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209B1 - 관 이음부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관 이음부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209B1
KR101544209B1 KR1020140057205A KR20140057205A KR101544209B1 KR 101544209 B1 KR101544209 B1 KR 101544209B1 KR 1020140057205 A KR1020140057205 A KR 1020140057205A KR 20140057205 A KR20140057205 A KR 20140057205A KR 101544209 B1 KR101544209 B1 KR 10154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ipe
gas
main body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석
Original Assignee
이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석 filed Critical 이제석
Priority to KR102014005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이음부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커버함으로써 나사 이음부의 풀림을 방지하고 가스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내측에 배관 이음부를 내입하는 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 또는 하측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11)의 일 측방은 개방되고, 상기 암나사부(12)의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13)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구비되고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22)이 형성된 조임부재(2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1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스 접촉시 변색되는 변색물질(40)이 내입된 카트리지(30); 를 포함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 이음부 보호커버{PROTECTIVE COVER FOR PIPE JOINT}
본 발명은 관 이음부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을 연결하는 이음부를 커버함으로써 나사 이음부의 풀림을 방지하고 가스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관 이음부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관과 같은 관을 접속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양측 관의 단부에 플랜지를 설치하고, 볼트나 나사를 이용하여 각 플랜지를 결합시켜서 고정하였고, 관과 플랜지의 이음부는 용접의 방법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플랜지가 접한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작된 패킹을 위치시켜, 플랜지 사이로 기체나 액체 등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이와 같이 유체가 이송되는 관 이음부에는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가 씌워지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103021호(특허문헌 1)에서는 배관의 이음부를 커버하는 이음부 보호커버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기 이음부를 커버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한쌍의 본체와, 상기 본체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관에 결합되도록 본체의 외주면에 소정 개소로 체결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고무로 성형된 고무성형부와, 상기 고무성형부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금속판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배관 이음부 보호커버가 제안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120449호(특허문헌 2)에서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연결부분에 대응하여 감싸는 통 형상 부분;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양단에 접착하는 한 쌍의 추 형상 부분; 및 상기 각 추 형상 부분에 접착하며, 상기 배관에 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을 가로질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각 부분이 개폐 또는 폐쇄되고, 상기 각 접촉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접촉부분과 배관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며, 상기 통 형상 부분이나 추 형상 부분에는 상기 유체의 특성에 의해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포하여 식별마크가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하는 배관용 어셈블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들과 같은 일반적인 관 이음부 커버는 단순히 관 이음부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실질적으로 2개의 관을 서로 고정하고 있는 볼트 또는 나사의 나사체결 부분이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유체의 누설시 변색되는 물질이 도포된 식별마크를 제시하고 있으나, 식별마크의 변색시 커버 어셈블리 전체를 다시 교체해야 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변색이 되었더라도 그것이 변색 전의 정상 상태인지, 아니면 변색 후의 이상 상태인지 쉽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유체의 누설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103021호 공개특허공보(2005.10.27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120449호 공개특허공보(2010.11.16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이음부를 감싸면서도 2개의 관을 상호 연결, 고정한 나사체결 부분이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 이음부에서 가스 누설시 변색되는 카트리지를 보호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또한 변색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 이음부 보호커버는, 내측에 배관 이음부를 내입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 또는 하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일 측방은 개방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이 형성된 조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의 회전시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게 하여 상기 배관 이음부를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판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관 출입공간을 폐쇄하는 연장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관 이음부에서 누출된 가스와 접촉시 변색되는 변색물질이 내입된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측에 격벽으로 완전 분리되게 구획된 2개의 변색물질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벽에만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구멍이 형성되어 가스 누설시 상기 가스구멍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변색물질만 변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 이음부를 감싸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2개의 관을 고정한 나사체결 부분이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원천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관 이음부에서 가스 누설시 변색되는 카트리지가 보호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서 변색시 보호커버를 교체하지 않고서 카트리지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비용이 절감된다.
더욱이 변색물질이 저장된 카트리지가 이중 공간으로 형성되고 가스 누설시 그 중 어느 하나만 변색되므로 두 개의 공간에 형성된 변색물질의 색 차이에 의해 누구라도 유체의 누설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가 적용된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커버는 2개의 배관(1)을 상호 고정하는 이음부(2)를 보호하면서도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와 조임부재(20)로 대별된다.
