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26B1 -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26B1
KR101781126B1 KR1020150109639A KR20150109639A KR101781126B1 KR 101781126 B1 KR101781126 B1 KR 101781126B1 KR 1020150109639 A KR1020150109639 A KR 1020150109639A KR 20150109639 A KR20150109639 A KR 20150109639A KR 101781126 B1 KR101781126 B1 KR 10178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tection module
casing
leakage detection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197A (ko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to KR102015010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배관 피팅 둘레에 케이싱의 위치고정을 돕는 체결부재;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 및 이 감지부재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와 이 색상인식센서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Protective cover for preventing looseness of pipe fitting with leak detecting module}
본 발명은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특히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면서 필요에 의해 배관의 연장을 해야 한다. 즉, 일정한 길이의 배관은 피팅(fitting)이라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배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피팅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로 인해 장시간 진동에 노출되어 피팅의 결속이 약화될 수밖에는 없다.
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특허문헌 1은 피팅의 결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피팅 고정부재를 게재하는바, 하나 이상의 장홀을 갖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 단부에 각각의 장착부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장착부는 관통부에 피팅으로 연결될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에 장착되는데, 이 관통부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배관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피팅 고정부재는 배관 외부로 누출되는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는 데에 용이하지 않다.
액체나 기체로 구성된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서, 특허문헌 2는 배관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피팅구에서 유체의 누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개략적으로 배관의 피팅구에 대응되게 감싸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팅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는 배관 내부로 기상의 유체가 배관 외부로 누출될 때 어셈블리 내부로 수용되지 않아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무채색의 유체 혹은 무취의 유체의 누설도 감지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9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0449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길이연장된 배관 사이의 피팅에서 유체의 누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배관 간의 피팅 부위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둘러싸는 한편 피팅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배관 피팅을 통해 상호 연결될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 간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케이싱과;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 및 감지부재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와 색상인식센서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로 이루어지되, 케이싱은 누설 감지 모듈의 탈장착을 돕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내부 영역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유체연통가능한 관통구멍을 갖춘 제1 반통부재로 이루어지고, 감지부재는 제1 반통부재의 안착부와 누설 감지 모듈의 색상인식센서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감지부재는 변색제를 포함하는 리트머스지 또는 pH 시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싱과 누설 감지 모듈은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은, 누설 감지 모듈의 탈장착을 돕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의 내부 영역에서 제1 반통부재의 내부공간을 향해 유체연통가능한 관통구멍을 갖춘 제1 반통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은, 하부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형성한 몸체부와; 감지부재와 이격되게 중공부의 내측면에 구비된 색상인식센서; 및 몸체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누설 감지 모듈은 색상인식센서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케이싱은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제1 반통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부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반통부재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는데, 이로써 케이싱은 제1 반통부재와 제2 반통부재의 결합으로 배관 피팅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싱의 관통구멍은 누설 감지 모듈의 중공부와 동축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은,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케이싱과;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 및 감지부재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와 상기 색상인식센서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로 이루어지되, 케이싱은,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과 상기 2개의 체결홈 사이에 배치되고 감지부재를 내부공간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접촉을 허용하는 관통구멍을 갖춰 누설 감지 모듈의 위치선정을 돕는 안착부를 구비한 반통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은, 반통부재의 안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 감지부재와 이격되게 몸체부의 내측면에 구비된 색상인식센서; 및 몸체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누설 감지 모듈은 색상인식센서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케이싱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는 숫나사산부와, 이 숫나사산부의 일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삽입홈을 갖춘 볼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감지부재는 안착부와 누설 감지 모듈의 색상인식센서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배관 피팅을 통해 상호 연결될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케이싱과;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 및 감지부재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와 색상인식센서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로 이루어지되, 케이싱은,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 사이에 유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밸브 핸들를 덮어 씌우는 보호 캡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보호 캡은,
반통형상의 측면과, 측면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 및 측면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반원형 하부면을 갖춘 좌측캡과; 반통형상의 측면과, 측면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 암나사 절반형상부와 대응되게 상부면 타측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 및 측면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반원형 하부면을 갖추고, 좌측캡과 결합되는 우측캡을 구비하고, 누설 감지 모듈는, 암나사 절반형상부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을 형성하고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갖춘 원통형상부와 원통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 원통형상부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원통형상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부; 슬롯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통형상부의 중공부 내부에 배치된 색상인식센서(S); 및 헤드부에 구비된 통신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감지부재는 변색제를 포함하는 리트머스지 또는 pH 시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싱과 누설 감지 모듈은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덧붙여서, 누설 감지 모듈은 색상인식센서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관의 연장을 돕는 피팅 부위의 풀림 방지 뿐만 아니라 피팅 부위에서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누출 여부를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피팅 부위마다 설치된 보호커버에 장착된 색상인식센서를 매개로 하여 감지부재의 변색 정도를 획득하여 누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색상인식센서로 취합된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여 다수의 피팅 부위를 일괄적으로 상태 확인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된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피팅과 보호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된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 피팅과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보호커버의 케이싱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케이싱의 저면도로서, 케이싱의 안착부 내에 감지부재를 배치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에 채용될 누설 감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해한 것으로, 도 8(a)는 누설 감지 모듈의 상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누설 감지 모듈의 하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보호커버의 케이싱과 누설 감지 모듈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4(a)에 도시된 보호커버를 B-B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밸브형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밸브형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보호커버의 보호 캡과 누설 감지 모듈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10의 C-C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밸브와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우측 캡을 개방한 밸브형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배관 피팅용 케이싱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에 채용될 누설 감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해한 것으로, 도 15(a)는 누설 감지 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b)는 누설 감지 모듈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누설 감지 모듈(1600)을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를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케이싱(1200)과, 이 케이싱 외부면 상에 배치된 누설 감지 모듈(1600)로 이루어져 있다. 누설 감지 모듈(1600)은 케이싱(1200)의 안착부(1216) 상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나사체결, 양면테이프, 스냅체결 등 다양한 방식을 동원하여 누설 감지 모듈(1600)과 케이싱(1200)의 결합을 돕는다.
