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922B1 -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 Google Patents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922B1
KR100926922B1 KR1020047003213A KR20047003213A KR100926922B1 KR 100926922 B1 KR100926922 B1 KR 100926922B1 KR 1020047003213 A KR1020047003213 A KR 1020047003213A KR 20047003213 A KR20047003213 A KR 20047003213A KR 100926922 B1 KR100926922 B1 KR 10092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abin
controller
do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150A (ko
Inventor
앙스트필립
데플라체스로메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기 (16) 에 고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샤프트 도어 (134) 의 부근 및/또는 캐빈 도어 (131) 의 부근에 배치되는, 기록 수단 (20; 18) 에 대하여, 샤프트 도어 (13) 들과 제어기 (16) 가 제공되는, 리프트 샤프트 벽 (11.1) 을 따라 이동하며, 캐빈 도어 (131) 를 갖는 리프트 캐빈 (12) 을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제어기 (16) 에 접속되며, 리프트 캐빈 (12) 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상태 정보와 동일한 것을 제공하는 상태 결정 유닛을 제공한다. 리프트 시스템은, 기록 수단 (20; 18) 중 하나가 고장의 타입 및 고장의 위치에 대한 고장 정보를 제어기 (16) 에 제공하며, 샤프트 도어들 (13), 또는 캐빈 도어 (131) 들 중 하나의 부근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 (16) 가, 고장에도 불구하고, 리프트 캐빈 (12) 의 나머지 기능을 보증하기 위하여, 고장의 타입, 고장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상태-의존, 안전 반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트 시스템

Description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SITUATION-DEPENDENT REACTION IN THE CASE OF A FAULT IN THE VICINITY OF A DOOR OF A LIFT SYSTEM}
본 발명은 리프트 시스템 및 리프트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이 리프트 시스템은 샤프트 도어들이 제공되는 리프트 샤프트 벽에 따라 구동 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리프트 캐빈을 구비하며, 이 샤프트 벽은 샤프트 벽들에 의해 주위의 모든 것이 폐쇄되는 리프트 샤프트의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 893 263 호의 명세서에는, 특히 리프트 캐빈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리프트 캐빈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자기 진단 프로세스에 따라 각 경우에서 실제 고장의 경우들에 대한 특정 반응을 생성하는 리프트 시스템들의 모니터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명세서 WO 00/51929 에는, 종류가 다른 여분의 동작 센서들의 시스템들에서 데이터 버스 뿐만 아니라 전환 스위치들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매우 복합적이므로, 이들은 비교적 복잡하고 고가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경비로 더 높은 정도의 동작 신뢰성 및 기능성을 확보하는 리프트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특허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 및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른 리프트 제어기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각각의 종속항으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개별 라인들에 의해 리프트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속되는, 제어기를 가진 리프트 샤프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리프트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의 버스에 의해 접속되는, 제어기를 가진 리프트 샤프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동작 모드의 설명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리프트 시스템의 일부 모듈들을 가진 리프트 제어기의 블록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리프트 시스템을 도 1 에 나타낸다. 나타낸 리스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캐빈 도어 (9) 를 갖는 리프트 캐빈 (2), 및 샤프트 도어 (3) 들이 제공되어 있는, 리프트 샤프트 (1) 의 리프트 샤프트 (1.1) 에 따라 리프트 캐빈 (2) 을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7) 을 구비한다. 구동 유닛 (7) 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6) 가 제공되어 있다. 각 층에는, 샤프트 도어 (3) 의 영역에, 개별 라인 (51, 52 및 53) 들에 의해 제어기 (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5) 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검출 수단 (8) 은, 리프트 캐빈 (2) 에, 바람직하기로는 캐빈 도어 (9) 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검출 수단 (5) 은 그 라인 (51, 52, 및 53) 에 의해 제어기 (6) 가 이용할 수 있는 고장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 수단 (8) 은 라인 (55) 에 의해 제어기 (6) 가 이용할 수 있는 고장 정보를 검출한다. 샤프트 도어 (3) 들 또는 캐빈 도어 (9)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기 (6) 는 예를 들어, 고장의 종류 및 고장의 위치 (예를 들어, 2 층) 에 대한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은 부가적으로 리프트 캐빈 (2) 의 순간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상태 검출 유닛 (도 1 에 도시하지 않음) 을 구비한다. 그 상태 검출 유닛은 라인 (도 1 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제어기 (6)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라인을 통하여, 제어기 (6) 는 리프트 캐빈 (2) 의 순간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가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태 검출 유닛은 리프트 캐빈 (2) 의 이동 방향에 대한 유용한 정보도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 (6) 는, 고장의 종류, 고장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상태-의존, 안전 반응을 결정한다. 따라서, 고장에도 불구하고 리프트 캐빈 (2) 의 어떤 나머지 기능을 보증한다. 따라서, 리프트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인 검출 수단 (4) 을 샤프트 (1) 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샤프트는 개구되거나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추가적인 검출 수단은 라인 (54) 에 의해 제어기 (6) 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검출 수단 (4) 을 통하여, 적절한 반응의 결정시에 고려사항을 찾을 수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제어기 (6) 가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안전 회로는 리프트 캐빈 (2) 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직접 정지되므로, 이 검출 수단 (5) 은 종래의 안전 회로의 부분이 아니다. 그 후, 이러한 경우에는 상태-의존, 안전 반응이 허용되지 않는다.
