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79B1 -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79B1
KR101550879B1 KR1020140184512A KR20140184512A KR101550879B1 KR 101550879 B1 KR101550879 B1 KR 101550879B1 KR 1020140184512 A KR1020140184512 A KR 1020140184512A KR 20140184512 A KR20140184512 A KR 20140184512A KR 101550879 B1 KR101550879 B1 KR 10155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rame
manhole frame
main body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함태
Original Assignee
(주)옥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련건설 filed Critical (주)옥련건설
Priority to KR102014018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는 맨홀의 맨홀틀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외측면에 일정길이의 안내용 장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고정몸체를 갖추고, 상기 안내용 장공에 대응결합되는 안내돌기를 외측면에 갖는 이동몸체를 갖추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공에 이동몸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이동몸체에 관통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시 직선왕복이동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를 갖는 인상부 ; 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돌기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이동몸체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선회한 상태에서 상기 도로포장면에 하단이 접하는 스크류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맨홀틀과 도로포장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시킨다.

Description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Device for Raising the Manhole Frame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Man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맨홀틀을 인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작업자가 맨홀틀을 인상시켜 높이조절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맨홀틀의 인상높이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인상된 맨홀틀의 하부에 인상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사용없이 인상된 맨홀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점차 증가하고, 고속화 및 중량화에 따라 시간이 흘러 가면서 도로가 점차 노후화되어 설치된 맨홀이 함몰되거나 균열되는 경우 또는 도로의 포장면 덧씌우기 공사로 인하여 맨홀 부위가 도로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질 경우 도로 포장면에 설치된 맨홀을 보수하는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맨홀 보수 공사는 맨홀이 설치되는 도로 포장면 인 아스팔트를 브레커로 파쇄하거나 절단기로서 절단한 다음, 지면 아래에 묻혀 있는 맨홀틀과 더불어 상기 맨홀틀의 상부를 덮고 도로 포장면에 외부노출되는 맨홀커버로 이루어진 맨홀전체 또는 일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거나 기존 맨홀을 재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서 맨홀틀의 최상부면과 도로 포장면을 서로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맨홀틀의 하부에 벽돌과 몰타르를 채워 맨홀틀의 인상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맨홀틀의 주위에 아스콘과 같은 채움재를 채워 넣어 보수작업을 모두 종료하였다.
(특허문헌 1) KR10-1222520 B
(특허문헌 2) KR10-1131731 B
특허문헌 1에는 맨홀틀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과 대응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중앙케이싱의 상,하단과 상,하부조절부재가 각각 나사결합된 복수개의 높이조절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의 외측에 차단링을 배치하여 맨홀틀을 인상시켜 높이를 조절한 다음, 채움재를 채우고 도로면과 일치되도록 평탄화하는 맨홀보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구비되는 맨홀 앵커부와 맨홀틀을 결합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를 차단부로서 임시 차단한 다음, 상기 맨홀틀과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사이에 일정높이를 갖는 높이 조절부를 삽입배치하여 상기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이 서로 같아지도록 맨홀틀을 인상시킨 다음, 채움재를 채우고 도로면과 일치되도록 평탄화하는 맨홀보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맨홀보수방법은 작업자가 맨홀틀과 콘크리트구조물사이에 높이조절부를 삽입배치해야만 하고, 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높이조절부를 조작하여 맨홀틀의 상단이 도로포장면과 같아지도록 인상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높이조절부의 배치 및 맨홀틀의 인상시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과다해지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맨홀보수방법은 높이조절된 맨홀틀의 외측으로 채워지는 몰타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를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맨홀틀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에 차단링을 배치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임시로 차단하는 차단부를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도로 포장면보다 낮은 곳에 차단링 및 차단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에 의해서 업무부하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단링의 경우, 맨홀보수작업후 수거하여 재사용이 곤란하기 때문에 맨홀보수작업시 소요되는 시공비용을 가중시키는 한편 몰타르의 유실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가 맨홀틀을 인상시켜 높이조절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맨홀틀의 인상높이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인상된 맨홀틀의 하부에 인상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사용없이 인상된 맨홀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는 맨홀의 맨홀틀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외측면에 일정길이의 안내용 장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고정몸체를 갖추고, 상기 안내용 장공에 대응결합되는 안내돌기를 외측면에 갖는 이동몸체를 갖추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공에 이동몸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이동몸체에 관통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시 직선왕복이동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를 갖는 인상부 ; 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돌기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이동몸체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선회한 상태에서 상기 도로포장면에 하단이 접하는 스크류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맨홀틀과 도로포장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 내,외측면에 단부가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고정나사를 갖는 좌우한쌍의 측판과,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끼워져 배치된 좌우한쌍의 