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486B1 -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 Google Patents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486B1
KR102221486B1 KR1020190046426A KR20190046426A KR102221486B1 KR 102221486 B1 KR102221486 B1 KR 102221486B1 KR 1020190046426 A KR1020190046426 A KR 1020190046426A KR 20190046426 A KR20190046426 A KR 20190046426A KR 102221486 B1 KR102221486 B1 KR 10222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nhole
mortar
brick
morta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519A (ko
Inventor
박성병
Original Assignee
박성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병 filed Critical 박성병
Priority to KR102019004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4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컷팅단계(S10), 시공홈형성단계(S20), 맨홀철개분리단계(S30), 파손층제거단계(S40), 벽돌층형성단계(S50), 제1몰탈층형성단계(S60), 맨홀철개 재안착단계(S70), 제2몰탈층형성단계(S80), 포장홈형성단계(S90), 포장재층형성단계(S100), 미장마감단계(S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탈층을 압착 성형하고, 투수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벽돌을 이용하여 맨홀철개를 지지함으로써, 별도의 몰탈층 양생 기간 없이 수 시간 내에 보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게 되어 교통 불편을 줄이고, 노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Manhole height adjustment repair work method}
본 발명은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 승고 보수공사 과정에서 몰탈층을 압착 성형하고, 투수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벽돌을 이용하여 맨홀철개를 지지함으로써, 별도의 몰탈층 양생 기간 없이 수 시간 내에 보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차량 통행 제한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 불편을 줄이고, 노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한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맨홀(manhole)은 노면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을 말하는데, 설치되는 장소는 지하에 설치되는 관로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거나, 관로의 기점 또는 교차점, 또는 관로의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 지점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 설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의 (가)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와 연통되게 맨홀본체(A)를 설치하되, 맨홀본체의 상부에는 원형으로 된 통공(B)이 형성되어, 통공의 바깥쪽으로 소정 폭만큼 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C)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금속재로 된 맨홀철개(D)를 안착시킨 후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콘크리트층(E)이 형성되게 소정 기간 양생시킨 후,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위에 다시 아스팔트(F)를 타설하여 맨홀철개의 상단면과 노면의 높이가 일치되게 한다.
한편, 도 1의 (나)와 같이 맨홀의 설치가 완료된 후, 맨홀이 설치된 노면으로 차량이 통행하게 되면, 계속적인 하중과 진동으로 인해 상기 맨홀을 구성하는 벽돌층이 파손되거나, 콘크리트층이 파손되면서 침하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맨홀철개가 침하되면서 맨홀철개의 상단면과 노면 간에 단차(G)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맨홀이 설치된 노면의 시멘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표층재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도로 보수공사를 행하는 과정에서 표층재를 기존 노면에 덧씌우는 보수공사를 수행하는 맨홀철개의 상단면과 보수가 이루어진 노면 간에 단차(G)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맨홀철개의 침하로 인해 맨홀과 노면 간에 단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차량이 고속으로 맨홀 위를 통과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타이어가 받게 되는 충격 때문에 타이어가 찢어지거나 휠이 파손될 수 있으며, 차량의 현가장치에도 심각한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심한 경우 단차가 발생한 맨홀에 빠진 바퀴 때문에 핸들이 급하게 틀어져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고속에서 맨홀의 깊은 단차를 만난다면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침하된 맨홀철개의 높이를 높여 노면과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맨홀의 승고 보수공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맨홀의 승고 보수공사를 수행할 때에는 먼저 맨홀이 설치된 노면을 절삭한 후, 절삭부를 굴착하여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층을 제거하고, 맨홀철개를 노면에서 분리한 후, 파손된 벽돌층을 제거하고, 다시 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맨홀철개를 안착시키고,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이 완전 경화되게 2~3일간 양생시킨 후,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위에 다시 아스팔트를 타설하여 맨홀철개의 상단면과 노면의 높이가 