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17B1 -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 Google Patents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17B1
KR101550817B1 KR1020140026145A KR20140026145A KR101550817B1 KR 101550817 B1 KR101550817 B1 KR 101550817B1 KR 1020140026145 A KR1020140026145 A KR 1020140026145A KR 20140026145 A KR20140026145 A KR 20140026145A KR 101550817 B1 KR101550817 B1 KR 10155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fit
rib
lower body
fit rib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2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장품이 배치되고,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 안착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억지 끼움 리브로 구성된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와, 상기 전장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외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는 제2억지 끼움 리브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차폐하는 배터리 커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Potable Remote Control Key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바디 및 상부 바디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전자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포브키(FOB Key)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상기 포브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상기 포브키 삽입 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 버튼시동 기술은 향후 개발 차종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매우 각광받는 분야로 알려져 있다.
차량의 포브키에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푸쉬 노브가 상부 바디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쉬 노브를 하측으로 눌림시키는 동작으로 작동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배터리 커버부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1)는, 도 1 내지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측과 상측에서 상호 결합되어 전장품(5)이 배치되는 전장품 장착공간(Ⅰ)과, 비상키(3)가 수용되는 비상키 수용공간(Ⅱ)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10)와 상부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20)에는 사용자가 눌림시켜 동작시키도록 복수개의 푸쉬 노브(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은 각각 상기 하부 바디(10)와 상기 상부 바디(20)의 결합시 상기 하부 바디(10)에 형성된 제1구획 리브(13)와 상기 상부 바디(20)에 형성된 제2구획 리브(23)에 의하여 명확하게 구분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에는, 상기 푸쉬 노브(21)의 눌림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컨택터(51)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53)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5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5)로 구성된 전장품(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0)에는 상기 전장품(5) 중 상기 배터리(55)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배터리 착탈 개구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바디(10)에는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를 차폐시키는 배터리 커버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부(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와 억지끼움 결합되는 억지 끼움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억지 끼움부(35)와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30) 결합시 가압되는 씰링 러버(70)가 환형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0) 및 상기 상부 바디(20) 사이의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에 각각 전장품(5)과 비상키(3)를 장착한 후, 상기 배터리 커버부(30)를 억지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커버부(30)의 결합시 환형의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의 내측으로 환형의 상기 억지 끼움부(35)가 요입되어 억지 끼움되도록 제1후크 형상부(17) 및 제2후크 형상부(37)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부(30)를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에 억지끼움시키는 상기 제1후크 형상부(17) 및 제2후크 형상부(37)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호 선접촉되기 때문에 후크 결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후크 형상부(17) 및 제2후크 형상부(37)에 의한 상기 하부 바디(10)에 대한 상기 배터리 커버부(30)의 초기 후크 결합력은 우수하나, 제품의 품질 시험 중 하나인 배터리 커버부(30)의 결합력 측정 시험에서 상기 후크 결합력의 약화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커버부(30)의 결합력 측정 시험은, 온도 조건 55℃에 제품을 10분씩 5회 방치 후 상기 배터리 커버부(30)의 결합력을 측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데, 이는 비교적 고온의 온도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후크 결합력의 약화 현상은,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상기 씰링 러버(70)의 씰링 기능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1)에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억지 끼움부(35)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ㄷ"형상의 단면 가지는 러버 안착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 러버(70)가 상기 러버 안착홈(33)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씰링 러버(70)는 외력에 대한 반발력이 매우 커 상기 배터리 착탈 개구부(60)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될 때 눌림량이 적어 씰링 기능이 저하되고, 더 나아가 상기 후크 결합력의 약화 현상으로 인한 가압력의 감소로 인하여 눌림량이 더 적어져 씰링 기능의 추가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80은 상기 푸쉬 노브(21)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이 상기 인쇄회로기판(53) 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러버 부재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하우징을 차폐하는 배터리 커버부의 하부 바디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오링 형태의 씰링 러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전장품이 배치되고,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 안착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억지 끼움 리브로 구성된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와, 상기 전장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외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는 제2억지 끼움 리브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차폐하는 