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797B1 -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797B1
KR101545797B1 KR1020137022681A KR20137022681A KR101545797B1 KR 101545797 B1 KR101545797 B1 KR 101545797B1 KR 1020137022681 A KR1020137022681 A KR 1020137022681A KR 20137022681 A KR20137022681 A KR 20137022681A KR 101545797 B1 KR101545797 B1 KR 10154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nding door
door
elevator ca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430A (ko
Inventor
가즈노리 와시오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022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57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는 복수의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다. 안전 제어부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마다 독립하여 인식 가능하다. 또, 안전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어느 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에,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SAFETY CONTRO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기계실을 가지지 않고,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리스 타입(machine-roomless type)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기기의 보수시에는, 보수원이 승강로 내에 들어가 보수 작업을 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위에 타서 권상기나 제어 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한다. 또, 승강장 도어 장치나 각종의 승강로 내 스위치 등을 보수하는 경우도,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 위에 타서 보수 작업을 행한다. 이에 더하여, 권상기나 제어 장치가 승강로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보수원은 승강로 피트(pit) 내에 들어가 권상기나 제어 장치의 보수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은 보수 작업시의 보수원의 퇴피(退避)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초과 이동 제한 스위치(overtravel limiting switch)가 마련되어 있어, 보수 운전시에는 초과 이동 제한 스위치를 초과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보수원이 피트 내에 들어가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서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이 갑자기 주행하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보수원이 승강장 도어의 해정 장치를 조작한 것을 검지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자동적으로 저지함으로써, 보수원에게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이 갑자기 주행하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에 더하여,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에서는, 특별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보수원이 승강로 내의 위험 존에 들어간 것을 검지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특별 동작 모드로 이행함으로써, 위험 존 내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8-9173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표 2004-5347070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에서는,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하기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하여,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기설(旣設)의 기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저비용으로 검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및 승강장 도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 제어를 행하는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고, 승강장 도어 스위치는 복수의 계통(系統)으로 나누어져 있고, 안전 제어부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마다 독립하여 인식 가능하고,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어느 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에,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는,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및 승강장 도어 스위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와 개방되어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해서,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제어부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 제어부에 있어서의 자동 운전의 리셋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구동 시브에는, 현가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감겨 있다. 현가 수단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는, 현가 수단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며, 권상기(2)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권상기(2)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제어반)(4)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21)와 안전 제어부(22)를 가지고 있다.
운전 제어부(21)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운전 모드에는,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칸(3) 내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는 자동 운전 모드(통상 운전 모드)와, 보수 운전 모드(수동 운전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안전 제어부(22)는 운전 모드를 운전 제어부(21)에 지시할 수 있다.
각 층의 승강장 출입구는 승강장 도어(5)에 의해 개폐된다.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개방함으로써, 승강로(1)의 최하부인 피트(1a)로의 보수원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 최하층 이외의 승강장 도어(5)를 개방함으로써, 그 층 아래에 정지시킨 엘리베이터 칸(3) 위로의 보수원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각 층의 승강장 도어(5)에는, 승강장 도어(5)의 열림 상태를 검출하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장 도어 스위치(6)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에 표준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 승강장 도어 스위치(6)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의 개방을 검출하는 최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최하층을 제외한 홀수층의 승강장 도어(5)의 개방을 검출하는 복수의 홀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b), 및 짝수층의 승강장 도어(5)의 개방을 검출하는 복수의 짝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c)의 3계통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여기서의 홀수층·짝수층은 실제의 건물에 있어서의 층수가 아니고, 최하층을 1층으로 하여 승강장 도어(5)가 마련되어 있는 층을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었을 때의 층수이다. 따라서 홀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b)와 짝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c)가 1층상마다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신호는 상기의 계통마다 독립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입력되어 있다. 또, 홀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b) 및 짝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c)는 계통마다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 홀수층의 승강장 도어(5) 및 짝수층의 승강장 도어(5)의 개방을,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계통마다 독립하여 인식 가능하다.