일치시킴으로써 맨홀의 승고 보수공사가 완료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를 수행할 때에는 작업 공간의 확보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맨홀 주변에 안전팬스를 설치하여 차량 통행을 통제한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에 소요되는 2~3일간 차량 통행의 통제가 불가피하여 장시간 교통의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사 기간이 2~3일간 소요됨으로써, 그에 따른 노무비용이 증가되는 단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2024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 승고 보수공사 과정에서 몰탈층을 압착 성형하고, 투수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벽돌을 이용하여 맨홀철개를 지지함으로써, 별도의 몰탈층 양생 기간 없이 수 시간 내에 보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게 한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은, 노면에 노출된 맨홀철개(20)의 상단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노면을 환상으로 컷팅하는 단계(S10);
상기 컷팅된 노면을 굴착하고, 노면의 포장재층(80)을 제거하여 시공홈(30)을 형성하는 단계(S20);
매설되었던 맨홀철개(20)를 지면으로 분리 배출하는 단계(S30);
파손된 콘크리트층과 벽돌층을 제거하는 단계(S50);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콘크리트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40)을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조적된 벽돌층(40) 상부에 소정 두께로 몰탈을 타설하여 제1몰탈층(50)을 형성하는 단계(S60);
상기 분리되었던 맨홀철개(20)를 상기 제1몰탈층(50) 상부에 재안착시켜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계(S70);
상기 재안착된 맨홀철개(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시공홈(30)에 제2몰탈층(60)을 형성하고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1차 다짐하는 단계(S80);
상기 다짐된 제2몰탈층(60)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포장홈(70)을 형성하는 단계(S90);
상기 포장홈(70)에 포장재를 타설하여 포장재층(80)을 형성하고 2차 다짐하여 포장재층(80)의 표면과 노면을 일치시키는 단계(S100);
환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벽돌층(40)과 제1몰탈층(50)의 내면을 시멘트로 미장하여 미장마감층(90)을 형성하는 단계(S110); 를 포함한다.
상기 벽돌층(40)은 콘크리트벽돌로 조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홈(70)은 5 내지 7㎝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몰탈층(50)은 시멘트, 모래, 자갈과 물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시멘트콘크리트몰탈로 형성되되, 몰탈 슬럼프 값 3~5으로 되직하게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몰탈층(60)은 시멘트, 모래, 자갈과 물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시멘트콘크리트몰탈로 형성되되, 몰탈 슬럼프 값 3~5으로 되직하게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콘크리트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40)을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소정 두께로 된 환상의 투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되었던 맨홀철개(20)를 상기 제1몰탈층(50) 상부에 재안착시키는 단계에 앞서, 제1몰탈층(50) 상부에 와이어매시층(110)을 형성하는 단계(S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몰탈층 양생 기간 없이 수 시간 내에 맨홀 승고 보수공사가 완료되게 함으로써 도로의 차량 통행 제한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 불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수 시간 만에 모든 작업이 완료됨으로써 노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의 (가)는 통상의 맨홀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나)는 통상의 맨홀 설치 후 단차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설치 구조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수시트층 형성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수시트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매시층 형성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매시층을 나타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설치 구조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3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은 노면컷팅단계(S10), 시공홈형성단계(S20), 맨홀철개분리단계(S30), 파손층제거단계(S40), 벽돌층형성단계(S50), 제1몰탈층형성단계(S60), 맨홀철개 재안착단계(S70), 제2몰탈층형성단계(S80), 포장홈형성단계(S90), 포장재층형성단계(S100), 미장마감단계(S110)를 포함한다.
상기 노면컷팅단계(S10)는, 노면에 노출된 맨홀철개(20)의 상단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노면을 환상으로 컷팅한다.
즉, 통상의 원형컷팅기를 이용해, 노면에 노출되는 맨홀철개(20)의 상단면 가장자리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노면을 컷팅함으로써 환상의 절단선(301)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시공홈형성단계(S20)는, 환상의 절단선(301) 내부의 노면을 굴착한 후 노면의 포장재층(80)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환상으로 된 소정 깊이의 시공홈(30)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존에 시공된 맨홀철개(20)의 플랜지가 시공홈(30)을 통해 노출된다.