배터리 커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일면에서 하측으로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1환형 기저부와, 상기 제1환형 기저부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면착부와, 상기 제1면착부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억지끼움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를 향하여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2환형 기저부와, 상기 제2환형 기저부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면착부와, 상기 제2면착부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억지끼움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결합시, 상기 제1면착부 및 상기 제2면착부에서 상기 소정의 폭 만큼 면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내측에는 고무 재질의 씰링(Seal-Ring)이 개재되는 링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 안착부에 개재되는 상기 씰링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크기로 형성된 오링(O-Rin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바디를 향하여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바디에는 상기 테두리 후크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후크부 및 상기 테두리 걸림부는, 각각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위치의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 하우징을 차페하는 배터리 커버부와 하부 바디의 억지 끼움 부분을 결합 후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도록 면착부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터리 커버부가 하부 바디에 억지 끼움 결합될 때 가압되는 씰링을 오링(O-Ring)으로 구비함으로써 씰링이 개재되는 링 안착부에 오링이 3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배터리 커버부 및 하부 바디에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후크부 및 테두리 걸림부를 구비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오링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 및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배터리 커버부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하부 바디 및 상부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하부 바디와 배터리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a의 "가"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b의 "나"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b의 "다"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하부 바디 및 상부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하부 바디와 배터리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a의 "가"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b의 "나"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b의 "다"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바디(110)는 본 발명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 바디(120)는 본 발명의 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 사이에는 전장품(105) 및 비상키(103)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상기 전장품(105)이 배치되는 전장품 장착공간(Ⅰ)과, 상기 비상키(103)가 수용되는 비상키 수용공간(Ⅱ)이 구획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구획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는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은 상기 제1구획 리브(11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폐루프(Closed Loop)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바디(110)의 상부면에 상기 전장품(105)이 안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10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장 부품으로써, 복수개의 컨택터(151)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53)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상기 전장품(105) 중 소모품에 해당하는 상기 배터리(155)가 삽입 안착되도록 배터리 하우징(160)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은 상기 배터리(155)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 바디(110) 하측으로 개구되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이 반드시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배터리(155)의 삽입 및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터리(155)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면 족하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은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부(130)가 상기 하부 바디(110)에 결합되는 동작으로 차폐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된 제1억지 끼움 리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10)로부터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부(130)가 제거되면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개구된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을 통하여 배터리(155)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바디(12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에 구비된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51)를 눌림 작동시키는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는, 상기 상부 바디(12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상기 복수개의 컨택터(151)를 눌림 작동시킨다.
상기 상부 바디(120)의 하면에는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구획 리브(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와 상기 제2구획 리브(123)가 결합된 후에야 비로소, 완성된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가 결합된 후에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이 완전히 구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 사이에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 리브(1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로 개구된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이 형성되되,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의 나머지 부위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전장품(105)의 구성 중 하나인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은 상기 하부 바디(110)에 형성되어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의 하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에 안착되기만 하면 족하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은 상기 제1구획 리브(113) 사이로 삽입 안착된 후 상기 상부 바디(120)가 결합될 때 상기 제1구획 리브(113)를 외측에서 감싸는 상기 제2구획 리브(123)에 의하여 완벽하게 차폐되도록 조밀하게 고정된다.
