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08B1 -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08B1
KR102320108B1 KR1020170101258A KR20170101258A KR102320108B1 KR 102320108 B1 KR102320108 B1 KR 102320108B1 KR 1020170101258 A KR1020170101258 A KR 1020170101258A KR 20170101258 A KR20170101258 A KR 20170101258A KR 102320108 B1 KR102320108 B1 KR 10232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cover
fastening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821A (ko
Inventor
박창욱
양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0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끼움결합되고, 복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사이에 상기 몸체부재의 일부와 상기 커버부재를 두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배터리 케이스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Battery Cas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 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전력 공급원으로 이차 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배터리 셀)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배터리 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나 스쿠터 등은 주로 야외 사용된다. 이에, 비나 눈과 같은 기상 환경이나 도로 환경에 따라 이러한 장치에 장착된 배터리 팩은 충격을 받거나 물이 침투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팩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 상에 커버를 위치시키고, 볼트로 케이스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켜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밀폐시켰다. 케이스 본체에는 너트가 삽입되어 있고, 볼트는 커버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되었다.
이때, 케이스 본체에 너트를 삽입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를 사출할 때, 너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출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너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삽입해야 하는 너트의 수가 많아 케이스 본체를 사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1229411 B1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끼움결합되고, 복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사이에 상기 몸체부재의 일부와 상기 커버부재를 두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개의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끼움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외측에서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 관통구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관통구,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벽체의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 및 상기 벽체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구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재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제1 커버 및 하측 개구부를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상기 밀폐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몸체부재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 및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 상에 커버부재를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들에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재에 연결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연결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에 체결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밀폐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에 체결하는 전에,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의 몸체부재를 제작할 때, 너트를 삽입하지 않고 몸체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재를 제작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몸체부재를 이용해 배터리 케이스를 제작하거나 조립하는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너트 대신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배터리 케이스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배터리 케이스를 제작하거나 조립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몸체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커버부재 및 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몸체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100)는, 몸체부재(110), 커버부재(120), 연결부재(130), 및 체결부재(14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100)는 밀폐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10)는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110)는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배터리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10)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개의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는 제1 벽체(111), 제1 벽체(111)와 연결되는 제2 벽체(112), 제2 벽체(112)와 연결되는 제3 벽체(113), 및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에 연결되는 제4 벽체(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측면이 벽체들에 둘러싸여 막힐 수 있고, 몸체부재(110)에 상부면과 하부면은 개방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벽체(112)와 제4 벽체(1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으로 제2 벽체(112)와 제4 벽체(114)의 길이가,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재(110)의 평면이 직사각형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재(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의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삽입홈(115)들이 모든 벽체들에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115)은 몸체부재(1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5)은 연결부재(13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1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홈(11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재(130) 전체가 삽입홈(115) 내에 위치하여, 연결부재(130)가 몸체부재(1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삽입홈(115)은,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벽체의 면, 및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벽체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삽입홈(115)은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벽체의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벽체들의 외측면에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115)은 벽체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30)를 몸체부재(110)의 외측에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30)를 삽입홈(115)에 삽입하거나 분리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삽입홈(115)은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벽체의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벽체들의 내측면에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115)은 벽체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30)를 몸체부재(110)의 내측에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30)가 몸체부재(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재(130)가 몸체부재(110) 내부에서 보호받을 수 있다.