'검출 수단' 이라는 용어는 특히 센서, 스위치 (예를 들어, 마그네틱 스위치), 전환 스위치, 도어 컨택트, 광 배리어, 이동 및 접촉 센서, 근접센서, 릴레이 또는 샤프트 도어들, 샤프트 도어들의 환경,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 및 리프트 샤프트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비하여, 이들의 상태를 체크하고, 샤프트 도어 영역 및/또는 캐빈 도어 영역에서 어떤 종류의 고장을 인식한다. 특히, 검출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들에 사용되는 안전관련 수단일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은 상술한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검출 수단 (5 및 8) 은 라인 (51 내지 53 및 55) 에 의해 제어기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 (6) 로부터 검출 수단 (5 및 8) 에 질의할 수 있거나 또는 검출 수단 (5 및 8) 은 자동적으로 정보를 제어기 (6) 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리프트 시스템을 도 2 에 나타낸다. 나타낸 리프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캐빈 도어 (131) 를 갖는 리프트 캐빈 (12), 및 샤프트 도어 (13) 들이 제공되는, 리프트 샤프트 (11) 의 리프트 샤프트 벽 (11.1) 에 따라 그 리프트 캐빈 (12) 을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17) 을 구비한다. 구동 유닛 (17) 을 제어하는 제어기 (16) 가 제공되어 있다. 각 층에 있어서, 샤프트 도어 (13) 들의 영역에서는, 버스 (15) 에 의해 제어기 (1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20) 이 있다. 검출 수단 (20) 은 층 노드 (10) 들에 의해 제어기 (16) 가 이용할 수 있는 고장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 수단 (18) 은 캐빈 도어 (131) 의 영역에서 리프트 캐빈 (12) 내에 또는 리프트 캐빈 (12) 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 수단 (18) 은 노드 (101) 와 버스 (151) 에 의해 제어기 (16) 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시한 리프트 시스템은 리프트 캐빈 (12) 의 순간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상태 검출 유닛 (도 2 에 도시하지 않음) 을 구비한다. 또한, 상태 검출 유닛은 노드와 버스 (도 2 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제어기 (16) 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 (16) 는 상태 검출 유닛에만 연관되어 있는 별도의 버스 또는 검출 수단 (18) 에 의해 사용되는 버스 (151) 중 어느 하나인 버스를 통하여 리프트 캐빈 (12) 의 순간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가진다. 샤프트 도어 (13) 들 중 하나의 영역 또는 캐빈 도어 (131) 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 (16) 는 예를 들어 고장의 종류 및 고장의 위치에 대한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진다.
또한, 상태 검출 유닛은 리프트 캐빈 (12) 의 이동 방향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검출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인 검출 수단 (14) 을 샤프트 (11) 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추가적인 검출 수단은 노드 (19) 와 버스 (15) 에 의해 제어기 (16) 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검출 수단 (14) 을 통하여, 적절한 반응의 결정시에 고려할 사항을 찾을 수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제어기 (16) 가 이 용할 수 있게 한다.
고장 정보는 전체 리프트 시스템이 모든 상태 또는 모든 환경하에서 조작상 안전함을 보증할 수 있도록 제어 유닛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장 정보를 예를 들어 버스에 의해 안전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많은 다양한 실현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송신 에러들을 적절한 수단들에 의해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에러들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어도 송신 에러들을 검출하여 제거할 수도 있어야 한다.
고장 정보의 안전한 송신을 행하기 위하여, 통신 기술로부터 자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개념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스 (15) 및/또는 버스 (151) 는 다른 리프트 시스템들에도 사용되는 바와 같은 소위 안전 버스이다.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태 검출 유닛은 리프트 캐빈 (2 또는 12) 내에 또는 그 리프트 캐빈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 검출 유닛은 캐빈 버스 (예를 들어, 캐빈 버스(151)) 에 의해 제어기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안전 버스를 캐빈 버스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은, 각 층의 검출 수단 (20) 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층 노드 (10) 의 입력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층 노드 (10) 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층 노드 (10) 들은 대응하는 고장정보를 제어기 (16) 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신호들을 처리한다. 또한, 대응하는 고장 정 보를 제어기 (16) 가 이용할 수 있도록 검출 수단 (18) 으로부터 신호들을 획득하여 이들을 처리하는 캐빈 노드 (101) 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층 노드 (10) 들 및 캐빈 노드 (10) 는, 국부적인 결정들을 개시하고 허용가능하게는 어떤 제어 기능들을 얻기 위하여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로 제어된 프로세서의 형태로, 어느 정도의 지능을 가질 수 있다.
리프트 시스템의 추가적인 실시형태는, 검출 수단 (20 또는 18) 및/또는 상태 검출 유닛이 안전 버스에 의해 제어기 (16) 와 접속한다는 점에 의해 구별된다.
이상적으로는, 리프트 캐빈 (2 또는 12) 의 상태의 영구 검출을 수행한다. 디지털 구현의 경우, 반연속적인 정보 및 상태 검출을 보증할 수 있도록 검출 수단 및/또는 상태 검출 유닛을 자주 샘플링한다. 따라서, 언제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것을, 각각의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리프트 캐빈 (2 또는 12) 의 이동 방향에 대한 것을, 제어기 (6 또는 16) 에 알린다. 이와 반대로, 미국 제 4 898 263 호의 특허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모니터링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샤프트에는, 리프트 캐빈이 층에 접근하자마자 리프트 캐빈의 수단과 협동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구 또는 반연속적인 검출은 미국 제 4 898 263 호의 특허 명세서에 따라 제공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리프트 시스템은, 부정확하게 밀폐된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에 의해 형성된 갭이 크거나 또는 작은지를 검출 수단 (5 또는 20) 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샤프트 도어에서 작은 갭이 검출되면, 예를 들어, 이하의 상태-의존 반응들 중 하나를 트리거할 수 있다.