케이싱(1200)은 외주면에 안착부(1216)를 갖춘 제1 반통부재(1210)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싱(1200)은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의 접속 부위인 피팅 둘레를 덮어씌우거나 피팅 둘레 일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타측 배관(P2)의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서 유체의 누설 및/또는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1200)에 누설 감지 모듈(1600)을 탈장착가능하게 구비한다.
덧붙여서, 케이싱(1200)은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제2 반통부재(1220)를 제1 반통부재(1210)와 대향되게 배치되되, 제1 반통부재(1210)의 개방면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체결부재(미도시)를 수단으로 하여 케이싱(1200)과 배관(P1,P2)의 위치고정을 돕는다. 체결부재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밴드(band) 결속방식, 제1 반통부재의 체결돌기를 제2 반통부재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스냅체결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200)은 제1 반통부재(1210)의 외주면 상에 안착부(1216)를 형성하는데, 안착부(1216)는 누설 감지 모듈(1600), 즉 몸체부(1610)의 하부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누설 감지 모듈(1600)의 탈장착을 돕는다.
제1 반통부재(1210)는 안착부(1216)의 중심 영역에 제1 반통부재(1210)의 내부공간과 안착부 사이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천공되어 있는 관통구멍(1214)을 형성한다. 관통구멍(1214)은 배관 피팅 둘레에서 누설된 유체를 감지부재(1660)와 접촉을 허용할 수 있다. 케이싱(1200) 내부에서 배관 피팅의 불필요한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반통부재(1210)의 내부공간 내주면은 배관 피팅, 예컨대 제2 너트(N2) 또는 제1 너트(N1)의 외형, 배관(P1,P2)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보호커버(1000)는 안착부(1216) 상에 누설 감지 모듈(1600)을 배치하는데, 누설 감지 모듈(1600)은 안착부(1216)에 감지부재(1660)의 위치고정을 돕는 동시에 감지부재(1660)의 변색 정보를 검출하고 이러한 누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구성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누설 감지 모듈(1600)은 하부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1611)를 형성하고 있는 몸체부(1610)와, 중공부(1611)의 형성방향과 직교되게 가로질러 배치된 감지부재(1660), 중공부(161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감지부재(1660)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된 색상인식센서(S)를 구비한다. 배관 피팅의 틈새로 유출된 유체는 제1 반통부재(1210)의 관통구멍(1214)을 통과하여 감지부재(1660)와 접촉하면서 예컨대 변색 등을 누설 감지 모듈(1600)의 색상인식센서(S)를 통해 누설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로 확인시켜줄 수 있다.
감지부재(1660)는 변색제를 포함하고서 가스 혹은 액체에 반응하는 수용성 잉크 라벨지, 예컨대 리트머스지, pH 시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산성용액이 유출될 경우 적색으로 변화되고, 알카리성 용액이 유출될 경우에는 청색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감지부재(1660)는 배관의 파열 또는 배관의 접속된 연결구, 배관 피팅에서 화학 물질이 유출될 경우 유출량이 미세하더라도 변색되어 유출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싱과 누설 감지 모듈의 몸체부는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누설 감지 모듈(1600)는 도시되었듯이 감지부재(1660)의 변색을 인식하는 색상인식센서(S)를 중공부(1611) 내에 구비하는데, 색상인식센서(S)와 감지부재(166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1660)는 중공부 내부에서 직교되게 배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중공부(1611)와 관통구멍(1214)의 경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중공부와 관통구멍 사이에 개재된 감지부재는 누설 감지 모듈(1600)의 탈착으로 용이하게 감지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누설 감지 모듈(1600)은 색상인식센서(S)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670)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소자(1670)는 주기적 혹은 연속적으로 감지부재(1660)에 빛을 조사하여 주변환경의 밝고 어두움에 상관없이 감지부재(1660)의 변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누설 감지 모듈(1600)은 필요에 따라 발광소자(1670)에서 감지부재(1660)를 향해 빛을 내보내고 감지부재(1660)에 닿으면 색상인식센서(S)에 반사된 빛을 전달하여 감지부재(1660)의 변색을 검출할 수 있다.