한편, 삽입홈(115)은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벽체의 면과,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벽체의 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벽체들의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에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4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40)가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를 더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줄 수 있다.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삽입홈(115) 외측에서 커버부재(120)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가진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몸체부재(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접촉면이 될 수 있다. 이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커버부재(120)가 접촉되면 몸체부재(11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면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재(110)의 벽체들의 접촉면에는 체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구(112a)는 몸체부재(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촉면으로부터 삽입홈(115)이 형성된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촉면과 삽입홈(115)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접촉면과 삽입홈(115) 사이에 제1 관통구(112a)가 위치한다. 따라서, 몸체부재(110)의 제1 관통구(112a)로 삽입된 체결부재(140)가 삽입홈(115)에 삽입된 연결부재(130)의 체결구(135)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구(112a)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홈(115) 및 몸체부재(110) 제1 관통구(112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 벽체보다 길이가 긴 제2 벽체(112)(또는, 제4 벽체(114))에,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보다 삽입홈(115)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에는 상측 개구부(또는, 하측의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삽입홈(115)이 1개가 형성되고, 제2 벽체(112)와 제4 벽체(114)에는 상측 개구부(또는, 하측의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삽입홈(115)이 일렬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벽체(111)의 상부면보다 제2 벽체(112)의 상부면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제2 벽체(112)는 더 많은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이에, 제2 벽체(112)에 더 많은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벽체(111)보다 더 많은 삽입홈(115)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 벽체보다 길이가 긴 제2 벽체(112)(또는, 제4 벽체(114))에,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보다 형성되는 삽입홈(115)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에는 상측 개구부(또는, 하측의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삽입홈(115)이 1개가 형성되고, 제2 벽체(112)와 제4 벽체(114)에는 상측 개구부(또는, 하측의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삽입홈(115)이 1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에 형성된 삽입홈(115)보다 제2 벽체(112)(또는, 제4 벽체(114))에 형성된 삽입홈(115)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즉, 제1 벽체(111)의 상부면보다 제2 벽체(112)의 상부면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제2 벽체(112)는 더 많은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이에, 제2 벽체(112)에 더 많은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벽체(11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삽입홈(115)을 형성하여 연결부재(13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0)는 제2 벽체(112)에 형성된 삽입홈(115)에 복수개가 삽입될 수도 있고, 제2 벽체(112)에 형성된 삽입홈(115)의 길이에 맞추어, 제1 벽체(111)에 형성된 삽입홈(115)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30)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벽체들에 형성되는 삽입홈(11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삽입홈(115)의 길이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몸체부재(11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재(120)에는 체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구(121a)가 형성된다. 제2 관통구(121a)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1 관통구(112a)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20)는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제1 커버(121), 및 하측 개구부를 덮는 제2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21)는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21)는 사각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관통구(121a)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21)의 하부면이 몸체부재(110)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체결부재(140)에 의해 제1 커버(121)는 몸체부재(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21)의 하부면에는 제1 커버(121) 본체에서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몸체부재(110) 내부공간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재(1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돌출부가 몸체부재(110)에 끼워지면 제1 커버(121)가 전후좌우로 고정되어, 몸체부재(110)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122)는 몸체부재(110)의 하측 개구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122)는 사각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관통구(121a)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22)의 상부면이 몸체부재(110)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체결부재(140)에 의해 제2 커버(122)는 몸체부재(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122)의 상부면에는 제2 커버(122) 본체에서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몸체부재(110) 내부공간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재(1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돌출부가 몸체부재(110)에 끼워지면 제2 커버(112)가 전후좌우로 고정되어, 몸체부재(11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커버부재 및 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부재에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1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40)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부재(130)는 너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체결부재(140)가 고정되면서 커버부재(120)에 몸체부재(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구(135)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나에 연결부재(130)에 복수개의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다. 체결구(135)는 제1 관통구(112a) 및 제2 관통구(121a)의 위치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구(135), 제1 관통구(112a), 및 제2 관통구(121a)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40)는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21a)를 관통하여 체결구(135)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삽입홈(115)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 막대 모양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30)는 몸체부재(110)의 삽입홈(115)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에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40)가 각각 체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5)에는 체결부재(14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140)에 수나사 형성되고, 체결구(135)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40)가 체결구(135)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체결구(135)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벽체들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연결부재(130)에 3개 이상의 체결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3개의 체결부재(140)를 고정하기 위해 3개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 1개의 연결부재(130)만 있어도 체결부재(14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연결부재(130)로 체결부재(140)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구(135)의 체결부재(140)가 진입하는 부분의 내경이 체결부재(140)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테이퍼 형상으로 형상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40)가 체결구(135)에 진입할 때 중심이 맞지 않아도 체결구(135) 내로 안정적으로 진입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재(130)는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체(111)와 제3 벽체(113)의 상측에 1개, 하측에 1개의 연결부재(130)가 삽입되고, 제2 벽체(112)와 제4 벽체(114)의 상측에 2개, 하측에 2개의 연결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삽입되는 벽체에 따라 연결부재(130)의 연장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보다 길이가 긴 제2 벽체(112)(또는, 제4 벽체(114))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30)의 길이가 제1 벽체(111)(또는 제3 벽체(113))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13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를 관통하여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구(135)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40)는 커버부재(120)를 몸체부재(110)에 결합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40)는 볼트일 수 있다. 체결부재(1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끝단에 다각형의 헤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40)는 커버부재(120)에 형성된 제1 관통구(121a)와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제2 관통구(112a)를 지나 연결부재(130)에 구비되는 체결구(135)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40)의 헤드 부분을 조여주면 커버부재(120)가 몸체부재(110)에 밀착되면서 몸체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40)의 헤드 부분을 풀어주면 체결부재(140)가 연결부재(130)에서 분리되고, 커버부재(120)도 몸체부재(11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체결부재(140)는 몸체부재(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둘레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20)가 체결부재(140)에 의해 몸체부재(110)의 모든 벽체들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21)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4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측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연결부재(130)에 체결되고, 제2 커버(12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4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어 하측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연결부재(13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재(1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밀폐부재(150)는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150)는 가스켓(Gasket)일 수 있고,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 밀폐부재(151), 및 몸체부재(110)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 밀폐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폐부재(151)는 몸체부재(110)의 상부면과 제1 커버(121)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밀폐부재(151)를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를 둘레를 감싸도록 사각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의 상부면에 제1 밀폐부재(151)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밀폐부재(151)는 장착홈 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제1 커버(121)를 몸체부재(110)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면, 제1 밀폐부재(151)가 제1 커버(121)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몸체부재(110)와 제1 커버(121) 사이의 틈새가 차단될 수 있다.
