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73B1 -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73B1
KR101576773B1 KR1020150078610A KR20150078610A KR101576773B1 KR 101576773 B1 KR101576773 B1 KR 101576773B1 KR 1020150078610 A KR1020150078610 A KR 1020150078610A KR 20150078610 A KR20150078610 A KR 20150078610A KR 101576773 B1 KR101576773 B1 KR 10157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screw
fixing
screw portion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태
박광섭
허정민
Original Assignee
(주)보루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루,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보루
Priority to KR102015007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철근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원형 모양인 철근을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두 개의 철근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 철근의 말단에 일부 형성되며, 연결부의 양측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 및 철근의 말단에 나사부의 일부 외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연결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 연결 장치{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철근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긴 봉상으로 제작되는데, 그 제작 및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시켜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근을 교각이나 고층건물 등의 대형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철근들을 수평 또는 수직 등의 방향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는 철근들을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연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는 방법,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6094호(2002.11.14. 등록)는 철근이음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구를 반으로 절단한 형상의 평활 면에 형성된 반원통형 홈과, 홈에 이형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 홈이 형성된 두 쌍의 반구형 편체와, 원통형상으로 직경이 일정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직선부와, 직경의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며 편체와 같은 곡률로 곡면 처리된 곡면부와, 직선부와 곡면부의 사이의 주입구에 형성된 한 쌍의 커플러와, 원통형상으로 양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한 쌍의 커플러와 양쪽으로 체결되는 연결부재와, 커플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커플러 및 연결부재 내부의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에서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철근을 구형의 편체 및 커플러와 결합시켜 구형의 편체 및 커플러는 회전하면서 두 개의 철근이 연결되며 커플러 내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연결된 두 개의 철근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3403호(2015.02.09. 등록)는 두 개의 철근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의 양측에 편심 회전하는 조임부를 갖추어 두 개의 철근이 연결부에 삽입하여 체결한 후에 조임부를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면 편심 회전으로 인해 철근이 조임부에 의해 견고하게 조여짐에 따라 철근의 체결 강도가 강화되며, 조임부의 개방부 선단측에 갖추어진 가이드면에 의해 철근을 개방부측으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연결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두 개의 철근을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의 양측이 개방되어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갖추어진 개방부를 갖는 연결관체와, 개방부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연결관체의 양측끝단에 연장되어 일측으로 편심되는 편심중심점을 기점으로 편심 형성되는 결합관체를 갖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개방부와 동일한 중심점으로 하여 개방되는 개방부를 갖는 조임관체와, 조임관체의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결합관체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관체의 편심중심점과 동일한 중심점으로 갖추어지는 삽입홈부에 형성되는 조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거나,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두 철근의 연결이 단단히 고정될 수 없거나 용접 등과 같이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시에 두 철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609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9340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연결부를 이용하여 철근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면이 원형 모양인 철근을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두 개의 철근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 상기 철근의 말단에 일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 및 상기 철근의 말단에 상기 나사부의 일부 외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나사부는, 다수 개의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한 다수 개의 나사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면에 상기 삽입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부가 회전 체결될 때에 상기 나사부와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재; 및 내측면에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가 삽입될 때에 상기 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부재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재에 걸리기 위한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부재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의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재에 걸리기 위한 제2걸림부재;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다른 일측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말단에 수평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재에 끼워져,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부재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의 양측을 매듭지어 묶어주기 위한 매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면, 또는 외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부재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고정부재가 상기 나사부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3고정부재를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연결부를 이용하여 철근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두 철근의 연결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용접 등과 같이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두 철근의 연결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시에 두 철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철근 단부의 밀착 면적을 높이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철근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철근 단부와 연결부의 사이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연결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부(110)는, 단면이 원형 모양인 철근(즉, 나사부(120)와 삽입홈부(130))을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두 개의 철근을 연결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10)는, 외측면에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 시공 시에 콘크리트와의 밀착 면적을 높여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10)는,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시에 콘크리트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사부(120)는, 철근의 말단에 일부 형성되며, 연결부(110)의 양측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120)는, 다수 개의 나사산(121)과, 나사산(1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한 다수 개의 나사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산(121)은, 단면의 형태가 직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산(121)은, 밀착 면적을 넓혀서 내력을 높이기 위해서, 단면의 형태가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산(121)은, 연결부(110)에 삽입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연결부(110)와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홈(122)은, 삽입홈부(130)와 맞닿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120)는, 연결부(110)와 단단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로 형성될 경우에, 나사부(120)는 철근 말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부(130)는, 철근의 말단에 나사부(120)의 일부 외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연결부(110)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부(130)는, 연결부(110)에 나사부(120)를 단단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로 형성될 경우에, 삽입홈부(130)는 철근 말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부(130)는, 나사산(121)과 맞닿는 부분의 두께가 나사홈(122)과 맞닿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철근 연결 장치(100)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연결부(110)를 이용하여 철근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두 철근의 연결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용접 등과 같이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두 철근의 연결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시에 두 철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연결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110)는, 나사부재(111), 삽입홈부재(112)를 포함한다.