상기 본체(10)는 내측에 배관 이음부(2)를 내입하는 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1)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암나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11)의 일 측방은 개방되어 상기 이음부(2)가 공간(11)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12)의 일 측방에는 상기 배관(1)이 출입할 수 있도록 측방이 개방된 형태의 관 출입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재(20)는, 일측에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구비되고 일 측방에는 상기 배관(1)이 출입할 수 있도록 측방이 개방된 형태의 관 출입공간(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공간(11)으로 이음부(2)를 넣은 상태에서 상기 조입부재(20)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수나사부(21)의 내측 단부가 공간(11)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갈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임 및 해제 작업으로 상기 수나사부(21)의 단부가 상기 이음부(2)의 단부를 밀어서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가 적용된 관 이음부 보호커버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용도가 이음부(2)를 고정하는 용도 외에 이음부(2)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배면판(15)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부의 이음부(2)를 관찰하기 위해 본체(10) 일측에 관통홀(14)이 형성됨으로써 이음부(2)의 이상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이음부(2)에서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색물질이 내입된 카트리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15)은 판재 형태로서 상기 본체(10)의 공간(11)의 일 측방을 개방한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마련된 것으로, 볼트나 나사 등으로 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0)나 배면판(15)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자석(19)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자력으로 부착되는 경우 그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상기 배면판(15)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속돌기(17)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결속돌기(17)가 내입되는 결속홈(18)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17)가 상기 결속홈(18) 내에 들어가는 형태로 상기 배면판(15)의 방향과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면판(15)이 평판 형태로만 된 경우 본체(10)의 관 출입공간(13)을 폐쇄할 수 없으므로, 상기 배면판(15)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본체(10)의 관 출입공간(13)으로 내입되는 연장돌기(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돌기(16)의 돌출 끝단은 상기 배관(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호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배면판(15)을 본체(10)에 부착할 때 연장돌기(16)가 본체(10)의 관 출입공간(13)으로 들어가서 상기 공간(11)의 상단 또는 하단부를 더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이음부(2)에서 가스가 누출될 때 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14)에는 변색물질(40)이 내입된 카트리지(3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14)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내부에는 가스와 접촉시 변색하는 변색물질(40)이 내입되어 있고, 카트리지(30)의 외측에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캡(35)이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변색물질(40)의 변색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변색물질(40)은, 알갱이 형태의 비드나 고형물 형태일 수 있고, 특정 가스와 접촉시 화학 반응에 의해 변색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물론 변색물질(40)의 변색 성분은 배관(2)을 흐르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특정 가스와 접촉시 변색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나 성분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카트리지(30)는 본체(10)에서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므로, 가스 종류에 따라 적절한 변색물질(40)이 내입된 카트리지(30)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30) 내에 소정의 변색물질(40)이 내입되어 있고, 그것이 이음부(2)의 가스 누출에 의해 변색했을 때에도 일반적으로 변색 여부를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즉, 변색 전 변색물질(30)이 노란색이었다고 가정하고, 가스 누출로 황색으로 변색하였더라도 황색으로 변색한 결과만 가지고는 그것이 변색이 된 것인지 아닌지 구별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30)는, 내측에 격벽(33)으로 완전 분리되게 구획된 2개의 변색물질 저장공간(3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저장공간(31) 중 어느 하나의 내벽에만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구멍(3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음부(2)에서 누출된 가스는 가스구멍(32)을 통해 2개의 저장공간(31) 중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31)으로만 유입되어 해당 변색물질(40)만 변색시키게 되고, 가스구멍(32)이 없는 저장공간(31)의 변색물질(40)은 변색하지 않고 최초 내입 상태(정상상태)의 색을 유지한다.