측판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면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조절나사를 갖추어 연결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몸체는 밀폐된 일단에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조립되는 조립용 나사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된 일단에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도로포장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그 반대측 타측면에 각각 절개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용 장공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일시 정지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원형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상기 도로포장면과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도로포장면과 접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의 회전조작봉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작봉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사각공에 대응 결합되는 사각돌기를 갖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스크류부재의 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고,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지는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단계 ; 상기 맨홀커버가 제거된 맨홀틀이 외부노출되도록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파쇄하고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일부가 외부노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 인상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상기 맨홀틀과 결합고정되도록 본체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면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고정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를 외측으로 당긴 다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조립된 스크류부재의 일단부가 도로포장면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면이 서로 같아지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 패커에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틀의 하부면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의 간격과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패커를 부피팽창시키는 단계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맨홀틀의 하부까지 1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한 다음, 경화시켜 높이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높이조절층의 상부에 2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몰타르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경화된 몰타르 마감층의 상부에 아스콘을 덮어 형성되는 보수층을 평탄화하여 마무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고,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지는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단계 ; 상기 맨홀커버가 제거된 맨홀틀이 외부노출되도록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파쇄하고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일부가 외부노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 인상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상기 맨홀틀과 결합고정되도록 본체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면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고정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를 외측으로 당긴 다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조립된 스크류부재의 일단부가 도로포장면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면이 서로 같아지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 패커에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틀의 하부면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의 간격과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패커를 부피팽창시키는 단계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맨홀틀의 하부까지 1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한 다음, 경화시켜 높이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경화된 높이조절층의 상부에 2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몰타르 마감층에 의해서 마무리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커는 공기주입시 부피가 팽창되는 고무튜브와, 그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라인을 구비하는 튜브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연결판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절곡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인상대상물인 맨홀틀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는 본체프레임을 구비하고, 본체프레임의 손잡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동몸체를 고정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선회작동시킨 다음,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부재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중량물인 맨홀틀의 상단이 도로포장면과 일치되도록 맨홀틀을 정밀하고 간편하게 일정높이 인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맨홀틀을 인상하여 보수하는 작업을 작업자의 업무부담없이 수행할 수 있다.
(2) 인상된 맨홀틀와 콘크리트구조물사이에 채워진 몰타르 채움재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높이조절층에 의해서 인상된 맨홀틀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절링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맨홀틀의 하부에 배치하여 지지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보수공정을 단순화하고, 부재의 사용을 줄여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한편, 맨홀을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도로교통 체증현상을 줄일 수 있고, 작업생산성 및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틀 인상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틀 인상장치에 채용되는 손잡이부와 인상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틀 인상장치와 맨홀틀간의 결합고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틀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을 보수하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틀 인상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커버(2)와 맨홀틀(3)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는 맨홀의 맨홀틀을 인상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10), 손잡이부(120) 및 인상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인상대상물인 맨홀틀(3)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111)을 구비하는 금속구조물이다.
