1 개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하여도 좋지만, 하나의 베이스 등이 2개 이상, 특히 2개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등이 간접적으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것은 예를 들면, 길이방향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갖는 방향(예를 들면 직각 방향)으로도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존재하고, 상기 횡단 케이블에 베이스 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횡단 케이블이 길이방향 케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등이 길이방향 케이블에 의해 계류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 케이블에 연결되는 길이방향 케이블의 수에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1 또는 2개이다.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다른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이 또한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은 분기하여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개의 강철 케이블(길이방향 케이블)(1)이 산의 산등성이를 걸쳐서 산의 양경사면에 늘어뜨려져 있다. 도 1에 도시한 산의 한쪽 경사면(경사 표면)에는 길이방향 케이블(1)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2)에 도관(3) 및 삽입부(inlet ; 4)가 계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산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면(경사 배면)에는 길이방향 케이블(1)에 앵커로서의 중량물(5a)이 계류되어 있고, 또한, 중량물(5b)이 계류 케이블(2)로 계류되어 있다. 경사 표면과 경사 배면은 장력의 점에서 균형이 잡혀져 있고, 그 결과로서, 도관(3) 및 삽입부(4)가 소정 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도관이 대구경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는 3개의 길이방향 케이블(1)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산의 경사면에 늘어뜨려져 있다. 이들 길이방향 케이블(1) 사이를 연결하는 횡단 케이블(6)에 의해 도관(3) 및 삽입부(4)가 계류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 길이방향 케이블(1)은 경사 배면측에서 중량물을 계류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경사 배면측,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도관이 산의 위에서 밑으로 일직선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지형에 맞추어서 도중에 굽혀져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는 산의 위에서 밑으로 향하여 설치된 도관(3a)은 길이방향 케이블(1)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2a)로 계류되어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도관(3a)의 최하단은 삽입부(4)에 연결되어 있고, 그 삽입부(4)의 개소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있다. 삽입부(4) 및 그것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된 도관(3b)은 길이방향 케이블(1) 사이에 걸쳐진 횡단 케이블(6)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2b)로 계류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도, 길이방향 케이블(1)은 경사 배면측에서 중량물을 계류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경사 배면측,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철 케이블이 그 기본 부분(1)과 분기 부분(1')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도관(3b)이나 삽입부(4)를 계류할 수 있다.
산이 일본에 있는 후지산 등과 같은 독립봉으로 원추형을 이루고 있고, 긴 산등성이 줄기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도관 등의 설치방법이 채용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정상 근처의 경사면에 강철 케이블(7)로 띠가 둘러져 있고, 상기 강철 케이블(7)을 앵커로서 이것에 길이방향 케이블(1)이 연결되어 있다. 그 길이방향 케이블(1)은 산의 경사면에 늘어뜨려져 있다. 그 길이방향 케이블(1)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2)로 도관(3) 및 삽입부(4)가 계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관 등이란, 예를 들면, 수도관, 하수도관, 가스관, 전선 등을 통과시키는 관, 이들의 관류를 통과시키는 공동 홈, 및 그와 같은 관의 연결 개소에 사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와 같은 관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강철 케이블에 계류되는 도관 등은 어떤 방향을 향하여도 좋다. 즉, 그 방향은 산의 높이 방향(종방향)이더라도, 도 4의 하부에 도시된 관과 같이 산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이더라도, 또는 그 밖의 모든 방향도 가능하다.
도관 등은 필요에 따라 매설시켜도 좋다. 또한, 강철 케이블에서의 계류를 쉽게 하기 위해, 도관 등에 요철, 돌기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수 연결된 도관 등의 중에서 한쪽의 단부(단, 이것은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에 위치하는 도관 등은 그 도관 등을 사용하는 건조물 내의 도관 등에 직접 또는 분기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다른 쪽의 단부(단, 이것도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에 위치하는 도관 등은 그 도관 등의 용도에 따라 제 설비에 연결된다(또는, 그 제 설비에 끝이 연장하고 있다). 도관 등이 다수 연결되고 그것이 평지에 도달한 경우, 평지에 있어서의 도관 등의 부설은 당업자에게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에 의존할 수 있다.
강철 케이블끼리의 연결은 결합 케이블이든, 공지의 연결 기구를 사용한 연결이든 관계없다.