색상인식센서(S)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1660)의 색상 정보를 검출하고, 색상인식센서(S)로 인식한 색상 정보를 몸체부(1610)에 구비된 통신모듈(1650)을 통해 제어부로 검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통신모듈(1650)은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다. 외부의 제어부는 수신된 감지부재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변색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에게 누출 상태를 경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케이싱(1200)의 제1 반통부재(1210)의 관통구멍(1214)과 누설 감지 모듈(1600)의 중공부(1611)을 동축선상에 배치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유출된 유체가 중공부에 배치된 감지부재(1660)와의 접촉을 돕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0)는 감지부재(1660)가 제1 반통부재(1210)의 안착부(1216)와 누설 감지 모듈(1600)의 색상인식센서(S) 사이에 개재되는데, 감지부재(1660)은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누설 감지 모듈(2600)을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0)를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2000)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케이싱(2200)과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배관 피팅을 고정하는 체결부재(230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케이싱(2200)과 체결부재(230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상호 죄여질 수 있다.
케이싱(22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면과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안착부(2214)를 갖춘 반통부재(2210)와, 이 반통부재(2210)의 일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암나사산부(2220), 이 반통부재(2210)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마감부재(2230), 및 반통부재(2210)의 안착부(2214) 상에 끼움 결합되는 누설 감지 모듈(2600)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통부재(2210)는 이의 일측 단부(도면에서는 우측면에 해당)에 암나사산부(2220)를 배치하는 한편 이의 타측 단부(도면에서는 좌측면에 해당)에 마감부재(2230)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반통부재(2210)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따라 오목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춘 반통형상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반통부재(2210)는 반원통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박스형상 등의 다양한 3차원적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암나사산부(222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반통부재(2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되, 추후에 설명될 체결부재(2300)와의 나사체결을 돕는다. 물론, 암나사산부(222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암나사산부(2220)는 제1 삽입홈(2221)을 형성한다. 제1 삽입홈(2221)은 암나사산부(222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2221)은 일측 배관을 암나사산부(222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경로로 사용된다. 제1 삽입홈(2221)은 일측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마감부재(2230)는 암나사산부(2220)와 대향되게 반통부재(22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데, 타측 배관(P2)의 안착을 돕는다. 마감부재(2230)는 제2 삽입홈(2231)을 갖춘 U자형상의 구성부재이다. 전술되었듯이, 마감부재(2230)는 타측 배관(P2)을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제2 삽입홈(2231)을 통해 그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오목형상의 경로를 제공한다. 제2 삽입홈(2231)은 타측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측 배관(P2)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2200)은 반통부재(2210)와 암나사산부(2220) 및 U자형상의 마감부재(2230)로 한정된 내부공간(2211)을 형성한다. 내부공간(2211)은 일측 배관(P1), 타측 배관(P2)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배관 피팅(참조부호 없음)을 수용할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2000)는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 사이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타측 배관(P2)의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서 유체의 누설 및/또는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2200)에 누설 감지 모듈(2600)을 탈장착가능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반통부재(2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230)에 인접한 외주면 둘레에 누설 감지 모듈(2600)을 수용하는 안착부(2214)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반통부재(2210)의 외주면 다른 내부 영역과 유체연통가능한 안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안착부(2214)가 마감부재(223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누설 감지 모듈(2600)의 장착시 체결부재(2300)와의 접촉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안착부(2214)는 누설 감지 모듈(2600)의 용이한 끼움 결합을 가능하도록 소정의 깊이로 단차져 있고, 이는 반통부재(2210)의 외주면에 굴곡 부분을 형성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안착부(221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2214a)과, 이 2개의 체결홈(2214a) 사이에 관통구멍(2214b)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2214b)은 반통부재(2210)의 내부공간(2211)과 안착부(2214) 사이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천공되어 있어, 배관 피팅 둘레에서 누설된 유체를 감지부재(2660)와 접촉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호커버(2000)는 안착부(2214) 상에 누설 감지 모듈(2600)을 구비하는데, 누설 감지 모듈(2600)은 안착부(2214)에 감지부재(2660)의 위치고정을 돕는 동시에 감지부재(2600)의 변색 정보를 검출하고 이러한 누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구성부재이다.
