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388A -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388A
KR20140093388A KR1020130005615A KR20130005615A KR20140093388A KR 20140093388 A KR20140093388 A KR 20140093388A KR 1020130005615 A KR1020130005615 A KR 1020130005615A KR 20130005615 A KR20130005615 A KR 20130005615A KR 20140093388 A KR20140093388 A KR 2014009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einforcing bar
reinforcing
front sid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화
Original Assignee
고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화 filed Critical 고석화
Priority to KR102013000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388A/ko
Publication of KR2014009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플링을 중심으로 마주되는 양측 철근 사이에 고정체를 삽입 구비하여 양측 철근이 커플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플링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 철근을 잇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며,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철근; 상기 커플링의 타측에 구비되며,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철근; 상기 마주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삽입홈에 결합되어 제1철근 및 제2철근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Reinforced coupling apparatus for aseismicity}
본 발명은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플링을 중심으로 그 내부에 마주하는 양측 철근 사이에 고정체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철근 이음부의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을 포함한 내진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대직경의 철근이 사용되고, 구조물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소직경의 철근이 사용된다.
상기 철근은 그 길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통상 2개 이상의 철근을 이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종래에는 2개의 철근을 겹쳐 철사로 결속하는 겹이음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겹이음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그 결속력이 취약하여 부실공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마주하는 양 철근(200,300) 사이에 커플링(100)을 사용하여 양측 철근(200,300)을 이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는 암나사부(110)가 형성된 커플링(100)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수나사부(210,310)가 형성된 양측 철근(200,300)을 결합하게 되면 철근 이음부의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에 견디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8610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8633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23677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65991호에서 개선안을 제시한 바 있으나, 상기한 구조의 커플링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 및 사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철근 이음부의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에 견디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610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8633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2367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659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플링을 중심으로 그 내부에 마주하는 양측 철근 사이에 고정체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철근 이음부의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을 포함한 내진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플링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 철근을 잇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며,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철근; 상기 커플링의 타측에 구비되며,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커플링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철근; 상기 마주하는 제1철근 및 제2철근의 삽입홈에 결합되어 제1철근 및 제2철근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는 커플링을 중심으로 그 내부에 마주하는 양측 철근 사이에 고정체를 일체가 되게 삽입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커플링 내의 양측 철근의 이음부에 부가되는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을 포함한 내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링의 양측에 단턱홈을 형성하고, 그 단턱홈에 대응되도록 양측 철근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커플링 내에서 양측 철근의 결합지지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중이 일측 철근에 쏠리지 않고 균형적인 결합 지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결합 상태를 알 수 있는 단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턱홈 및 걸림턱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고정체의 다양한 변형 가능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측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실시예의 단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체의 다양한 변형 가능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실시예의 단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고정체의 다양한 변형 가능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는 커플링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 철근을 잇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커플링(10)과,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과, 상기 커플링(10) 내에 위치되고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 사이에 삽입되어 제1철근(20)과 제2철근(30)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플링(1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12)의 내주연에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커플링(10)은 외측 단면형상이 원형이어도 무방하나, 회전이 용이하도록 4각, 6각, 8각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링(10)의 일측에는 제1철근(20)이 구비된다. 제1철근(20)은 도 2에서와 같이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25)가 형성되고,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에는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10)의 타측에는 제2철근(30)이 구비된다. 제2철근(30)은 제1철근(20)과 동일 형태이며, 도 2에서와 같이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35)가 형성되고,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에는 삽입홈(3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주하는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의 삽입홈(21,31)에 결합되는 고정체(40)를 구비한다. 고정체(4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구(球)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31)에 결합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이때 고정체(40)는 도 6에서와 같이 (정)육면체, (정)사면체 등의 다각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40)는 다른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제1철근(20) 또는 제2철근(30)의 전방측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한 구(球) 형태나 다각면체 형태의 고정체(40)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체(40)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반구(半球) 또는 (정)육면체, (정)사면체 등의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도 9에서와 같이 제1철근(20) 또는 제2철근(30)의 전방측에 전향소폭으로 고정체1단(40a)이 형성되고, 고정체1단(40a)의 전방측에 전향소폭으로 고정체2단(40b)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2단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체1단(40a)의 전향소폭 경사각(α1)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0∼90°가 되게 하고, 고정체2단(40b)의 전향소폭 내각(α2)은 0∼180°가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상술된 구(球)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 대신에 도 10에서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도 11에서와 같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상술된 일체형의 반구(半球)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 대신에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원기둥 또는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조에서 커플링(10)과 제1철근(20), 제2철근(3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커플링(10)의 암나사부(15)는 제1철근(20)과 결합되는 일측이 오른나사(15a)로 형성되고, 제2철근(30)과 결합되는 타측이 왼나사(15b)로 형성되며, 제1철근(20)의 수나사부(25) 및 제2철근(30)의 수나사부(35)는 상기 커플링(10)의 오른나사(15a) 및 왼나사(15b)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플링(10)의 양단부측 내주연에 내측으로 단턱홈(17a,17b)을 형성하고, 커플링(10)의 양단부측으로 결합되는 제1철근(20)의 수나사부(25) 및 제2철근(30)의 수나사부(35) 각각의 후방측에 단턱홈(17a,17b)에 밀착되는 걸림턱(27,37)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커플링(10) 내에서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의 결합지지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양측 철근의 이음부에 부가되는 축하중, 측하중 등의 인장력 복합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기에 더욱 유리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플링(10)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의 직경이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실시예로서 도 14에서와 같이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의 직경이 다를 경우에도 커플링(10)의 관통공(12)을 직경이 다른 제1철근(20) 또는 제2철근(30)의 직경에 상응되도록 형성하면 충분히 구현이 가능하다.
10 : 커플링 12 : 관통공
15 : 암나사부 15a : 오른나사
15b : 왼나사 17a,17b : 단턱홈
20 : 제1철근 21,31 : 삽입홈
25,35 : 수나사부 27,37 : 걸림턱
40 : 고정체 40a : 고정체1단
40b : 고정체2단