나사부재(111)는, 연결부(110)의 내측면 중에서 삽입홈부(130)(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홈부(130)가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홈부(130)가 회전 체결될 때에 나사부(120)와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는, 단면의 형태가 직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는, 밀착 면적을 넓혀서 내력을 높이기 위해서, 단면의 형태가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는, 나사부(120)(도 1 참조)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사부(120)와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는, 연결부(110)의 내측면 중에서 삽입홈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홈부(130)가 삽입되도록 하며, 나사부(120)와 삽입홈부(130)가 연결부(110)에 회전 체결될 때에 나사부(120)와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는, 연결부(110)에 나사부(120)를 단단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로 형성될 경우에, 나사부재(111)는 연결부(110)의 내측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부재(111)와 삽입홈부재(112)가 각각 1개로 형성될 때에, 반이 나사부재(111)로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이 삽입홈부재(112)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부재(112)는, 연결부(110)의 내측면에 나사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나사부(120)가 연결부(110)에 삽입될 때에 나사부(120)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부재(112)는, 연결부(110)에 나사부(120)를 단단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로 형성될 경우에, 삽입홈부재(112)는 연결부(110)의 내측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110)는,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홈부(130)도 나사부재(111)에 삽입된 후에, 나사부(120)와 삽입홈부(130)가 각각 삽입홈부재(112)와 나사부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줌으로써, 나사부재(111)에 나사부(120)를 회전 체결해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10)는, 나사부재(111), 삽입홈부재(112), 표시부재(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나사부재(111), 삽입홈부재(112)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부재(113)는, 연결부(110) 외측면 중에서 삽입홈부재(11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나사부(120)의 회전 정도를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113)는, 연결부(110) 외측면 중에서 삽입홈부재(112)에 대향하는 위치 혹은 나사부재(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나사부(120)와 삽입홈부(130)가 연결부(110)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할 때에, 나사부(120)가 연결부(110)에서 회전된 위치(바람직하게는, 90ㅀ회전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113)는, 연결부(110) 외측면 중에서 삽입홈부재(112)에 대향하는 위치 혹은 나사부재(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홈으로 형성되어, 나사부(120)와 삽입홈부(130)가 연결부(110)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할 때에, 나사부(120)가 연결부(110)에서 회전된 위치(바람직하게는, 90ㅀ회전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140)는,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되어, 삽입홈부(130)와 연결부(110) 사이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40)는, 삽입홈부재(112)의 개수보다 적게 또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고정부(140)는, 연결부(110)와 나사부(120) 및 삽입홈부(130)의 사이 전체적으로(즉, 삽입홈부재(112) 뿐만 아니라 나사부재(111)에도) 삽입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40)는, 제1고정부재(241), 제1걸림부재(242), 제1지지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40)는, 나사부재(111)에 설치된 후에,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되어 나사부재(111) 측으로 회전할 때에, 나사부(120)에 의해 삽입홈부재(112)로 밀려들어가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체결되었을 때에, 삽입홈부재(112)에 삽입 고정되어,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로 다시 돌아가지 않도록 나사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41)는,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제1걸림부재(242)를 형성하고,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제1지지부재(243)를 형성하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되어, 나사부(120)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재(241)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는데, 나사부재(111)에 설치된 후에,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될 때에 제1삽입홈부재(122)와 나사부재(111) 사이에서 압축되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체결되었을 