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03Y1 -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03Y1
KR200455503Y1 KR2020090015708U KR20090015708U KR200455503Y1 KR 200455503 Y1 KR200455503 Y1 KR 200455503Y1 KR 2020090015708 U KR2020090015708 U KR 2020090015708U KR 20090015708 U KR20090015708 U KR 20090015708U KR 200455503 Y1 KR200455503 Y1 KR 200455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vertical
horizontal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752U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2020090015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0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의 사이즈를 시공 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도어 힌지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여 도어의 내구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도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조물의 수직벽을 따라 결합되고 여닫을 수 있도록 힌지편의 일단이 결합되며 도어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결합되어 전체 도어 본체를 구성하고 도어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수평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힌지편의 결합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갖으며, 볼트결합홀이 형성된 힌지편체결용가이더와, 상기 힌지편체결용가이더의 볼트결합홀을 따라 힌지편을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턱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돌출단이 돌출된 슬라이더 및 그 슬라이더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홈이 뚫려져 있으며,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홈을 수평면으로 갖는 패널 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수평도어프레임의 각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의 각 모서리를 직각 상태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씽크대,프레임,힌지편,가이드,레일

Description

도어 프레임{DOOR FRAME}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의 사이즈를 시공 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도어 힌지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여 도어의 내구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도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씽크대, 붙박이장, 책상 등 다양한 수납공간을 여닫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설치한다. 씽크대, 붙박이장, 책상 및 책장 등에 설치되는 도어는 통상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으로 힌지편으로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씽크대 도어의 설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씽크대 본체 구조물(10)에 힌지편(11)을 장착하고, 그 힌지편(11)에 도어 본체(12)를 장착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씽크대 구조물(10)에 힌지편(11)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 힌지편(11)의 타측은 도어 프레임(13)과 고정되어 도어 프레임(13)이 힌지편(11)을 따라 여닫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프레임(13)에 달려 있는 손잡이(14)를 잡고 도 2와 같이 전방인 A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 본체(12)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 도어프레임 (13)에는 유리나 목재 그리고 아크릴판 등의 도어 패널(18)이 장착된다.
도어 본체(12)의 여닫힘 작동을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힌지편(11)은 씽크대 구조물(10)과 도어 프레임(1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도어 본체(12)를 잡고 A 방향으로 당기면, 힌지편(11)의 회전축(15)을 중심으로 도어 본체(12)가 열리고, A 방향과 반대로 구조물(10)쪽으로 밀면 도어 본체(12)가 닫힌다. 여기서, 힌지편(11)은 통상적으로 회전축(15)에 탄성체를 장착하여 탄성적으로 여닫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편(11)에 대한 구조는 본 고안과 직접 관련이 없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속품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측이 도어 프레임(12)에 장착되는 힌지편(11)은 도 3과 같이, 고정볼트(16)로 도어 프레임(12)의 안착홈(17)을 따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도어 본체(12)의 반복 작동에 따라 작동 충격이 가해져 고정볼트(16)의 조임 상태가 와해되거나 풀려져 힌지편(11)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별도의 보강용 체결부재를 도어 프레임(12)의 안착홈(17)에 끼워 넣어 힌지편(11)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어 프레임(13)의 안착홈(17)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도 마찬가지로 도어의 여닫힘에 따른 작동 충격으로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프레임(12)은 구조적으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긴 도어 프레임(12)을 사전에 도어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구조물(10)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 로 현장 설치 및 시공 작업에서 전체 크기 조절이나 미세 조절이 불가능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도어 패널(18)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도어 프레임에 힌지편을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여 힌지편의 이탈을 방지하여 도어 프레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도어 프레임의 크기를 시공 여견에 맞게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제작 시공할 수 있고, 도어의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은,
구조물의 수직벽을 따라 결합되고 여닫을 수 있도록 힌지편의 일단이 결합되는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결합되어 전체 도어 본체를 구성하는 수평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힌지편의 결합을 안내하고,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갖으며, 볼트결합홀이 형성된 힌지편체결용가이더와,