Claims (8)

  1. 커플링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 철근을 잇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되며, 관통공(12)의 내주연에 암나사부(15)가 형성되는 커플링(10);
    상기 커플링(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25)가 형성되고,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21)이 형성되는 제1철근(20);
    상기 커플링(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 외주연에 수나사부(35)가 형성되고, 커플링(10)과 마주하는 전방측에 삽입홈(31)이 형성되는 제2철근(30);
    상기 마주하는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의 삽입홈(21,31)에 결합되어 제1철근(20) 및 제2철근(30)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구(球)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제1철근(20) 또는 제2철근(30)의 전방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반구(半球) 또는 다각면체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제1철근(20) 또는 제2철근(30)의 전방측에 전향소폭으로 고정체1단(40a)이 형성되고, 고정체1단(40a)의 전방측에 전향소폭으로 고정체2단(40b)이 형성되어 구성되어지되,
    상기 고정체1단(40a)의 전향소폭 경사각(α1)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0∼90°이고, 고정체2단(40b)의 전향소폭 내각(α2)은 0∼180°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0)의 암나사부(15)는 제1철근(20)과 결합되는 일측이 오른나사(15a)로 형성되고, 제2철근(30)과 결합되는 타측이 왼나사(15b)로 형성되며, 제1철근(20)의 수나사부(25) 및 제2철근(30)의 수나사부(35)는 상기 커플링(10)의 오른나사(15a) 및 왼나사(15b)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10)의 양단부측 내주연에 내측으로 단턱홈(17a,17b)을 형성하고, 커플링(10)의 양단부측으로 결합되는 제1철근(20)의 수나사부(25) 및 제2철근(30)의 수나사부(35) 각각의 후방측에 단턱홈(17a,17b)에 밀착되는 걸림턱(27,37)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KR1020130005615A 2013-01-18 2013-01-18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KR20140093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15A KR20140093388A (ko) 2013-01-18 2013-01-18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15A KR20140093388A (ko) 2013-01-18 2013-01-18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388A true KR20140093388A (ko) 2014-07-28

Family

ID=5173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15A KR20140093388A (ko) 2013-01-18 2013-01-18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3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05B1 (ko) * 2016-06-29 2017-02-13 황광현 위치고정장치
KR102415640B1 (ko) * 2021-12-30 2022-07-01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접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05B1 (ko) * 2016-06-29 2017-02-13 황광현 위치고정장치
KR102415640B1 (ko) * 2021-12-30 2022-07-01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0487B2 (ja) ブレース材
KR101223407B1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구조
KR102453525B1 (ko) 구조용 커플러
KR101160999B1 (ko) 철근이음구
KR101708477B1 (ko) 철근연결구
KR20140093388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101208677B1 (ko)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용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KR101507385B1 (ko) 자중 감소를 위한 어댑터 연결구조를 가지는 스페이스 프레임
CN202969731U (zh) 钢筋连接异形套筒
KR20130056134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체
KR102197519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JP3168630U (ja) 鉄筋接続器
KR100411242B1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30089754A (ko)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KR10230169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KR20140099414A (ko) 푸시 앤 그랩 철근 커플러
KR101576773B1 (ko) 철근 연결 장치
JP4257681B2 (ja) 耐震補強筋交い用具及び耐震補強筋交い用具施工方法
KR20180020533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