승강로(1)의 최하부인 피트(1a)에는,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자동 운전 무효화 스위치)(9)와, 엘리베이터 칸(3)을 보수 운전 모드로 운전하기 위한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및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는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최하층의 승강장에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리셋하여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제1 리셋 스위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최하층 이외의 소정의 층(예를 들면 2층)의 승강장에는, 운전 모드의 전환을 리셋하여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제2 리셋 스위치(12)가 마련되어 있다. 리셋 스위치(11, 12)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통상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이 도어 존 내에 착상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그 층의 승강장 도어(5)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5)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3)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오퍼레이터(엘리베이터 칸 상 스테이션)(14)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 오퍼레이터(14)에는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자동 운전 무효화 스위치)(15)와, 엘리베이터 칸(3)을 보수 운전 모드로 운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는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는 모두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보수원은 승강장 도어(5)를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승강로(1) 내에 들어가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의 열림 상태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보수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제한하는 보수 운전 하부 리미트 스위치(18)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보수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을 제한하는 보수 운전 상부 리미트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있다.엘리베이터 칸(3)에는 리미트 스위치(18, 19)를 조작하는 캠(20)이 마련되어 있다.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어느 하나의 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에,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검지하여,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이와 같은 안전 제어부(22)의 제어를,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닫혀 있는 경우와 열려 있는 경우로 나누면, 이하의 안전 제어 논리 1, 2로 된다.
안전 제어 논리 1.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 및 3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의 상태를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온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어느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 즉 어느 승강장 도어(5)가 개방한(모두 닫힘이 아닌)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안전 제어 논리 2.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오프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개방되어 있을 때,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 중 2계통 이상이 오프로 되었을 경우, 즉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5)가 도어 열림 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통상, 보수원이 보수 작업을 위해서 피트(1a)에 들어갈 때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열어 피트(1a)에 들어간다. 또,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3) 위에 올라탈 때는, 엘리베이터 칸(3)의 정지층의 바로 윗 층의(또는 타려고 하는 층상의 바로 아래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정지시키고 나서) 승강장 도어(5)를 열어서 엘리베이터 칸(3) 위에 올라탄다. 이때, 통상은 승강장 도어(5) 만이 열림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의 안전 제어 논리 1로 제어함으로써, 보수원의 피트(1a) 및 엘리베이터 칸(3) 위로의 이동의 대부분의 경우를 검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드문 케이스로서 자동 운전 중의 엘리베이터 칸(3)이 어느 층상에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13) 및 승강장 도어(5)의 양쪽 모두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수원이 피트(1a) 또는 엘리베이터 칸(3) 위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서의 대처로서, 상기의 안전 제어 논리 2의 제어에 의해, 어느 층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13) 및 승강장 도어(5)의 양쪽 모두가 개방 상태에 있더라도, 피트(1a)로 통하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 또는 엘리베이터 칸(3) 위로 통하는 엘리베이터 칸(3)의 정지층의 바로 윗 층의 승강장 도어(5)가 열린 것, 즉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5)의 개방을 검출하여 보수원의 이동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안전 제어부(22)는 자동 운전을 일단 무효화했을 경우, 승강로(1)의 외부에 있는 제1 리셋 스위치(11) 또는 제2 리셋 스위치(12)가 보수원에 의해 조작되어, 리셋 신호를 수신하고, 추가로 모든 승강장 도어(5)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3)의 완전 닫힘 상태를 확인할 때까지는, 자동 운전의 무효화를 계속한다. 또, 정전 등으로 전원 리셋된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서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안전 제어부(2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자동 운전이 무효화되었을 경우, 보수원은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또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에 의해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 또는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을 수동 운전(보수 운전 또는 점검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동 운전 중은, 보수 운전 하부 리미트 스위치(18) 및 보수 운전 상부 리미트 스위치(19)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안전 제어부(22)는 안전 제어의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중복화(redundant)(여기에서는 이중화)되어 있어,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제1 및 제2 논리 회로(23a, 23b)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스위치(6a, 6b, 6c, 11, 12, 17)로부터의 신호는 제1 논리 회로(23a)와 제2 논리 회로(23b)의 양쪽 모두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 및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로부터의 입력 신호도 이중화되어 있어, 제1 논리 회로(23a)와 제2 논리 회로(23b)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또, 논리 회로(23a, 23b)에 의해, 3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로부터의 입력의 논리곱이 취해져(직렬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종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입력과 동등의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를 운전 제어부(21) 등의 다른 장치에 신호 출력 또는 릴레이 출력함으로써,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의 제어(예를 들면 도어 열림 주행 방지 등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1 및 제2 논리 회로(23a, 23b)는 안전 제어를 실시하여, 그 출력 결과(자동 운전의 유효/무효)의 논리곱을 취한 후, 제1 및 제2 릴레이(24a, 24b)에 출력한다. 제1 및 제2 릴레이(24a, 24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양쪽 모두 접점이 닫혀 있는(온되어 있는) 경우만, 자동 운전이 유효로 되도록 운전 제어부(21)에 입력된다. 즉, 제1 및 제2 논리 회로(23a, 23b)의 어느 한쪽이라도, 자동 운전이 무효로 되는 지령이 출력되었을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자동 운전은 무효화된다.