- 관련 샤프트 도어 후방의 리프트 캐빈의 움직임. 캐빈 도어를 개폐함에 의한 샤프트 도어의 개폐. 작은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지를 체크. 만일 존재하면, 서비스 호출을 개시.
- 관련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검출 수단에 의해 전달된 정보가 작은 갭의 존재에 대하여 적절하거나/정확한지를 체크. 이를 예를 들어, 검출 수단에서 중복적으로 실행된 센서들에 질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공급된 정보가 적절하거나/정확한 경우, 리프트 캐빈을 관련 샤프트 도어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캐빈 도어를 개폐함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개폐하고, 작은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만일 존재한다면, 서비스 호출을 개시한다.
- 만들어진 정보가 유용한지를 체크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에 관계없이 또는 이러한 체킹을 수행했는지에 관계없이 서비스 호출을 개시한다.
- 모든 샤프트 도어들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 (허가된 존으로 표시) 에서 트래픽을 계속해서 처리한다. 허가된 존 밖으로의 이동을 원하면, 고장난 샤프트 도어를 통과하여, 잠시동안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없다는 청각 통신을 제공하다. 승객들에 의한 새로운 층 선택을 대기하거나 또는 승객들을 내리게 하고 서비스 호출을 개시한다.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고장을 검출하였던 층을 위험 존 또는 불허가 존으로 지칭하며, 여기서 갭이 작은 경우에는, 실제로 직접적인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
- 그 경우에 고장난 샤프트 도어 또는 불허가 존을 통과할 수 없는 경우에 원하는 층으로 이동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으로 허용가능한 층으로 이동 하고, 승객들을 내리게 하고 서비스 호출을 한다.
- 서비스 호출을 하고 정상적으로 계속해서 이동한다.
샤프트 도어들 중 하나에서 큰 갭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하의 상태-의존 반응들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할 수 있다.
- 리프트 캐빈이 불허가된 존을 통하여 이동하는 경우 없이 리프트 캐빈을 다음 층들 중 하나로 제어된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하기로는 감소된 속도로, 리프트 캐빈의 동작을 유지.
- 리프트 정지의 경우에 비상 호출을 개시하거나 또는 리프트를 여전히 동작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호출을 한다.
- 리프트 캐빈이 샤프트 도어가 고장난 층에 위치하는 경우, 캐빈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샤프트 도어를 다시 개폐한다. 고장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호출을 한다. 리프트 캐빈은 움직이지 않는다. 승객들에게 내릴 것을 요청하고 옵션으로 인접한 리프트 캐빈을 이용하게 한다.
- 리프트의 제어기는, 리프트 캐빈이 고장난 샤프트 도어 바로 아래로 이동하고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사람들이 위험한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어떤 환경에서도, 샤프트 도어가 완전히 개구되어 사람이 리프트 샤프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갭이 큰 경우, 사람이 갭을 통하여 나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리프트 샤프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 또 다른, 2 차 반응은 즉, 리프트 캐빈이 예를 들어 승객들 없이 기어가는 동작으로 고장난 샤프트 도어 후방의 고장발생층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승객들은 먼저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층으로 내린다.
- 제어기는 반복된 동작에 의해 불완전한 샤프트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들이 성공하면, 리프트 시스템은 정상 동작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 큰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면 리프트는 통상적으로 셧 다운된다.
상태-의존 반응들의 경우에, 리프트 캐빈이 정지하고 있는지 또는 이것이 움직이고 있는 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들을 개시할 수 있다. 정지 상태에 있는 리프트 캐빈의 경우에, 단지 리프트 캐빈이 존재하는 층의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앞으로 이동하지도 않고 캐빈 도어는, 샤프트 도어와 함께, 다시 개구된 후, 고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 번 더 폐쇄된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빈 도어 (9 또는 131) 가 큰 또는 작은 갭을 가지는 지를 정함으로써 검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캐빈 도어에서 작은 갭이 검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하의 상태-의존 반응들 중 하나를 개시할 수 있다.
- 리프트 캐빈을 계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 캐빈의 동작을 유지. 다음 정지지점에서 캐빈 도어를 걔폐함. 작은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지를 체크. 만일 존재하면, 서비스 호출을 개시.
- 작은 갭의 존재에 대하여, 캐빈 도어의 영역에서 검출 수단에 의해 전달된 정보가 적절하거나/정확한지를 체크. 이는 예를 들어, 검출 수단에서 중복적으 로 실행되는 센서들에 질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공급된 정보가 적절하거나/정확한 경우, 작은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기 위하여 캐빈 도어를 개폐한다. 만일 존재하면, 서비스 호출을 개시한다.
- 정보의 체킹 결과가 유용하게 되는지 또는 이러한 체크가 개시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서비스 호출을 개시한다.
- 고장이 감소할 때 까지 이동 동작을 감소된 속도로 제한함.
- 서비스 호출을 하고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이동함.
큰 갭이 캐빈 도어에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하의 상태-의존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 캐빈 도어를 제어된 방식으로 다음 층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기로는 감소된 속도로, 리프트 캐빈의 동작을 유지.
- 비상 호출을 개시.
