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74Y1 -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74Y1
KR200441074Y1 KR2020080004045U KR20080004045U KR200441074Y1 KR 200441074 Y1 KR200441074 Y1 KR 200441074Y1 KR 2020080004045 U KR2020080004045 U KR 2020080004045U KR 20080004045 U KR20080004045 U KR 20080004045U KR 200441074 Y1 KR200441074 Y1 KR 200441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ink member
railway vehicle
bogie
tr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명
Original Assignee
조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명 filed Critical 조동명
Priority to KR2020080004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거장이나 기지 등에서 열차의 상부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리프트 대차에 관한 것으로, 레일 상을 구를 수 있게 바퀴가 구비된 대차몸체와, 대차몸체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를 실을 수 있게 형성되는 캐리어와, 대차몸체로부터 캐리어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캐리어로부터 복수의 단으로 수평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인출시 상승된 캐리어로부터 철도차량의 상부에 이를 수 있게 캐리어와 철도차량을 연결시키는 수평인출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철도차량을 따라 리프트 대차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는 시설물에 비하여 규모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융통성이 개선된다. 캐리어가 철도차량의 상부 정도로 상승된 후 수평인출유닛에 의하여 철도차량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자 또는 작업물의 이동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수평인출유닛은 복수의 단으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이동공간을 절약하고 다른 철도차량 등과 같은 방해물에 의한 영향이 줄어든다.
철도, 대차, 리프트

Description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LIFT TRUCK FOR MAINTANANCE OF TRAIN}
본 고안은 정거장이나 기지 등에서 열차의 상부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리프트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차나 객차, 특수차 등과 철도차량의 상부는 도상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지붕 쪽에 배치되는 장치나 요소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의 상부까지 올라갈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로서 사다리, 또는 철도차량에 평행하게 세운 구조물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사다리는 작업자가 일일이 옮겨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부품이나 장비를 올리기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고정된 구조물은 안정성은 있으나 작업의 유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철도 차량만큼 길게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는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일 상을 구를 수 있게 바퀴가 구비된 대차몸체와, 대차몸체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를 실을 수 있게 형성되는 캐리어와, 대차몸체로부터 지지대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캐리어로부터 복수의 단으로 수평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인출시 상승된 캐리어로부터 철도차량의 상부에 이를 수 있게 캐리어와 철도차량을 연결시키는 수평인출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를 개시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수평인출유닛은 캐리어의 하부에 배치되고 캐리어로부터 수평으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딤판과, 일단은 디딤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캐리어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링크부재의 각도를 증감시켜 디딤판을 인출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링크부재에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링크부재는 복수의 쌍으로 형성되되 그 각 쌍은 디딤판에 평행하게 'X'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딤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강을 시작한 후 철도차량의 상면에 접촉시 하강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디딤판 하강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딤판에는 철도차량의 상면과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딤판에는 철도차량과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에 의하면, 철도차량을 따라 리프트 대차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는 시설물에 비하여 규모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융통성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유닛에 의하여 캐리어가 철도차량의 상부 정도로 상승되면, 수평인출유닛에 의하여 철도차량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자 또는 작업물의 이동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수평인출유닛은 복수의 단으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이동공간을 절약하고 다른 철도차량 등과 같은 방해물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철도차량과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가 설치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도차량 및 리프트 대차의 사시도이다.
철도차량(10)은 철도 선로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작된 동력차·객차·화차 및 특수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지(화물기지·차량기지·주박기지·보수기지 또는 궤도기지 등)나 정거장에서 수리·보수를 받기 위해 인입된 선로(11) 상에 정차된 상태에 있다.
철도차량(10)의 인입 선로(11)에 인접하여서는 한 쌍의 레일(101)이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101) 상에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100)가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100)는 전체적으로 대차몸체(110), 캐리어(130), 승강유닛(120) 및 수평인출유닛(14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차몸체(110)는 레일(101) 상을 구를 수 있게 두 쌍의 바퀴(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퀴(112)에 대한 동력 또는 후술하는 구동실린더(122,143)에 동력 등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유닛(113)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대차몸체(110)에는 작업을 위하여 해당 위치에 정지된 후에 그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수평인출유닛(140)의 동작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레일(101)에 대차몸체(110)를 고정시키는 클램프(clamp)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130)는 작업자를 실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유닛(120)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캐리어(130)의 상부 둘레에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난간(131)이 설치될 수 있다. 난간(131)은 수평인출유닛(140)에 의하여 인출되는 방향으로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유닛(120)은 대차몸체(110)로부터 캐리어(13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의하면 승강유닛(120)은 구동실린더(122)와 구동실린더(122)에 의하여 접어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승강링크(121)를 포함하고 있다.