또, 출력 결과는 제1 및 제2 논리 회로(23a, 23b)에 다시 입력되어, 결과가 올바르게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가 진단된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논리 회로(23a, 23b)는 자신의 건전성을 체크하기 위한 자기 진단 기능을 가진다. 논리 회로(23a, 23b)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자동 운전을 무효화하는 출력을 행한다.
각 논리 회로(23a, 23b)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운전 제어부(21)의 컴퓨터와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각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 RAM 및 WDT(Watch Dog Timer)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ROM 및 RAM의 판독(read) 및 기입(write)에 관한 검사나, WDT에 의한 시간 감시가 행해진다.
또, 각 논리 회로(23a, 23b)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한 단순한(전자) 회로(논리 회로), 또는 릴레이 회로 등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보수 작업 장치(25)에는 피트 내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9), 피트 내 보수 운전 장치(10),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 및 엘리베이터 칸 상 보수 운전 장치(16)가 포함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안전 제어부(22)에 있어서의 안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안전 제어부(22)는 자동 운전이 무효화되어 있지 않은(유효한) 동안, 도 3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안전 제어 처리에서는 우선 입력 신호의 진단을 행하고(스텝 S1), 이상이 있으면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스텝 S2). 이상이 없으면,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3).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완전 닫힘 상태이면,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4). 그리고 어느 계통의 승강장 도어(5)가 개방 상태이면,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스텝 S2).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도어 열림 상태인 경우,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의 판정을 행하여(스텝 S5),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5)가 개방 상태이면,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스텝 S2).
상기 이외의 경우, 즉, 모든 승강장 도어(5)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폐쇄 상태인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개방 상태에서 1계통의 승강장 도어(5)만이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중복화된 논리 회로(23a, 23b)의 연산 결과를 대조한다(스텝 S6). 그리고 연산 결과가 불일치이면,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스텝 S2). 연산 결과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출력 신호의 진단을 행한다(스텝 S7). 그리고 출력 신호의 진단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스텝 S2). 연산 결과가 일치하여 신호에 이상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도 4는 도 1의 안전 제어부(22)에 있어서의 자동 운전의 리셋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안전 제어부(22)는 자동 운전의 무효화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도 4의 처리를 반복해 실행한다.