누설 감지 모듈(2600)은 반통부재(2210)의 윤관선과 동일하거나 대응하게 형성된 몸체부(2610)로 형성되되, 이 몸체부(2610)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2614a)를 형성한다. 2개의 체결돌기(2614a)의 이격거리는 2개의 체결홈(2214a)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몸체부(2610)의 내측면은 안착부(2214)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누설 감지 모듈(2600)은 감지부재(2660)의 변색을 인식하는 색상인식센서(S)를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기로 2개의 체결돌기(2640a) 사이의 몸체부(2610) 내측면에 색상인식센서(S)를 배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색상인식센서(S)는 안착부(2214) 상에 배치된 감지부재(26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누설 감지 모듈(2600)은 색상인식센서(S)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670)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소자(2670)는 주기적 혹은 연속적으로 감지부재(2660)에 빛을 조사하여 주변환경의 밝고 어두움에 상관없이 감지부재(2660)의 변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누설 감지 모듈(2600)은 필요에 따라 발광소자(2670)에서 감지부재(2660)를 향해 빛을 내보내고 감지부재(2660)에 닿으면 색상인식센서(S)에 반사된 빛을 전달하여 감지부재(2660)의 색상을 검출할 수 있다.
색상인식센서(S)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2660)의 색상 정보(즉, 감지부재의 원래 색상과 측정시 색상)를 비교하여 변색 여부를 감지하고, 색상인식센서(S)로 인식한 색상 정보를 몸체부(2610)에 구비된 통신모듈(2650)을 통해 제어부로 검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모듈(2650)은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다. 외부의 제어부는 수신된 감지부재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변색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에게 누출 상태를 경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0)는 반통부재(2210)의 안착부(2214)와 누설 감지 모듈(2600) 사이에 감지부재(2660)를 개재하는데, 감지부재(2660)는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배관 피팅이라는 용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접속하는 것으로, 배관(P1,P2) 내부로 유동하는 액상 혹은 기상의 유체를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확실하게 실링처리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배관 피팅 둘레에 풀림방지장치, 예컨대 보호커버(2000)를 장착하여도, 예상치 못하게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로 인한 진동 등의 외력으로 인해 배관 피팅의 결속이 약화되어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의 배관 피팅 틈새로 유체의 누설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배관 피팅의 틈새로 유출된 유체는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타측 배관(P2)의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된 감지부재(2660)와 접촉하면서 예컨대 변색 등을 통해 누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0)는 케이싱(2200)의 내부공간(2211)에 배관 피팅을 배치하고, 케이싱(2200)의 양 단부를 관통해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길이연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케이싱(2200)의 내부공간(2211)은 배관 피팅을 반통부재(2210)의 개방면을 통해 그 내부공간(2211)에 수용하고, 일측 배관(P1)은 암나사산부(2220)의 제1 삽입홈(2221)에 안착되며, 타측 배관(P2)은 마감부재(2230)의 제2 삽입홈(2231)에 안착된다.
배관 피팅은 일측 배관(P1)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너트(N1;male nut)와 타측 배관(P2)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너트(N2;female nut)를 접속시켜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의 양 단부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상호 체결된다.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너트(female nut)와 제2 너트(male nut)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너트(N1)와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는 개스킷(혹은 O-링)을 개재하여, 길이연장된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부재(2660)는 변색제를 포함하여 가스 혹은 액체에 반응하는 수용성 잉크 라벨지, 예컨대 리트머스지, pH 시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산성용액이 유출될 경우 적색으로 변화되고, 알칼리성 용액이 유출될 경우에는 청색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감지부재(2660)는 배관의 파열 또는 배관의 접속된 연결구, 배관 피팅에서 화학 물질이 유출될 경우 유출량이 미세하더라도 용이하게 변색을 통해 유출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2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300)를 구비한다. 개략적으로, 체결부재(2300)는 볼트(bolt)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암나사산부(2220)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부(2320)와, 이 숫나사산부(2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23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체결부재(230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3 삽입홈(2330)을 형성하는데, 제3 삽입홈(2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310)와 숫나사산부(232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을 체결부재(2300)의 제3 삽입홈(23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제3 삽입홈(2330)은 일측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관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2000)는 제1 삽입홈(2221)의 개구부와, 제2 삽입홈(2231)의 개구부, 반통부재(2210)의 내부공간(2211) 개방면, 및 체결부재(2300)의 제3 삽입홈(2330)을 동일방향으로 배치시켜 피팅구로 결합된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케이싱(2200)의 내부공간(2211)에 쉽게 안착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그런 다음에, 체결부재(2300)는 일측 배관(P1)의 단부를 향해 즉 암나사산부(2220)를 향해 죄여지는데, 죄임용 지그(jig), 예컨대 스패너(spanner)를 통해 죄여 암나사산부(2220)와 나사체결된다.
