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874B1 -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 Google Patents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874B1
KR101548874B1 KR1020140081755A KR20140081755A KR101548874B1 KR 101548874 B1 KR101548874 B1 KR 101548874B1 KR 1020140081755 A KR1020140081755 A KR 1020140081755A KR 20140081755 A KR20140081755 A KR 20140081755A KR 101548874 B1 KR101548874 B1 KR 10154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vertical
resilient
sides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현
Original Assignee
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현 filed Critical 전창현
Priority to KR102014008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호차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차를 샷시에 결합시 탄력에 의한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호차를 샷시에 결합시 그 결합의 용이함이 확보와, 작업 시간의 단축 등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며, 또한, 샷시의 수평지지대에 볼트 결합 등 별도의 손상을 주지않아 샷시의 보호 및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Door roller}
본 발명은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호차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차를 도어의 샷시에 결합함에 있어, 그 결합의 용이함 확보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차는, 미닫이가 잘 여닫아지도록 도어 및 창호의 샷시(프레임)의 아래에 홈을 파고 끼우는 작은 쇠바퀴로서, 구름 기능을 가지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호차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7-0035539호와 특허등록출원 제10-2012-0014018호에서도 제안된바 있다.
즉, 이러한 일반적인 호차(1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먼저, 중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롤러(22)가 축설되도록 양측 격벽(21)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 "ㄷ" 형태를 이루는 호차하우징(20)이 구성된다.
이때, 호차하우징(20)은 상부 양측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 및 볼트공(31)이 형성된 결합편(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샷시의 호차결합공에 진입을 위한 결합돌부(40)가 하방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격벽(21)은 상기 결합돌부(40) 양측에서 수직을 이루는 수직브라켓(50)에 의해 간격의 유지 및 서로간에 긴밀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호차(10)를 샷시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샷시(60)의 하부에는 호차(10)를 결합하기 위해 샷시(60)의 수평지지대(61)에는 호차결합공(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바, 상기 호차(10)의 결합돌부(40)를 이용하여 호차결합공(62)에 진입시키면 되고, 이때, 상기 결합편(30)은 호차결합공(62)의 양측에서 수평지지대(61)에 밀착 면접되어 볼트공(31)을 통해 샷시에 볼트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차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호차를 샷시에 결합하기 위해 항시 볼트 체결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러한 결합방식은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과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차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볼트의 과도한 진입으로 샷시의 수평지지대 부분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샷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7-0035539호. 대하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12-00140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호차를 샷시에 결합시 탄력에 의한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호차를 샷시에 결합시 그 결합의 용이함이 확보와, 작업 시간의 단축 등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샷시의 수평지지대에 볼트 결합 등 별도의 손상을 주지않아 샷시의 보호 및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후방 이격 형성되고 중간부에 롤러가 축설되며, 상부 양측에는 볼트공을 갖는 결합편이 돌출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결합돌부가 하방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이 각각 형성된 호차하우징으로 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호차하우징의 수직브라켓에는 수평 관통되는 탄력부재 결합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탄력부재 결합공에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부재가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수직브라켓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탄력부재 결합공에 억지 끼움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수직형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상단으로부터는 외측으로 벌어지며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단으로부터는 수직 연장되는 탄력조절편; 및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경사를 이루고, 상단에는 수평형 걸림턱이 형성된 탄력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는, 격벽을 연결하는 수직브라켓의 양측에 탄격부재를 형성하되, 호차의 결합돌부를 호차결합공에 진입시 자연스러운 탄력부여와 완전한 진입시 그 탄력부재에 형성된 걸림돌부에 의해 샷시의 수평지지대에 걸림되어 그 결합이 완료되는 것인바, 결합에 따른 용이함과 작업시간의 현격한 단축을 가져오는 등 작업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호차를 결합함에 있어 샷시에는 전혀 볼트공 등의 상처를 주지 않는 것인바, 샷시의 보호와 안정된 결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호차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의 샷시에 결합을 위한 진입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의 샷시에 결합을 위한 완전 결합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의 샷시로부터의 탈거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1)은,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중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롤러(22)가 축설되도록 양측 격벽(21)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 "ㄷ" 형태를 이루는 호차하우징(20)이 구성된다.
