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716B1 -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716B1
KR101546716B1 KR1020140030155A KR20140030155A KR101546716B1 KR 101546716 B1 KR101546716 B1 KR 101546716B1 KR 1020140030155 A KR1020140030155 A KR 1020140030155A KR 20140030155 A KR20140030155 A KR 20140030155A KR 101546716 B1 KR101546716 B1 KR 10154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mounting member
moving
derail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Abstract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이송장치, 차량실장부재, 수직이동부재, 수평이동부재 및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실장부재는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사고차량이 실장된다.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을 집중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이동부재는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와 상기 사고차량이 탈선된 사고선로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한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COVERING DERAILMENT OF TRAI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인상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탈선 복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탈선은 철도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사고이다. 철도차량의 탈선은 그 자체로 인한 피해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복구시까지 철도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되는 2차적 피해까지 발생한다.
특히 철도기술의 발달로 열차의 속도가 점차 증가됨으로 인하여 철도차량의 탈선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열차의 레일은 열차의 운행속도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곡선구간에서는 열차의 운행속도에 따라 열차가 탈선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디자인된다. 고속열차가 디자인된 속도와 차이가 나는 속도로 곡선운행 하는 경우, 결빙, 바퀴의 노후정도, 레일의 마모정도 등에 따라 탈선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탈선사고는 운행중단이라는 2차적 피해로 인하여 신속한 복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육중한 복구장비를 사고현장까지 운송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사고현장이 산악지역, 터널, 교량 등의 경우 복구장비를 전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인상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탈선 복구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이송장치, 차량실장부재, 수직이동부재, 수평이동부재 및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실장부재는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사고차량이 실장된다.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을 집중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이동부재는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와 상기 사고차량이 탈선된 사고선로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사고차량이 탈선된 사고선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선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장치는 일반도로 주행용 바퀴, 및 상기 바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선로 이동이 가능한 선로 이동용 차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실장부재는 상기 사고차량의 하부에 접촉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와 슬라이딩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실린더가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을 가압하면, 상기 사고차량이 상기 이동부와 함께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수직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재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수평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실린더가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이 상기 지면으로 집중되어 상기 수직실린더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에 있어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사고차량이 실장되는 차량실장부재와,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을 집중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이송장치를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에 인접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상기 사고차량의 하부에 배치한다. 이후에,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차량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계속해서,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와 상기 사고선로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면서 상기 수평이동부재로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사고차량을 하강시켜서 상기 사고차량의 상기 바퀴를 상기 사고선로 상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부인상 구조의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터널, 교량구간, 역사 내부, 전차선이 설치된 구간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주변의 구조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사고를 복구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기중기를 이용한 복구방법과 같이 전차선의 해체와 재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최소한의 인원에 의한 간편한 조작만으로 철도차량 탈선을 복구할 수 있다. 더욱이, 이송장치가 통상주행모드 및 선로주행모드를 포함하여,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사고현장의 위치 및 교통상황에 따라 일반도로와 선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열차탈선장소로 신속한 접근이 가능하며 철도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고속철도차량의 탈선 복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터널구간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교량구간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탈선된 사고차량(30)은 사고선로(10)로부터 탈선한 위치에 배치되고, 인접선로(20)는 사고선로(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사고선로(10)와 인접선로(20)는 한 쌍의 복선 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이송장치(50), 수직이동부재(110), 차량실장부재(120), 수평이동부재(130), 위치감지센서(140) 및 선로 이동용 차륜(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50)는 정보처리장치(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50)는 엔진을 포함하여 사고현장으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이송장치(50)는 통상의 차량구조를 가져서, 운전자의 조종에 따라 도로 또는 철도 선로를 따라서 운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50)는 통상주행모드 및 선로주행모드를 포함한다. 통상주행모드에서, 이송장치(50)는 하부의 바퀴를 이용하여 일반도로를 주행한다. 선로주행모드에서, 이송장치(50)는 선로 이동용 차륜(150)을 이용하여 선로를 주행한다. 이송장치(50)가 통상주행모드 및 선로주행모드를 포함하는 경우,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사고현장의 위치 및 교통상황에 따라 일반도로와 선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55)는 차량이송부재(120), 수직이동부재(110), 수평이동부재(130) 및 위치감지센서(140)에 연결된다. 정보처리장치(55)는 입력신호에 따라 차량이송부재(120), 수직이동부재(110) 및 수평이동부재(13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처리장치(55)는 위치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사고선로(10)와 사고차량(30)의 바퀴(4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55)는 상기 계산된 사고선로(10)와 바퀴(40)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수평이동부재(130)를 제어한다.
