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490B1 - 쿨링 덕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쿨링 덕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490B1
KR101546490B1 KR1020150093807A KR20150093807A KR101546490B1 KR 101546490 B1 KR101546490 B1 KR 101546490B1 KR 1020150093807 A KR1020150093807 A KR 1020150093807A KR 20150093807 A KR20150093807 A KR 20150093807A KR 101546490 B1 KR101546490 B1 KR 10154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unit
insulating sheet
cooling duc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박용범
주식회사 아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범, 주식회사 아이티씨 filed Critical 박용범
Priority to KR102015009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he insulation forming channels for circulation of the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01F2027/328Dry-type transformer with encapsulated foil winding, e.g. windings coaxially arranged on core legs with spacers for cooling and with three ph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시트를 지면에 수직으로 공급하고, 절연시트 측면에서 덕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장치의 구조가 간단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시트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덕트를 부착한 쿨링 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회전 지지되어 권취된 절연시트를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하는 공급릴부; 상기 공급릴부를 통하여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되는 절연시트 양면에 접촉하여 상기 절연시트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를 통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덕트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부착부;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절연시트 중 접착제가 도포된 절연시트 면에 덕트를 낙하하여 공급하는 덕트 공급부;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부착된 덕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를 가열하여 가압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버퍼 유닛; 및 상기 버퍼 유닛을 통과한 쿨링 덕트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쿨링 덕트 제조 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cooling duct}
본 발명은 쿨링 덕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 쿨링용에 사용되는 쿨링 덕트를 제조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쿨링 덕트는 변압기 생산 시 권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절연유의 냉각 효과를 올리기 위한 부품으로 길이가 긴 절연지 상에 덕트(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비교적 간단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쿨링 덕트는 별도의 절연지와 사전에 제작된 덕트를 준비한 후, 상기 절연지를 이동시키면서, 절연지 상단에 상기 덕트를 접착제에 의하여 연속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제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식은 등록특허 제346139호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은 절연지자동공급수단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소정 피치 만큼 절연지를 자동으로 공급토록 하고, 상기 절연지상에 본드자동공급수단에 의하여 본드를 자동으로 적량 토출공급하며, 덕트를 본드가 토출된 절연지상에 덕트홀더유니트와 상부픽커 등으로 자동공급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쿨링 덕트 제조 방법에 비하여, 작업공수의 절감 및 소재의 로스를 줄임은 물론 인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발명은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쿨링 덕트를 자동을 제조할 수 있은 점에서 효과적이며, 특히 절연지를 연속 공급하고, 상기 절연지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덕트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장치를 구성하고, 또한 절연지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 유지 장치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한 점과 덕트가 부착되는 피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피치에 대응할 수 있는 점 등의 장점 역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성이 하나의 덕트만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전체 작업 속도를 올리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절연지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4개의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연동하는 2개의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며, 이러한 복잡성에 따라 상기 구성들의 동작을 위한 공압 배관 구성 역시 복잡하여, 장치의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구동 속도가 빨라 높은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제조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연시트를 지면에 수직으로 공급하고, 절연시트 측면에서 덕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장치의 구조가 간단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시트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덕트를 부착한 쿨링 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회전 지지되어 권취된 절연시트를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하는 공급릴부; 상기 공급릴부를 통하여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되는 절연시트 양면에 접촉하여 상기 절연시트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를 통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덕트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부착부;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절연시트 중 접착제가 도포된 절연시트 면에 덕트를 낙하하여 공급하는 덕트 