리셋 처리에서는 우선 입력 신호의 진단을 행하여(스텝 S11), 이상이 있으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이상이 없으면, 리셋 신호 입력의 판정을 행하여(스텝 S13), 리셋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리셋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4).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개방 상태이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완전 닫힘 상태이면,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b, 6c)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5). 그리고 승강장 도어(5)가 1개소(箇所)라도 개방 상태이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모든 승강장 도어(5)가 완전 닫힘 상태이면, 중복화된 논리 회로(23a, 23b)의 연산 결과를 대조한다(스텝 S16). 그리고 연산 결과가 불일치이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연산 결과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출력 신호의 진단을 행한다(스텝 S17). 그리고 출력 신호의 진단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유지한다(스텝 S12). 연산 결과가 일치하여, 신호에 이상이 없으면, 자동 운전 무효화를 해제(자동 운전을 유효화)하고(스텝 S18), 도 3에 도시된 안전 제어 처리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이 주행 중 또는 어느 층에 도어 닫힘 상태 또는 도어 열림 상태로 정지 중에, 보수원이 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3) 위 혹은 피트(1a)에 통하는 승강장 도어(5)를 연 것을 검출하여 자동 운전을 자동적으로 무효화함으로써, 보수원이 자동 운전 무효화 조작을 잊었을 경우라도, 보수원에게 있어서 갑자기 엘리베이터 칸(3)이 주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기설된 기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저비용으로 검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3) 위에 올라타기 위한 층상이 특정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5)를 승강장측으로부터 개방하기 위한 해정 장치가 특정 층에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승강장 도어 스위치(6)는 최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특정 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d) 및 그 외의 층에 마련된 비특정 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e)의 3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안전 제어 논리 1.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 및 3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d, 6e)의 상태를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온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어느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d, 6e)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 즉 어느 승강장 도어(5)가 개방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안전 제어 논리 2.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오프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개방되어 있을 때, 승강장 도어 스위치(6a, 6d, 6e) 중 2계통 이상이 오프로 되었을 경우, 즉 2계통 이상의 승강장 도어(5)가 도어 열림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에 기설된 기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저비용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서는, 최하층 승강장 도어 스위치(6a)를 독립한 1계통으로 했지만, 보수원이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5)를 개방하여 피트(1a) 내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를 독립한 1계통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승강장 도어 스위치(6)를 3계통으로 나누었지만, 4계통 이상으로 분할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5)의 개폐 상태를 개별적으로 검지하도록,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층상 수와 동수(同數)의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모든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신호가 각각 독립한 계통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에 입력되어 있다.
안전 제어 논리 1.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 및 전 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6)의 상태를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온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완전 닫힘 상태일 때, 어느 승강장 도어 스위치(6)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 즉 어느 승강장 도어(5)가 개방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안전 제어 논리 2.
안전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17)가 오프일 때,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13)가 개방되어 있을 때, 승강장 도어 스위치(6) 중 2계통 이상이 오프가 되었을 경우, 즉 2개소 이상의 승강장 도어(5)가 도어 열림 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자동 운전을 무효화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에 기설된 기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저비용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3에서는,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검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의 자동 운전을 무효화하지만, 운전 제어부(21)의 운전 모드를 수동 운전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또, 보수원의 승강로(1)로의 이동을 검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차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권상기 모터나 권상기 브레이크로의 통전(通電)이 차단되기 때문에, 운전 제어부(21)를 통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3)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3에서는, 각종 스위치로부터 안전 제어부(22)까지의 접속을 유선으로 행했지만, 무선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3에서는, 리셋 스위치(11, 12)가 승강로(1) 밖에 마련되어 있지만, 승강로(1) 내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에 더하여, 실시 형태 1~3에서는, 권상기(2)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가 승강로(1)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 레이아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3에서는, 기계실 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를 제시하였지만,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이면, 모든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식 엘리베이터, 로프리스 타입의 엘리베이터, 리니어 모터 엘리베이터, 유압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
    승강장 또는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및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 제어를 행하는 안전 제어부, 및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의 자동 운전 모드측의 접점과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는 복수의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안전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마다 독립하여 인식 가능하고, 동일한 처리를 행하며 각각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 및 상기 리셋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를 가져 중복화 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어느 계통의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게이트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2계통 이상의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가 도어 열림 상태를 나타냈을 경우에, 보수원의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하고,