그리고, 호차하우징(20)은, 상부 양측이 수평으로 돌출되는 볼트공(31)을 갖는 결합편(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샷시의 호차결합공에 진입을 위한 결합돌부(40)가 하방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차하우징(20)의 양측 격벽(21)은 상기 결합돌부(40) 양측에서 수직을 이루는 양측 한 쌍의 수직브라켓(50)에 의해 간격의 유지 및 서로간에 긴밀한 결합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 호차(1)는,
상기 수직브라켓(50)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탄력부재 결합공(5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력부재 결합공(51)에는 호차(1)를 샷시에 결합시 탄력 부여 및 걸림 지지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탄력부재(100)를 구비 및 상기 수직브라켓(50)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부재(100)는,
먼저, 수직형 밀착부(110)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그 밀착부(110)의 내측 즉, 상기 수직브라켓(50)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수직브라켓(50)에 형성된 탄력부재 결합공(51)에 억지 끼움되는 결합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부(110)는, 결합돌기(111)에 의해 수직브라켓(50)의 탄력부재 결합공(51)에 끼움 결합되며, 그 수직브라켓(50)과 면접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브라켓(50)과 밀착부(110)의 면접면에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10)의 상단으로부터는 경사부(12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경사부(120)는, 외측 즉, 수직브라켓(50)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어 그 수직브라켓(50)과의 사이에 탄력공간(102)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20)의 상단으로부터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력조절편(130)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탄력조절편(130)은, 상기 호차하우징(20)의 결합편(30)과 수직브라켓(50)의 사이에서 수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20)의 외측면 즉, 상기 결합돌기(111) 반대면에는 탄력유도부(140)가 형성된 것으로, 탄력유도부(14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넒어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고, 상단에는 수평형 걸림턱(1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측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브라켓(50)에 대하여 탄력부재(10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호차하우징(20)의 수직브라켓(50)에 형성되는 탄력부재 결합공(51)을, 양측 한 쌍의 수직브라켓(50)에 대하여 양측 모두의 수직브라켓(50)에 형성하여, 각각에 탄력부재(100)가 결합되게 구성하거나,
도 5의 도시와 같이 탄력부재 결합공(51)을 양측 한 쌍의 수직브라켓(50) 중 어느 한 측의 수직브라켓(50)에만 형성 및 탄력부재(100)가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141)은, 상기 호차하우징(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30)의 저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이격공간(101)이 형성된 것으로, 이격공간(101)은 하기하는 샷시의 수평지지대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호차(1)는, 그 호차하우징(20)에 탄력부재(100)를 형성함으로써, 샷시에 결합시 볼팅 결합이 아닌 탄력 결합에 의해 그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때, 탄력부재(100)는 호차(1)를 제작함에 있어 양측의 수직브라켓(50)에 각각 결합 또는 어느 한 측의 수직브라켓(50)에 결합된 상태로 공장에서 하나의 유니트로 제작되어짐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결합관계는 이미 상기에서 기술하였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먼저, 양측의 수직브라켓(50)에 탄력부재(100)가 결합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일반적인 샷시(60)에 호차(1)를 결합하기 위해서 그 샷시에는 중간부에 수평지지대(61)가 형성되고, 그 수평지지대(61)에는 호차결합공(62)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 호차(1)를 샷시(6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호차하우징(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부(40)를 이용하여 호차결합공(62)에 진입 결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호차(1)를 호차결합공(62)에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그 호차결합공(62)의 내주면 양측은 탄력부재(100)의 경사형 탄력유도부(140)와 간섭이 생기는 것인바, 이때 계속하여 호차(1)의 진입을 진행하게 되면 그 탄력유도부(140)에 외력이 가해져 탄력부재(100)의 강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탄력부재(100)의 압축력 작용으로 경사부(120)와 탄력조절편(130)은 수직브라켓(50)과 탄력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탄력공간(102)으로 압축되는 것인바, 이에 결합돌부(40)의 완전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샷시(60)의 호차결합공(62)이 형성된 수평지지대(61)는 결합편(30)과 걸림턱(141)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01)에 