이때 노면의 굴착은 수동형 브레이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맨홀철개분리단계(S30)는, 기존에 매설되었던 맨홀철개(20)를 지면으로 들어 올려 분리 배출한다.
상기, 파손층제거단계(S40)는 노면 위 차량의 통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계속적인 하중과 진동으로 인해 파손된 콘크리트층과 벽돌층을 제거한다.
상기 벽돌층형성단계(S50)는,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벽돌을 조적하여 새로운 벽돌층(40)을 형성한다.
이때 벽돌층(40)은 적어도 1층 이상으로 조적할 수 있다.
또한, 새로 조적되는 벽돌층(4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맨홀 본체(10)의 상부에는 소정 두께로 몰탈층을 형성한 후, 그 몰탈층 위에 벽돌을 조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벽돌층(40)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벽돌은 시멘트와 모래, 자갈 등이 혼합된 콘크리트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벽돌의 KS 기준 압축강도는 8~13N/㎟이며, 점토벽돌과 비교하여 투수 성능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몰탈층형성단계(S60)는, 상기 조적된 벽돌층(40) 상부에 소정 두께로 몰탈을 타설하여 제1몰탈층(50)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몰탈층(50)의 형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몰탈은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몰탈, 에폭시수지몰탈, 우레탄수지몰탈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 사용하되, 시공 편의성, 시공비, 접착력,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멘트, 모래, 자갈과 물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은, 몰탈 슬럼프 값 3~5으로 되직하게 혼합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혼합된 수분의 배출 및 제1몰탈층(50)의 형성이 더욱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몰탈층(50)은 콘크리트벽돌이 방사상으로 조적된 벽돌층(40) 사이 사이에 충진되면서 벽돌층(40)의 조적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몰탈층(50)의 양생이 완료되었을 때 벽돌층(40)의 조적 구조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벽돌층(40)의 상부에 쌓이는 제1몰탈층(50)의 두께는 3 내지 7㎝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맨홀철개재안착단계(S70)는, 상기 분리되었던 맨홀철개(20)를 상기 제1몰탈층(50) 상부에 재안착시켜 수직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맨홀철개(20)의 가압하중은 50 내지 200㎏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홀철개(20)의 가압하중이 50㎏ 미만이면, 맨홀철개(20)의 부착성이 떨어지고, 가압하중이 200㎏을 초과하면, 제1몰탈층(5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맨홀철개(20)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1몰탈층(50)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면서 제1몰탈층(50) 하부에 있는 벽돌층(40)으로 스며들게 되는데, 상기 벽돌층(40)은 투수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벽돌로 조적됨에 따라 제1몰탈층(50)에서 배출된 수분이 벽돌층(40)을 통해 지반으로 배출됨에 따라 제1몰탈층(50)의 신속한 양생이 가능케 된다.
아울러, 맨홀철개(20)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맨홀철개(20)의 플랜지부가 제1몰탈층(50)에 소정 깊이로 투입됨에 따라 제1몰탈층(50)의 양생이 완료되었을 때, 맨홀철개(20)가 제1몰탈층(50)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됨으로써 맨홀철개(2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제2몰탈층형성단계(S80)는, 재안착된 맨홀철개(20)가 고정되도록 시공홈(30)에 몰탈을 타설하여 제2몰탈층(60)을 형성하고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다짐한다.
상기 제2몰탈층(60)의 형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몰탈은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몰탈, 에폭시수지몰탈, 우레탄수지몰탈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 사용하되, 시공 편의성, 시공비, 접착력,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멘트, 모래, 자갈과 물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시멘트콘크리트몰탈은, 몰탈 슬럼프 값 3~5으로 되직하게 혼합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혼합된 수분의 배출 및 제2몰탈층(60)의 가압 다짐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제2몰탈층(60)의 다짐은 도로 공사 등에서 노면 다짐에 주로 사용되는 콤팩터나 래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제2몰탈층(60)을 다짐함으로써 제2몰탈층(60)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됨에 따라 제2몰탈층(60)의 신속한 양생이 가능케 된다.