상기 하부 바디(110) 및 상기 상부 바디(120)는,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 및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에 상기 전장품(105) 및 상기 비상키(10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에 의하여 후크 걸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바디(110)를 관통하는 스크류(S)에 의하여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는 폐루프(Closed Loop)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에 장착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을 상기 하부 바디(11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폐루프 단면이라 함은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를 수평으로 절개했을 경우 상부에서 관찰된 해당 구성의 "절개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구획 리브(113)는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와 상기 제2구획 리브(123)는 상호 형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구획 리브(113)가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에 형합되도록 상대적으로 상기 제2구획 리브(123)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면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후크부(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114)가 걸림되는 복수개의 걸림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114)와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114)는 상호 후크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에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114)는 폐루프 단면을 가진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외측면을 따라 인접하는 후크부(114)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124)는 폐루프 단면을 가진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면을 따라 인접하는 걸림부(124)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11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와 상기 하부 바디(110) 사이를 차폐시키는 방수 러버 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는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와 상기 하부 바디(110) 사이를 완전히 차폐시키는 고무 재질의 씰링 부재이다.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 사이를 통하여 스며드는 수분이 상기 전장품(105)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의 하단부와 상부면이 직접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의 눌림력을 그대로 하부의 상기 컨택터(15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를 가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없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 상기 제1구획 리브(113)가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는, 침수 방지(방수)를 위하여 평상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푸쉬 노브(121)와 상기 전장품(105) 사이에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시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에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1구획 리브(113)와 상기 제2구획 리브(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결합되는 바, 상기 후크 결합시 상술한 소정의 가압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에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81)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홈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가압 안내 리브(185)와 구별되는 정도로 형성되되,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소정의 가압력을 형성하면서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면 그 명칭에 관계없이 안착홈(181)으로 정의내릴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의 테두리단에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 외측에 걸림되는 내측 밀림 방지부(18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 외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시 형성되는 결합력에 의하여 고무 재질의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가 약간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경우 테두리 부분이 내측으로 밀림되어 불완전한 조립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는,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의 테두리단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되,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하는 돌출 높이가 점점 작아지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가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의 라운드진 형상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즉,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의 라운드진 형상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는 테두리 외측면이 상기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 중 어느 일부분인 수직면에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밀착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가압하는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의 라운드진 형상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수평면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경우보다 적은 가압력으로도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 중 어느 일부분에 밀착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가 평면으로 형성된 경우, 가압력이 상기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 중 어느 일부분인 수직면에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가 라운드지게 곡선으로 형성되고, 그 곡선 부위의 어느 일점이 가압되면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를 구성하는 부분이 가압력에 의하여 쉽게 형상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 중 어느 일부분인 수직면에 면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바디(120)의 내측면 중 어느 일부분인 수직면에 면 밀착이 될 경우 씰링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에 의하여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 두께만큼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가압되는 면적이 적어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에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10) 및 상기 상부 바디(120)의 결합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가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 측으로 가압되도록 안내하는 가압 안내 리브(185)가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안내 리브(185)는, 상기 상부 바디(120)의 상하를 바꾸어 뒤집어 배치시킨 후 상기 상부 바디(120)에 형성된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을 차폐하도록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바디(110)의 결합시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의 가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안내 리브(185)는, 상기 하부 바디(110)에 먼저 안착시킨 다음 상기 하부 바디(110)를 상기 상부 바디(120)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하부 바디(110)의 상기 제1구획 리브(113) 선단부에 걸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안내 리브(185)는,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할수록 두께가 점점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후크 결합 외에 상기 하부 바디(110)의 외측에서 상기 하부 바디(11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바디(120)에 체결되는 스크류(S)에 의하여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에는, 상기 스크류(S)가 관통되고 체결되는 스크류 관통홀(미도시) 및 스크류 체결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관통홀 및 상기 스크류 체결홀은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1개소 및 길이방향의 타측에 2개소가 상기 스크류(S)에 의하여 스크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길이방향의 타측에 2개소가 스크류 결합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고, 결합력 요구 조건에 따라 1개소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길이방향의 일측에 설정되는 1개소의 스크류 관통홀 및 스크류 체결홀은 대략 후술하는 비상키(103)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 보조 수단에 인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길이방향의 타측에 설정되는 2개소의 스크류 관통홀 및 스크류 체결홀은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의 외측에 해당되되,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의 타측에 1개소만 스크류 체결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2개소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은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과는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구획될 뿐, 외측 테두리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에는 상기 비상키(10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의 일측에는 소정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회동 보조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보조 수단에는 상기 비상키(10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 보조 수단이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비상키(103)가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에 