제2 밀폐부재(152)는 몸체부재(110)의 하부면과 제2 커버(122)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밀폐부재(152)를 몸체부재(110)의 하측 개구부를 둘레를 감싸도록 사각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의 하부면에 제2 밀폐부재(152)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밀폐부재(152)는 장착홈 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제2 커버(122)를 몸체부재(110)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면, 제2 밀폐부재(152)가 제2 커버(122)의 상부면과 접촉하면서 몸체부재(110)와 제2 커버(122) 사이의 틈새가 차단될 수 있다.
또는,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의 접촉면 사이에 밀폐부재(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체결부재(140)는 커버부재(120), 밀폐부재(150), 및 몸체부재(11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밀폐부재들의 형상이나, 밀폐부재들이 몸체부재(110)에 설치되는 구조, 및 밀폐부재들이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가 밀폐부재(150)로 밀폐되어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몸체부재(110) 내부의 배터리에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너트 대신 복수개의 체결부재(140)가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130)를 구비하여, 배터리 케이스(100)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배터리 케이스(100)를 제작하거나 조립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은, 내부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를 마련하는 과정(S110), 몸체부재에 복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S120), 몸체부재의 개구부 상에 커버부재를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커버부재와 몸체부재를 관통시켜 체결구들에 체결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먼저 몸체부재(110)를 마련할 수 있다. 몸체부재(110)는 사출기에 재료를 넣고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몸체부재(110)는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재(110)에 연결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5)이 형성된 상태로 사출될 수 있다. 삽입홈(115)은 연결부재(130)의 표면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파인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출 공정 시 몸체부재(110)에 삽입홈(115)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다.
몸체부재(110)가 마련되면, 몸체부재(110)에 연결부재(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삽입홈(115)에 연결부재(130)를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압입되어 삽입홈(11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0)도 사출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가 사각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를 가지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재(130)를 제작하기가 용이하다.