체결부재(2300)가 죄여지면서, 체결부재(2300)의 숫나사산부(2320) 끝단이 제1 너트(N1)와 접촉되어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 너트(N1) 및/또는 제2 너트(N2)의 불필요한 회전을 제한하여 제1 너트(N1)와 제2 너트(N2)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숫나사산부(2320) 끝단이 제1 너트(N1)의 상부면 만을 압박하여, 제1 너트의 둘레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어 배관 피팅의 교체 및/또는 수리시 너트의 풀림과 죄임을 쉽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되었듯이, 나사체결로 가압되어 배관 피팅이 케이싱(2200)의 내부공간(2211)에서 이탈되지 않지만, 확실하게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2300)의 제3 삽입홈(2330)을 반통부재(2210)의 개방면과 어긋나게 배열하도록 한다(도 4 참조).
케이싱(2200) 내부에서 배관 피팅의 불필요한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본통부재(2210)의 내주면은 배관 피팅, 예컨대 제2 너트(N2) 또는 제1 너트(N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N1,N2)의 돌출 모서리가 반통부재(2210)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안착되어, 너트(N1,N2)를 포함한 배관 피팅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피팅은 보호커버(2000), 특히 반통부재(2210)와 누설 감지 모듈(2600)의 몸체부(2610)를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여 보호커버(2000)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도 있어, 유출액을 보호커버(2000)의 반통부재(2210)의 내부공간(2211)에 일시저장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재(2660)의 변색 유무 상태를 누설 감지 모듈(2600)을 수단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누설 여부를 확인한 운전자 및/또는 작업자는 감지부재의 변색을 통해 누설된 배관 피팅을 신속히 수리 및 교체하여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고, 유체가 유해한 화학물질인 경우에는 누출로 인한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0 내지 도 15는 누설 감지 모듈(3600)을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0)를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로를 개폐 및/또는 전환하는 밸브(3700)와 이 밸브에 유체연통가능하게 피팅된 배관(P1,P2)을 전반적으로 덮어 씌어 외부 요인으로 인해 피팅의 풀림을 방지하고, 밸브의 핸들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설 감지 모듈(3600)을 수단으로 하여 피팅 부위에서 유체의 누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0)는 전반적으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케이싱(3200)과, 이 케이싱(3200)의 상부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캡(3100), 케이싱(3200)의 각 단부에 배치된 체결부재(3300), 및 캡(3100)의 상부에 구비된 누설 감지 모듈(360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케이싱(3200)과 체결부재(330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상호 죄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캡(3100)과 케이싱(3200) 및 체결부재(3300)를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 내부에 배치될 배관(P1,P2)과 밸브(3700) 그리고 밸브 핸들(3710)의 결합 상태 및 감지부재(3260)의 변색을 통한 누출 여부를 육안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관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케이싱(3200)은 제1 숄더부(3220;shoulder)와, 이 제1 숄더부(3220)와 기하학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제2 숄더부(3230), 및 제1 숄더부(3220)와 제2 숄더부(3230)를 연결하는 브릿지부(3240;bridge)로 이루어져, 상부 개방부(3250)와 하부 개방부(3260)를 형성한 반통부재이다. 케이싱(3200)의 일측 단부에 위치된 제1 숄더부(3220)는 제1 암나사산부(3221)를 구비하는 한편, 케이싱(3200)의 타측 단부에 위치된 제2 숄더부(3230)는 제2 암나사산부(3231)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200)은 제1 숄더부(3220)와 제2 숄더부(323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 숄더부(3220)의 하측면과 제2 숄더부(3230)의 하측면 사이에 브릿지부(3240)를 구비한다. 즉, 상부 개방부(3250)는 제1 숄더부(3220)와 제2 숄더부(3230) 및 2개의 브릿지부(3240)로 한정되며, 밸브(3700)와 밸브 핸들(3710)의 입설을 돕는다.