앵커로서의 중량물의 예로서는 콘크리트·블록, 금속덩어리, 암석을 채운 철선 사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정된 거점의 예로서는 큰나무, 지반에 연결되어 있는 콘크리트 건조물 등을 들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길이방향 케이블(1)이 산의 산등성이를 걸쳐서 산의 양경사면에 늘어뜨려져 있다. 도 7에 도시한 산의 한쪽 경사면(경사 표면)에는 도관(3)이 고정된 베이스(8)가 길이방향 케이블(1)로 계류되어 있다. 한편, 산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사면(경사 배면)에는 길이방향 케이블(1) 각각에 앵커로서의 중량물이 계류되어 있다. 경사 표면과 경사 배면은 장력의 점에서 균형이 잡혀져 있고, 그 결과로서, 도관(3)이 고정된 베이스(8)가 소정 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은 도관(3a) 등이 고정된 베이스(8a, 8b)가 산의 위에서 밑으로 일직선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지형에 맞추어서 도중에 굴곡되어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예에서는 산의 위에서 밑을 향하여 설치된 베이스(8a)는 2개의 길이방향 케이블(1, 1)로 계류되어 있다. 그와 같이 베이스(8a)에 고정된 도관 중에서, 가장 밑에 있는 도관(3a)은 삽입부(4)에 연결되어 있고, 그 삽입부(4)의 개소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4) 및 그것에 연결된 도관(3b) 등이 고정된 베이스(8b)가 상기 베이스(8b)에 연결된 횡단 케이블(6)에 연결된 길이방향 케이블(1)로 계류되어 있다. 길이방향 케이블(1) 사이에도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 끼리를 연결하는 횡단 케이블(12)이 존재한다. 상기 예에서도 각 길이방향 케이블(1)은 경사 배면측으로 중량물을 계류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경사 배면측,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서도 도 6에 도시한 예와 같이, 길이방향 케이블이 그 기본 부분(1)과 분기 부분(1')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3) 등을 길이방향 케이블(1)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계류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8)를 통해 도관(3) 등을 계류하여도 좋다. 즉, 도관(3)을 고정한 베이스(8)를 길이방향 케이블(1)로 계류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1, 1)을 산에 띠가 걸쳐진 앵커 케이블(7)에 연결하여도 좋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하나의 베이스를 복수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하고 있지만, 하나의 베이스를 1개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할 수 있다. 도 9는 베이스(8)의 뒤편(도관 등의 설치·고정 면이 아닌 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8)의 측면에 고정·연결된 횡단 케이블(6)이 여러개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횡단 케이블(6)에 1개의 길이방향 케이블(1)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도관 등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앵커로서의 중량물도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물론, 도관 등을 고정한 베이스 등도, 또한 베이스 등은 사용하지 않고 강철 케이블로 계류된 도관 등도, 앵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고정된 거점의 예로서는 큰나무, 지반에 연결되어 있는 콘크리트 건조물 등을 들 수 있다.
강철 케이블끼리의 연결은 케이블 자체로도, 공지의 연결 지그(9)를 사용한 연결로도 가능하다.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베이스의 양측면에 벽을 설치하게 되는 것)에 대한 강철 케이블의 연결도 예를 들면 공지의 고정 지그(10)를 사용하면 좋다.
베이스 또는 프레임 부재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서, 콘크리트, 강철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스 등에 대한 도관 등의 고정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 1) 도관 등의 위에서 ㄷ자 형상 또는 반원형의 강제의 고정 지그(11)를 베이스 등에 박아 넣는 방법(도 7 참조), 2) 베이스 등에 일정 간격으로 볼록부를 형성하여 거기에 도관 등의 머리띠 부분(대직경 부분)을 맞물리게 하는 방법, 및 3) 도관 등과 베이스 등의 양자에 천공을 설치하여 볼트 및 너트로 양자를 결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도관 등의 고정 개소는 그 베이스 부분이라도 벽부분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Claims (44)

  1.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에 따라서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inlet)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며, 그리고,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다른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로 되는 중량물도 도관 등인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8.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며, 그리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또한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다른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4.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의 산의 정상에 가까운 개소에, 산의 경사면을 일주하도록 강철 케이블(이하, 「앵커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 케이블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연결하며,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산의 경사면상에서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길이방향 케이블에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또한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연결하는 다른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또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0.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의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또는 벽에 고정하며, 상기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하나의 베이스 등이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도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존재하고, 상기 횡단 케이블에 베이스 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횡단 케이블이 1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등이 길이방향 케이블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5.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로 되는 중량물도 베이스 등과 도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6.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또는 벽에 고정하며,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하나의 베이스 등이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도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 존재하고, 상기 횡단 케이블에 베이스 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횡단 케이블이 1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등이 길이방향 케이블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1.