- 리프트 캐빈이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 캐빈 도어를 다시 개폐한다. 만일 고장이 계속해서 존재하면, 서비스 호출을 한다. 리프트 캐빈은 움직이지 않는다. 승객들에게 내릴 것을 요청하고, 옵션으로 인접한 리프트 캐빈을 이용하게 한다.
- 정상적으로, 큰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면, 리프트를 셧 다운시킨다.
리프트 캐빈이 정지상태에 있는지 또는 리프트 캐빈이 이동하는 지에 따라 다른 반응들을 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경우에서, 상태-의존 반응은, 예를 들어 샤 프트 도어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샤프트 도어의 층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층을 통과하기 위하여, 리프트 캐빈의 작동을 허가된 층들 사이에서만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리프트 시스템의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제공된 센서들에 질의하거나 또는 재개된 개폐에 의해 고장을 제거하는 것을 시도함으로써, 부정확하게 폐쇄된 샤프트 도어 또는 캐빈 도어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체크한다.
전술한 리프트 시스템들은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은 리프트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리프트 시스템 (40) 의 부분으로서의 리프트 제어기 (26) 의 예를 도 4 에 나타낸다. 이러한 리프트 제어기 (26) 는 구동 유닛 (27) 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이 구동 유닛은 몇몇 층들 및 샤트프 도어들에 대하여 리프트 샤프트의 리프트 샤프트 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캐빈 도어를 갖는 리프트 캐빈 (28) 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리프트 제어기 (26) 는 이하의 엘리먼트/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 리프트 제어기 (26) 가 샤프트 도어들의 상태에 대한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지도록 샤프트 도어들의 영역마다 설치되며 리프트 제어기 (2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30.1 내지 30.n);
- 리프트 캐빈 (28) 및/또는 케이지 도어 또는 도어들에서의 부가적인 검출 수단 (34)(샤프트 도어들의 영역에서 검출 수단과 동일하게 또는 이와 유사하게 구성됨). 검출 수단 (34) 은, 리프트 제어기 (26) 가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의 상태에 대한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지도록 리프트 제어기 (26) 와 접속되어 있다.
- 상태 검출 유닛 (33)(리프트 캐빈 (28) 내에 또는 리프트 캐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프트 제어기 (26) 가 리프트 캐빈 (28) 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상태 정보를 가지도록 리프트 제어기 (26) 와 접속되어 있다. 검출 수단 (30.1 내지 30.n 및 28) 은, 샤프트 도어들, 또는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의 종류 및 고장의 위치에 대한 고장 정보를 리프트 제어기 (26) 로 송신한다.
도 4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검출 수단 (30.1 내지 30.n) 은 버스 (25) 와의 접속/연결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31.n) 를 가진다. 나타낸 예에서는, 별 형상으로 배치되는 버스 (25) 가 관련되어 있다. 검출 수단 (30.n) 의 예에서는, 이러한 검출 수단 (30.n) 이 몇몇 엘리먼트/구성요소 (32.1 내지 32.3) 를 구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검출 수단 (34) 은 인터페이스 (23) 에 의해 버스 (25) 와 접속되어 있다. 검출 수단 (34) 은 버스 (25) 에 의해 리프트 제어기 (26) 에 유용한 고장 정보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 수단 (34) 이외에, 리프트 캐빈 (28) 은 캐빈 (28) 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 엘리먼트 (24.1), 특정한 순간의 층을 표시하는 표시 엘리먼트 (24.3) 및 제어 엘리먼트 (24.2) 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엘리먼트들 (24.1 내지 24.3) 은 인터페이스 (23) 에 의해 버스 (25) 와 연결되어 있다.
상태 검출 유닛 (33) 은 자신의 인터페이스 (미도시함) 에 의해 버스 (25) 와 접속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유닛 (33) 은 캐빈의 속도, 위치 그리고 옵션으로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하는 많은 다양한 엘리먼트들 및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및 특히, 리프트 시스템 (40) 의 개별 구성요소들 사이의 송신 안전을 예를 들어 고유의 통신 유닛 (29) 에 의해 조정 및 조직화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유닛 (29) 은 다른 시스템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 (29) 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에 의해 승인된 서비스 호출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40) 내의 통신은 제어기 (26) 에 실장된 통신 모듈에 의해 조정할 수도 있다.
