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86B1 -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 Google Patents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86B1
KR101447686B1 KR1020130070473A KR20130070473A KR101447686B1 KR 101447686 B1 KR101447686 B1 KR 101447686B1 KR 1020130070473 A KR1020130070473 A KR 1020130070473A KR 20130070473 A KR20130070473 A KR 20130070473A KR 101447686 B1 KR101447686 B1 KR 10144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re
bed frame
b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to KR102013007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의 프레임과 그 위에 놓이는 받침판을 체결할 때 사용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에 설치되어 받침판에 고정된 체결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직 방향의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Locking Core for Bed Frame}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프레임과 그 위에 놓이는 받침판을 체결할 때 사용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프레임에 삽입 설치되어 받침판 측에서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받침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며 프레임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하부의 프레임과 그 위에 놓이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받침판 위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포함된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받침판은 그 하부에 위치한 침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전통적인 침대의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00)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210)을 천공한 후 수직하게 설치된 침대 프레임(100)의 상측에 상기 받침판(200)을 위치시키고 상기 구멍(210)에 체결 나사(215)를 삽입하여 침대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침대의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구조는 받침판을 침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침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사를 위하여 침대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시키기가 쉽지 않아 현재는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다.
에 따라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결합 구조를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의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결합구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목분을 압축 성형한 수직방향의 패널과 수평방향의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수평또는 수직패널중 나머지 하나의 패널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부재로 이루어 지며,상기 장착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압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수직 또는 수평패널에 형성된 장착홈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몸체,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타원형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이동되어 걸릴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수평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볼트머리, 상기 볼트머리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 또는 수직패널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압입 스크루, 및 상기 압입 스크루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입 스크루에 내장된 철심코어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가구의 연결구가 개시된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구조는 체결 볼트를 앵커 너트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앵커 너트가 침대 프레임으로부터 풀리면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1-0012018 A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의 외형을 변경하여 드릴과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코어 삽입홀을 쉽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받침판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 프레임의 설치공과 체결용 코어의 삽입부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받침판의 체결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받침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침대 프레임에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코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과 침대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이 코어 삽입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에 상하 방향의 나사홀이 관통 형성된 체결용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어는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되어 코어 삽입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코어 삽입홀의 상측 및 하단면을 지지하여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용 코어와 침대 프레임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어 지지부와, 양단에 형성되며,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어의 나사홀 상측 및 하측에는 체결부재가 나사홀측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어는 침대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결합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침대 프레임에 설치되므로 드릴과 같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코어 삽입홀을 장공 형태로 손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받침판으로부터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므로 침대 프레임에 받침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삽입공이 긴 절개부 형태로 형성되어 침대 프레임에 형성된 설치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체결부재를 지지 고정할 수 있고, 침대 프레임이 설치되는 방바닥이 완전한 수평이 아니더라도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체결공이 전후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 형성됨에 따라 좌우 및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앞뒤 및 좌우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침대 프레임의 측면에서 체결 너트를 일정 정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받침판의 체결부재를 고정하거나 이탈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을 분리할 때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 및 받침판의 체결부재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사 할 때 볼트나 너트의 분실이 방지된다.
또, 침대 프레임에 받침판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침대에서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에 설치되어 받침판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로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에 상하 방향의 나사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또한, 침대 프레임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에 설치되어 받침판에 고정된 체결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몸체에 수직 방향의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의 체결용 코어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20)과 받침판(3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침대 프레임(20)의 상단 측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25)에 설치되어 받침판(30)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부재(35)를 고정하는 체결용 코어(10)와, 침대 프레임(20)의 각 모서리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합패널(40) 및 침대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며, 체결부재(35)는 접시머리 나사로 구성되는 체결부재(3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용 코어(10)는 체결용 코어(10)는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되며, 침대 프레임(20)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25)의 형상, 즉 장공의 형태로 구성되는 코어 삽입홀(25)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코어 삽입홀(25)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35)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나사홀(13)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체결용 코어(10)는 침대 프레임(20)에 형성된 코어 삽입홀(2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코어 삽입홀(25)의 상측 및 하단면을 지지하여 나사 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재(35)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용 코어(10)와 코어 삽입홀(25)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어 지지부(11)가 형성된다.
즉, 받침판(30)과 침대 프레임(20)을 체결부재(35)를 통해 체결할 때, 체결부재(35)의 체결력에 의해 침대 프레임(20)의 설치공(23)의 직경이 커지면서 침대 프레임(20)과 체결용 코어(1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데, 이를 방지하고자 코어 삽입홀(25)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11)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용 코어(10)의 코어 지지부(11) 양단에는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코어 삽입홀(25)에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2)는 본 발명에서는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어 삽입홀(25)과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의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체결용 코어(10)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나사홀(13)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단 및 하단에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35)가 나사홀(13)측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체결용 코어(10)의 테이퍼부(14)는 침대 프레임(20)의 코어 삽입홀(25)에 삽입되어 받침판(30)과 침대 프레임(20) 간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체결부재(35)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30) 및 침대 프레임(20)에 형성되는 설치공(23)과 체결용 코어(10)에 형성된 나사홀(13)이 동일중심을 가지도록 체결용 코어(10)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나, 삽입되는 과정에서 동일중심을 이루지 못하거나, 체결부재(35)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나사홀(13)과 체결이 어려운 경우를 극복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체결부재(35)의 선단부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테이퍼부(14)를 따라 나사홀(13)까지 안내되어 원활하고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대 프레임(20)의 상측에 받침판(30)을 위치시키고, 받침판(30)의 상측에서 체결부재(35)를 삽입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2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설치공(23)을 거쳐 몸체(10)의 나사홀(13)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침대 프레임(20)에 받침판(3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결용 코어(10)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5)와 침대 프레임(2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부재(60)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체결용 코어(10)의 나사홀(13)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부(14)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에는 나사홀(13)에 체결되는 채결부재(35)의 외주면과 침대 프레임(20)에 형성된 설치공(23)의 내주에 구비되는 유격 보상부재(60)를 구비함으로써, 체결부재(35)와 나사홀(13) 간의 체결력 상승 및 체결부재(35)와 설치공(23) 간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격 보상부재(60)는 체결수단(35)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되고, 상부가 테이퍼부(1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테이퍼부(14)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머리부(61)와, 이 머리부(6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수단(35)이 설치공(23)에 체결이 이루어질 때, 이 체결수단(35)을 따라 설치공(23)에 삽입되어 체결수단(35)과 설치공(23)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보상부(6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격 보상부재(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체결용 코어(10)가 코어 삽입홀(25)에 삽입될 때, 함께 삽입이 이루어지거나, 체결용 코어(10)가 삽입되기 전 설치공(23)에 삽입된 후, 체결용 코어(10) 삽입시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고, 이 체결용 코어(10)가 삽입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머리부(61)가 테이퍼부(61)에 삽입되면서 침대 프레임(20), 체결용 코어(10) 및 유격 보상부재(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패널(40)은 침대 프레임(2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침대 프레임(20)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결합패널(40)은 침대 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그 형상이 "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부재(35)의 체결을 통해 침대 프레임(20)과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패널(40)은 침대 프레임(20)의 모서리 부분에 체결용 코어(10)가 설치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체결용 코어(10)와 함께 동시에 설치가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체결용 코어(10)와 동시 설치가 이루어질 때에는 체결용 코어(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어 침대 프레임(2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감부재(50)는 침대 프레임(20)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부재(3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침대 프레임(20)에 체결된 체결부재(35)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체결용 코어 11: 코어 지지부
12: 삽입부 13: 나사홀
14: 테이퍼부 20: 침대 프레임
23: 설치공 30: 받침판
35: 채결부재 40: 결합패널
50: 마감부재