연결부재(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몸체부재(110)의 개구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대응하는 삽입홈(115)에 끼워질 수 있다.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구(135)의 위치가 맞춰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140)의 연장방향으로 몸체부재(110)의 관통구와 연결부재(130)의 체결구(135)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40)가 몸체부재(110)의 관통구를 통해 체결구(135)의 위치로 안내되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몸체부재(110)에 연결부재(130)가 끼워지면, 커버부재(120)를 몸체부재(110)의 개구부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 커버부재(120)의 제1 커버(121)를 몸체부재(110)의 상측 개구부 상에 위치시키고, 커버부재(120)의 제2 커버(122)를 몸체부재(110)의 하측 개구부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커버부재(120)의 관통구와 몸체부재(110)의 관통구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즉, 체결부재(140)의 연장방향으로 커버부재(120)의 관통구와 몸체부재(110)의 관통구를 동일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체결부재(140)를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의 관통구로 관통시켜 연결부재(130)에 체결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체결부재(140)를 커버부재(120)의 관통구들에 각각 삽입하여 연결부재(130)의 체결구(135)에 조여줄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20)가 몸체부재(110)에 밀착되면서 체결부재(140)에 의해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40)를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에 관통시켜 체결구(135)에 체결하면서,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몸체부재(110)에 밀폐부재(15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를 결합시킬 때 밀폐부재(150)가 커버부재(120)와 접촉하면서,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140)로 커버부재(120)와 몸체부재(110)를 관통시켜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구(135)에 체결하는 전에,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배터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0)의 내부공간이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40)가 체결되면서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가 밀폐부재(150)로 밀폐될 때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내부공간에 설치된 배터리에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배터리 케이스(100)의 몸체부재(110)를 제작할 때, 너트를 삽입하지 않고 몸체부재(110)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재(110)를 제작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몸체부재(110)를 이용해 배터리 케이스(100)를 제작하거나 조립하는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배터리 케이스 110: 몸체부재
111: 제1 벽체 112: 제2 벽체
113: 제3 벽체 114: 제4 벽체
115: 삽입홈 120: 커버부재
130: 연결부재 135: 체결구
140: 체결부재 150: 밀폐부재

Claims (11)

  1.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끼움결합되고, 복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사이에 상기 몸체부재의 일부와 상기 커버부재를 두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개의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끼움결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외측에서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 관통구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관통구,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벽체의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 및 상기 벽체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배터리 케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2 관통구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구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제1 커버 및 하측 개구부를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상기 밀폐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스.
  8. 내부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몸체부재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 상에 커버부재를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들에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에 연결부재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연결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에 체결하는 과정은,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밀폐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관통시켜 상기 체결구에 체결하는 전에,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방법.
KR1020170101258A 2017-08-09 2017-08-09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32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58A KR102320108B1 (ko) 2017-08-09 2017-08-09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58A KR102320108B1 (ko) 2017-08-09 2017-08-09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21A KR20190016821A (ko) 2019-02-19
KR102320108B1 true KR102320108B1 (ko) 2021-11-01

Family

ID=6552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58A KR102320108B1 (ko) 2017-08-09 2017-08-09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94B1 (ko) 2020-02-07 2021-05-12 주식회사 모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588U (ja) 2005-12-15 2006-03-02 英信 植西 ジョイントコネクターナットの形状及び構造
JP2009121619A (ja) 2007-11-15 2009-06-04 Tsuchikawa Zenji 板材連結機構
KR101447686B1 (ko) 2013-06-19 2014-10-07 주식회사 금성침대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11B1 (ko) 2012-01-16 2013-02-06 (주)미섬시스텍 산화 및 화재 방지용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8770B1 (ko) * 2012-03-23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74151A (ko) * 2012-12-07 2014-06-17 타이코에이엠피(유) 전지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588U (ja) 2005-12-15 2006-03-02 英信 植西 ジョイントコネクターナットの形状及び構造
JP2009121619A (ja) 2007-11-15 2009-06-04 Tsuchikawa Zenji 板材連結機構
KR101447686B1 (ko) 2013-06-19 2014-10-07 주식회사 금성침대 침대 프레임의 체결용 코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21A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287B2 (en) Device connector
JP6815710B2 (ja) 電気接続装置
JP6510010B2 (ja) バッテリ接続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デバイス
US6368130B1 (en) Connector adapted to absorb a positional misalignment
US9331462B2 (en) Junction box
KR101470276B1 (ko) 차량용 방수 커넥터
JP2011146288A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US20200152928A1 (en) Output electrode bas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102320108B1 (ko) 배터리 케이스 및 이의 조립방법
JP2013143395A (ja) 蓄電モジュール
JP6569128B2 (ja) 端子台
ITMI992659A1 (it) Sistema di tenuta di terminali per dispositivi elettrolitici
KR100227129B1 (ko) 볼트 체결형 전기 코넥터
JP2016178085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10916897B1 (en) Battery mounted fuse holder
KR102634392B1 (ko) 연료 전지 스택 모듈
KR100676891B1 (ko) 방열케이스
CN115051088A (zh) 极柱铆压装配方法、装配结构以及一体式电池顶盖组件
US2312791A (en) Corrosion preventing connecting means for storage batteries
CN211082822U (zh) Rtk基站密封结构
KR20130080238A (ko) 방수 구조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
JP4278556B2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US10673176B1 (en) Signal connector with elastic clamping plates and to-be-pressed-against posts for ensuring secure connection and watertightness
JP2017130259A (ja) 止水構造
KR100627369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