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의 산정상에 가까운 개소에, 산의 경사면을 일주하도록 강철 케이블(이하, 「앵커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 케이블에 2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연결하며,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설치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또는 벽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하나의 베이스 등이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도 강철 케이블(이하, 「횡단 케이블」이라 함)이 존재하고, 상기 횡단 케이블에 베이스 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횡단 케이블이 1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등이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2개 이상 존재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이 더 존재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이 분기하고 있는 즉, 기본 부분과 분기 부분을 갖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3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등이 계류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2개 이상의 길이방향 케이블 및 1개 이상의 횡단 케이블로 계류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2. 산의 한쪽 경사면과, 산의 산등성이를 경계로 하여 그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그 산의 산등성이를 걸치도록 하여 양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경사면상에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산의 한쪽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의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 벽에 고정하며, 상기 한쪽 경사면과는 반대측 위치에 있는 경사면에 설치된 그 길이방향 케이블을 앵커로 되는 중량물 또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3.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1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그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 벽에 고정하며, 상기 길이방향 케이블의 일단을 산의 산등성이 또는 산정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거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44. 원추형상 또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의 산정상에 가까운 개소에, 산의 경사면을 일주하도록 강철 케이블(이하, 「앵커 케이블」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 케이블에 2개 이상의 강철 케이블(이하, 「길이방향 케이블」이라 함)을 연결하며,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을 산의 경사면상에 그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설치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평판형상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좌우 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이하, 「베이스 등」이라 함)를 계류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 그 속에 물, 가스, 전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관, 공동 홈, 삽입부 등(이하, 「도관 등」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도관 등을 상기 베이스 및 벽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KR10-2000-7010772A 1999-01-28 2000-01-28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KR100449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0362 WO2000044996A1 (fr) 1999-01-28 1999-01-28 Procede permettant l'installation d'une conduite ou d'un tube similaire sur une montagne au moyen d'un cable
JPPCT/JP99/00362 1999-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242A KR20010042242A (ko) 2001-05-25
KR100449935B1 true KR100449935B1 (ko) 2004-09-24

Family

ID=1423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772A KR100449935B1 (ko) 1999-01-28 2000-01-28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588984B1 (ko)
EP (1) EP1069251B1 (ko)
KR (1) KR100449935B1 (ko)
CN (1) CN1136367C (ko)
AT (1) ATE323256T1 (ko)
AU (2) AU2184399A (ko)
BR (1) BR0004492A (ko)
CA (1) CA2326123C (ko)
DE (1) DE60027228T2 (ko)
EA (1) EA002046B1 (ko)
HK (1) HK1036307A1 (ko)
ID (1) ID26288A (ko)
NO (1) NO20004836L (ko)
WO (2) WO2000044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37B1 (ko) * 2006-10-14 2007-01-24 주식회사 삼안 경사면 하수관 결속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184399A (en) * 1999-01-28 2000-08-18 Tomio Fukui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using cable
US6969215B2 (en) * 2004-03-11 2005-11-29 Duncan Kenne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pipe on an incline
KR100862167B1 (ko) * 2008-03-28 2008-10-1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간접취수원 확보 시스템
KR100862166B1 (ko) * 2008-03-28 2008-10-1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CN101806377B (zh) * 2010-04-29 2011-08-24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陡崖管道安装施工方法
RU2477410C1 (ru) * 2011-11-10 2013-03-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о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в скальных породах гористого участка
JP6335828B2 (ja) * 2015-04-03 2018-05-30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さや管推進工法
CN105003738B (zh) * 2015-07-02 2017-05-17 山西宏厦建筑工程有限公司 山区复杂地形运用索道安装大管径管道施工工法
CN106151682B (zh) * 2016-07-15 2018-01-30 中国葛洲坝集团机电建设有限公司 高边坡大型压力钢管安装下放装置及压力钢管安装方法
CN106594392A (zh) * 2017-01-13 2017-04-26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大坡度热力管道支架管部结构及制作方法