상기 힌지편체결용가이더의 볼트결합홀을 따라 힌지편을 고정하는 고정볼트 와,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턱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돌출단이 돌출된 슬라이더 및 그 슬라이더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홈이 뚫려져 있으며,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홈을 수평면으로 갖는 패널 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수평도어프레임의 각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수직도어프레임과 수평도어프레임을 직각 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씽크대 등과 같은 도어 프레임을 구성할 때 도어 프레임의 사이즈를 시공 조건에 맞게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도어 힌지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여 도어의 내구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패널을 한 개 이상 분할하여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도어프레임과 힌지편체결용가이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결합 상태도 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2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씽크대와 같은 구조물(21)의 수직벽을 따라 결합되고 여닫을 수 있도록 힌지편(22)의 일단이 결합되며 도어 패널(23)이 끼워지는 홈(24)을 갖는 수직도어프레임(25)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과 결합되어 전체 도어 본체를 구성하고 도어 패널(23)이 끼워지는 홈(24)을 갖는 수평도어프레임(26)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부분은,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7)과, 상기 가이드레일(27)을 따라 장착되어 힌지편(22)의 결합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7)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8)을 갖으며, 볼트결합홀(29)이 형성된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와, 상기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의 볼트결합홀(29)을 따라 힌지편(22)을 고정하는 고정볼트(31)와,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의 가이드레일(27)을 따라 장착되는 턱(45)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돌출단(41)이 돌출된 슬라이더(40) 및 그 슬라이더(40)의 돌출단(41)에 결합되는 홈(42)이 뚫려져 있으며, 도어 패널(23)을 지지하는 홈(43)을 수평면으로 갖는 패널 프레임(44)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26)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레일(32)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과 수평도어프레임(26)의 각 슬라이드레일(32)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수직도어프레임(25)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26)의 각 모서리를 직각 상태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결합편(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어 패널(23)을 사각틀에 끼워 넣어 고정한 상태에서 구조물(21)에 힌지편(22)으로 장착된다,
사각틀을 형성하는 부분은 2개의 수직도어프레임(25)과 2개의 수평도어프레임(26)이고, 이들의 각 모서리는 결합편(33)을 통해 결합된다.
수직도어프레임(25)에는 가이드레일(27)이 형성되어 힌지편(22)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가이드레일(27)에는 도 5와 같이,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가 장착되어 힌지편(22)이 직접 수직도어프레임(25)에 장착되지 않고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를 통해 장착되며,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는 걸림턱(28)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레일(27)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는 볼트결합홀(29)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도어프레임(25)의 가이드레일(27)를 따라 적당한 위치에 위치를 정해 놓은 후 볼트결합홀(29)에 고정볼트(31)를 체결하여 견고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를 수직도어프레임(25)의 가이드레일(27)을 따라 고정볼트(31)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놓은 후 힌지편(22)을 체결하면 된다.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에는 힌지편(22)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편(34)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편(22)을 견고한 상태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수직도어프레임(25)의 가이드레일(27)을 따라 장착되는 턱(45)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돌출단(41)이 돌출된 슬라이더(40) 및 그 슬라이더(40)의 돌출단(41)에 결합되는 홈(42)이 뚫려져 있고, 도어 패널(23)을 지지하는 홈(43)을 수평면으로 갖는 패널 프레임(44)을 통하여 수직도어프레임(25)을 기준으로 분할된 상태로 하여 도어 패널(23)을 1개 이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시공할 수 있 다. 즉 슬라이더(40)를 원하는 위치에 정착시킨 뒤 도어 패널(23)을 홈(43)에 RL워 넣어 설치하면 된다. 이를 통해 도어 패널(23)의 설치 상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디자인을 다양화하는 도어 시공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수직도어프레임(25)과 수평도어프레임(26)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레일(32)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슬라이드레일(32)을 따라 결합편(33)이 결합되어 수직도어프레임(25)과 수평도어프레임(26)의 각 모서리를 직각 상태로 연결하여 결합시킨다.
결합편(33)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의 수직 부분이 수직도어프레임(25)의 슬라이드레일(32)에 끼워지고, 그로부터 수평으로 굴절된 타측의 수평 부분이 수평도어프레임(26)의 슬라이드레일(32)에 끼워져 이들을 상호 결합한다.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편(33)에 가공되어 있는 나사홀(35)에 나사를 끼워넣어 수직도어프레임(25)과 수평도어프레임(26)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씽크대 등과 같은 도어를 제작할 때 작업 현장에서 수직도어프레임(25)과 수평도어프레임(26)을 도어 사이즈 크게에 맞게 절단하고 결합편(33)을 통하여 직접 조립하여 간단하게 도어를 제작할 수 있어 도어의 조립 시공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힌지편체결용가이더(30)를 수직도어프레임(25)에 결합하고 여기에 힌지편(22)을 결합함으로써 힌지편(22)을 직접 도어프레임에 결합하여 나타나는 힌지편 이탈이나 작동 불량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23)을 분할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도어의 디자인 다양화 를 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프레임 결합 상태 설명도.
도 3은 도 2의 B 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도어프레임과 힌지편체결용가이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도어프레임
21:구조물
22:힌지편
23:도어패널
24:홈
25:수직도어프레임
26:수평도어프레임
27:가이드레일
28:걸림턱
29:볼트결합홀
30:힌지편체결용가이더
31:고정볼트
32:슬라이드레일
33:결합편
40:슬라이더
41:돌출단
42.43:홈
44:패널프레임