공급부;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부착된 덕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를 가열하여 가압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버퍼 유닛; 및 상기 버퍼 유닛을 통과한 쿨링 덕트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딩부는: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구동롤; 상기 구동롤을 절연시트 피치만큼 이동을 위하여 간헐 회전 구동하는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절연시트의 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가압롤; 및 상기 가압롤을 절연시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부는 접착제를 보관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접착제를 절연시트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덕트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덕트를 지지하는 부착가이드; 상기 부착가이드에 지지된 덕트를 절연시트면으로 가압하는 부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부착 액추에이터가 동작 시 상기 절연시트를 지지하는 부착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되지 않은 면을 지지하는 가압측벽; 및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된 면을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되지 않은 면을 지지하는 가열측벽과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된 면을 가압하는 가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측벽의 온도는 130℃ 내지 150℃이고, 상기 가열 액추에이터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부는 가열 액추에이터를 통과한 쿨링 덕트를 권취하는 종롤러와 상기 종롤러를 통과한 쿨링덕트를 지지하는 절환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베이스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버퍼 베이스; 상기 버퍼 베이스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회전고정되는 버퍼휠; 상기 버퍼휠의 상 높이 한계 점을 인식하는 상한 센서; 및 상기 버퍼휠의 한 높이 한계 점을 인식하는 하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부는 상기 베이스 측면에 부착되어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권취모터, 상기 권취모터 회전축에 고정되는 권취롤 및 상기 상한 센서와 하한 센서의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하한 센서가 버퍼휠을 인식한 경우 상기 상한 센서가 버퍼휠을 인식할 때까지 상기 권취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 공급부는 회전에 의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급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덕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부착가이드로 낙하 안내하는 덕트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롤 전방에는 쿨링 덕트를 좌우로 가이드하는 분포가이드와 상기 분포가이드를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분포캠을 포함하며, 상기 분포캠은 상기 권취롤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덕트 제조 장치는 절연시트를 지면에 수직으로 공급하고, 덕트를 상단에서 낙하하여 공급하므로, 덕트의 기계적인 이송을 위한 복잡한 구성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향상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권취롤은 쿨링 덕트를 폭방향으로도 다수개 배치하는 형태로 권취하므로, 한번의 교체로 많은 쿨링 덕트를 권취할 수 있으므로, 권취롤 교체 주기를 길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덕트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급릴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딩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포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덕트 부착부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덕트 공급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열부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버퍼 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권취부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분포가이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덕트 제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공급릴부(20), 상기 공급릴부(20)에서 해방되어 지면(베이스(1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는 절연지(1)를 피딩하는 피딩부(30), 상기 피딩부(30)에 의하여 이송하는 절연지(1) 일측면으로 접착제를 분사하는 도포부(40), 상기 도포부(40) 측면에 위치하여 절연지(1)에 공급된 덕트(2)를 절연지(1)에 부착하는 덕트 부착부(50), 상기 덕트 부착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덕트 부착부(50)로 덕트(2)를 공급하는 덕트 공급부(60), 상기 덕트 부착부(50)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 부착부(50)에 의하여 절연지(1)에 부착된 덕트(2)를 가압하여 접착 특성을 강화하는 가압부(70), 상기 가압부(70) 측면에 배치되어 쿨링 덕트(3)를 가열 가압하는 가열부(80), 상기 베이스(10) 끝단에 위치하여 쿨링 덕트(3)를 지지하는 종롤러(89), 상기 종롤러(89)를 거쳐서 이동하는 쿨링 덕트(3)에 장력을 조절하는 버퍼 유닛(110), 상기 버퍼 유닛(110)을 통하여 이송되는 쿨링 덕트(3)를 권취하는 권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연시트(1)의 이송과 덕트(2)이 이송 그리고 각 부재들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상단은 평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적당한 강도가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0) 상면 일측에는 공급릴부(20)가 결합한다. 상기 공급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절연시트(1)를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급릴부(20)는 회전에 대하여 적절한 저항력을 부가하여 당기지는 절연시트(1)가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공급릴부(20)는 권취된 절연시트(1)가 모두 소모된 경우,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공급릴부(20)에서 풀리는 절연시트(1)는 복수의 가이드롤러(21)에 의하여 이송이 안내된다.
상기 공급릴부(20)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부(30)가 위치한다. 상기 피딩부(30)는 구동롤(31)과 상기 구동롤(31)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가압롤(3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32)에는 가압 액추에이터(33)가 부착된다.
