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49A -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49A
KR20100120449A KR1020090039264A KR20090039264A KR20100120449A KR 20100120449 A KR20100120449 A KR 20100120449A KR 1020090039264 A KR1020090039264 A KR 1020090039264A KR 20090039264 A KR20090039264 A KR 20090039264A KR 20100120449 A KR20100120449 A KR 2010012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assembly
fluid
contact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영
Original Assignee
정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영 filed Critical 정현영
Priority to KR102009003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449A/ko
Publication of KR2010012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연결부분에 대응하여 감싸는 통 형상 부분;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양단에 접착하는 한 쌍의 추 형상 부분; 및 상기 각 추 형상 부분에 접착하며, 상기 배관에 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을 가로질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각 부분이 개폐 또는 폐쇄되고, 상기 각 접촉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접촉부분과 배관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며, 상기 통 형상 부분이나 추 형상 부분에는 상기 유체의 특성에 의해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포하여 식별마크가 형성된다.
배관, 설비, 가스, 누설, 유출, 육안, 검출, 색 변화, 마크

Description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Cover Assembly for Covering Pipe-Joint}
본 발명은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 연결부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련한다.
액체나 기체를 포함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조인트 등의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한 지상 개방계의 배관 설비에 있어서, 각 배관 또는 연결 부재를 수지제 시트로 외측으로부터 싸 넣어 밀봉함으로써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출을 일시적으로 방지하여 주위의 오염이나 환경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커버가 알려져 있다(일본 실개 평4-50795호 참조).
이 배관용 커버는 내부가 투시가능함으로써 배관 라인의 보수 점검 작업을 육안에 의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배관용 커버에 의하면,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유체가 투명한 색을 갖는 경우에는 육안으로 알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유체의 유출을 조기에 차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배관으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연결부분에 대응하여 감싸는 통 형상 부분;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양단에 접착하는 한 쌍의 추 형상 부분; 및 상기 각 추 형상 부분에 접착하며, 상기 배관에 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을 가로질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각 부분이 개폐 또는 폐쇄되고, 상기 각 접촉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접촉부분과 배관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며, 상기 통 형상 부분이나 추 형상 부분에는 상기 유체의 특성에 의해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포하여 식별마크가 형성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부분의 접착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접촉부분을 감싸서 가압하는 체결 밴드 또는 상기 접촉부분과 배관에 걸쳐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의 특성은, 상기 유체와 도포 물질과의 화학적 반응, 또는 기설정 범위를 넘는 고온이나 저온 또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분은 접착제를 더 개재하여 상기 배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배관이나 배관의 연결부분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식별마크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독가스를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내부에 임시로 머물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에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측의 배관(10)의 단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고 타측의 배관(20)의 단부에는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이들 플랜지(12, 22)를 가령 고무 패킹 등으로 개재한 상태에서 접촉시킨 다음 볼트(23)와 너트(14)를 결합하여 배관(10, 20)을 연결한다.
이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는 이와 같이 배관(10, 20)이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배관 연결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는 배관 연결부, 즉 플랜지(12, 22)가 결합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통 형상 부분(110)과 통 형상 부분(110)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추 형상 부분(120, 122) 및 추 형상 부분(120, 122)에서 연장하는 접촉부분(121, 123)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통 형상 부분과 추 형상 부분은 원통형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 이외에 다각 통 형상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는 구성하는 통 형상 부분(110), 추 형상 부분(120, 122) 및 접촉부분(121, 123)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 작업시 용착하여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는 수지제로 특별히 재질에는 관계없으며, 내후성, 내약품성, 내유성 또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이거나 착색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특히, 배관(10, 20) 내에 고압의 핫 가스가 흐르는 경우 내열성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배관(10, 20)의 결합부분으로부터 핫 가스의 유출이 있더라도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가 1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인접 지역에서의 인명 피해를 제거할 수 있다.
통 형상 부분(110), 추 형상 부분(120, 122) 및 접촉부분(121, 123)을 가로지르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에 개폐 부재(102)가 설치되어 개폐 부재(10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개폐 부재(102)는 지퍼 타입, 매직 테이프 타입 또는 버튼 타입이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퍼(zipper) 타입의 경우, 이격하여 나란히 연장하는 한 쌍의 파스너를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매직 테이프(magic tape) 타입의 경우, 단부를 겹치도록 하여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후크와 고리가 형성된 테이프를 고정한다.
버튼 타입의 경우, 매직 테이프 타입의 경우처럼,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숫 버튼과 암 버튼을 고정한다.
접촉부분(121, 123)의 내주면에는 핫 멜트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배관(10, 20)과의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체결 밴드(130, 132)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촉부분(121, 123)과 배관(10, 20)에 걸치도록 열수축성 튜브를 끼운 다음, 열을 가하면 열수축성 튜브가 수축되면서 접촉부분(121, 123)을 배관(10, 20)에 단단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접촉부분(121, 123)과 배관(10, 20)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열수축성 튜브를 이용하여 접촉부분(121, 123)과 배관(10, 20) 사이의 간극을 완전하게 밀폐함으로써 배관(10, 2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독가스를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 내부에 임시로 머물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배관으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의 통 형상 부분(110)이나 추 형상 부분(120, 122)의 내면에는 배관을 흐르는 유체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한 식별마크(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관(10, 20)이나 배관의 연결부분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식별마크(112)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식별마크(112)의 크기가 형상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가령 배관(10, 2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가스일 경우 확산하기 때문에 식별마크(112)의 크기나 형성 및 위치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 반면, 유체가 액체인 경우에는 유출되는 위치가 대부분 정해지기 때문에 배관(10, 20)의 결합부분의 하측에 식별마크(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특성 물질을 내면 전체에 도포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줄어든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관의 미를 위하여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를 전체를 착색하여 불투명해지는 경우에도 식별마크(112)가 형성되는 부분만 착색하지 않고 투명이나 반투명을 유지하도록 하면 되므로 원하는 식별마크(112)를 형성하면서도 착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식별마크(112)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서 색이 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출되는 유체의 온도나 습도 등 물리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높거나 낮아서 변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1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설 때 색이 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 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에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연결부분에 대응하여 감싸는 통 형상 부분;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양단에 접착하는 한 쌍의 추 형상 부분; 및
    상기 각 추 형상 부분에 접착하며, 상기 배관에 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을 가로질러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각 부분이 개폐 또는 폐쇄되고,
    상기 각 접촉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접촉부분과 배관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며,
    상기 통 형상 부분이나 추 형상 부분에는 상기 유체의 특성에 의해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포하여 식별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의 접착은 융착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접촉부분을 감싸서 가압하는 체결 밴드 또는 상기 접 촉부분과 배관에 걸쳐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특성은, 상기 유체와 도포 물질과의 화학적 반응, 또는 기설정 범위를 넘는 고온이나 저온 또는 압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분은 접착제를 더 개재하여 상기 배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20090039264A 2009-05-06 2009-05-06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20100120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64A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09-05-06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64A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09-05-06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49A true KR20100120449A (ko) 2010-11-16