따라서 최초 카트리지(30) 내의 각 저장공간(31)에 동일한 종류의 변색물질(40)을 저장해 두었다가, 점검시 저장공간(31) 내의 각 변색물질(40)의 색이 서로 다르다면 가스가 누설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보호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배관 2: 이음부
10: 본체 11: 공간
12: 암나사부 13: 관 출입공간
14: 관통홀 15: 배면판
16: 연장돌기 17: 결속돌기
18: 결속홈 19: 자석
20: 조임부재 21: 수나사부
22: 관 출입공간 30: 카트리지
31: 저장공간 32: 가스구멍
33: 격벽 35: 투명캡
40: 변색물질

Claims (8)

  1. 내측에 배관 이음부를 내입하는 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 또는 하측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11)의 일 측방은 개방되고, 상기 암나사부(12)의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13)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구비되고 일 측방에는 배관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출입공간(22)이 형성된 조임부재(20);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20)의 회전시 상기 수나사부(21)가 상기 공간(11)으로 들어가거나 나오게 하여 상기 배관 이음부를 고정 가능하되,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관통홀(14)이 형성되어 내부에 위치한 이음부(2)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상기 관통홀(1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관 이음부에서 누출된 가스와 접촉시 변색되는 변색물질(40)이 내입된 카트리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30)는, 내측에 격벽(33)으로 완전 분리되게 구획된 2개의 변색물질 저장공간(3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벽에만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구멍(32)이 형성되어 가스 누설시 상기 가스구멍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변색물질만 변색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배면판(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15)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관 출입공간(13)으로 내입되어 상기 공간(11)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연장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속돌기(17)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결속돌기(17)가 내입되는 결속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과 본체는 자력으로 상호 부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0)의 외측에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캡(3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1020140057205A 2014-05-13 2014-05-13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10154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05A KR101544209B1 (ko) 2014-05-13 2014-05-13 관 이음부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05A KR101544209B1 (ko) 2014-05-13 2014-05-13 관 이음부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209B1 true KR101544209B1 (ko) 2015-08-12

Family

ID=5406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205A KR101544209B1 (ko) 2014-05-13 2014-05-13 관 이음부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2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596B1 (ko) * 2016-03-07 2016-08-01 주식회사 신산이엔지 배관 연결용 피팅 고정부재
KR101802929B1 (ko) * 2015-10-26 2017-11-29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977378B1 (ko) * 2019-01-29 2019-05-10 주식회사 제이엘 테크놀러지 배관 체결부 풀림 방지 커버
KR20210098785A (ko) * 2020-02-03 2021-08-11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KR20220162982A (ko) * 2021-06-02 2022-12-09 이영민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약품배관 피팅용 풀림방지블럭
KR20230001018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00Y1 (ko) * 2001-09-07 2002-03-18 (주) 휴마스 가스검지 장치
JP2006189063A (ja) * 2004-12-28 2006-07-20 Reform Gijutsu Kenkyusho:Kk 配管保持具、配管構造および配管工法
JP2013224690A (ja) * 2012-04-20 2013-10-3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継手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600Y1 (ko) * 2001-09-07 2002-03-18 (주) 휴마스 가스검지 장치
JP2006189063A (ja) * 2004-12-28 2006-07-20 Reform Gijutsu Kenkyusho:Kk 配管保持具、配管構造および配管工法
JP2013224690A (ja) * 2012-04-20 2013-10-3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継手カバ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929B1 (ko) * 2015-10-26 2017-11-29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644596B1 (ko) * 2016-03-07 2016-08-01 주식회사 신산이엔지 배관 연결용 피팅 고정부재
KR101977378B1 (ko) * 2019-01-29 2019-05-10 주식회사 제이엘 테크놀러지 배관 체결부 풀림 방지 커버
KR20210098785A (ko) * 2020-02-03 2021-08-11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KR102370224B1 (ko) * 2020-02-03 2022-03-03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KR20220162982A (ko) * 2021-06-02 2022-12-09 이영민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약품배관 피팅용 풀림방지블럭
KR102498707B1 (ko) * 2021-06-02 2023-02-10 이영민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약품배관 피팅용 풀림방지블럭
KR20230001018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KR200497141Y1 (ko) 2021-11-11 2023-08-0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209B1 (ko)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101781126B1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US11654382B2 (en) Overpressure leak detection lug
RU2652856C2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US20060290137A1 (en) Threaded coupling for receptacles, such as expansion vessels, tanks and the like
JP5290815B2 (ja) 管継手
NO336970B1 (no) Pakning for kompakt rørflens
KR101684733B1 (ko) 관 이음부 고정 클램프
KR101799490B1 (ko) 방폭형 배선함
KR101802929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JP5938399B2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圧力ブリード検査ポート
KR101629450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JP6581837B2 (ja) 二重管の液漏れ対応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200099589A (ko) 마개 컨테이너용 밸브 메커니즘을 가진 마개 플러그 클로저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KR101568187B1 (ko) 배관 접속의 체결 확인 클램프
US3410323A (en) Filling valve for wet cell battery
KR101505922B1 (ko) 밸브 스템 보호 커버
KR101583127B1 (ko) 유체 필터장치
ITTO20090063A1 (it) Dispositivo antiallagamento di sicurezza per una macchina di lavaggio, e relativo metodo diassemblaggio
ITTO20080414A1 (it) Corpo di riscaldamento articolato
JP4114894B2 (ja) 樹脂被覆継手
IT201700004788A1 (it) Vaso di espansione a diaframma
KR20150041826A (ko)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100757050B1 (ko) 관과 아답터가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돌기를 갖는 플랜지관연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