이러한 본체프레임(110)은 상기 맨홀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는 원형링 형상의 금속 구조물로 이루어져 맨홀보수 작업을 위한 맨홀틀 인상시 상기 맨홀틀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1)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되거나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대략 "ㄷ" 자형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11)은 상기 맨홀틀(3)의 상단테두리 내,외측면에 단부가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고정나사(112a)를 갖는 좌우한쌍의 측판(112)과, 상기 맨홀틀(3)의 상단테두리에 끼워져 배치된 좌우한쌍의 측판(112)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단면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조절나사(113a)를 갖추어 연결판(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13)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의 회전조작에 상기 맨홀틀(3)의 상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도로포장면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을 인상대상물인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를 잠김방향으로 체결하여 맨홀틀의 내,외측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맨홀틀과 본체프레임은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복수개의 고정몸체(12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121)는 외측면에 일정길이의 안내용 장공(123)을 관통형성한 중공형 금속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121)의 내부공에는 이동몸체(122)가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며, 상기 이동몸체(122)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안내돌기(124)는 상기 고정몸체(121)의 안내용 장공(123)에 대응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121)의 밀폐된 일단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결합공(112)에 대응결합되어 조립되는 조립용 나사부재(121a)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121)의 개방된 일단에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도로포장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그 반대측 타측면에 절개된 개구부(121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24)는 상기 안내용 장공(123)과 대응하는 이동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공(124a)중 어느 하나에 선단이 교체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용 장공(123a)에는 상기 고정몸체(121)에 대한 이동몸체(122)의 회전조작시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안내돌기(124)가 일시 정지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원형공(123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121)의 내부공에 삽입배치된 이동몸체(122)의 선단이 상기 고정몸체(121)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고, 상기 안내돌기(124)가 상기 안내용 장공에 형성된 원형공(123a)에 위치될 때까지 외측로 인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돌기(124)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프레임과 마주하는 이동몸체의 선단을 도로포장면과 대응하도록 대략 90도 선회시키면, 상기 도로포장면과 나란한 고정몸체에 대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대략 직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22)의 조립공(124a)에 선단이 나사조립된 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안내돌기(124)의 후단에 형성된 나사머리부가 고정몸체(121)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접해짐으로써,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선회작동된 이동몸체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상부(130)는 상기 이동몸체(122)의 몸체중앙에 관통형성된 나사공(132)에 나사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조작시 직선왕복이동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1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류부재(131)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상기 도로포장면과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도로포장면과 접하는 접촉부재(133)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타단에는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의 회전조작봉(13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작봉(134)은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단부에 형성된 사각공(131a)에 대응 결합되는 사각돌기(134a)를 갖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조작봉(134)의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조작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용 손잡이(135)를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몸체(122)의 안내돌기(124)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이동몸체(122)가 대략 수평한 고정몸체(121)에 대해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도로포장면에 하단에 구비된 접촉부재가 접하는 스크류부재를 정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부재와 나사공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맨홀틀과 일체로 결합된 본체프레임을 일정높이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맨홀틀(3)을 콘크리트 구조물(5)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이동시키는 인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맨홀틀(3)의 인상작업은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상기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포장면(R)이 서로 같아지도록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보수방법은 일정크기의 개구부(4)를 갖추어 도로 포장면(R)의 하부에 묻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5)과 상기 도로 포장면(R)과의 사이에 매설되는 맨홀틀(3)과, 이에 덮어지도록 조립되는 맨홀커버(2)로 이루어진 맨홀(1)이 도로 포장면(R) 보다 하부로 일정깊이 침하되는 경우 상기 맨홀(1)을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맨홀틀을 일정높이 인상시켜 보수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보수 대상물인 맨홀(1)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R)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도로 포장면(R)을 절단하는 작업은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의 최대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절단선(C)을 따라 미도시된 공지의 원형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맨홀(1)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R)을 상기 원형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절단하거나 다수의 비트가 장착된 회전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도로 포장면을 원형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1)은 원반형의 맨홀커버(2)와 원형의 맨홀틀(3)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사각판상의 맨홀커버와, 사각형의 맨홀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맨홀의 외측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작업은 상기와 같은 원형절단장치가 아닌 직선형 절단장치로서 직선형으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된 도로 포장면(R)은 제거가 용이하도록 미도시된 브레커로서 작은 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파쇄된 도로 포장면(R)의 파쇄물과 더불어 기설치된 맨홀틀(3)외측에 있던 토양을 제거하게 되면, 도 