수용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결합돌부(40)의 완전한 진입이 이루어지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호차(1)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으로, 호차(1)의 완전한 진입시 탄력부재(100)의 탄력유도부(140)는 호차결합공(62)과의 간섭이 해제되는 것이며, 이에 탄력부재(100)는 그 압축이 해제되어 복원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압축력이 해제된 탄력부재(100)는, 경사부(120)의 배면에 형성된 탄력유도부(140)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41)이 샷시(60)의 수평지지대(61)의 저면으로 진입 및 이격공간(101)에 수용된 수평지지대(61)를 구속하게 되는 것으로, 수평지지대(61)의 상부에서는 결합편(30)에 의해 걸리고, 하부에서는 걸림턱(141)에 의해서 걸려 이격공간(101)에서 유동없이 완전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샷시(60)에 결합된 본 발명 호차(1)의 유지보수를 위해 탈거시에는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수행하되, 이때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탄력부재(100)의 상부를 이루는 탄력조절편(130)에 외력을 가해 탄력공간(102)측으로 밀어 압축하게 되면 호차결합공(62)으로부터 호차(1)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 관계를 갖는 본 발명 호차(1)를, 다른 실시예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어느 한 측의 수직브라켓(50)에만 탄력부재(100)를 형성시에는, 전술한바와 같이 탄력부재(100)의 작동에 의해 호차(1)의 어느 한 측은 탄력 결합에 의해 결합하여 샷시(60)의 수평지지대(61)가 결합편(30)과 걸림턱(141) 사이의 이격공간(101)에 구속되게 하고, 다른 한 측은 통상의 호차(1) 결합과 같이 결합편(30)에 형성된 볼트공(31)을 통해 수평지지대(61)에 볼트(B)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함은, 어떠한 호차의 경우 어느 한 측의 수직브라켓에 대하여 롤러(22)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볼트(도면중 미도시함)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인바, 이에 조절볼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는, 별도의 공구 등의 사용없이 단순히 호차의 호차결합공으로의 진입만으로도 그 견고한 결합 고정 및 간단한 조작으로의 탈거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0 : 호차하우징 21 : 격벽
22 : 롤러 30 : 결합편
40 : 결합돌부 50 : 수직브라켓
51 : 탄력부재 결합공
60 : 샷시 61 : 수평지지대
62 : 호차결합공
100 : 탄력부재 101: 이격공간
102 : 탄력공간
110 : 밀착부 111 : 결합돌기
120 : 경사부 130 : 탄력조절편
140 : 탄력유도부 141 : 걸림턱

Claims (3)

  1. 전,후방 이격 형성되고 중간부에 롤러(22)가 축설되며, 상부 양측에는 볼트공(31)을 갖는 결합편(30)이 돌출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결합돌부(40)가 하방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4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50)이 각각 형성된 호차하우징(20)으로 된 호차에 있어서,
    상기 호차하우징(20)의 수직브라켓(50)에는 수평 관통되는 탄력부재 결합공(5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탄력부재 결합공(51)에는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부재(100)가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탄력부재(100)는,
    상기 수직브라켓(50)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탄력부재 결합공(51)에 억지 끼움되는 결합돌기(111)가 돌출 형성된 수직형 밀착부(110);
    상기 밀착부(110)의 상단으로부터는 외측으로 벌어지며 연장되는 경사부(120);
    상기 경사부(120)의 상단으로부터는 수직 연장되는 탄력조절편(130); 및
    상기 경사부(120)의 외측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경사를 이루고, 상단에는 수평형 걸림턱(141)이 형성된 탄력유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하우징(20)의 수직브라켓(50)에 형성되는 탄력부재 결합공(51)은 양측 한 쌍의 수직브라켓(50)에 대하여 양측 모두의 수직브라켓(50)에 형성하여, 각각에 탄력부재(100)가 결합되게 구성하거나,
    탄력부재 결합공(51)을 양측 한 쌍의 수직브라켓(50) 중 어느 한 측의 수직브라켓(50)에만 형성 및 탄력부재(100)가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하우징(20)의 결합편(30)의 저면과 상기 탄력부재(100)의 탄력유도부(140)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41)의 사이에는 이격공간(101)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20140081755A 2014-07-01 2014-07-01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54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55A KR101548874B1 (ko) 2014-07-01 2014-07-01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755A KR101548874B1 (ko) 2014-07-01 2014-07-01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874B1 true KR101548874B1 (ko) 2015-09-01

Family

ID=5424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755A KR101548874B1 (ko) 2014-07-01 2014-07-01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87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384B1 (ko) * 2017-02-23 2017-07-11 박종서 호차 어셈블리