Claims (7)

  1. 침대 프레임과 받침판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침대 프레임에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코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과 침대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이 코어 삽입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에 상하 방향의 나사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 상측 및 하측에는 체결부재가 나사홀측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된 체결용 코어;
    상기 체결용 코어에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침대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제작되며, 체결용 코어의 테이퍼부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따라 설치공에 삽입되어 체결수단과 설치공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보상부로 이루어지는 유격 보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어는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되어 코어 삽입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코어 삽입홀의 상측 및 하단면을 지지하여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용 코어와 침대 프레임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어 지지부와, 양단에 형성되며,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코어는 침대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결합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대 프레임용 체결용 코어.
  6. 삭제
  7. 삭제
KR1020130070473A 2013-06-19 2013-06-19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KR10144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73A KR101447686B1 (ko) 2013-06-19 2013-06-19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73A KR101447686B1 (ko) 2013-06-19 2013-06-19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686B1 true KR101447686B1 (ko) 2014-10-07

Family

ID=5199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473A KR101447686B1 (ko) 2013-06-19 2013-06-19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1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060U (ja) * 2005-09-26 2006-01-05 協和木工株式会社 組立家具
JP3119588U (ja) * 2005-12-15 2006-03-02 英信 植西 ジョイントコネクターナットの形状及び構造
JP2009121619A (ja) 2007-11-15 2009-06-04 Tsuchikawa Zenji 板材連結機構
KR200447375Y1 (ko) 2009-04-03 2010-01-21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용 팔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060U (ja) * 2005-09-26 2006-01-05 協和木工株式会社 組立家具
JP3119588U (ja) * 2005-12-15 2006-03-02 英信 植西 ジョイントコネクターナットの形状及び構造
JP2009121619A (ja) 2007-11-15 2009-06-04 Tsuchikawa Zenji 板材連結機構
KR200447375Y1 (ko) 2009-04-03 2010-01-21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용 팔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1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320108B1 (ko) 2017-08-09 2021-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43B2 (en) Bar system
US10028589B2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CN104972895B (zh) 紧固装置、悬挂装置及装配悬挂装置的方法
KR101548874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140001930U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447686B1 (ko)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KR101864016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170061304A (ko) 가구용 판재 조립구
KR101775235B1 (ko) 개선된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200446319Y1 (ko) 창호설치용 브라켓 결합구조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08357B1 (ko)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102093700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후크
JP2009074305A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20170001750U (ko) 침대용 금속제 지지다리의 조립 구조체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KR20100103956A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KR20170143217A (ko) 이중바닥판용 지주 고정구
KR101447687B1 (ko) 모서리 연결구가 구비된 침대 프레임
US20180296000A1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JP5981904B2 (ja) キャスタの取付構造
KR101375102B1 (ko) 조립식 가구 연결장치
KR101329803B1 (ko) 의자용 다리 프레임 체결구
JP7262751B2 (ja) 壁面取付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