리프트 제어기 (26) 는, 고장에도 불구하고 리프트 캐빈의 나머지 기능을 보증하기 위하여 고장의 종류, 고장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상태-의존, 안전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은, 샤프트 도어들, 또는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상술한 상태-의존, 안전 반응들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리프트 시스템의 고장들은 샤프트 도어들의 영역의 일부에서 발생한다. 특히, 샤프트 도어들 (3 또는 13) 자체 뿐만 아니라 샤프트 도어들 (3 및 13) 의 도어 컨택트들은 고장에 민감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텔리전트 시스템 반응들을 통하여, 전체 리프트 시스템의 기능은, 샤프트 도어들의 영역에서 어떤 고장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람들이 리프트 캐빈 (2 또는 12) 에 계속해서 트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
리프트 시스템은, 부정확하게 폐쇄된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에 의해 형성된 갭이 "큰지" 또는 "작은지"를 정하기 위하여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갭이 예를 들어 10 ㎜ 보다 더 큰 경우에는 갭이 "크다" 고 간주하여 위험지역에 안전장치를 배치한다. 만일 갭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위험지역에 안전장치를 배치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반응들을 개시할 수 있다. 고장이 발생한 층에 다음으로 정지하면,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를 개폐함으로써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그러한 종류의 고장은 샤프트 도어의 개폐에 의해 자주 제거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를 개폐한 이후에도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면, 서비스 호출을 개시할 수 있다. 리프트를 어떤 환경에서도 계속해서 동작시킬 수 있고, 여기서는 감소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에 의해 갭을 "작은것" 으로 분류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리프트 캐빈 (2 또는 12) 의 출발 이전에도 갭이 "큰것"으로 정해진 경우,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는, 리프트 캐빈을 샤프트 도어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캐빈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적어도 한번 개구되고 다시 폐쇄된다. 이 때문에, "큰" 갭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리프트 캐빈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객들에게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떠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공고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밝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되거나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캐빈 도어들을 설명한다. 도 3 에 따른 흐름도의 시작 위치와 같이, A 에서 "캐빈 도어가 개구됨" 을 판독하 는 검출 수단 (8, 18 또는 34) 의 갑작스러운 보고를 고려한다. 판별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실제 결정 단계 (결정 블록)(DO) 는, 리프트 캐빈 (2, 12 또는 28) 이 이동중입니까? 라는 질문을 설정한다.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 (6, 16 또는 26) 는 특히 리프트 캐빈 (2, 12 또는 28) 의 순간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설명을 허용하는 유용한 상태 정보를 가진다.
리프트 캐빈 (2, 12 또는 28) 이 여전히 이동중인 경우(응답 : 예), 상태-의존 반응 (RO) 을 개시하고, 여기서 제어기 (6, 16 또는 26) 는 고속 정지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실행한다. 또한, 결정 단계 (DO) 에서의 응답이 예 또는 아니요 인지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케이지 도어 (3 또는 13) 가 실제로 개구되어 있는 지를, 예를 들어 적절한 테스트의 범위내의 반응 (R1) 에 의해,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를 도어 드라이브에 의해 개시할 수 있고, 여기서 검출 수단 (8, 18, 34) 은 캐빈 도어 (3 또는 13) 을 성공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지를 체크한다. 단지 리프트 캐빈 (2, 12 또는 28) 이 위치하는 층의,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에, 부가적인 설명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나타낸 예에서, 결정 단계 (D1) 는,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개구되는지를 검출 수단 (8, 18, 34) 에 의해 질의한다. 결정 단계 (D1) 에 대한 응답이 아니오를 나타내는 경우, 캐빈 도어 (3 또는 13) 를 폐쇄할 수도 있지만, 그 캐빈 도어 (3 또는 13) 의 폐쇄 컨택트를 개구할 수도 있다는 가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빈 (2, 12 또는 28) 은 추가적인 반응 (R2) 에 의해 감소된 속도로 다음 층으로 이동한다. 개시시에 결정 단계 (DO) 에서의 응답이 아니오 (캐빈이 정지하지 않음) 이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고장을 제거하는 것을 시도하기 위하여, 모든 경우에서, 캐빈 도어 (3 또는 13) 를 반응 (R3) 에 의해 개구하고 (캐빈 도어 (3 또는 13) 는 단지 넓은 갭으로 개구될 수 있음), 캐빈 도어 (3 또는 13) 의 반복된 작동을 개시한다. 폐쇄 컨택트가 적합한지에 대한 추가적인 질의를 다음 결정 단계 (D2) 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데, 만일 폐쇄 컨택트가 적합한 경우에는, 리프트 시스템은 반응 (R4) 에 의해 정상 동작으로 전환한다.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라, 서비스 호출과 함께, 고장 보고를 서비스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폐쇄 컨택트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 리프트 시스템은 추가적인 반응 (R5) 에 의한 동작을 얻을 수 있고 대응하는 보고를 서비스 센터에 전달한다.
결정 단계 (D1) 에서의 응답이 "캐빈 도어가 개구됨"인 경우, 반응 (R10) 으로서 캐빈 도어 (3 또는 13) 를 폐쇄하는 것을 시도한다. 그후,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개구되어 있는 지를 D20 에서 다시 질의하고, 만일 개구되지 않았으면, 반응 (R20) 에 의해 정상 동작을 다시 생성하는 동시에 서비스 센터로의 보고를 개시하고, 만일 개구되었으면, 반응 (R21) 에 의해 적절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 후,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개구되었는지를 추가적인 결정 단계 (30) 에 의해 다시 질의한다. 만일 개구되었다면, 반응 (R31) 으로서, 예를 들어 "도어가 개구됨"의 경고 보고를 발하고, 적절한 테스트를 반복한다.
결정 단계 (D40) 에서의 후속 질의가 상태-의존 반응 (R41) 으로서 발생하 고, 만일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개구되는 경우에, 리프트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서비스 센터로의 비상 호출을 개시한다. 만일 이와 반대로, 결정 단계 (D40) 에 대한 응답이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닫혔다는 것이라면, 정상 동작으로 스위치 온되고, 서비스 센터로의 보고를 개시한다. 따라서, 결정 단계 (D30 또는 40) 에서,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개구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판독되는 경우, 이는 캐빈 도어 (3 또는 13) 가 실제로 폐쇄되지만, 폐쇄 컨택트가 개구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는 결정 단계 (D1) 의 응답에 대응하며, 결정 단계 (D30 또는 D40) 의 "아니오"라는 보고를 반응 (R2) 로서 실행한다.