상기 포장홈형성단계(S90)는, 다짐된 제2몰탈층(60)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포장홈(70)을 형성한다.
포장홈(70)은 5 내지 7㎝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짐된 제2몰탈층(60)은 양생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소정 깊이로 포장홈(70)을 신속하게 굴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장재층형성단계(S100)는, 포장홈(70)에 포장재를 타설하여 포장재층(80)을 형성하고 2차 다짐하여 포장재층(80)의 표면과 노면을 일치시킨다.
상기 포장재층(80)을 형성하는 포장재는 기존에 노면 포장에 사용된 포장재와 동일한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포장재층(80)의 다짐은 도로 공사 등에서 노면 다짐에 주로 사용되는 콤팩터나 래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미장마감단계(S110)는, 맨홀철개(20)의 지지를 위하여 환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벽돌층(40)과 제1몰탈층(50)의 내면을 시멘트로 미장 마감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을 통해 수 시간 내에 맨홀 승고 보수공사가 완료됨으로써, 미장마감단계 후 바로 차량의 통행이 가능케 되어 제1몰탈층(50) 및 제2몰탈층(60)의 양생을 위한 별도의 교통 통제가 불필요함에 따라 도로의 차량 통행 제한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 불편을 줄이고, 노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수시트층 형성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수시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콘크리트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40)을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소정 두께로 된 환상의 투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투수시트층(100)이 벽돌층(40)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맨홀철개재안착단계(S70)에서 맨홀철개(20)에 의해 가압되는 제1몰탈층(50)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벽돌층(40)을 통해 투수될 때, 벽돌층(40) 하부에 형성된 투수시트층(100)이 벽돌층(40)을 통과한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지반으로 투수시킴으로써 제1몰탈층(50)의 수분 배출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해짐에 따라 제1몰탈층(50)의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수시트층(100)은 수분의 흡수 및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수분 및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PET, PP, PE 소재로 되고, 상부 하중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게 충분한 인장을 갖는 부직포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다른 소재로 된 투수시트를 적어도 2단 이상으로 다단 구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투수시트층(100)의 두께는 2~10㎜이고, 투수계수는 10cm/sec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소정 두께로 투수시트층(100)이 형성됨에 따라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벽돌층(40)의 파손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매시층 형성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매시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리되었던 맨홀철개(20)를 상기 제1몰탈층(50) 상부에 재안착시키는 단계에 앞서, 제1몰탈층(50) 상부에 와이어매시층(110)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이어매시층(110)을 제1몰탈층(50)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맨홀철개재안착단계(S70)에서 맨홀철개(20)를 제1몰탈층(50) 상부에 안착할 때, 맨홀철개(20)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매시층(110)이 제1몰탈층(50) 내부로 침투된다.