반통형상의 케이싱(3200)은 하부를 개방하는데, 하부 개방부(3260)를 수단으로 하여 밸브(3700)와 배관(P1,P2)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암나사산부(3221)과 제2 암나사산부(3231)은 앞서 기술된 체결부재(3300)와의 나사체결을 돕는다. 물론, 제1 및 제2 암나사산부(32221,3231)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암나사산부(3221)는 하부 개방부(3260)와 동일방향으로 제1 삽입홈(3222)을 형성하고 있어, 제1 삽입홈(3222)이 일측 배관(P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암나사산부(3231)도 하부 개방부(3260)와 동일방향으로 제2 삽입홈(3232)을 형성하고, 제2 삽입홈(3232)이 타측 배관(P2)을 제2 암나사산부(3231)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경로로 사용된다. 제2 삽입홈(3232)은 타측 배관(P2)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측 배관(P2)의 원활한 삽입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숄더부(3220)는 도시되었듯이 일측 배관(P1)과 제1 너트(N1)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잇는데, 이의 상부면에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기(3223)를 구비한다. 제2 숄더부(3230) 또한 타측 배관(P2)과 제2 너트(N2)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는데, 이의 상부면에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기(3233)를 구비한다. 결합돌기(3223,3233)는 제1 및 제2 숄더부(3220,3230) 상부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ㄱ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0)는 케이싱(320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300)를 구비한다. 개략적으로, 체결부재(330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제1 및 제2 암나사산부(3221,3231)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부(3320)와, 이 숫나사산부(3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3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체결부재(330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3 삽입홈(3330)을 형성하는데, 제3 삽입홈(3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310)와 숫나사산부(3320)의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되어, 배관(P1,P2)을 체결부재(3300)의 제3 삽입홈(3330)에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배관(P1,P2)의 피팅과 배관 사이에서 유체의 유로를 개폐 및/또는 전환하는 밸브(3700)를 외부와 접촉을 허용하지 않는 보호 캡(3100)을 케이싱(3200) 위에 위치고정하는데, 이 보호 캡(3100)은 힌지결합된 좌측캡(3110)과 우측캡(3120)으로 구성된다.
좌측캡(3110)은 반통형상의 부재로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캡(3120)은 좌측캡(3110)과 대응되는 반통형상의 부재로 좌측캡(3110)에 힌지결합되어 우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좌측캡(3110)은 반통형상의 측면(3111)과, 이 측면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3112), 상부면 일측에 반원형 개구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을 형성한 암나사 절반형상부(3116), 및 측면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3114)를 형성한 반원형 하부면(3113)을 구비한다. 반원형 개구부(3114)는 배관(P1,P2) 사이에서 너트(N1,N2)로 피팅되어 직교되게 배치된 밸브(3700)를 수용한다.
덧붙여서, 좌측캡(3110)은 우측캡(312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117)를 구비하는 한편, 좌측캡(3110)의 전측면에는 잠금수단(3400)을 구비한다. 잠금수단(3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통(참조부호 없음)의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를 회전하여 우측캡의 전측면에 형성된 잠금홈(3128)에 체결한다. 본 발명의 잠금수단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시건장치로 대체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반원형 하부면(3113)은 앞쪽 내주연에 대응형상부(3113a)를 구비하며 뒤쪽 내주연에 대응형상부(3113b)를 구비한다. 대응형상부(3113a)는 케이싱(3200)의 제1 숄더부(3220) 상부면에 구비된 결합돌기(3223)에 삽입된다. 물론, 대응형상부(3113b)는 케이싱(3200)의 제2 숄더부(3230) 상부면에 구비된 결합돌기(3233)에 삽입된다. 이렇게, 좌측캡(3110)의 대응형상부(3113a)가 결합돌기(3223)에 삽입고정되고 대응형상부(3113b)가 결합돌기(3233)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좌측캡(3110)은 케이싱(3200)에서 회전이동 뿐만 아니라 상하이동 없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대응형상부(3113a,3113b)는 결합돌기(3223,3233)의 좌측 홈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 확실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다. 결합돌기(3223,3233)는 제1 및 제2 숄더부(3220,3230) 상부면에서 ㄱ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대응형상부(3113a,3113b)가 대응하는 각각의 결합돌기(3223,3233)와 숄더부(3220,3230) 사이로 끼워 넣어져, 케이싱 상에서 좌측캡(3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좌측캡(3110)과 대응되게, 우측캡(3120)은 반통형상의 측면(3121)과, 이 측면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3122), 상부면 일측에 반원형 개구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을 형성한 암나사 절반형상부(3126), 및 측면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3124)를 형성한 반원형 하부면(3123)을 구비한다. 우측캡(3120)의 전측면에는 잠금수단(3400)의 잠금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잠금홈(3128)을 형성한다.
우측캡(3120)은 좌측캡(3110)의 힌지부(311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3127)을 구비한다.
