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15Y1 -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15Y1
KR200457715Y1 KR2020100012865U KR20100012865U KR200457715Y1 KR 200457715 Y1 KR200457715 Y1 KR 200457715Y1 KR 2020100012865 U KR2020100012865 U KR 2020100012865U KR 20100012865 U KR20100012865 U KR 20100012865U KR 200457715 Y1 KR200457715 Y1 KR 200457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rtical
coupled
installation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용
이종민
박우성
Original Assignee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천정에 결합된 고정철부의 하부로 조명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가 맞대어지게 끼우져 결합되는 조명기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부는 상부만이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철부프레임의 수직테두리 상부에 고정플랜지가 외측으로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테두리의 장방향 외측모서리에 고정플랜지의 하부와 이격된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단방향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요부는 장방형 양측에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부와 수직테두리의 외측이 맞대어지게 삽입되는 가이드단턱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단턱의 장방형 모서리 내측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어 걸리는 언록킹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의 설치구조{LIGHTING FIXTURES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조명기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에 미리 설치된 고정철부에 조명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천정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어지도록 하거나, 천정의 하부에 직접 맞대어지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명기구가 천정에 매립되어지는 방식은 천정에 매립되어질 조명기구의 폭과 길이에 맞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기구의 상부가 관통홀에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조명기구의 가장자리 하부가 나사 등에 의하여 관통홀의 가장자리로 위치된 천정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조명기구가 천정에 직접 결합되어지는 방식은 별도의 고정 브라켓의 상부가 천정에 나사로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하향되게 돌출된 고정나사에 조명기구의 상부가 관통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조명기구의 상부로 관통된 고정나사에 너트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고정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조명기구가 고정 브라켓에 의하여 천정에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조명기구의 상부로 형성된 관통홀과 고정나사의 중심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중심을 잘 못 맞추었을 경우, 너트로 고정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 많은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팔 등에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나사에 너트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간혹 너트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고정나사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노출되어진 상태에서 조명기구를 다시 분리시켜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조명기구가 천정에 맞대어지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관통홀에 고정나사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는 등의 기존 작업을 따라 하지 않고 천정에 조명기구가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명기구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량을 늘리는 가운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짧은 시간에 조명기구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발생되는 팔과 목 및 허리 등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에 결합된 고정철부(10)의 하부로 조명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30)가 맞대어지게 끼우져 결합되는 조명기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부(10)는 상부만이 개방된 공간부(101)를 갖는 철부프레임(11)의 수직테두리(112) 상부에 고정플랜지(113)가 외측으로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장방향 외측모서리(114)에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이격된 고정편(115)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단방향측에 관통홀(116)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요부(30)는 장방형 양측에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이 맞대어지게 삽입되는 가이드단턱(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단턱(31)의 장방형 모서리 내측에 상기 고정편(115)이 삽입되어 걸리는 언록킹홈(3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홈(32)은 가이드단턱(31)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수직안내홈(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안내홈(321)에 수평슬라이드홈(32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편(112)이 상기 수직안내홈(321)으로 안내되어진 후 수평슬라이드홈(322)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슬라이드홈(322)은 상부에 하부로 돌출된 멈춤돌부(3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멈춤돌부(323)와 대응되는 멈춤요부(117)가 고정편(115)의 상부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단방향 외측에 아우터관통홀(12)을 형성하여 숫커넥터(40)가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아우터관통홀(12)과 대응되는 인너관통홀(33)을 가이드단턱(31)의 내측에 형성하여 암커넥터(40')가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에 미리 설치된 고정철부에 조명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천정에 조명기구가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량을 늘리는 가운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짧은 시간에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팔과 목 및 허리 등에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 설치구조는 천정(50)에 고정철부(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철부(10)의 하부로 조명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30)가 맞대어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으로 록킹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철부(10)는 천정(50)에 미리 나사(S)로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조명프레임(20)이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직사각형태로 상부만이 개방된 공간부(101)를 갖는 철부프레임(11)의 수직테두리(112)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고정플랜지(113)가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장방향 외측모서리(114)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이격된 고정편(115)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언록킹홈(32)에 걸려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단방향측에는 각각 관통홀(116)이 형성되어 나사(S)에 의하여 고정플랜지(113)의 상부가 천정(50)의 하부에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단방향 외측에는 아우터관통홀(12)이 형성되어 숫커넥터(40)가 삽입으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요부(30)는 조명프레임(20)의 상부에 상기 고정철부(10)의 하부가 용이하게 삽입 및 록킹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장방형 양측에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이 맞대어지게 삽입되는 가이드단턱(31)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단턱(31)의 장방형 모서리 내측에는 상기 고정편(115)이 삽입되어 걸리는 언록킹홈(32)이 각각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홈(32)은 단방향 가이드단턱(31)의 모서리에 수직안내홈(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안내홈(321)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수평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단턱(31)에는 상기 아우터관통홀(12)과 대응되는 인너관통홀(33)을 형성하여 암커넥터(40')가 삽입으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고정편(115)이 수평슬라이드홈(3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암커넥터(40')에 숫커넥터(40)가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편(112)은 상기 수직안내홈(321)으로 안내되어진 후 수평슬라이드홈(322)에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슬라이드홈(322)은 상부에 하부로 돌출된 멈춤돌부(3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멈춤돌부(323)와 대응되는 멈춤요부(117)가 고정편(115)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편(115)이 언록킹홈(32)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서로 록킹되어짐으로써,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명기구는 먼저, 도3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가 설치될 천정(50)에 고정철부(1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플랜지(113)가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관통홀(116)을 통해 나사(S)를 체결하여 고정철부(10)가 천정(50)에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도3의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프레임(20)을 들어 고정요부(30)에 고정철부(10)가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고정철부(10)의 외측모서리(114)에 형성된 고정편(115)이 가이드단턱(31)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21)에 삽입되어진 상태가 된다.
다음, 도3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프레임(20)을 일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밀게 됨과 동시에 언록킹홈(32)에 고정편(115)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즉, 고정플랜지(113)와 고정편(115) 사이에 수평슬라이드홈(322)의 상부에 형성된 멈춤돌부(323)가 형성된 부분이 삽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고정편(115)이 수평슬라이드홈(322)에 삽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멈춤돌부(323)가 고정편(115)의 상부에 형성된 멈춤요부(117)에 삽입되어지게 됨에 따라 역방향으로 조명프레임(20)이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암커넥터(40')에 숫커넥터(40)가 삽입되어지게 된다.
10:고정철부 11:철부프레임
20:조명프레임 30:고정요부
31:가이드단턱 32:언록킹홈
101:공간부 112:수직테두리
113:고정플랜지 114:외측모서리
115:고정편 116:관통홀