CN106869035B (zh) * 2017-03-24 2018-10-09 中石化江苏油建工程有限公司 跨越峡谷管道桥的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984A (en) * 1976-08-25 1978-03-13 Hitachi Cable Ltd Buried cable laid in slope
JPS6037318A (ja) * 1983-08-08 1985-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水圧鉄管の据付方法
JPH08291880A (ja) * 1995-04-21 1996-11-05 Hiroshi Kitagawa 埋設管体の位置規制具
WO1998017869A1 (fr) * 1996-10-18 1998-04-30 Tomio Fukui Procede permettant de lutter contre l'erosion par construction d'un revetement et procede de construction servant a empecher les glissements de terrai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928A (en) * 1934-03-23 1936-03-24 Bell Telephone Labor Inc Cable shield
US2091265A (en) * 1936-01-18 1937-08-31 Du Pont Flexible noncollapsible tubing
US2962599A (en) * 1957-09-09 1960-11-29 Frank Z Pirkey Apparatus for developing and accumulating hydroelectric energy
US3248884A (en) * 1963-07-15 1966-05-03 Richard B Bender Pipeline ditch breaker
US3657786A (en) * 1970-03-11 1972-04-25 George C Wiswell Jr Laying of subaqueous pipe
US3810364A (en) * 1971-12-30 1974-05-14 T Johnson Ground anchor
US3853182A (en) * 1973-11-26 1974-12-10 Continental Oil Co Launch tube for a long hole drilling apparatus
US4073157A (en) * 1976-10-26 1978-02-14 Piccal Subsea Limited Offshore method
JPS576176A (en) * 1980-06-06 1982-01-13 Sekisui Chemical Co Ltd Floating-up preventing method of buried pipe
US4454951A (en) * 1982-06-16 1984-06-1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slack pulling log skidding carriage
US4735327A (en) * 1986-05-30 1988-04-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Radio controlled downhill skyline logging carriage and system
US4687109A (en) * 1986-07-03 1987-08-18 Davis Glenn T Radio controlled electric slack puller, brake and battery recharging system
US4842314A (en) * 1988-03-24 1989-06-27 Bellow Don W Pipe lift cap assembly
DE19521289A1 (de) * 1995-06-10 1996-12-12 Thorsten Boecher Energiegewinnungs- und Bewässerungssystem
US6145679A (en) * 1996-02-07 2000-11-14 Walters; Victor Shiftable tail-block logging skyline
AU2184399A (en) * 1999-01-28 2000-08-18 Tomio Fukui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using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984A (en) * 1976-08-25 1978-03-13 Hitachi Cable Ltd Buried cable laid in slope
JPS6037318A (ja) * 1983-08-08 1985-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水圧鉄管の据付方法
JPH08291880A (ja) * 1995-04-21 1996-11-05 Hiroshi Kitagawa 埋設管体の位置規制具
WO1998017869A1 (fr) * 1996-10-18 1998-04-30 Tomio Fukui Procede permettant de lutter contre l'erosion par construction d'un revetement et procede de construction servant a empecher les glissements de terra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37B1 (ko) * 2006-10-14 2007-01-24 주식회사 삼안 경사면 하수관 결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367C (zh) 2004-01-28
ID26288A (id) 2000-12-14
NO20004836D0 (no) 2000-09-26
CA2326123A1 (en) 2000-08-03
KR20010042242A (ko) 2001-05-25
AU744021B2 (en) 2002-02-14
CA2326123C (en) 2005-01-11
AU2184399A (en) 2000-08-18
EA200001003A1 (ru) 2001-02-26
EP1069251B1 (en) 2006-04-12
HK1036307A1 (en) 2001-12-28
EP1069251A4 (en) 2004-06-16
EA002046B1 (ru) 2001-12-24
NO20004836L (no) 2000-09-26
CN1293730A (zh) 2001-05-02
EP1069251A1 (en) 2001-01-17
US20030194276A1 (en) 2003-10-16
AU2320900A (en) 2000-08-18
ATE323256T1 (de) 2006-04-15
US6742964B2 (en) 2004-06-01
WO2000044996A1 (fr) 2000-08-03
WO2000044997A1 (fr) 2000-08-03
DE60027228T2 (de) 2007-03-29
US6588984B1 (en) 2003-07-08
DE60027228D1 (de) 2006-05-24
BR0004492A (pt)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935B1 (ko)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KR20050063634A (ko) 적층가능한 옹벽 유닛을 위한 강화 시스템
CA2473260C (en) Parallel girder, in particular, for mine and tunnel supports
JP3938777B2 (ja) 横断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横断地下構造物
JP4630851B2 (ja) 法面用アンカー
JP7073185B2 (ja) 壁高欄埋設管路用作業空間の構造、構築方法及び構築に用いる型枠
RU2153558C2 (ru)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подзем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MXPA00009453A (en)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surface using steel cable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NZ507004A (en)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side using steel cable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KR102625648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책
KR102633535B1 (ko) 전신주 보강 조립체
KR200234905Y1 (ko) 낙석차단용 휀스
JP2022105912A (ja) 地下構造物用蓋装置、および地下構造物用蓋装置を用いた道路構造
KR20220167647A (ko) 에어돔융설시스템 및 이에 사용된 케이블고정부재
KR20020062410A (ko) 낙석차단용 휀스
KR100599240B1 (ko) 건축물의 비탈면 보호구조물
JP3868862B2 (ja) 電線共同溝におけるクロージャーの支持構造
KR20110105205A (ko) 옹벽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H0956036A (ja) 地中配線用管路ブロックの継手構造
RU2262631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на участках тектонических разломов
KR200369560Y1 (ko) 교량의 상수도관 고정구조
JPH11113126A (ja) ケーブル埋設用共同溝の分岐部施工方法及びその構造
JPH01138924A (ja) ケーブル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