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97B1 -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97B1
KR101546897B1 KR1020140164302A KR20140164302A KR101546897B1 KR 101546897 B1 KR101546897 B1 KR 101546897B1 KR 1020140164302 A KR1020140164302 A KR 1020140164302A KR 20140164302 A KR20140164302 A KR 20140164302A KR 101546897 B1 KR101546897 B1 KR 10154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guava
present
pg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123A (ko
Inventor
김종찬
정승원
정진웅
장미
김소미
안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높이기 위해 최적화된 구아바(Psidium guajava)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구아바 추출물 및 이러한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Extraction method of Psidium guajava for increas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해 최적화된 구아바(Psidium guajava)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구아바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아바는 도금양과(Myrtaceae과) Psidium 속의 미국산 열대성 식물로서, 화분식물은 물론 잎, 나무껍질, 열매 등을 건강식 및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이다.
구아바에는 비타민 C, 마그네슘, 칼륨, 칼슘 등 비타민과 미네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산화변이억제 작용(암예방), 과산화수소 소거 작용(노화방지), 활성산소발생억제작용(미백효과), 항비만 작용(아밀라제 억제), 항당뇨증작용 (당흡수억제, 유사 인슐린 작용-함유하고 있는 폴리페놀 성분), 항 알레르기 작용(히스타민류 억제) 등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 국내에서 구아바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이나 건강음료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5387호는 구아바 잎을 주성분으로 한 당뇨병 치료용, 비만개선용, 노화방지용 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을 개시한 바 있으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10-2006-11762호는 구아바를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제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아바가 함유하는 항염증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 특허문헌은 없으며, 특히 이러한 항염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아바의 추출방법에 대해 개시된 문헌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염증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최적화된 구아바의 추출조건을 밝혀내어, 항염증 활성 증진효과를 갖는 구아바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구아바의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구아바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탄올이 42 내지 68 부피%인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38 내지 56℃의 추출온도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추출용매로서 에탄올의 농도가 42 내지 68 부피%인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고, 38 내지 56℃의 추출온도 및 3 내지 6시간의 추출시간으로 하는 추출조건을 사용하여 추출된 구아바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 증진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아바는 채취한 구아바 잎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방법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인 에탄올 수용액에서 에탄올의 농도는 42 내지 68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며, 53 내지 5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5%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방법에서 추출온도는 38 내지 56℃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45 내지 49℃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7℃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방법에서 추출시간은 3 내지 6시간이 바람직하며, 4 내지 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며, 4.5시간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추출조건은 단순한 수율 또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측면에서는 최선의 추출조건이 아니나, 놀랍게도 항염증 활성과 관련이 있는 NO의 생성량 및 PGE2의 생성량 측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아바 추출조건이 가장 최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아바 추출물의 함염증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추출조건은 단순한 수율 또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추출조건과 실질적으로 다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구아바 추출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껌류,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 빵류, 과자류, 캔디류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제품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출조건으로 제조된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특정 추출조건으로 제조된 구아바 추출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데포(depot) 제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염증 개선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구아바 추출물은 매일 약 0.0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0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구아바 추출물의 정제 정도,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이 뛰어난 구아바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즉 추출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구아바 추출물 및 이러한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NO 생성량이 최소인 추출 조건 및 PGE2 생성량이 최소인 추출 조건을 겹쳐(superimposing) 3차원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러 추출 조건에 따른 구아바 추출>
구아바(Psidium guajava)는 제주대학교로부터 입수한 구아바 잎을 건조하여 분쇄기를 사용하여 마쇄한 후 2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분쇄된 구아바 잎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출온도,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 및 추출시간에 따라 추출하였다.
실시예번호 추출조건
추출온도 (℃) EtOH 농도 (%) 추출시간 (hr)
1 42 20 3
2 78 20 3
3 42 80 3
4 78 80 3
5 42 20 9
6 78 20 9
7 42 80 9
8 78 80 9
9 30 50 6
10 90 50 6
11 60 0 6
12 60 100 6
13 60 50 1
14 60 50 11
15 60 50 6
16 60 50 6
17 60 50 6
18 60 50 6
19 60 50 6
20 60 50 6
<수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0과 같은 추출조건별로 추출한 시료의 총 추출 수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추출액 10 mL을 취하여 105℃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그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조제에 사용된 원료량(건물량)에 대한 백분율로써 추출 수율(%, 총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각 실시예 1 내지 20에서의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26.81~83.14%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구아바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용매인 에탄올 농도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추출온도와 추출용매에 대한 에탄올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측정>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au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 500μL에 1N Folin-Ciocalteau's 페놀 시약 500 μL 및 2% Na2CO3 10 mL을 가하고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는 갈산(gallic acid)을 사용하여 구한 검량곡선으로부터 시료 중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구하였다.