상기 구동롤(31)은 구동 액추에이터(34)가 결합하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34)에 의하여 상기 구동롤(31)은 간헐 운동한다.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34)는 회전형 액추에이터로 절연시트(1)의 피치(덕트(2)의 배치 간격))만큼 회전하고 일시 중지 후 다시 회전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33)는 상기 가압롤(32)을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절연시트(1)와 상기 구동롤(31)의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피딩부(30)에 의하여 상기 절연시트(1)는 피치만큼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구동 액추에이터(34)는 상기 간헐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피치의 쿨링 덕트(3)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딩부(30) 측면에는 도포부(40)가 위치한다. 상기 도포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부(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절연시트(1)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사노즐(41), 저장탱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분사노즐(41)에 대향되는 부분에 절연시트(1)의 지지를 위한 분사측벽(43)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42)에는 접착제가 저장되며, 접착제의 점도 유지를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추가되며, 상기 분사노즐(41)은 상기 저장탱크(42)의 접착제를 상기 절연시트(1)의 일면으로 분사하여, 절연시트(1)가 피치 간격으로 이송한 후, 분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요한 경우 상기 분사노즐(41)은 덕트(2)의 피치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2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은 덕트(2) 부착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포부(40) 측면에는 부착부(50)와 덕트 공급부(60)가 위치한다. 상기 부착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가이드(51), 부착 액추에이터(52), 부착측벽(5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착가이드(51)와 상기 부착측벽(53) 사이에 절연시트(1)가 위치하여 이송한다.
상기 부착가이드(51)에는 마름모꼴의 덕트(2)가 상기 덕트 공급부(60)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부착 액추에이터(52)가 작동하여 상기 덕트(2)를 상기 절연시트(1)에 부착한다.
상기 덕트 공급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하여 덕트(2)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공급장치(61)와 상기 공급장치(61)에서 배출되는 덕트(2)를 상기 부착가이드(51)로 안내하는 덕트 안내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장치(61)는 소형의 재료를 공급하는 통상의 공급기이고, 상기 덕트 안내부(62)는 덕트(2)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안내되며, 상기 부착가이드(51)로는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덕트(2) 공급 방식은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덕트(2)가 배출되며, 이후의 덕트(2)가 순차적으로 부착가이드(51)로 안내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포부(40)에서 분사노즐(41)이 2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덕트 공급부(60) 역시 2개로 구성하여 2개의 덕트(2)가 덕트(2) 피치만큼 이격되어 공급되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상기 부착가이드(51) 역시 2개의 덕트(2)를 수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또한 부착 액추에이터(52) 역시 2개로 구성한다.
이때 2개의 덕트 공급부(60)는 덕트 안내부(62)에 대하여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2개의 덕트(2)를 절연시트(1)에 동시에 부착하므로, 높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덕트(2)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딩부(30)는 2피치 거리만큼 절연시트(1)를 이송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부착부(50)의 측면에는 가압부(70)가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70)를 통과하여 덕트(2)가 부착된 쿨링 덕트(3)를 가압하여 덕트(3)의 부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측벽(71), 상기 가압측벽(71)과 쿨링 덕트(3)를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가압 액추에이터(72)는 상기 쿨링 덕트(3)의 피치 이동 후에 동작하여 덕트(2)를 절연시트(1)에 추가로 가압하여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가압부(70)의 측면에는 가열부(80)가 위치하며, 상기 가열부(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 덕트(3)를 지지하는 가열측벽(81)과 상기 가열측벽(81) 전면에 위치하는 쿨링 덕트(3)를 가압하는 가열 액추에이터(8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 액추에이터(82)는 쿨링 덕트(3)가 이송되는 경우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열 액추에이터(82)는 필요한 경우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열측벽(81)은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가열측벽(81)의 온도는 130℃ 내지 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온도가 130℃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에 의한 쿨링 덕트(3)의 접착력 향상에 효과가 미미하고, 150℃를 초과하는 경우 쿨링 덕트(3)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2개의 덕트(2)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70)와 가열부(80)는 쿨링 덕트(3)와 접촉하는 부분이 2개의 덕트(2) 동시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부(80)를 통과한 쿨링 덕트(3)는 다수의 단위롤러들로 구성된 종롤러(89)에 다수회 권취된 후, 절환가이드(88)에 지지된 후, 버퍼 유닛(110)으로 안내된다.