선로 이동용 차륜(150)은 이송장치(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인접선로(20)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장치(50)는 인접선로(20) 상에 배치된다.
차량실장부재(120)는 이송장치(50)에 연결되고, 하부에 배치된 수직이동부재(110)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량실장부재(120)는 해수면에 수평한 방향 즉, 중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차량실장부재(120)는 사고선로(10) 또는 인접선로(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실장부재(120)는 사고선로(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차량실장부재(120) 상에는 사고차량(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실장부재(120)는 사고차량(30)이 들어올려지거나 수평이동될 때 사고차량(30)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예를 들어, 차량실장부재(120)는 인접하는 바퀴들(40) 사이를 지지한다. 차량실장부재(120)가 바퀴(40)에 걸리면 사고차량(30)이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이송장치(50)의 위치를 조정하여 차량실장부재(120)가 사고차량(30)의 바퀴(4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실장부재(120)는 엔진의 동력을 수직이동부재(110)로 전달한다. 수직이동부재(110)는 수직이동부재(110)의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수직실린더(11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이동부재(110)의 축방향은 중력방향에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실린더(111)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직실린터(111)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수평이동부재(130)는 이송장치(50)에 연결되고, 차량실장부재(1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수평이동부재(130)는 수평이동부재(130)의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수평실린더(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실린더(131)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수평실린더(131)가 축방향으로 사고차량(30)의 측면을 가압하여 사고차량(30)을 차량실장부재(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치감지센서(140)는 사고차량(30)의 바퀴(40)와 사고선로(10)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140)는 사고차량(30)의 바퀴(40)와 사고선고(10)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하여, 이송장치(50)의 엔진을 이용하여 수평실린더(131)를 제어한다. 사고차량(30)의 바퀴(40)가 사고선로(10) 상에 도달한 경우, 이송장치(50)는 엔진을 제어하여 수평실린더(13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수평실린더(131)를 제어하는 것은 정보처리장치(55)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140)가 사고선로(10)와 수평실린더(131)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수평실린더(131)는 사고차량(30)의 측면에 접촉하므로, 수평실린더(131)의 단부는 바퀴(40)의 외측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사고차량(30)의 측면과 바퀴(40) 사이의 간격, 및 사고선로(10)와 위치감지센서(140) 사이의 거리를 입력하면, 위치감지센서(140)에 의해 사고선로(10)와 사고차량(30)의 바퀴(40)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140)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초음파 거리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140)는 수평실린더(131)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가변저항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실장부재(120)는 이동부(122) 및 지지부(124)를 포함한다. 이동부(122)는 지지부(124) 상에 배치되어 지지부(124) 상을 수평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122)와 지지부(124)는 슬라이딩결합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124)의 상면에 차량실장부재(120)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124a)이 형성되고, 이동부(122)의 하면에 레일(124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재(130)의 수평실린더(131)가 사고차량(30)의 측면을 가압하면, 이동부(122)는 차량실장부재(120)의 축방향을 따라서 지지부(124) 상에서 수평이동한다. 이동부(122)가 수평이동하면 이동부(122) 상에 배치된 사고차량(30)도 이동부(122)와 함께 차량실장부재(120)의 축방향을 따라서 수평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실장부재(120)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차량실장부재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실장부재(120)의 폭이 사고차량(3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 하나의 차량실장부재(120) 만으로 사고차량(30)의 탈선을 복구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사고차량의 탈선을 복구하기 위하여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사고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고선로(10)와 인접선로(20)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복선구간을 구성한다.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선로주행모드에 적용되는 선로 이동용 차륜(150)을 포함하여, 인접선로(20)를 따라서 신속하게 사고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선로(20)가 존재하지 않거나, 인접선로(20)와 사고선로(1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된 경우,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통상주행모드에 적용되는 바퀴를 이용하여 사고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사고차량(30)의 측면에 인접한 장소로 이동을 마치면, 이송장치(50)로부터 차량실장부재(120)가 사고차량(30) 쪽으로 연장된다. 차량실장부재(120)가 연장되면, 차량실장부재(120)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이동부재(110)도 사고차량(30) 쪽으로 이동한다. 수직이동부재(110)가 이동하는 동안 수직실린더(111)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직실린더(111)가 수죽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수직실린더의 하부가 사고선로(10)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차량실장부재(120)는 사고차량(30)의 반대쪽 바퀴(40)까지 연장된다.