각 실시예 1 내지 20에서의 추출조건에 따른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mg/100g)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5.18~75.80 mg/100g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추출용매인 에탄올 농도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과 추출용매에 대한 에탄올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생성량 측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니트라이트 농도를 Griess reg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s를 1× 105 cells/well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 30 μg/ml 농도로 전처리하고 2시간 후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1 u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uL를 96 웰 플레이트에 취하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regent를 넣어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나트륨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결정하였다.
각 실시예 1 내지 20에서의 추출조건에 따른 NO 생산량 (%)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90~70.29%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NO의 생성량은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은 낮을수록 NO 생성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GE2 생성량 측정>
RAW 264.7 cells를 6 웰 플레이트에 1× 106 cells/ml의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RPMI 1640배지로 교환 후 추출물 30 μg/ml 농도로 세포에 전처리하고 2시간동안 배양한 후 LPS(1 u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5,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상층액을 PGE2 효소 면역 분석 (EIA) 키트 (R&D Systems, Abington, UK)를 사용하여 PGE2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실시예 1 내지 20에서의 추출조건에 따른 PGE2 생산량 (%)은 아무런 약물이 처리되지 않고 LPS로만 자극한 대조군에 비해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48.95~73.38%의 범위로 나타났다.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PGE2의 생산량은 추출용매의 농도는 높고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NO 생산량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시예 번호 수율
(%)
총 페놀성 화합물
(mg/100g)
LPS 유도된
NO 생성량 (%)
LPS 유도된
PGE2 생성량 (%)
1 37.43 69.45 48.90 55.14
2 41.63 71.39 67.69 68.32
3 36.82 72.29 49.65 56.47
4 56.72 74.88 51.25 59.23
5 38.57 73.04 65.34 68.32
6 42.51 71.84 70.29 73.38
7 38.43 73.16 58.97 59.32
8 60.05 74.34 58.55 63.61
9 41.11 70.70 49.74 48.95
10 83.14 75.44 67.69 68.65
11 30.70 69.18 69.79 70.47
12 26.81 70.32 59.51 60.22
13 47.33 72.54 56.11 57.69
14 46.70 75.80 59.39 57.83
15 44.99 65.18 50.41 49.19
16 45.11 67.88 50.07 50.98
17 45.59 65.18 50.24 51.34
18 45.16 68.33 50.32 51.71
19 45.36 67.65 50.16 52.58
20 45.32 69.36 52.57 52.30
상기 표 2에 나타낸 실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항염증 활성 증진효과를 위한 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아바 추출조건 즉, 추출 온도, 에탄올 농도 및 추출시간을 평가하였다. 참고를 위해 수율 및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조건도 평가하였다.
<회귀식 작성을 통한 최적의 추출 조건 수립>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에서 이용한 추출조건 및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반응표면분석을 위해서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시료의 추출온도(X1), 에탄올 농도(X2) 및 추출시간(X3)을 -1.68, -1, 0, 1 및 -1.68의 5단계로 하기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추출조건 독립변수 인자 값
-1.682 -1 0 1 1.682
추출온도(℃) X1 30 42 60 78 90
EtOH 농도 (%) X2 0 20 50 80 100
추출시간 (hr) X3 1 3 6 9 11
독립변수(Xi)에 의한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Yn)는 추출물의 품질인자로서 수율(Y1), 총 폴리페놀 함량(Y2), NO 생산량(Y3) 및 PGE2 생산량(Y4)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에서 수득된 결과(표 2)를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얻고자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종속변수 즉,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NO 생산량 및 PGE2 생산량에 대한 회귀식을 얻었다.
반응 Second order Polynomials R2 유의수준
수율 YY = 83.272705-2.004304X1-0.281121X2-0.522449X3 +0.017386X1 2+0.007755X1X2-0.007081X2 2+0.003472X1X3+0.004028X2X3+0.021894X3 2 0.9086 0.0004
총 페놀성 화합물 YTP = 93.542465-0.690086X1-0.082600X2-2.165496X3 +0.006409X1 2+0.000704X1X2+0.000979X2 2-0.010556X1X3-0.005139X2X3+0.274716X3 2 0.8964 0.0007
LPS 유도된 NO 생성량 YNO = 51.658160-0.099846X1-0.283024X2+0.992187X3 +0.006716X1 2-0.005222X1X2+0.004944X2 2-0.036713X1X3-0.003361X2X3+0.200393X3 2 0.9062 0.0005
LPS
유도된 PGE2 생성량
YP=79.995882-0.663475X1-0.458842X2-1.232247X3 +0.009340X1 2-0.002569X1X2+0.005980X2 2-0.015046X1X3-0.015417X2X3+0.294641X3 2 0.9244 0.0002
변수별 최적 추출조건과 품질특성 값을 예측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13154701-pat00001
상기 표 5의 계산된 추출조건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에서의 실질적인 실시를 통해 수득된 최적화된 추출조건과 거의 유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율에 있어서,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값은 0.9086으로 유의성이 5%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다(표 6). 예측된 정상점은 안장점(saddle point)으로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는 89.53℃,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는 58.72%, 추출시간은 6.15 hr에서 최대값 77.02%로 예측되었다.