상기 버퍼 유닛(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베이스(111)가 상기 베이스(10)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버퍼 베이스(11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체(112)와 상기 이동체(112)에 회전 고정되는 버퍼휠(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쿨링 덕트(3)는 상기 버퍼휠(113)에 귄취되며, 쿨링 덕트(3)의 장력이 큰 경우에는 상기 버퍼휠(113)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력이 약한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 베이스(111)에는 상기 버퍼휠(113)의 상하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상한 센서(114)와 하한 센서(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퍼 유닛(110) 우측으로는 상기 베이스(10)에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1)에 고정되는 권취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권취부(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고정되는 권취모터(122)와 상기 권취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권취롤(125)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휠(113)에 일부 권취된 쿨링 덕트(3)가 상기 권취롤(125)에서 최종 권취된다.
이때 상기 권취모터(122)는 상기 버퍼휠(113)이 하한 센서(115)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하여 상기 쿨링 덕트(3)를 권취하여 장력을 증가시키고, 이후 상기 버퍼휠(113)이 상한 센서(114)에 위치하는 경우 작동을 중지하는 형태로 별도의 제어장치(130)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귄취부(120)와 버퍼 유닛(110) 상호 작용에 의하여 쿨링 덕트(3)의 장력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권취롤(12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쿨링 덕트(3)가 배치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며, 이때 귄취되는 쿨링 덕트(3)가 폭으로 이동하도록 분포가이드(123)가 위치하며, 상기 분포가이드(123)는 상기 권취롤(125)이 회전하는 경우, 권취롤(125)의 폭 방향으로 쿨링 덕트(3)를 요동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포가이드(123)는 도 11에 도시된 분포캠(124)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상기 분포캠(124)은 원통형에 2개의 나선으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나선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분포캠(124)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분포가이드(123)의 일단이 상기 나선에 삽입되면, 상기 분포캠(124)의 길이를 왕복운동한다.
이때 상기 분포가이드(123)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분포캠(124)은 상기 권취롤(125)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130)는 필요한 경우, 전체 작동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작동기 제어는 작동기에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밸브를 구동하는 것으로 수행되며, 특히 피딩부(30), 도포부(40), 덕트 부착부(50), 가압부(70) 및 가열부(8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의 동작은 상기 피딩부(30)의 간헐 동작에 연계하여 나머지 구성들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절연지 2: 덕트
3: 쿨링 덕트 10: 베이스
20: 공급릴부 21: 가이드롤러
30: 피딩부 31: 구동롤
32: 가압롤 33: 가압 액추에이터
34: 구동 액추에이터 40: 도포부
41: 분사노즐 42: 저장탱크
43: 분사측벽 50: 부착부
51: 부착가이드 52: 부착 액추에이터
53: 부착측벽 60: 덕트 공급부
61: 공급 장치 62: 덕트 안내부
70: 가압부 71: 가압측벽
72: 가압 액추에이터 80: 가열부
81: 가열측벽 82: 가열 액추에이터
88: 절환가이드 89: 종롤러
100: 쿨링 덕트 제조 장치 110: 버퍼 유닛
111: 버퍼 베이스 112: 이동체
113: 버퍼휠 114: 상한 센서
115: 하한 센서 120: 권취부
121: 지지 프레임 122: 권취모터
123: 분포가이드 124: 분포캠
125: 권취롤 130: 제어장치

Claims (12)

  1. 절연시트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덕트를 부착한 쿨링 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회전 지지되어 권취된 절연시트를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하는 공급릴부;
    상기 공급릴부를 통하여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공급되는 절연시트 양면에 접촉하여 상기 절연시트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를 통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덕트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부착부;
    베이스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절연시트 중 접착제가 도포된 절연시트 면에 덕트를 낙하하여 공급하는 덕트 공급부;
    상기 부착부를 통하여 부착된 덕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를 가열하여 가압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쿨링 덕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버퍼 유닛; 및
    상기 버퍼 유닛을 통과한 쿨링 덕트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구동롤;
    상기 구동롤을 절연시트 피치만큼 이동을 위하여 간헐 회전 구동하는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절연시트의 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가압롤; 및