4b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의 상면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대략 수직한 내벽을 갖는 공간부(P)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커버(2)가 제거된 맨홀틀(3)의 상단테두리에는 좌우한쌍의 측판(112)과 연결판(113)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11)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한 다음,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112)에 구비된 고정나사(112a)를 체결방향으로 체결하여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맨홀틀 인상장치(100)의 본체프레임을 맨홀틀의 직상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맨홀틀(3)의 인상작업이 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110)과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외부면에 조립된 손잡이부(120)의 고정몸체(121)는 도로 포장면(R)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20)의 고정몸체(12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122)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공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가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안내돌기는 안내용 장공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122)의 일단이 상기 고정몸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121b)를 통해 노출되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돌기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대략 90°회전시키면, 도로 포장면과 대략 나란하게 수평한 고정몸체(121)에 대해 이동몸체가 수직한 상태를 갖도록 선회작동되고, 이러한 이동몸체의 수직상태는 상기 이동몸체(122)의 조립공(124a)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부재로 이루어지는 안내돌기(124)의 후단에 형성된 나사머리부가 고정몸체(121)에 밀착되어 접해지면서 맨홀틀의 인상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연속하여, 도 4d 와 도 4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21)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도록 선회작동된 이동몸체(122)의 나사공(132)에 조립된 스크류부재(131)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의 단부에 구비된 접촉부재(133)가 도로 포장면에 접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스크류부재(131)를 일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고정몸체(121)에 구속된 이동몸체(122)에 대하여 스크류부재(131)를 하향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면이 서로 같아지도록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으로부터 맨홀틀(3)을 일정높이 인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113)는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선단인 하단에 구비된 회전지지구(113a)와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결합부재(133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131)의 회전조작에 관계없이 도로 포장면(R)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부재가 접하게 되는 도로 포장면(R)이 경사지거나 평탄하지 않아도 상기 스크류부재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맨홀틀을 인상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공기의 강제 주입시 부피가 팽창되는 패커(140)를 이용하여 일정높이 인상된 맨홀틀(3)의 하부면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95)의 상면사이에 형성되는 간격(G)과, 상기 맨홀틀과 대응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5a)를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차단작업은 도 4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틀(3)의 개구된 중앙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의 개구부(5a)에 상기 패커(140)의 수축된 고무튜브(141)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커(140)의 튜브연결판(142)에 형성된 공기주입라인(143)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맨홀틀의 내부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부면에 외부면이 밀착되도록 부피팽창되는 고무튜브(141)에 의해서 상기 맨홀틀(3)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에 형성되는 간격(G)과, 상기 개구부(5a)를 차단하여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커(140)는 공기주입시 부피가 팽창되는 고무튜브(141)와, 그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라인(143)과 더불어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라인(144)을 갖는 튜브연결판(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튜브연결판(142)에는 상기 고무튜브에 주입되는 공기의 내부압을 측정하여 부피팽창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14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연결판(142)은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거나 걸쳐지도록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패커(140)와 본체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탈착가능하게 연결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프레임을 맨홀틀 상부에 배치하는 작업과 더불어 상기 패커의 고무튜브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에 배치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고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는 작업을 패커의 자중에 의한 패커의 하부낙하 염려없이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연결판의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접촉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응하는 영역에 절개홈을 절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주입 및 배출라인(143,144)에는 공기의 주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어밸브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고무튜브에 주입되는 공기는 상온의 외부공기이거나 고온으로 가열된 열풍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커(140)에 의해서 상기 간격(G)과 개구부(5a)가 차단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도 4g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층(151)을 형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상기 높이조절층(151)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맨홀틀의 하부까지 1차로 일반시멘트 또는 초속경시멘트, 모래 및 골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타설하여 충진한 다음, 이를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상장치에 의해서 높이조절된 맨홀틀(3)은 경화된 높이조절층(151)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타설된 높이조절층(151)이 경화하게 되면, 상기 맨홀틀의 인상작업시 사용되었던 본체프레임과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인상장치(100)는 맨홀틀로부터 분리되어 수거되고, 이와 동시에,상기 공기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해진 고무튜브를 갖는 패커(140)도 맨홀틀로부터 분리하여 수거된다.
최종적으로, 마무리 단계는 상기 높이 조절층(151)이 완전히 경화된 상태에서 도 4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타르 마감층(152) 및 아스콘을 덮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상기 몰타르 마감층(152)은 상기 높이조절층(151)의 상부면으로부터 도로포장면(R) 근방까지 2차로 일반시멘트 또는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몰타르 마감층(152)을 형성하고, 상기 몰타르 마감층(152)이 경화된 다음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몰타르 마감층의 상부면에 아스콘을 덮고 평탄화하여 마무리하는 것이다.