때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삽입홈부재(1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걸림부재(242)는, 제1고정부재(241)의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나사부재(111)에 걸리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걸림부재(242)는, 나사부재(111) 나사산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나사부(120)와 나사부재(111)가 회전 체결하기 전에 나사부재(111)에 삽입되어 나사부재(11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43)는, 제1고정부재(241)의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241)를 지지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철근 연결 장치(100)는, 나사부(120)의 밀착 면적을 높이도록 형성함으로써, 두 철근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140)를 이용하여, 나사부(120)와 연결부(110)의 사이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하되, 연결부(110)는 제1고정홈부재(114)를 포함하고, 고정부(140)는 제2고정부재(341), 제2걸림부재(342), 제2지지부재(343), 연결부재(344), 끼움부재(3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 고정부(1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고정홈부재(114)는, 연결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끼움부재(345)를 끼워 고정부(140)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홈부재(114)는, 연결부(110)의 상단(혹은, 하단)에서 연결부재(344)와 동일한 높이만큼 떨어진 부분에 끼움부재(345)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끼움부재(345)를 끼울 수 있다.
제2고정부재(341)는,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되어, 나사부(120)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부재(341)는,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제2지지부재(343)를 형성하고,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부재(34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부재(341)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는데, 나사부재(111)에 설치된 후에,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될 때에 삽입홈부재(112)와 나사부재(111) 사이에서 압축되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체결되었을 때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삽입홈부재(1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걸림부재(342)는, 제2고정부재(341)의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나사부재(111)에 걸린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걸림부재(342)는, 나사부재(111) 나사산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나사부(120)와 나사부재(111)가 회전 체결하기 전에 나사부재(111)에 삽입되어 나사부재(111)에 걸릴 수 있다.
제2지지부재(343)는, 일측이 제2고정부재(341)의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341)를 지지해 주며, 다른 일측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연결부재(344)를 형성한다.
연결부재(344)는, 제2지지부재(343)의 다른 일측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344)는, 상부 말단에 제2지지부재(343)를 연결 형성하고, 하부 말단에 수평 내측방향으로 끼움부재(345)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344)는, 제2고정부재(34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제2고정부재(34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345)는, 연결부재(344)의 하부 말단에 수평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고정홈부재(114)에 끼워져, 연결부(110)의 제1고정홈부재(114)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하되, 연결부(110)는 제2고정홈부재(115)를 포함하고, 고정부(140)는 제3고정부재(441), 매듭부재(4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10), 나사부(120), 삽입홈부(130), 고정부(1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3고정부재(441)는, 양측(또는, 일측)에 매듭부재(442)를 형성하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홈부재(112)에 삽입되어, 나사부(120)를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3고정부재(441)는, 예를 들어 케이블타이, 철사 등과 같은 라인을 사용할 수 있는데,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회전 체결된 후에, 삽입홈부(130)와 삽입홈부재(112) 사이를 관통한 다음에, 관통된 양측을 매듭부재(442)에 의해 매듭지어져,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로 다시 돌아가지 않도록 나사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고정부재(441)는, 삽입홈부재(112)의 개수와 같도록 형성되거나 삽입홈부재(112)의 개수보다 많도록 형성되어,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로 다시 돌아가지 않도록 나사부(120)를 더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매듭부재(442)는, 제3고정부재(441)의 양측(또는, 일측)에 형성되어 제3고정부재(441)의 양측을 매듭지어 묶어준다.