    상기 가압롤을 절연시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접착제를 보관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접착제를 절연시트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덕트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덕트를 지지하는 부착가이드;
    상기 부착가이드에 지지된 덕트를 절연시트면으로 가압하는 부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부착 액추에이터가 동작 시 상기 절연시트를 지지하는 부착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되지 않은 면을 지지하는 가압측벽; 및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된 면을 가압하는 가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되지 않은 면을 지지하는 가열측벽과 상기 절연시트 중 덕트가 부착된 면을 가압하는 가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측벽의 온도는 130℃ 내지 150℃이고, 상기 가열 액추에이터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가열 액추에이터를 통과한 쿨링 덕트를 권취하는 종롤러와 상기 종롤러를 통과한 쿨링덕트를 지지하는 절환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베이스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버퍼 베이스;
    상기 버퍼 베이스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회전고정되는 버퍼휠;
    상기 버퍼휠의 상 높이 한계 점을 인식하는 상한 센서; 및
    상기 버퍼휠의 한 높이 한계 점을 인식하는 하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베이스 측면에 부착되어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권취모터, 상기 권취모터 회전축에 고정되는 권취롤 및 상기 상한 센서와 하한 센서의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하한 센서가 버퍼휠을 인식한 경우 상기 상한 센서가 버퍼휠을 인식할 때까지 상기 권취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덕트 공급부는 회전에 의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급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덕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부착가이드로 낙하 안내하는 덕트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 전방에는 쿨링 덕트를 좌우로 가이드하는 분포가이드와 상기 분포가이드를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분포캠을 포함하며, 상기 분포캠은 상기 권취롤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덕트 제조 장치.
KR1020150093807A 2015-06-30 2015-06-30 쿨링 덕트 제조 장치 KR101546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07A KR101546490B1 (ko) 2015-06-30 2015-06-30 쿨링 덕트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07A KR101546490B1 (ko) 2015-06-30 2015-06-30 쿨링 덕트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490B1 true KR101546490B1 (ko) 2015-08-21

Family

ID=5406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07A KR101546490B1 (ko) 2015-06-30 2015-06-30 쿨링 덕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598B1 (ko) * 2018-08-20 2019-02-22 진병훈 쿨링 덕트 스트립 자동화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680B1 (ko) 2010-09-27 2012-01-03 (주) 가은 상부 절연지를 구비한 쿨링 닥트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480049B1 (ko) 2014-11-06 2015-01-09 (주)용우 변압기용 코일 냉각 덕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680B1 (ko) 2010-09-27 2012-01-03 (주) 가은 상부 절연지를 구비한 쿨링 닥트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480049B1 (ko) 2014-11-06 2015-01-09 (주)용우 변압기용 코일 냉각 덕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598B1 (ko) * 2018-08-20 2019-02-22 진병훈 쿨링 덕트 스트립 자동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88114U (zh) 条状物贴装设备的自动涂胶装置
CN106733415A (zh) 一种锂电池极片涂布机
CN205855525U (zh) 放卷装置及张力控制机构
KR101479470B1 (ko) 롤투롤 공정 장치
CN107424819B (zh) 自动贴装机
KR101546490B1 (ko) 쿨링 덕트 제조 장치
KR101714403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쿨링 덕트 제조 장치
CN106185457A (zh) 一种线材卷绕装置
KR101586042B1 (ko) 쿨링 덕트 제조 장치
CN102522863B (zh) 空心杯线圈的自动化生产设备
CN202702875U (zh) 线材自动喷码装置
CN203862732U (zh) 一种具有张紧作用的校平机
CN207192439U (zh) 条状物贴装设备的自动贴装装置
CN203844379U (zh) 铝箔包装纸生产设备
CN113815302B (zh) 一种多织带丝网印刷机
CN207154048U (zh) 热熔胶卷材涂布生产系统
KR20160130607A (ko) 목재판넬용 필름 공급 자동화장치
CN209052054U (zh) 一种用于真空喷涂设备中的板材压料输送装置
CN111013844B (zh) 一种超声波静电喷涂生产线
KR101598173B1 (ko) 쿨링 덕트 제조 장치
CN204773983U (zh) 三版印刷机放卷同步匀速装置
CN207199453U (zh) 自动贴装机
CN204398488U (zh) Fpc基材连续和不间断网版印刷油墨作业线
CN211167742U (zh) 一种平板玻璃的贴标装置
KR101800080B1 (ko) 스트립 연속 컬러 코팅라인의 U-wrap 듀얼 헤드 페인트 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