또한,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회귀식의 R2값은 0.8964이었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예측된 정상점은 최소점(minimum point)으로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가 59.52℃,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는 50.17%, 추출시간은 11.0 hr일 때 최대값 75.26 mg/100g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NO 생성량에 있어서,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0.9062로 유의성이 5%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다(표 6). 세균성 염증유발물질인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pro-inflammatory mediators)이 만들어지는데, 염증인자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화질소(NO)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이 있다. LPS로 자극한 세포배양액의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소점(minimum point)으로 추출온도가 38.66℃,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는 49.90%, 추출시간은 2.50 hr일 때 NO 생성량이 가장 낮은 값인 45.71%로 나타났다.
PGE2 생성량에 있어서,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0.9244로 유의성이 5%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다(표 6). 염증반응에는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리소좀 효소, 유리 라디칼 등 다양한 매개물질이 관여하고 있는 데 특히, 대식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지다당류 (LPS)와 같은 자극에 의해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핵산 인자-κB (NF-κ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를 발현시켜 과량의 PG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구아바 추출물을 처리한 후 LPS로 자극한 세포의 배양액에서 생성된 PGE2 양을 측정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소점(minimum point)으로 추출온도가 47.24℃,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는 54.58%, 추출시간은 4.77 hr일 때 PGE2 생성량이 가장 낮은 값인 49.0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인 항염증 효과가 최적인 추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NO와 PGE2 생성량의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추출온도 38~56℃, 에탄올 농도 42~68% 및 추출시간 3~6시간이 항염증 효과를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이었다.
추출 조건 바람직한 범위 최적 값
추출온도 (℃) 38~56 47
EtOH 농도(%) 42~68 55
추출시간 (hr) 3~6 4.5
<실시예 21> 구아바 추출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을 통하여 파악한 최적화된 구아바의 추출조건에 따라 구아바 잎을 추출하였다. 즉, 추출온도 47℃, 에탄올 농도 55 부피%인 에탄올 수용액 및 추출시간 4.5 hr의 추출조건으로 구아바 잎을 추출한 후 NO 및 PGE2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3회 반복하여 측정 값을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NO 생성량 (%) PGE2 생성량 (%)
45.81± 0.62 47.47± 0.27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상기 실험을 통하여 최적화된 추출조건에서 구아바 잎을 추출하였을 때 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하였다.
하기 표 8에는 실질적인 실시를 통해 수득된 상기 실시예 21에서의 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과 상기 실시예 1-20을 통해 얻은 회귀식에서 계산한 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NO 생성량 (%) PGE2 생성량 (%)
예측치
(A)
실험치
(실시예 21) (B)
B/A× 100
(%)
예측치
(A)
실험치
(실시예 21) (B)
B/A× 100
(%)
47.62 45.81± 0.62 96.21 49.08 47.47± 0.27 96.72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실시에 21에서 실질적인 실시를 통해 수득된 NO 및 PGE2 생성량과 회귀식을 통해 계산한 NO 및 PGE2 생성량이 실질적으로 유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구아바 추출방법에서의 추출조건은 항염증 효과가 최적화된 추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구아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구아바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당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구아바를 에탄올의 농도가 53 내지 57 v/v%인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45 내지 49℃의 추출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구아바는 구아바 잎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농도는 55 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추출온도는 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추출시간은 4.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방법.
KR1020140164302A 2014-11-24 2014-11-24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KR10154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02A KR101546897B1 (ko) 2014-11-24 2014-11-24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02A KR101546897B1 (ko) 2014-11-24 2014-11-24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348A Division KR20130110398A (ko) 2012-03-29 2012-03-29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23A KR20150003123A (ko) 2015-01-08
KR101546897B1 true KR101546897B1 (ko) 2015-08-24

Family

ID=5247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302A KR101546897B1 (ko) 2014-11-24 2014-11-24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261A (ja) * 2008-03-28 2009-10-2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抗肥満剤、並びに、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261A (ja) * 2008-03-28 2009-10-2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抗肥満剤、並びに、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therapy Research, 1995, Vol.9, pp. 118-1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23A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512B1 (ko) 보스웰리아 세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승적인 항-염증 조성물
EP2623107A1 (en) Arctigenin-containing bardanae fructus extrac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013457B1 (ko) 에이엠피케이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0918326B1 (ko) 칠피, 건칠, 칠목 유래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KR101546897B1 (ko)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구아바의 추출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491645A (zh) 包含鹿角卷柏提取物、其分馏物的用于预防或治疗代谢综合症的组合物
KR101369445B1 (ko)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인진쑥의 추출방법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19221B1 (ko)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03632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726B1 (ko) 오미자 추출물 유래 리그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58429B1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24586B1 (ko) 스틸벤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483660B2 (ja) クルミの抽出物を含む抗肥満剤
KR20130057145A (ko)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KR101503372B1 (ko)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