수용되어 있다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상키 수용공간(Ⅱ)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비상키(103)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바디(110) 및 상기 상부 바디(120)의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도 5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억지 끼움 리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10)의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터리 하우징(160)의 테두리 부분으로써, 하부(즉,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에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외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는 제2억지 끼움 리브(135)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배터리(15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는, 상기 배터리(155)는 원형의 슬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도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배터리(155)를 삽입 안착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이면 여하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155)의 형상이 원형의 슬림한 형상이고,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형상 또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10)의 일면에서 하측으로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1환형 기저부(113A)와, 상기 제1환형 기저부(113A)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면착부(115B) 및 상기 제1면착부(115B)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억지끼움 안내부(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면착부(115B)는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되, 직선의 경사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술하는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일 구성인 제2면착부(135B) 또한 상기 제1면착부(115B)에 대하여 소정의 폭만큼 면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하여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2환형 기저부(135A)와, 상기 제2환형 기저부(135A)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면착부(135B)와, 상기 제2면착부(135B)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억지끼움 안내부(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 차폐를 위한 상기 하부 바디(110)에의 결합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선단부인 상기 제1억지끼움 안내부(115C)의 선단 외경은 상기 제2억지끼움 안내부(135C)의 선단 내경보다 작다. 그러나, 상기 제1억지끼움 안내부(115C)는 하부로 향할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2억지끼움 안내부(135C)는 하부로 향할수록 점점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억지끼움 안내부(115C)의 외경이 상기 제2억지끼움 안내부(135C)의 내경보다 소정길이만큼 더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는 소정의 후크 결합이 될 수 있는 후크 결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억지끼움 안내부(115C)를 따라 억지 끼움 결합된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상기 제2면착부(135B)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상기 제1면착부(115B)에 소정의 폭만큼 면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면착부(115B) 및 상기 제2면착부(135B)의 형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제1면착부(115B)에 해당하는 부위와 상기 제2면착부(135B)에 해당하는 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호 선접촉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는, 후술하는 씰링(170)(Seal-Ring), 특히, 오링(O-Ring)으로 채택된 씰링과의 관계에서 현저한 씰링 기능의 차이점을 창출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면착부(115B) 및 상기 제2면착부(135B)는 각각 상호 면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직선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후크 결합이 완료되면 소정의 폭만큼 면착됨으로써 그 자체만으로도 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내측에는 고무 재질의 씰링(170)(Seal-Ring)이 개재되는 링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안착부(133)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구성 중 상기 제2환형 기저부(135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 안착부(133)에 개재되는 상기 씰링(170)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원형을 갖는 오링(O-Ring)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170)이 상기 오링으로 채택될 경우 다음과 같은 씰링 기능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가 상호 후크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선단부가 상기 오링(170)의 상부를 소정의 가압력을 형성하면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착부(115B) 및 상기 제2면착부(135B)에 의하여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는 바,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후크 결합력이 손실 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제품의 품질 시험 중 하나인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결합력 측정 시험에서 상기 후크 결합력의 약화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상기 제1면착부(115B) 및 상기 제2면착부(135B)에 대응하는 부분의 라운드진 형상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와 같이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도록 변경하였는 바, 온도 조건 55℃에 제품을 10분씩 5회 방치 후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 그 형상 자체에 의한 씰링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오링(170)과의 관계에서의 씰링 기능 또한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선단부가 고무 재질로 형성된 상기 오링(170)의 상부를 소정의 가압력을 형성하면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오링(170)의 상부는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링 안착부(133)를 구성하는 내벽면에 더욱 밀착되게 되고, 이와 같은 현상은 씰링 기능의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도 9의 도면부호 170B 참조).
종래, 상기 링 안착부(133)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재된 씰링(170)이 후크 결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수평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바, 동일한 씰링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더 큰 가압력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 따르면, 제품의 사용 기간에 관계없이 상기 후크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에 의한 소정의 가압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은 가압력의 제공만으로도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씰링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후크 결합과는 관계없이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상기 하부 바디(110)에 대한 소정의 결합력을 추가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바디(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후크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후크부(139)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테두리 걸림부(119)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하부 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에는 상기 테두리 후크부(139)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110)에는 상기 테두리 걸림부(119)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 바디(110) 및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의 형상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에 상기 테두리 걸림부(119)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110)에 상기 테두리 후크부(13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테두리 후크부(139) 및 상기 테두리 걸림부(119)는, 각각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오링(170)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서, 상기 테두리 후크부(139) 및 상기 테두리 걸림부(119)는,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외측에 해당하는 4개소에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바디(120)의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내측, 즉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의 상부에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를 삽입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장품(105)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을 상기 전장품 장착공간(Ⅰ)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바디(110)를 상기 상부 바디(120)에 후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구획 리브(113) 및 상기 제2구획 리브(123)의 후크 결합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방수 러버 부재(180)의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내측 밀림 방지부(183)가 상기 제1구획 리브(113)의 선단부의 걸림홈(112)에 수평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바디(120)는, 종래의 접착제에 의한 본딩 결합 대신 상술한 후크 결합과 스크류 결합으로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외부로의 접착제 흐름에 의한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인 상기 배터리 하우징(160)의 개구된 부분으로 상기 배터리(155)를 삽입하여 장착시킨다.