KR101804087B1 (ko) * 2017-01-12 2017-12-01 최용조 도어잠금장치의 로크박스
KR20180001741A (ko)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897648B1 (ko) 2016-12-05 2018-09-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이탈방지장치
KR20190058209A (ko) 2017-11-20 2019-05-2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무피스 장착용 창호용 호차
KR101956862B1 (ko) * 2018-01-24 2019-06-1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결합장치
KR20190096615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2082429B1 (ko) * 2019-08-06 2020-02-27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호용 호차
WO2021087321A1 (en) * 2019-10-30 2021-05-06 Interlock Usa, Inc. Sliding door roll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210094406A (ko) 2020-01-21 2021-07-29 이민식 새시용 호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067Y2 (ja) 1991-09-06 1997-11-19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引戸用戸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067Y2 (ja) 1991-09-06 1997-11-19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引戸用戸車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41A (ko)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864016B1 (ko) * 2016-06-28 2018-06-01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897648B1 (ko) 2016-12-05 2018-09-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이탈방지장치
KR101804087B1 (ko) * 2017-01-12 2017-12-01 최용조 도어잠금장치의 로크박스
KR101751384B1 (ko) * 2017-02-23 2017-07-11 박종서 호차 어셈블리
KR20190058209A (ko) 2017-11-20 2019-05-2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무피스 장착용 창호용 호차
KR101956862B1 (ko) * 2018-01-24 2019-06-1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결합장치
KR20190096615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2053896B1 (ko) * 2018-02-09 2019-12-09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2082429B1 (ko) * 2019-08-06 2020-02-27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호용 호차
WO2021087321A1 (en) * 2019-10-30 2021-05-06 Interlock Usa, Inc. Sliding door roll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274480B2 (en) 2019-10-30 2022-03-15 Interlock Usa, Inc. Sliding door roll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629538B2 (en) 2019-10-30 2023-04-18 Interlock Usa, Inc. Sliding door roll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210094406A (ko) 2020-01-21 2021-07-29 이민식 새시용 호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874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204100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US9167939B2 (en) Shower door assembly
KR1013446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KR101864016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US10167658B2 (en) Side-load hung window assembly with sash guides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20170119212A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775235B1 (ko)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1395008B1 (ko) 서랍용 레일
KR20160120003A (ko) 프로파일용 도어 고정구
KR200476021Y1 (ko)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JP6320698B2 (ja) 取付方法
JP2012007357A (ja) 上枠及びこれを用いた上レール固定構造
JP2013234529A (ja) 引戸構造
KR200455508Y1 (ko) 도어 프레임
KR101599518B1 (ko)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JP2010121362A (ja) 折戸の支持装置
JP5831939B2 (ja) 建具
KR101447686B1 (ko)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KR200457715Y1 (ko)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JP6611876B2 (ja) 引戸及び引戸の取付方法
KR100972170B1 (ko) 가구용 일시 정지 스톱퍼
KR200475788Y1 (ko) 미닫이도어용 호차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