즉, 경화된 몰타르 마감층(152)의 상부면에 아스콘소재로 이루어지는 보수층(153)을 도로 포장면(R)까지 채우고, 상기 맨홀틀(3)에는 맨홀커버(2)를 덮어 맨홀(1)을 조립완성한 다음 진동력을 제공하는 다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보수층(153)과 도로 포장면(R)이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평탄화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맨홀보수작업을 모두 종료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맨홀보수작업의 마무리단계는 상기 몰타르 마감층의 상부에 도로포장면과 같아지도록 아스콘을 덮어 보수층을 형성하여 마무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조절층(151)이 경화된 다음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2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덮어 몰타르 마감층(152)을 형성하여 마무리함으로써 보수층을 형성하는 아스콘의 사용없이 맨홀보수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맨홀
2 : 커버
3 : 맨홀틀
110 : 본체프레임
111 : 고정브라켓
112 : 측판
113 : 연결판
120 : 손잡이부
121 : 고정몸체
122 : 이동몸체
123 : 안내용 장공
124 : 안내돌기
130 : 인상부
131 : 스크류부재
132 : 나사공
133 : 접촉부재
134 : 회전조작봉
140 : 패커
141 : 고무튜브
142 : 튜브연결판
151 : 높이조절층
152 : 몰타르 마감층
153 : 보수층

Claims (11)

  1.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는 맨홀의 맨홀틀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외측면에 일정길이의 안내용 장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고정몸체를 갖추고, 상기 안내용 장공에 대응결합되는 안내돌기를 외측면에 갖는 이동몸체를 갖추어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공에 이동몸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 ; 및
    상기 이동몸체에 관통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조작시 직선왕복이동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를 갖는 인상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된 일단에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도로포장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그 반대측 타측면에 각각 절개된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돌기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이동몸체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선회한 상태에서 상기 도로포장면에 하단이 접하는 스크류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맨홀틀과 도로포장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 내,외측면에 단부가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고정나사를 갖는 좌우한쌍의 측판과, 상기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끼워져 배치된 좌우한쌍의 측판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면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나사공에 조립되는 조절나사를 갖추어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밀폐된 일단에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조립되는 조립용 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용 장공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일시 정지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원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이동몸체의 선회작동시 상기 도로포장면과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도로포장면과 접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스크류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의 회전조작봉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작봉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사각공에 대응 결합되는 사각돌기를 갖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스크류부재의 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틀 인상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맨홀틀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고,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지는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단계 ;
    상기 맨홀커버가 제거된 맨홀틀이 외부노출되도록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파쇄하고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일부가 외부노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 인상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상기 맨홀틀과 결합고정되도록 본체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면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고정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를 외측으로 당긴 다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조립된 스크류부재의 일단부가 도로포장면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면이 서로 같아지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 패커에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틀의 하부면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의 간격과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패커를 부피팽창시키는 단계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맨홀틀의 하부까지 1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한 다음, 경화시켜 높이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높이조절층의 상부에 2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몰타르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경화된 몰타르 마감층의 상부에 아스콘을 덮어 형성되는 보수층을 평탄화하여 마무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는 공기주입시 부피가 팽창되는 고무튜브와, 그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라인을 구비하는 튜브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연결판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맨홀틀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 포장면과의 사이에 매설되고, 맨홀틀과 맨홀커버로 이루어지는 맨홀을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측에 해당하는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단계 ;
    상기 맨홀커버가 제거된 맨홀틀이 외부노출되도록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파쇄하고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 일부가 외부노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 인상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맨홀틀의 상단테두리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상기 맨홀틀과 결합고정되도록 본체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면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고정몸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몸체를 외측으로 당긴 다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선회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이동몸체의 나사공에 조립된 스크류부재의 일단부가 도로포장면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과 연결된 맨홀틀의 상단과 도로 포장면이 서로 같아지도록 상기 맨홀틀을 인상하는 단계 ;
    상기 맨홀틀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 패커에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틀의 하부면과 콘크리트 구조물사이의 간격과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패커를 부피팽창시키는 단계 ;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으로부터 맨홀틀의 하부까지 1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한 다음, 경화시켜 높이조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도록 경화된 높이조절층의 상부에 2차로 일정량의 몰타르 채움재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몰타르 마감층에 의해서 마무리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는 공기주입시 부피가 팽창되는 고무튜브와, 그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라인을 구비하는 튜브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연결판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방법.