상기 배터리(155) 장착 후, 상기 하부 바디(110)에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를 억지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115)와 상기 배터리 커버부(130)에 형성된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의 상호 후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135)에 개재되어 있는 상기 씰링(170)에 적정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포브키 어셈블리 110: 하부 바디
113: 제1구획 리브 115: 제1억지 끼움 리브
120: 상부 바디 123: 제2구획 리브
130: 배터리 커버부 135: 제2억지 끼움 리브
151: 컨택터 153: 인쇄회로기판
155: 배터리 160: 배터리 하우징
170: 씰링(오링) 180: 방수 러버 부재

Claims (8)

  1. 전장품이 배치되고,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 안착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억지 끼움 리브로 구성된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와;
    상기 전장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바디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외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만큼 면착되는 제2억지 끼움 리브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차폐하는 배터리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바디를 향하여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바디에는 상기 테두리 후크부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 걸림부가 형성된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와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환형으로 형성된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는,
    상기 하부 바디의 일면에서 하측으로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1환형 기저부와;
    상기 제1환형 기저부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면착부와;
    상기 제1면착부의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억지끼움 안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를 향하여 환형 돌출되고 수직 단부를 가진 제2환형 기저부와;
    상기 제2환형 기저부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면착부와;
    상기 제2면착부의 선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억지끼움 안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는 결합시,
    상기 제1면착부 및 상기 제2면착부에서 상기 소정의 폭 만큼 면착되는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부의 내측에는 고무 재질의 씰링(Seal-Ring)이 개재되는 링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 안착부에 개재되는 상기 씰링은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의 선단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크기로 형성된 오링(O-Ring)인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후크부 및 상기 테두리 걸림부는, 각각 상기 제1억지 끼움 리브 및 상기 제2억지 끼움 리브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위치의 4개소에 형성된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KR1020140026145A 2014-03-05 2014-03-05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KR10155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5A KR101550817B1 (ko) 2014-03-05 2014-03-05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5A KR101550817B1 (ko) 2014-03-05 2014-03-05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17B1 true KR101550817B1 (ko) 2015-09-07

Family

ID=5424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45A KR101550817B1 (ko) 2014-03-05 2014-03-05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51B1 (ko) * 2012-12-07 2014-01-2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포브 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51B1 (ko) * 2012-12-07 2014-01-2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포브 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2457B2 (en) Push switch
US100304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CN108076597A (zh) 印刷电路板封罩组件
JP4752644B2 (ja) コネクタ
JP5375741B2 (ja) コネクタ
JP2013083086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599762B1 (ko)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JP5559635B2 (ja) 防水型電気コネクタ、防水型電気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US7888596B2 (en) Sealing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550817B1 (ko)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KR101594334B1 (ko) 차량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84069B1 (ko) 차량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KR20120065502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의 트리거 스위치
JP2015003535A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への電装部品の取り付け部周辺構造
WO2018105362A1 (ja) ゴム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101350951B1 (ko) 차량의 포브 키
TW201001473A (en) Handle lock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US20200342701A1 (en) Electronic handheld device, in particular radio key, with a sealing hood
KR20120129674A (ko) 더미 안테나 케이스
KR101405761B1 (ko) 스위치 조립체
KR101133115B1 (ko) 차량용 폴딩 키 케이스
JPH08145678A (ja) 測量機
JP2006081307A (ja) 分電盤
EP2857229B1 (en) Battery-replacable tire pressure sensor
JP4968171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