도 4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하여 사고차량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직실린더(11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실린더(11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 중력에 의해 사고차량(30)의 하중이 수직실린더(111)에 집중된다. 사고차량(30)의 하중이 수직실린더(111)에 집중되면, 수직실린더(111)가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사고차량(30)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고차량(30)의 하부는 차량실장부재(120)의 이동부(122)의 상면 상에 안착된다.
수직실린더(111)는 사고차량(30)의 바퀴(40)의 하부가 사고선로(10)의 상부를 넘어갈 수 있는 높이까지 들어올려지도록 연장된다.
도 5는 사고차량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이동부재(130)의 수평실린더(13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실린더(131)의 연장방향은 차량실장부재(120)의 축방향과 평행하다.
수평이동부재(130)의 수평실린더(13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면, 수평실린더(131)의 단부가 사고차량(30)의 하부 측면을 가압한다. 수평실린더(131)의 단부가 사고차량(30)의 하부 측면을 가압하면, 사고차량(30)은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사고차량(30)이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면, 사고차량(30)을 지지하는 차량실장부재(120)의 상면도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차량실장부재(120)의 상면이 수평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면, 차량실장부재(120)의 이동부(122)가 지지부(124)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사고차량(30)이 사고선로(10) 쪽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수평실린더(131)의 이동량은 위치감지센서(140)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사고차량(30)의 바퀴(40)가 사고선로(1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수평실린더(131)는 계속하여 이동한다. 반면에, 사고차량(30)의 바퀴(40)가 사고선로(10)에 도달한 경우, 수평실린더(131)는 이동을 중단하고 원래위치로 수축을 시작한다.
도 6은 사고선로까지 이동된 사고차량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실린더(131)를 서서히 수축시킨다. 수평실린더(131)를 수축시키지 않는 경우, 사고차량(30)이 하강하는 도중에 수평실린더(131)의 단부가 사고차량(30)의 하부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수직이동부재(110)의 수직실린더(111)를 수축하여, 차량실장부재(12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차량실장부재(120)가 하강하면, 차량실장부재(120) 상에 배치된 사고차량(30)도 서서히 하강한다.
도 7은 사고차량이 사고선로 상에 안착된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고차량(30)의 바퀴(40)가 사고선로(10) 상에 안착된다. 수직이동부재(110)의 수직실린더(111)는 사고차량(30)이 사고선로(10) 상에 안착된 후에도 수축을 계속한다. 수직실린더(111)가 수축을 계속하면, 차량실장부재(120)도 계속하여 하강한다. 차량실장부재(120)가 계속하여 하강하면, 차량실장부재(120)의 상면은 사고차량(30)의 하부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실린더(131)도 완전히 수축될 때까지 수축을 계속한다.
도 8은 차량실장부재가 사고차량으로부터 이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실장부재(120)는 이송장치(50) 쪽으로 수축된다. 차량실장부재(120)가 수축하면 차량실장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된 수직이동부재(110)도 차량실장부재(120)와 함께 이송장치(50)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차량실장부재(120)가 사고차량(30)으로부터 이탈하고, 철도차량 탈선이 완전히 복구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터널구간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터널 내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용이하게 터널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사고선로(10)와 인접선로(20)가 복선구간을 형성하는 터널 내로 진입하여, 탈선된 사고차량(30)을 사고선로(10) 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터널 내에서 철도차량 탈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교량구간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교량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용이하게 교량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사고선로(10)와 인접선로(20)가 복선구간을 형성하는 교량 구간으로 진입하여, 탈선된 사고차량(30)을 사고선로(10) 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교량 구간에서 철도차량 탈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인상 구조의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터널, 교량구간, 역사 내부, 전차선이 설치된 구간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주변의 구조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사고를 복구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기중기를 이용한 복구방법과 같이 전차선의 해체와 재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가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최소한의 인원에 의한 간편한 조작만으로 철도차량 탈선을 복구할 수 있다. 더욱이, 이송장치가 통상주행모드 및 선로주행모드를 포함하여,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사고현장의 위치 및 교통상황에 따라 일반도로와 선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열차탈선장소로 신속한 접근이 가능하며 철도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고속철도차량의 탈선 복구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는 하부인상 구조를 갖는 고속철도 차량의 탈선 복구장비로서, 터널 내부, 교량 구간, 전차선이 설치된 구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사고레일 20 : 인접레일
30 : 사고차량 40 : 바퀴
50 : 이송장치 55 : 정보처리장치
110 : 수직이동부재 111 : 수직실린더
120 : 차량실장부재 122 : 이동부
122a : 가이드홈 124 : 지지부
124a : 레일 130 : 수평이동부재
131 : 수평실린더 140 : 위치감지센서
150 : 선로 이동용 차륜

Claims (8)