KR1020140184512A 2014-12-19 2014-12-19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KR10155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512A KR101550879B1 (ko) 2014-12-19 2014-12-19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512A KR101550879B1 (ko) 2014-12-19 2014-12-19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79B1 true KR101550879B1 (ko) 2015-09-08

Family

ID=5424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512A KR101550879B1 (ko) 2014-12-19 2014-12-19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519A (ko) * 2019-04-22 2020-10-30 박성병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KR102297777B1 (ko) * 2021-06-18 2021-09-02 이택진 맨홀 보수작업을 위한 자세조절장치
KR102487515B1 (ko) * 2021-08-10 2023-01-11 주식회사 윤도건설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CN117686036A (zh) * 2024-02-02 2024-03-12 杭州临安腾泰实业有限公司 基于nb-iot技术的物联网智能井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2515B2 (ja) * 1994-04-11 1997-09-10 一彦 河野 マンホール蓋用開閉装置
JP3134468B2 (ja) * 1992-03-31 2001-02-13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用紙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14537B1 (ko) * 2012-01-11 2013-10-04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보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468B2 (ja) * 1992-03-31 2001-02-13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用紙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52515B2 (ja) * 1994-04-11 1997-09-10 一彦 河野 マンホール蓋用開閉装置
KR101314537B1 (ko) * 2012-01-11 2013-10-04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보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519A (ko) * 2019-04-22 2020-10-30 박성병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KR102221486B1 (ko) * 2019-04-22 2021-02-26 박성병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KR102297777B1 (ko) * 2021-06-18 2021-09-02 이택진 맨홀 보수작업을 위한 자세조절장치
KR102487515B1 (ko) * 2021-08-10 2023-01-11 주식회사 윤도건설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CN117686036A (zh) * 2024-02-02 2024-03-12 杭州临安腾泰实业有限公司 基于nb-iot技术的物联网智能井盖
CN117686036B (zh) * 2024-02-02 2024-05-03 杭州临安腾泰实业有限公司 基于nb-iot技术的物联网智能井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879B1 (ko)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KR101454224B1 (ko) 노면의 파쇄와 절단을 수행하는 가변형 원형절단기와 콤파스형 높이조절기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0869969B1 (ko) 맨홀인상보수공법
KR100773122B1 (ko) 맨홀보수공법
KR100661049B1 (ko)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KR101131731B1 (ko) 맨홀보수방법 및 맨홀보수구조
KR102200719B1 (ko) 엔드밀을 이용한 맨홀 보수용 도로 절삭 장치
KR102065087B1 (ko) 가변 지지형 절단기와 인상기를 구비하는 맨홀 보수 장치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KR101630346B1 (ko) 맨홀 보수공법
KR101614021B1 (ko) 맨홀 뚜껑 철거기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뚜껑의 보수 방법
KR101644784B1 (ko) 높이 재조정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높이조절방법
KR101417834B1 (ko) 맨홀 보수공법
KR102257274B1 (ko) 맨홀보수용 맨홀틀 인상장치
KR100905728B1 (ko) 맨홀 보수기구와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KR101222520B1 (ko) 맨홀보수방법
KR101244796B1 (ko)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KR102487515B1 (ko)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KR101409777B1 (ko) 열풍을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KR20090132024A (ko) 맨홀보수방법 및 맨홀보수구조
KR20160046396A (ko)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KR102120594B1 (ko) 엔드밀을 이용한 맨홀 보수용 절삭 장치
KR102155593B1 (ko) 노면 절단 및 파쇄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1075180B1 (ko) 맨홀보수방법
CN213321007U (zh) 一种自动凿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