반원형 하부면(3123)은 앞쪽 내주연에 대응형상부(3123a)를 구비하며 뒤쪽 내주연에 대응형상부(3123b)를 구비한다. 대응형상부(3123a)는 케이싱(3200)의 제1 숄더부(3220) 상부면에 구비된 결합돌기(3223)에 삽입된다. 물론, 대응형상부(3133b)는 케이싱(3200)의 제2 숄더부(3230) 상부면에 구비된 결합돌기(3233)에 삽입된다. 이렇게, 우측캡(3120)의 대응형상부(3123a)가 결합돌기(3223)에 삽입고정되고 대응형상부(3123b)가 결합돌기(3233)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우측캡(3120)은 케이싱(3200)에서 회전이동 뿐만 아니라 상하이동 없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대응형상부(3123a,3123b)는 결합돌기(3223,3233)의 우측 홈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 확실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보호캡(3100)의 좌측캡(3110)이 케이싱(3200)의 결합돌기(3223,3233)에 위치고정된 다음에, 좌측캡(3110)에 힌지결합된 우측캡(3120)을 좌측캡(3110)과 정합되도록 회동시켜 케이싱(3200)의 결합돌기(3223,3233)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에, 잠금수단(3400)을 수단으로 하여 좌측캡(3110)과 우측캡(3120)을 체결하게 되면, 보호캡(3100)은 케이싱(3200)과 확실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보호커버(3000)는 보호 캡(3100) 상에 누설 감지 모듈(3600)을 구비하는데, 누설 감지 모듈(3600)은 감지부재(3660)의 위치고정을 돕는 동시에 감지부재(3660)의 변색 정보를 검출하고 이러한 누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구성부재이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0)는 보호 캡(3100)의 상부면 내부 영역에 형성된 암나사산 형성부에 누설 감지 모듈(3600)을 탈장착가능하게 배치한다. 누설 감지 모듈(3600)은 볼트형상으로 이루어져, 보호커버(3000)의 암나사산 형성부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보호 캡(3100)의 상부면은 좌측캡(3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3116)과 우측캡(3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3126)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완전한 암나사산 형성부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누설 감지 모듈(3600)은 속이 비어 있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을 형성한 원통형상부(3610)과, 이 원통형상부(36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620), 원통형상부(3610)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원통형상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부(3630), 슬롯부(3630)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원통형상부의 중공부(3611)에 배치된 색상인식센서(S)를 배치한다. 감지부재(3660)가 슬롯부(3630) 내부로 삽입고정되어, 배관 피팅의 틈새로 유출된 유체가 감지부재(3660)와 접촉하면서 예컨대 변색 등을 누설 감지 모듈(3600)의 색상인식센서(S)통해 누설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로 확인시켜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3660)가 슬롯부(3630) 내에 삽입 및/또는 교체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재(3660)는 변색제를 포함하고서 가스 혹은 액체에 반응하는 수용성 잉크 라벨지, 예컨대 리트머스지, pH 시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산성용액이 유출될 경우 적색으로 변화되고, 알칼리성 용액이 유출될 경우에는 청색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감지부재(3660)는 배관의 파열 또는 배관의 접속된 연결구, 배관 피팅에서 화학 물질이 유출될 경우 유출량이 미세하더라도 용이하게 변색을 통해 유출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누설 감지 모듈(3600)은 감지부재(3660)의 변색을 인식하는 색상인식센서(S)를 원통형상부(3610)의 중공부(3611) 내에 구비하는데, 색상인식센서(S)와 감지부재(366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누설 감지 모듈(3600)은 색상인식센서(S)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670)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소자(3670)는 주기적 혹은 연속적으로 감지부재(3660)에 빛을 조사하여 주변환경의 밝고 어두움에 상관없이 감지부재(3660)의 변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누설 감지 모듈(3600)은 필요에 따라 발광소자(3670)에서 감지부재(3660)를 향해 빛을 내보내고 감지부재(3660)에 닿으면 색상인식센서(S)에 반사된 빛을 전달하여 감지부재(3660)의 변색을 검출할 수 있다.
색상인식센서(S)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감지부재(3660)의 색상 정보를 검출하고, 색상인식센서(S)로 인식한 색상 정보를 헤드부(3620)에 구비된 통신모듈(3650)을 통해 제어부로 검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통신모듈(3650)은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다. 외부의 제어부는 수신된 감지부재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변색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에게 누출 상태를 경보할 수 있다.