    보수원의 상기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했을 경우 또는 전원이 리셋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논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를 열어 상기 보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의 한쪽 접점에 접속된 자동 운전 모드의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자동 운전을 무효화하고, 상기 리셋 스위치가 조작되고, 또한 모든 상기 승강장 도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완전 닫힘 상태를 확인할 때까지는, 자동 운전의 무효화를 계속하고,
    상기 안전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 운전이 무효화된 경우, 보수 운전 모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수동 운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은 1층상마다 교대로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2계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은 최하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계통과, 최하층을 제외한 1층상마다 교대로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2계통의 3계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의 계통은 보수원이 상기 승강로에 들어가는 경우에 개방되는 특정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계통과, 그 외의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계통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는 계통마다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스위치는 모든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개별적으로 검지하도록, 층상 수와 동수(同數)의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제어부는 보수원의 상기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 모드를 수동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제어부는 보수원의 상기 승강로로의 이동을 검지하면, 안전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 및 브레이크로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복수의 계통의 승강장 도어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의 논리곱을 취하고, 얻어진 신호를 상기 운전 제어부에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KR1020137022681A 2011-02-02 2011-02-02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KR101545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2133 WO2012105008A1 (ja) 2011-02-02 2011-02-02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430A KR20130129430A (ko) 2013-11-28
KR101545797B1 true KR101545797B1 (ko) 2015-08-19

Family

ID=4660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81A KR101545797B1 (ko) 2011-02-02 2011-02-02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71836B1 (ko)
JP (1) JP5784049B2 (ko)
KR (1) KR101545797B1 (ko)
CN (1) CN103328366B (ko)
WO (1) WO2012105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3061B (zh) 2016-06-08 2020-10-16 奥的斯电梯公司 升降电梯系统的维护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CN106276470A (zh) * 2016-09-21 2017-01-04 成都启立辰智科技有限公司 客运电梯下端防撞系统
EP3418238B1 (en) 2017-06-22 2020-07-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intel door lock safety devices
US10244374B2 (en) 2017-07-17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proximity detection
US10669122B2 (en) 2017-07-1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location-based function availability
US10889465B2 (en) 2017-07-31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ES2925279T3 (es) * 2018-06-29 2022-10-14 Inventio Ag Sistema de conmutación de seguridad y procedimiento para conmutar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entre un modo de funcionamiento normal y uno de inspección
CN113329963B (zh) * 2019-03-06 2023-05-12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在井道中进行维护作业时不进行自动运转的电梯的控制系统
WO2021075048A1 (ja) * 2019-10-18 2021-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ドア位置検出装置
CN113460824A (zh) * 2020-03-31 2021-10-01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安全回路故障检测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686125B2 (en) * 2020-04-24 2023-06-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fety switch and switch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614A (ja) * 2006-12-06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479A (ja) * 1994-09-05 1996-05-2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891730A (ja) * 1994-09-22 1996-04-09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314573C (zh) * 2001-07-09 2007-05-09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和用于控制电梯设备驱动单元的方法
JP2003094332A (ja) * 2001-09-18 2003-04-03 Mitsubishi Materials Corp Cmpコンディショナ
US6603398B2 (en) * 2001-11-16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access detection system
WO2006108433A1 (en) 2005-04-11 2006-10-19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circuit for a passenger conveyor system
KR101023358B1 (ko) * 2006-10-25 2011-03-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I125141B (fi) 2007-01-03 2015-06-15 Kone Corp Hissin turvalaite
FI20070486A (fi) 2007-01-03 2008-07-04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FI121423B (fi) 2009-04-23 2010-11-15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614A (ja) * 2006-12-06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430A (ko) 2013-11-28
JP5784049B2 (ja) 2015-09-24
CN103328366B (zh) 2016-01-20
CN103328366A (zh) 2013-09-25
WO2012105008A1 (ja) 2012-08-09
EP2671836B1 (en) 2021-03-24
EP2671836A4 (en) 2016-09-21
JPWO2012105008A1 (ja) 2014-07-03
EP2671836A1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79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JP5859023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KR100926922B1 (ko)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6355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5442679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御装置
EP3484802B1 (en) Elevator with safety chain overlay control unit comprising a safety plc separately monitoring various safety switches for increasing a safety integrity level
JP484944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311626B (zh) 多轿厢电梯的安全控制装置及安全控制方法
CN112135787B (zh) 安全切换系统以及用于在正常运行模式与检查运行模式之间切换电梯设备的方法
JP5525347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20110843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7741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JP5809576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743325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6390890A (zh) 电梯的安全控制装置以及电梯的安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