제2고정홈부재(115)는, 연결부(110)의 상부면, 또는 외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나사부(120)가 나사부재(111)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제3고정부재(441)가 나사부(120)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제3고정부재(441)를 삽입시켜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홈부재(115)는, 제3고정부재(441)를 삽입 고정시켜 줌으로써, 해당 삽입 고정된 제3고정부재(441)에 의해 나사부(120)가 걸리도록 하여, 나사부(120)가 삽입홈부재(112)로 돌아가지 않도록 더욱더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홈부재(115)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10)에서 나사부재(111)와 삽입홈부재(112)가 맞닿는 부분과 연결되는 위치(또는,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면, 또는 외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홈부재(115)는, 한 개 혹은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일 경우에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홈부재(115)는, 제3고정부재(441)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홈부재(115)는, 연결부(110)의 외측면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철근 연결 장치
110: 연결부
111: 나사부재
112: 삽입홈부재
113: 표시부재
114: 제1고정홈부재
115: 제2고정홈부재
120: 나사부
121: 나사산
122: 나사홀
130: 삽입홈부
140: 고정부
241: 제1고정부재
242: 제1걸림부재
243: 제1지지부재
341: 제2고정부재
342: 제2걸림부재
343: 제2지지부재
344: 연결부재
345: 끼움부재
441: 제3고정부재
442: 매듭부재

Claims (10)

  1. 단면이 원형 모양인 철근을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두 개의 철근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
    상기 철근의 말단에 일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삽입되어 회전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 및
    상기 철근의 말단에 상기 나사부의 일부 외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내측면에 상기 삽입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부가 회전 체결될 때에 상기 나사부와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재; 및
    내측면에 상기 나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가 삽입될 때에 상기 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부재에 회전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홈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의 하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재에 걸리기 위한 제2걸림부재;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 말단에 수평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의 다른 일측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말단에 수평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홈부재에 끼워져,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끼움부재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다수 개의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한 다수 개의 나사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78610A 2015-06-03 2015-06-03 철근 연결 장치 KR10157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10A KR101576773B1 (ko) 2015-06-03 2015-06-03 철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10A KR101576773B1 (ko) 2015-06-03 2015-06-03 철근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773B1 true KR101576773B1 (ko) 2015-12-10

Family

ID=5497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10A KR101576773B1 (ko) 2015-06-03 2015-06-03 철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88B1 (ko) * 2018-05-31 2019-09-20 김윤태 철근용 커플링 소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17B1 (ko) * 2012-06-08 2013-03-18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384789B1 (ko) * 2012-10-19 2014-04-14 태연기계주식회사 무나사부와 나사부를 갖는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17B1 (ko) * 2012-06-08 2013-03-18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KR101384789B1 (ko) * 2012-10-19 2014-04-14 태연기계주식회사 무나사부와 나사부를 갖는 철근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88B1 (ko) * 2018-05-31 2019-09-20 김윤태 철근용 커플링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476Y1 (ko) 고강도 철근 커플러
JP5598783B2 (ja) 鉄筋カプラー
RU2477354C2 (ru) Стержнев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PT2966232T (pt) Dispositivo de união com junta seca entre colunas e vigas de betão reforçado pré-moldado
CN209523353U (zh) 一种可调节连接长度、应力的装配式隔墙连接件
US20200217439A1 (en) Bayonet duct coupler assembly for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
TWI681101B (zh) 一體設有快捷式固定裝置的v形繫筋
KR101576773B1 (ko) 철근 연결 장치
EA037541B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й
KR101493403B1 (ko) 철근 연결장치
KR20160123688A (ko) 확대 헤드가 형성된 분기형 정착철근을 이용한 병렬 전단벽 연결보 보강 구조
KR102023688B1 (ko) 철근용 커플링 소켓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095174B1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10155038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3981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의 체결방법
KR101697010B1 (ko) 보-기둥 접합부 횡보강 철근 구조
KR102417794B1 (ko) 연결이 간편한 이형철근과 이 철근을 연결하기위한 철근커플러
EP1067248A2 (en) Anchoring device for building component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with easy-to-apply element for anchoring to the component
KR20140093388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WO2023227013A1 (en) Swivel spacer
KR20140054691A (ko) 나사철근 연결장치
CN103898988A (zh) 一种用于原竹结构体系的两原竹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