누설 여부를 확인한 운전자 및/또는 작업자는 감지부재의 변색을 통해 누설된 배관 피팅을 신속히 수리 및 교체하여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고, 유체가 유해한 화학물질인 경우에는 누출로 인한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0, 2000, 3000 ----- 보호커버,
1200, 2200, 3200 ----- 케이싱,
2300, 3300 ----- 체결부재,
1600, 2600, 3600 ----- 누설 감지 모듈,
1660, 2660, 3660 ----- 감지부재,
1670, 2670, 3670 ----- 발광소자,
P1, P2 ----- 배관,
S ----- 색상인식센서.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케이싱(2200)과;
    상기 일측 배관(P1)과 상기 타측 배관(P2)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2660); 및
    상기 감지부재(2660)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S)와 상기 색상인식센서(S)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650)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2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2200)은,
    상기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22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2214a)과 상기 2개의 체결홈(2214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재(2660)를 상기 내부공간(2211)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접촉을 허용하는 관통구멍(2214b)을 갖춰 상기 누설 감지 모듈(2600)의 위치선정을 돕는 안착부(2214)를 구비한 반통부재(2210)를 구비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 모듈(2600)은,
    상기 반통부재(2210)의 상기 안착부(2214)에 끼움 결합되는 몸체부(2610)와;
    상기 몸체부(2610)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2614a);
    상기 감지부재(2660)과 이격되게 상기 몸체부(2610)의 내측면에 구비된 색상인식센서(S); 및
    상기 몸체부(2610)에 구비된 통신모듈(2650);을 구비한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1. 청구항 9에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 모듈(2600)은 상기 색상인식센서(S)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2670)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2660)는 상기 반통부재(2210)의 안착부(2214)와 상기 누설 감지 모듈(2600)의 색상인식센서(S)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3.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케이싱(3200)과;
    상기 일측 배관(P1)과 상기 타측 배관(P2)의 접속 부위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감지부재(3660); 및
    상기 감지부재(3660)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인식센서(S)와 상기 색상인식센서(S)로 인식된 색상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650)을 갖춘 누설 감지 모듈(3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싱(3200)은, 상기 일측 배관(P1)과 상기 타측 배관(P2) 사이에 유체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3700)의 밸브 핸들(3710)를 덮어 씌우는 보호 캡(3100)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보호 캡(3100)은,
    반통형상의 측면(3111)과, 상기 측면(3111)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3112), 상기 상부면(3112)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3116), 및 상기 측면(3111)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반원형 하부면(3113)을 갖춘 좌측캡(3110)과;
    반통형상의 측면(3121)과, 상기 측면(3121)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면(3122), 상기 암나사 절반형상부(3116)과 대응되게 상기 상부면(3122) 타측에 형성된 암나사 절반형상부(3126), 및 상기 측면(3121)의 하단부에 반원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반원형 하부면(3123)을 갖추고, 상기 좌측캡(3110)과 결합되는 우측캡(3120);을 구비하고,
    상기 누설 감지 모듈(3600)는,
    상기 암나사 절반형상부(3116,3126)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을 형성하고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3611)를 갖춘 원통형상부(3610)과;
    상기 원통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620);
    상기 원통형상부(3610)의 타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원통형상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부(3630);
    상기 슬롯부(36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원통형상부(3610)의 중공부(3611) 내부에 배치된 색상인식센서(S); 및
    상기 헤드부(3620)에 구비된 통신모듈(3650);을 구비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200)과 상기 누설 감지 모듈(2600)은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200)과 상기 누설 감지 모듈(3600)은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 모듈(3600)은 상기 색상인식센서(S)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670)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109639A 2015-08-03 2015-08-03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78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39A KR101781126B1 (ko) 2015-08-03 2015-08-03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39A KR101781126B1 (ko) 2015-08-03 2015-08-03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97A KR20170016197A (ko) 2017-02-13
KR101781126B1 true KR101781126B1 (ko) 2017-09-22

Family

ID=5815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39A KR101781126B1 (ko) 2015-08-03 2015-08-03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92B1 (ko) * 2017-11-22 2020-08-11 유수건 화학가스 유출 감지부 및 이를 구비한 화학가스 이동관
CN111024589B (zh) * 2020-01-06 2023-09-26 西安湄南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高压磁化原理的建筑防水材料的检测装置
KR102330678B1 (ko) * 2020-11-17 2021-12-01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누수감시 시스템
KR102661424B1 (ko) * 2021-07-05 2024-04-26 하이리움산업(주) 누설 검출장치
KR200497141Y1 (ko) * 2021-11-11 2023-08-0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CN114088277A (zh) * 2021-12-23 2022-02-25 国家能源集团谏壁发电厂 杆件附着式传感器的保护外罩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42B1 (ko) * 2013-06-26 2013-12-13 (주)피피아이평화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10-11-16 정현영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1271984B1 (ko) 2012-12-15 2013-06-05 김성진 배관 피팅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42B1 (ko) * 2013-06-26 2013-12-13 (주)피피아이평화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97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126B1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848020B1 (ko) 누설 감지가능한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887410B1 (ko) 밸브 핸들용 보호커버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KR101520452B1 (ko)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KR101544209B1 (ko)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20180089021A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US20140053681A1 (en) Gearbox with sight window
JP2010281359A (ja) 管継手
KR101802929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US20230332702A1 (en) Check cover assemblies for backflow prevention assemblies with integrated test cock protection shroud
EP2349542A2 (en) Leak testing of a pressure vessel
KR101629450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KR101684733B1 (ko) 관 이음부 고정 클램프
KR20220056059A (ko) 피팅용 락킹장치
KR101871167B1 (ko)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KR20160046936A (ko)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KR20180129009A (ko) 누설탐지 외부부착형 및 누설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볼밸브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JP4155959B2 (ja) ガス圧検圧用接続具
JP2009063546A (ja)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US10094205B2 (en) Stuffing box leak containment apparatus
JP4353835B2 (ja) 管継手の耐圧試験装置
KR102034787B1 (ko) 배관 보호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