따라서, 제1몰탈층(50)의 양생이 완료되면, 와이어매시층(110)이 제1몰탈층(50)과 일체로 되면서 와이어매시층(110)의 골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노면에서 진동이나 충격, 하중 등이 전달될 때 제1몰탈층(50)의 파손 및 분쇄를 방지하여 맨홀철개(20)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맨홀본체 20: 맨홀철개
30: 시공홈 40: 벽돌층
50: 제1몰탈층 60: 제2몰탈층
70: 포장홈 80: 포장재층
90: 미장마감층 100: 투수시트층
110: 와이어매시층

Claims (5)

  1. 노면에 노출된 맨홀철개(20)의 상단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노면을 환상으로 컷팅하는 단계(S10);
    상기 컷팅된 노면을 굴착하고, 노면의 포장재층(80)을 제거하여 시공홈(30)을 형성하는 단계(S20);
    매설되었던 맨홀철개(20)를 지면으로 분리 배출하는 단계(S30);
    파손된 콘크리트층과 벽돌층을 제거하는 단계(S50);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콘크리트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40)을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조적된 벽돌층(40) 상부에 소정 두께로 몰탈을 타설하여 제1몰탈층(50)을 형성하는 단계(S60);
    상기 분리되었던 맨홀철개(20)를 상기 제1몰탈층(50) 상부에 재안착시켜 50 내지 200㎏의 가압하중으로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계(S70);
    상기 재안착된 맨홀철개(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시공홈(30)에 제2몰탈층(60)을 형성하고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여 1차 다짐하는 단계(S80);
    상기 다짐된 제2몰탈층(60)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포장홈(70)을 형성하는 단계(S90);
    상기 포장홈(70)에 포장재를 타설하여 포장재층(80)을 형성하고 2차 다짐하여 포장재층(80)의 표면과 노면을 일치시키는 단계(S100);
    환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벽돌층(40)과 제1몰탈층(50)의 내면을 시멘트로 미장하여 미장마감층(90)을 형성하는 단계(S11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몰탈층(50) 및 제2몰탈층(60)은 시멘트, 모래, 자갈과 물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시멘트콘크리트몰탈로 형성되되, 몰탈 슬럼프 값을 3 내지 5로 형성하고, 제1몰탈층(50)의 두께는 3 내지 7㎝로 형성하며,
    상기 포장홈(70)은 5 내지 7㎝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콘크리트벽돌을 조적하여 벽돌층(40)을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노출된 맨홀 본체의 상부에 소정 두께로 된 환상의 투수시트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6426A 2019-04-22 2019-04-22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KR10222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26A KR102221486B1 (ko) 2019-04-22 2019-04-22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26A KR102221486B1 (ko) 2019-04-22 2019-04-22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19A KR20200123519A (ko) 2020-10-30
KR102221486B1 true KR102221486B1 (ko) 2021-02-26

Family

ID=730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26A KR102221486B1 (ko) 2019-04-22 2019-04-22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0836B (zh) * 2022-05-17 2023-11-28 德才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水洗砂墙面修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79B1 (ko) * 2014-12-19 2015-09-08 (주)옥련건설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39B1 (ko) * 2000-03-29 2003-06-02 삼서공업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보수 시공된맨홀구조
KR20090132024A (ko) 2008-06-19 2009-12-30 (주)옥련건설 맨홀보수방법 및 맨홀보수구조
KR20100023707A (ko) * 2008-08-22 2010-03-04 두우균 맨홀의 보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79B1 (ko) * 2014-12-19 2015-09-08 (주)옥련건설 맨홀틀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19A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41374B (zh) 一种高水压深基坑降水井快速封堵施工方法
CN107130607B (zh) 建筑物地下室支护
KR101363878B1 (ko) 가설구조와 본구조의 합벽식 공법을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100773122B1 (ko) 맨홀보수공법
KR20130015267A (ko) 다이어프램 월 시공을 위한 방법 및 조립체
KR102221486B1 (ko) 맨홀 승고 보수공사 방법
KR100877974B1 (ko) 스트럿을 이용한 지하옹벽의 상향식 순차제거 및순차매립공법
CN110258622B (zh) 桩板式挡墙及其施工方法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CN114961336B (zh) 一种紧邻既有地铁线地下室桩基保护性拆除施工方法
KR101587062B1 (ko)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110305A (ko)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JPH0220769B2 (ko)
JP6832101B2 (ja) 盛土の補強構造及び盛土の補強方法
JP4537343B2 (ja) 法肩用の型枠
KR100966639B1 (ko) 맨홀보수공법
CN210658431U (zh) 桩板式挡墙
JP2003003556A (ja) カルバートのせん断補強方法
CN109667278A (zh) 地下车库独立基础下设置塔吊基础防裂防渗施工方法
KR20200088659A (ko) 흙막이판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
EP1473413A1 (en) Pile cap removal
KR9400024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6543177B2 (ja) 躯体構築方法
CN111779502B (zh) 一种隧道隔震结构及施工工艺
CN214143763U (zh) 一种深水大型双壁钢套箱围堰封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