그러나, 결정 단계 (D0) 에서, "리프트 캐빈이 정지됨"이라는 응답을 가지면, 4 개의 상태-의존 반응 (R20, R41, R4 또는 R5) 중 하나만을 궁극적으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반응들 (R21 및 R31) 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트 시스템이 샤프트 도어가 개구되어 있다고 정하자마자, 도 3 에 나타낸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들을 개시 할 수 있고, 여기서, 샤프트 도어들은 캐빈 도어 또는 고유의 툴에 의해서만 개폐될 수 있는 수동식 도어들이다. 샤프트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리프트 캐빈은 먼저 대응하는 샤프트 도어 후방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샤프트 도어가 캐빈 도어에 의해 일단 폐쇄되고, 샤프트 도어의 잠금에 의해 잠겨지면, 대응하는 층으로부터 출발한 이후에 샤프트 도어가 가진 결점들 또는 문제점들이 리프트 캐빈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다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불량하게 기능하는 샤프트 도어 및/또는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
샤프트 도어들 (3 또는 13) 및/또는 케이지 도어 또는 도어들 (6, 113) 을 이들의 기능에 대하여 개폐에 의해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프트 시스템은 검출 수단 (5, 20 또는 30.1 내지 30.n) 또는 검출 수단 (8, 18, 34) 에 의해 예를 들어, 개폐에 필요한 힘을 조직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들이 수동식이고,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에 의해 이동되므로, 검출 수단 (8, 18, 34) 이 캐빈 도어 또는 도어들을 모니터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공동으로 캐빈 도어 및 샤프트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증가된 힘이 필요한지를 정하기 위하여 캐빈 도어 드라이브를 모니터할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검출 수단 (8, 18, 34) 이, 더 높은 힘이 다른 층들에서 보다 특정 층에서 필요하다고 정하면, 관련 층의 샤프트 도어 (3 또는 13) 가 문제점들을 제공한다고 단정할 수 있다. 그 후, 예를 들어, 이하의 반응들 중 하나 이상을 상태-의존 반응로서 개시할 수 있다.
- 서비스 호출을 함;
- 대응하는 층을 비허가된 존으로 정의함;
- 리프트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킴.
또한, 개폐에 요구되는 힘의 값을 때때로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전에 요구된 힘에 대하여 실제 힘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도어 또는 캐빈 도어의 영역의 문제점들을 이러한 범위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인 고장들의 처리 :
리프트 시스템은, 다른 종류의 고장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태-의존 반응 을 개시할 수 있도록 동등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기는 공지된 종류의 고장과 공지되어 있지 않은 종류의 고장 사이를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타입의 고장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기는 표 기입, 유사한 수단의 결정 트리에 의해 상태-의존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가능한한 안전하게 되는 리프트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공지되지 않은 종류의 고장의 발생시에는, 이동 동작이 즉각적으로 정지되어야 한다. 그 후, 비상 호출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장치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정비 도어 및 비상 도어의 폐쇄된 세팅들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또는 리프트 캐빈의 비상 패널들 및 비상 강제 개구 도어들의 잠금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다른 상태-의존 반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상태-의존 반응의 예로는, 다음층에서의 고속, 구동-조정 정지 및 승객들의 하차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에 의해 정상적으로 배제될 수 있는 어떤 서비스 상황, 상태를 생성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개별 센서들 및/또는 컨택트들 또는 모든 검출 수단의 바이패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허용가능한 감시가 위험 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소정의 시간 이후에 소프트웨어에 의한 바이패스를 자동적으로 리셋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프트 제어기 (26) 는 버스 (25) 에 의해 도달하는 신호들을 평가하는 소프트웨어로 제어된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그 상황에 대응하는 반응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표, 결정 트리 또는 다른 유사한 수단을 사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리프트 시스템의 상태 및 긴박한 위험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검출 수단으로서 분산되어 있는 센서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상호 체킹 또는 상호 지지를 위한 2 개 이상의 센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작동기, 제어 블록, 구동 엘리먼트 또는 반응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는 설정 엘리먼트들을 센서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들은, 고장의 경우에, 이들이 리프트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안전 상태 (고장 상태) 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노드들 및/또는 리프트 제어기에 적절한 2 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중복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을 증가시킨다. 신뢰할 수 있는 전체 유닛을 형성하기 위하여 층 노드 및/또는 리프트 제어기를 자기-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TMR (Triple Modular Redundancy)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프트 제어기의 기능을 2 개 이상의 병렬 동작 노드 컴퓨터에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제어기는 노드 컴퓨터들에서의 소프트웨어 작업들로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리프트 시스템들은, 특히 결함, 고장, 동작 시간 결함, 예기치 않은 동작 및 발견되지 않은 진행 에러들을 인식하여 곧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높은 동작 보안성, 기능성 및 신뢰성에 대하여 특히 유리함을 증명한다.