Family

ID=4340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64A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09-05-06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44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50B1 (ko) 2015-04-03 2016-06-10 김정남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WO2016109805A1 (en) * 2014-12-31 2016-07-0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olded fluid transfer assemblies having increased working pressures and burst pressures
KR20170016197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20180061739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적용 기밀시험 방법
GB2570871A (en) * 2018-01-31 2019-08-14 Select Engineering Asia Ltd Safety sleeve for conduits
JP2022519419A (ja) * 2018-11-22 2022-03-24 ガブリエル ブラッド、マリアン 損傷したパイプからの偶発的な加圧流体の漏れを捕捉するための可撓性配管及びプロセス
KR102573925B1 (ko) 2022-04-19 2023-09-01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9805A1 (en) * 2014-12-31 2016-07-0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olded fluid transfer assemblies having increased working pressures and burst pressures
US10240704B2 (en) 2014-12-31 2019-03-2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olded fluid transfer assemblies having increased working pressures and burst pressures
KR101629450B1 (ko) 2015-04-03 2016-06-10 김정남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20170016197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20180061739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적용 기밀시험 방법
GB2570871A (en) * 2018-01-31 2019-08-14 Select Engineering Asia Ltd Safety sleeve for conduits
GB2570871B (en) * 2018-01-31 2022-07-27 Select Engineering Asia Ltd Safety sleeve for conduits
JP2022519419A (ja) * 2018-11-22 2022-03-24 ガブリエル ブラッド、マリアン 損傷したパイプからの偶発的な加圧流体の漏れを捕捉するための可撓性配管及びプロセス
KR102573925B1 (ko) 2022-04-19 2023-09-01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449A (ko)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0249293B1 (ko) 주변밀봉부재 및 방법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ATE322228T1 (de) Endoluminales stent-gewebe mit leckbeständiger dichtung
PL171144B1 (en) Air cushioned gasket
RU2010130359A (ru) Трубопровод, секц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7517167A5 (ko)
NZ531387A (en) Pipe joint safety inspection device
WO2014019039A1 (en) Leak detection device in joints between pipes with flanges and gaskets
US20110233924A1 (en) Entry boot
GB2509834A (en) A shield for a pipe joint carrying a pressurized fluid or gas
JP4034819B2 (ja) 配管用カバー組み立てセット
US10683957B2 (en) Pipe connecting joint
JP2004251657A (ja) 配管等からの流体の漏洩個所検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インジケータ
KR101747656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746083B1 (ko)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CA2888402A1 (en) Method of joining pipes and fittings with mechanical restraint members
DK3097337T3 (en) PROCEDURE AND FLEXIBLE PIPE MANUFACTURED FROM HEAT SHRINKMASTERS TO COLLECT FLUID LEAKS FROM DAMAGED PIPES
ITMI972851A1 (it) Valvola di sicurezza allo strappamento in un condotto di fluido
CN202484478U (zh) 法兰用的防护套
CA3115319C (en) A flange belt
JPH082557Y2 (ja) 既設配管用カバー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