수평인출유닛(140)은 캐리어(130)로부터 복수의 단으로 수평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인출시 상승된 캐리어(130)로부터 철도차량(10)의 상부에 이를 수 있게 캐리어(130)와 철도차량(10)을 연결시킨다.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접힌 상태에서 수평인출유닛(140)은 캐리어(130)의 하부의 공간에 수용된 모습으로 되어 있으며, 다단으로 인출되기 위한 복수의 디딤판(141,142)이 구비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과 관련된 수평인출유닛(140)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디딤판(141,142)이 2개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편의상 제1디딤판(141) 및 제2디딤판(142)으로 명명한다. 다만, 디딤판의 수는 1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평인출유닛(140)은 위와 같은 제1 및 제2디딤판(141,142)과, 일단은 제1디딤판(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캐리어(13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144), 일단은 제1디딤판(1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디딤판(14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부재(145) 및, 제1링크부재(144)의 각도를 증감시켜 디딤판(141,142)을 인출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제1링크부재(144)에 힘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143)를 포함하고 있다.
캐리어(130)와 제1디딤판(141) 사이 , 제1디딤판(141)과 제2디딤판(142) 사 이에는 직선적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46,147) 또는 가이드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가이드레일(146,147)은 'ㄷ'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링크부재(144) 및 제2링크부재(145)는 디딤판(141,142)의 하부에서 디딤판(141,142)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접혀졌을 때 캐리어(130) 내부로 수용된다(도 4a). 제1링크부재(144) 및 제2링크부재(145)는 대략 'X'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링크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은 핀 등에 의하여 피봇팅되어 있다.
구동실린더(143)의 끝단과 제1링크부재(144)가 만나는 끝단, 제1링크부재(144)와 제2링크부재(145)가 만나는 끝단 및 제2링크부재(145)의 끝단은 디딤판(141,142)의 인출시 링크부재(144,145)가 수평의 상태를 유지하며 정숙하게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디딤판(141,142)의 이동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가이드슬롯(148)에 구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링크부재(144,145)의 배치 및 가이드슬롯(148)은 작업자가 이동시 디딤판(141,142)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나아가, 가이드슬롯은 디딤판(141,142)의 어느 한 쪽으로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4a와 같이 제1디딤판(141) 및 제2디딤판(142)이 캐리어(130)의 하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실린더(143)가 수축되면 제1링크부재(144) 및 제2링크부재(145)는 동시에 그 사이각이 변화되며 도 4b와 같이 디딤판(141,142)을 인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구동실린더(143)의 끝단과 제1링크부 재(144)가 만나는 끝단, 제1링크부재(144)와 제2링크부재(145)가 만나는 끝단 및 제2링크부재(145)의 끝단은 가이드슬롯(148)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디딤판(141,142)의 이동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쪽 단부로 이동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과 관련된 수평인출유닛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캐리어(130)어는 철도차량(10)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디딤판(141,142)이 철도차량(10)의 상면을 향하여 인출된다. 디딤판(141,142)은 무게중심의 큰 변화를 수반하지 않도록 경량으로 구성하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보유하는 강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디딤판(141,142)의 인출시에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후, 디딤판(141,142)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강을 시작한 후 철도차량의 상면에 접촉시 하강이 정지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에는 캐리어(130)의 승강을 제어하는 디딤판 하강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디딤판(141,142)이 철도차량의 상면에 지지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디딤판(141,142)에는 철도차량의 상면과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감지센서(160)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디딤판(141,142)를 통하여 캐리어(130)로 이동하면, 캐리어(130) 및 디딤판(141,142)을 약간 상승시키고 디딤판(141,142)을 접어서 캐리어(130)로 수용시킨다.