Claims (4)

  1. 천정에 결합된 고정철부(10)의 하부로 조명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요부(30)가 맞대어지게 끼우져 결합되는 조명기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부(10)는 상부만이 개방된 공간부(101)를 갖는 철부프레임(11)의 수직테두리(112) 상부에 고정플랜지(113)가 외측으로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장방향 외측모서리(114)에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이격된 고정편(115)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단방향측에 관통홀(116)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요부(30)는 장방형 양측에 상기 고정플랜지(113)의 하부와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이 맞대어지게 삽입되는 가이드단턱(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단턱(31)의 장방형 모서리 내측에 상기 고정편(115)이 삽입되어 걸리는 언록킹홈(3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홈(32)은 가이드단턱(31)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수직안내홈(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안내홈(321)에 수평슬라이드홈(32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편(112)이 상기 수직안내홈(321)으로 안내되어진 후 수평슬라이드홈(322)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슬라이드홈(322)은 상부에 하부로 돌출된 멈춤돌부(3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멈춤돌부(323)와 대응되는 멈춤요부(117)가 고정편(115)의 상부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테두리(112)의 단방향 외측에 아우터관통홀(12)을 형성하여 숫커넥터(40)가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아우터관통홀(12)과 대응되는 인너관통홀(33)을 가이드단턱(31)의 내측에 형성하여 암커넥터(40')가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설치구조.
KR2020100012865U 2010-12-13 2010-12-13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KR200457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65U KR200457715Y1 (ko) 2010-12-13 2010-12-13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65U KR200457715Y1 (ko) 2010-12-13 2010-12-13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715Y1 true KR200457715Y1 (ko) 2012-01-02

Family

ID=4584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865U KR200457715Y1 (ko) 2010-12-13 2010-12-13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83B1 (ko) * 2014-08-08 2015-05-04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천정등 결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77A (ko) * 2007-05-10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 성취도에 따른 캐릭터 육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77A (ko) * 2007-05-10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 성취도에 따른 캐릭터 육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83B1 (ko) * 2014-08-08 2015-05-04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천정등 결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131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KR10204100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US10221564B2 (en) Fast-assembling fixed door installation structure for shower room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101660707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US9624713B2 (en) Connection system for meeting rail of window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200457715Y1 (ko) 조명기구의 설치구조
US20150096258A1 (en) Door assembly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20130138602A (ko) 천정마감장치
KR101532384B1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2007190294A (ja) 浴槽目地材の設置構造
KR200458937Y1 (ko) 조명기구의 커넥터 접속구조
KR200459441Y1 (ko) 개방지지구 장착기능을 가지는 도어
KR200462767Y1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클러용 고정구
KR100986118B1 (ko)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JP6460867B2 (ja) 間仕切り
JP5990856B1 (ja) 後付けドアストッパー
KR101133656B1 (ko) 천정마감재 설치 구조
JPH038787Y2 (ko)
KR101226254B1 (ko) 도어 스토퍼
KR101363310B1 (ko) 천장 마감재용 고정구
JP2013087601A (ja) 浴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