Claims (17)

  1. 캐빈 도어 (9; 131) 를 갖는 리프트 캐빈 (2; 12; 28),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샤프트 도어 (3; 13) 들이 제공된 리프트 샤프트 벽 (1.1; 11.1) 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7; 17; 27); 상기 구동 유닛 (7; 17; 27) 을 제어하는 제어기 (6; 16; 26); 상기 샤프트 도어들 (3; 13) 의 영역 및/또는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영역마다 탑재되며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8; 18; 34); 및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상태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상태 검출 유닛 (33) 을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들 (3, 13) 중 하나의 영역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기 (6; 16; 26) 는, 고장이 발생한 샤프트 도어 (3; 13) 의 층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리프트 캐빈이 도달할 수 있는 층들 사이에서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의 작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2. 캐빈 도어 (9; 131) 를 갖는 리프트 캐빈 (2; 12; 28),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샤프트 도어 (3; 13) 들이 제공된 리프트 샤프트 벽 (1.1; 11.1) 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7; 17; 27); 상기 구동 유닛 (7; 17; 27) 을 제어하는 제어기 (6; 16; 26); 상기 샤프트 도어들 (3; 13) 의 영역 및/또는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영역마다 탑재되며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8; 18; 34); 및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상태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상태 검출 유닛 (33) 을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들 (3; 13) 중 하나의 영역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기 (6; 16; 26) 는, 사람이 개구된 샤프트 도어를 통하여 리프트 샤프트 (1; 11) 로 떨어질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객들을 내리게 한 후에, 고장이 발생한 영역의 층의 샤프트 도어 (3; 13) 바로 후방의 위치로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3. 캐빈 도어 (9; 131) 를 갖는 리프트 캐빈 (2; 12; 28),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샤프트 도어 (3; 13) 들이 제공된 리프트 샤프트 벽 (1.1; 11.1) 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7; 17; 27); 상기 구동 유닛 (7; 17; 27) 을 제어하는 제어기 (6; 16; 26); 상기 샤프트 도어들 (3; 13) 의 영역 및/또는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영역마다 탑재되며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유용한 고장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8; 18; 34); 및 상기 제어기 (6; 16; 26) 가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유용한 상태 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상태 검출 유닛 (33) 을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부정확하게 폐쇄된 샤프트 도어 (3; 13) 또는 캐빈 도어 (9; 131) 에 의해 형성된 갭이 큰지 또는 작은지를 상기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8; 18; 34) 에 의해 설정할 수 있고, 작은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 케이지 (cage) 를 제한없이 추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서비스 호출을 하며, 운행 동안에 큰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승객들을 내리게 하거나 및/또는 비상 호출을 하기 위하여 큰 갭을 가지는 샤프트 도어를 통과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층으로 케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의 검출 수단 (20; 30.1 내지 30.n) 은 층 노드 (10) 에 의해 버스 (15; 25) 와 접속되며 및/또는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영역에 설치된 검출 수단 (18; 34) 은 캐빈 노드 (101) 에 의해 버스 (25; 151) 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층의 검출 수단 (20; 30.1 내지 30.n) 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층 노드들에 제공하며,
    상기 층 노드 (10) 들은 대응하는 고장 정보를 제어기 (6; 16; 26) 가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이 신호들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 (5; 20; 30.1 내지 30.n; 8; 18; 34) 및/또는 상기 상태 검출 유닛 (33) 은 안전 버스 (14; 151; 25) 에 의해 제어기 (6; 16; 26) 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확하게 폐쇄된 샤프트 도어 (3; 13) 또는 캐빈 도어 (131) 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체크하되,
    - 작은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서비스 호출을 개시하며,
    - 큰 갭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비상 호출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큰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 큰 갭을 가지는 샤프트 도어를 통과하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층으로 케이지를 감소된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유닛 (33) 은 리프트 캐빈 (2; 12; 28) 내에 또는 리프트 캐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영역에 고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반응에 부가하여,
    -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자동 개폐에 의한 복구 시도의 반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 도어 (3; 13) 의 영역에 고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반응들 이외에,
    - 관련 샤프트 도어 (3; 13) 의 후방까지 상기 리프트 캐빈 (2; 12; 28) 을 이동시키고,
    - 상기 캐빈 도어 (9; 131) 의 자동 개폐를 통하여 관련 샤프트 도어 (3; 13) 를 개폐함에 의한 복구 시도의 반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47003213A 2001-09-03 2002-08-15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KR100926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121058.0 2001-09-03
EP01121058 2001-09-03
PCT/CH2002/000447 WO2003020627A1 (de) 2001-09-03 2002-08-15 Situationsabhängige reaktion im falle einer störung im bereich einer türe eines aufzug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50A KR20040029150A (ko) 2004-04-03
KR100926922B1 true KR100926922B1 (ko) 2009-11-17

Family

ID=817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213A KR100926922B1 (ko) 2001-09-03 2002-08-15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52180B2 (ko)
EP (1) EP1423326B1 (ko)
JP (1) JP2005500965A (ko)
KR (1) KR100926922B1 (ko)
CN (1) CN1309645C (ko)
AT (1) ATE321723T1 (ko)
CA (1) CA2458221C (ko)
DE (1) DE50206242D1 (ko)
HK (1) HK1066520A1 (ko)
WO (1) WO2003020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8A1 (en) * 2003-11-11 2005-06-29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P1775250B1 (en) 2004-06-22 2011-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oor device of elevator
CN100395166C (zh) * 2005-01-07 2008-06-18 陈金林 防止电梯伤害事件发生的控制装置及方法
JP2006298645A (ja) * 2005-04-21 2006-11-0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ケージの速度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検出システム
FI119767B (fi) * 2006-08-14 2009-03-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a menetelmä turvallisuuden varmist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DE102006046399A1 (de) * 2006-09-29 2008-04-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verwaltung