도 5와 같이, 제2디딤판(142)에는 철도차량(10)과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50)는 철도차량(10)의 표면을 보호하고, 하강시 대차(100)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완충스프링 부재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철도차량과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가 설치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철도차량 및 리프트 대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의 상부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과 관련된 수평인출유닛(140)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과 관련된 수평인출유닛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Claims (6)

  1. 레일 상을 구를 수 있게 바퀴가 구비된 대차몸체; 상기 대차몸체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를 실을 수 있게 형성되는 캐리어; 상기 대차몸체로부터 상기 캐리어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철도차량의 상면을 향하여 복수의 단으로 수평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캐리어에 있는 작업자가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캐리어와 상기 철도차량의 상면 사이를 연결시키는 수평인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인출유닛은,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수평으로 인출되거나 접힐 수 있게 구성되며,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딤판;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디딤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각도를 증감시켜 상기 디딤판을 인출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에 힘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캐리어가 상기 철도차량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인출된 상기 디딤판이 하강시 상기 철도차량의 상면에 지지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딤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복수의 쌍으로 형성되고, 그 각 쌍은 상기 디딤판에 평행하게 'X'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각 링크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은 핀에 의하여 피봇팅되며, 상기 각 링크부재의 끝단은 상기 디딤판에 상기 디딤판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에는 상기 철도차량과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KR2020080004045U 2008-03-27 2008-03-27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KR200441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45U KR200441074Y1 (ko) 2008-03-27 2008-03-27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045U KR200441074Y1 (ko) 2008-03-27 2008-03-27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074Y1 true KR200441074Y1 (ko) 2008-07-21

Family

ID=4164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045U KR200441074Y1 (ko) 2008-03-27 2008-03-27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7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739B1 (ko) * 2014-11-27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식 작업대
CN108327737A (zh) * 2018-03-12 2018-07-2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式跨座单轨登车梯系统
CN111591311A (zh) * 2020-06-28 2020-08-28 申通庞巴迪(上海)轨道交通车辆维修有限公司 沿轨道方向自行式移动检修平台车
CN112879305A (zh) * 2021-01-12 2021-06-01 邹文懿 一种轴向磁悬浮转子特征的节能水泵
KR20220075505A (ko) 2020-11-30 2022-06-08 주충호 철도차량 작업용 리프트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2458319B1 (ko) * 2022-04-27 2022-10-24 이영기 철로 공사용 이동식 대차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739B1 (ko) * 2014-11-27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식 작업대
CN108327737A (zh) * 2018-03-12 2018-07-2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式跨座单轨登车梯系统
CN111591311A (zh) * 2020-06-28 2020-08-28 申通庞巴迪(上海)轨道交通车辆维修有限公司 沿轨道方向自行式移动检修平台车
KR20220075505A (ko) 2020-11-30 2022-06-08 주충호 철도차량 작업용 리프트의 유압 제어 시스템
CN112879305A (zh) * 2021-01-12 2021-06-01 邹文懿 一种轴向磁悬浮转子特征的节能水泵
KR102458319B1 (ko) * 2022-04-27 2022-10-24 이영기 철로 공사용 이동식 대차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074Y1 (ko) 철도차량 보수용 리프트 대차
CN111362105B (zh) 一种具有多级底连缓冲作用的电梯结构
CN111071295A (zh) 一种跨座式单轨列车的转向架检修作业平台
CN110748215A (zh) 悬挂列车出入库系统、悬挂列车移载装置和悬挂式车库
CN102954891A (zh) 轨道车辆转向架动载试验台
CN112726399A (zh) 一种自适应轨道安装误差的桥梁检查车装置及方法
CN112193266B (zh) 一种用于轨道车辆的货物装卸装置及轨道车辆
RU120057U1 (ru) Комплекс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снятия и установки тележек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на колесные пары
CN111153228A (zh) 一种平移式驮背车装卸车的站场设备系统
CN111517245A (zh) 一种浮车型有轨电车兼容式固定架车机系统
CN111301446A (zh) 一种旋转式驮背车装卸车的站场设备系统
CN215905791U (zh) 一种子母式四柱举升机
CN211731385U (zh) 一种适用于100%低地板有轨电车的脱轨起复设备
CN213649740U (zh) 一种货运车辆备胎架
CN112081438B (zh) 具有伸缩式自动平层装置的垂直升降类机械停车设备用横移台车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JP7173696B2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CN211643907U (zh) 一种平移式驮背车装卸车的站场设备系统
CN111114581A (zh) 一种适用于100%低地板有轨电车的脱轨起复设备及救援方法
KR102348301B1 (ko) 객차 중량 측정장치
JP6557320B2 (ja) 軌条車両の床下への機器取り付け装置及び機器取り付け方法
MXPA01008165A (es) Mecanismo de apoyo para levantamiento de plataforma o cubierta de vagon de ferrocarril.
KR20120064289A (ko) 대차 이송용 캐리어
JP2010247735A (ja) 斜面昇降機の過荷重検出装置
CN210340223U (zh) 一种固定式架车机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