Claims (1)

  1. 구조물의 수직벽을 따라 결합되고 여닫을 수 있도록 힌지편의 일단이 결합되며 도어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결합되어 전체 도어 본체를 구성하고 도어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갖는 수평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힌지편의 결합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갖으며, 볼트결합홀이 형성된 힌지편체결용가이더와,
    상기 힌지편체결용가이더의 볼트결합홀을 따라 힌지편을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수직도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턱이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돌출단이 돌출된 슬라이더 및 그 슬라이더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홈이 뚫려져 있으며,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홈을 수평면으로 갖는 패널 프레임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수평도어프레임의 각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수직도어프레임과 상기 수평도어프레임의 각 모서리를 직각 상태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KR2020090015708U 2009-12-03 2009-12-03 도어 프레임 KR200455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08U KR200455503Y1 (ko) 2009-12-03 2009-12-03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08U KR200455503Y1 (ko) 2009-12-03 2009-12-03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52U KR20110005752U (ko) 2011-06-10
KR200455503Y1 true KR200455503Y1 (ko) 2011-09-07

Family

ID=4929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08U KR200455503Y1 (ko) 2009-12-03 2009-12-03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07B1 (ko) * 2013-12-31 2014-11-12 주식회사 골드뉴텍 샤워부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66A (ja) 1998-10-07 2000-04-18 Hino Motors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
JP2004330936A (ja) 2003-05-09 2004-11-25 Nissan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スライドガイド構造
JP2006283362A (ja) 2005-03-31 2006-10-1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66A (ja) 1998-10-07 2000-04-18 Hino Motors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
JP2004330936A (ja) 2003-05-09 2004-11-25 Nissan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スライドガイド構造
JP2006283362A (ja) 2005-03-31 2006-10-1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52U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0592A1 (en) Combination cabinet
KR1013446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KR101055107B1 (ko) 포켓 도어
CA2324665A1 (en) Access door incorporating a dual pivoted fastening bracket
KR200455503Y1 (ko) 도어 프레임
KR200419186Y1 (ko) 붙박이장용 가이드레일 및 롤러의 구조
KR200455508Y1 (ko) 도어 프레임
KR200473743Y1 (ko) 장식장의 슬라이딩 도어용 외측슬라이더
KR20170135552A (ko) 도어 조립구조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2000045639A (ja) 引 戸
KR101574230B1 (ko) 양개 방화문의 작은 방화문 고정장치
JP4405444B2 (ja) 連窓における嵌め殺し窓の障子取り付け構造
KR200434077Y1 (ko) 액자용 모서리 연결구 체결구조
JP5667779B2 (ja) プレート部材及び軸部材係止構造
JP2018145598A (ja) 折戸の振止め金具
JP2018150735A (ja) アウトセット折戸扉設置補助具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KR20100018665A (ko) 청소도구함
JP2018105069A (ja) 建具
KR20170003017U (ko) 블록형 붙박이장
JP4731292B2 (ja) 引き出しキャビネットの構造
KR200445374Y1 (ko) 분할형 장롱 도어의 프레임 체결구조
JP4532304B2 (ja) 吊り戸棚
JP3181520U (ja) 組立・分解式戸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