ES2499340T3 (es) 2007-08-07 2014-09-29 Thyssenkrupp Elevator Ag Sistema de elevador
US8807284B2 (en) * 2009-02-25 2014-08-19 Inventio Ag Elevator with a monitoring system
JP5013342B2 (ja) * 2009-03-09 2012-08-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DE102010030436A1 (de) * 2010-06-23 2011-12-2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CN103079981B (zh) * 2010-09-13 2016-08-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安全系统和方法
JP2012162342A (ja) * 2011-02-04 2012-08-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WO2013025185A1 (en) * 2011-08-12 2013-02-21 Otis Elevator Company Low pit access detection and monitoring
EP2567926B1 (de) * 2011-09-06 2013-10-09 Cedes AG Schaltungseinrichtung, Sicherungsvorrichtung sowie Aufzugvorrichtung
EP2604563B1 (de) * 2011-12-12 2015-10-21 Cedes AG Sicherungsvorrichtung Antriebsvorrichtung und Aufzugvorrichtung
US10227208B2 (en) 2011-12-12 2019-03-12 Cedes Ag Safety apparatus for an elevator
EP2604566B1 (de) * 2011-12-12 2014-03-26 Cedes AG Sicherungsvorrichtung sowie Aufzugvorrichtung
TWI622548B (zh) * 2012-12-13 2018-05-01 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人員輸送設備的監視裝置、人員輸送設備、以及用於監視人員輸送設備之方法
ES2538418B1 (es) * 2013-12-19 2016-04-14 Orona, S. Coop. Sistema de control de seguridad de un ascensor, escalera mecánica o ánden móvil
JP6370187B2 (ja) * 2014-10-08 2018-08-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CN104370176B (zh) * 2014-11-10 2016-08-24 南京台菱电梯工程有限公司 电梯厅门轿门双路检测系统
CN106395529B (zh) 2015-07-27 2020-01-31 奥的斯电梯公司 监测系统、具有监测系统的电梯门系统和方法
CN106494960A (zh) * 2016-12-19 2017-03-15 厦门乃尔电子有限公司 一种电梯运行安全监测和早期故障预警系统及方法
US10233053B2 (en) 2017-01-25 2019-03-19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door switch inspection
EP3492419B1 (en) 2017-12-01 2020-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8382944A (zh) * 2017-12-31 2018-08-10 杭州句力科技有限公司 一种门机防撞方法
CN108439114A (zh) * 2018-04-13 2018-08-24 武汉万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异常打开状态的预警检测装置
EP3650388A1 (en) * 2018-11-06 2020-05-13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an elevator system
EP3730440A1 (de) * 2019-04-26 2020-10-28 Inventio AG Steuer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betriebs einer personentransportanlage
DE102019212726A1 (de) * 2019-08-26 2021-03-04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Aufzugsanlage die einen Fahrkorb abhängig von einem Schließzustandssignal und einer Position des Fahrkorbs in einen Sicherheitsbetriebszustand überführt
EP3878788A1 (en) * 2020-03-09 2021-09-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s
EP3988489A1 (en) * 2020-10-21 2022-04-27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CN111717750B (zh) * 2020-05-26 2021-11-02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轿门触点的运行状态检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11334409B2 (en) 2020-06-18 2022-05-17 Nxp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fault collection and reaction in system-on-chi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360A (en) 1982-03-16 1985-03-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operating system
US4898263A (en) 1988-09-12 1990-02-0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Elevator self-diagnostic control system
US6173814B1 (en)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34A (ja) * 1991-11-20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5170388A (ja) * 1991-12-20 1993-07-09 Kayaba Ind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330755A (ja) * 1992-05-28 1993-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CA2118393A1 (en) * 1994-03-07 1995-09-08 John Michael Eschenbrenner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US5476157A (en) * 1994-06-03 1995-12-19 Todaro; Sam S. Elevator control system with elevator hoistway ope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5708416A (en) * 1995-04-28 1998-01-13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detection or control arrangement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US6223861B1 (en) * 1999-08-30 2001-05-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DE10108772A1 (de) * 2001-02-23 2002-11-21 Otis Elevator Co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360A (en) 1982-03-16 1985-03-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operating system
US4898263A (en) 1988-09-12 1990-02-0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Elevator self-diagnostic control system
US6173814B1 (en)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00965A (ja) 2005-01-13
CA2458221A1 (en) 2003-03-13
EP1423326B1 (de) 2006-03-29
KR20040029150A (ko) 2004-04-03
ATE321723T1 (de) 2006-04-15
US20040178024A1 (en) 2004-09-16
CN1549788A (zh) 2004-11-24
DE50206242D1 (de) 2006-05-18
US7252180B2 (en) 2007-08-07
CA2458221C (en) 2010-11-09
CN1309645C (zh) 2007-04-11
WO2003020627A1 (de) 2003-03-13
HK1066520A1 (en) 2005-03-24
EP1423326A1 (de)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922B1 (ko)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KR10154579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제어 장치
JP4334346B2 (ja) エレベータドア用安全回路
CN111699148B (zh) 电梯设备的检查控制系统以及转换电梯设备的运行的方法
CA2457551C (en) Monitoring system
EP3484802B1 (en) Elevator with safety chain overlay control unit comprising a safety plc separately monitoring various safety switches for increasing a safety integrity level
JP626355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JP469900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用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12135787B (zh) 安全切换系统以及用于在正常运行模式与检查运行模式之间切换电梯设备的方法
JP2020015626A (ja)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CN110884972B (zh) 基于电梯安全回路的门锁检测方法
AU2014339263B2 (en) Safety system for a lift, lif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JP5525347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H097741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JP4894636B2 (ja) 車両用ドア駆動制御装置およびドア開閉制御信号監視装置
KR016720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970004767B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운전 제어회로 및 방법
KR0167160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