  1. 엔진을 포함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사고차량이 실장되는 차량실장부재;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을 집중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재;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이동부재; 및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와 상기 사고차량이 탈선된 사고선로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사고차량이 탈선된 사고선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접선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일반도로 주행용 바퀴, 및 상기 바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선로 이동이 가능한 선로 이동용 차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실장부재는 상기 사고차량의 하부에 접촉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와 슬라이딩결합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수직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부재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는 수평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실린더가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을 가압하면, 상기 사고차량이 상기 이동부와 함께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실린더가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상기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이 상기 지면으로 집중되어 상기 수직실린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8.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사고차량이 실장되는 차량실장부재와,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고차량의 하중을 집중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이송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의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차량실장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를 이용한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를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에 인접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실장부재를 상기 사고차량의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차량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와 사고선로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면서 상기 수평이동부재로 상기 사고차량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사고차량을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고차량을 하강시켜서 상기 사고차량의 상기 바퀴를 상기 사고선로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탈선 복구방법.
KR1020140030155A 2014-03-14 2014-03-14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KR10154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55A KR101546716B1 (ko) 2014-03-14 2014-03-14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55A KR101546716B1 (ko) 2014-03-14 2014-03-14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716B1 true KR101546716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55A KR101546716B1 (ko) 2014-03-14 2014-03-14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2636A1 (fr) * 2017-10-23 2019-04-26 Maintenance Du Centre Systeme de mise en voie ferree remorque ferroviaire et porteur associe procede de mise en voie ferree
KR20230061276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동양 유압실린더 지지용 탈선 복구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5351A (ja) 2005-08-23 2007-03-08 Universal Kiki Kk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5351A (ja) 2005-08-23 2007-03-08 Universal Kiki Kk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2636A1 (fr) * 2017-10-23 2019-04-26 Maintenance Du Centre Systeme de mise en voie ferree remorque ferroviaire et porteur associe procede de mise en voie ferree
KR20230061276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동양 유압실린더 지지용 탈선 복구장비
KR102589364B1 (ko) 2021-10-28 2023-10-16 주식회사 동양 유압실린더 지지용 탈선 복구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21509B2 (en) Lifting column, 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 vehicle such as a rail-car
CN102470877B (zh) 被引导车辆的脱轨的检测方法和装置
KR101546716B1 (ko)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KR102013389B1 (ko) 탈선방지를 위한 레일구조
CN104334438B (zh) 用于防止受引导车辆的引导丧失的方法和装置
CN105152097A (zh) 塞拉门安装升降装置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JPH07115638B2 (ja) 鉄道の保線車両の脱線回復装置
JP2009292327A (ja) 車両用車止め緩衝装置
CN108749784B (zh) 一种无需地坑更换转向架的可双向移动的轨道桥机构
KR200441074Y1 (ko)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CN203638616U (zh) 混凝土构件生产系统中用的分体摆渡车
CN204343161U (zh) 铁路桥梁辅助检测走行系统
CN100564676C (zh) 龙门吊车运送车
CN105172834A (zh) 电动脱轨器以及列车轨道
CN206070390U (zh) 一种施工便梁纵移装备
JPH06240608A (ja) 鉄道ゲージを変更するための固定設備
CN110904835A (zh) 一种便携式桥梁轻型无人检查车
JP2006290317A (ja) 列車の浮上及び脱線防止装置
KR200182256Y1 (ko)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CN204978704U (zh) 一种新型轨道探伤车
JP3112991U (ja) 鉄道車両脱線復旧機
KR100944991B1 (ko) 역사 구조물의 건축방법
CN204491331U (zh) 一种轨道转运移位对接装置
CN219637725U (zh) 一种用于钢箱梁分段移动的顶推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