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925B1 -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25B1
KR102573925B1 KR1020220048485A KR20220048485A KR102573925B1 KR 102573925 B1 KR102573925 B1 KR 102573925B1 KR 1020220048485 A KR1020220048485 A KR 1020220048485A KR 20220048485 A KR20220048485 A KR 20220048485A KR 102573925 B1 KR102573925 B1 KR 10257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pipe
protective cover
side pi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일측 배관 및 타측 배관의 연결부의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연결부 어셈블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배관과 결합된 일측 배관 연결부,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나사선에 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배관홀이 형성되어 타측 배관의 단부가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타측 배관 연결부, 및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CONNECTION UNIT ASSEMBLY FOR INCREASING SAFTY}
본 개시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관 내부의 화학물질이 새어 나온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연결부 어셈블리에 대하여 개시한다.
배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면서 필요에 의해 배관의 연장을 해야 한다. 즉, 일정한 길이의 배관은 피팅(fitting)이라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배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피팅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로 인해 장시간 진동에 노출되어 피팅의 결속이 약화될 수밖에는 없다.
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특허문헌 1은 피팅의 결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피팅 고정부재를 게재하는 바, 하나이상의 장홀을 갖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 단부에 각각의 장착부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장착부는 관통부에 피팅으로 연결될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에 장착되는데, 이 관통부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배관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피팅 고정부재는 배관 외부로 누출되는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는 데에 용이하지 않다.
액체나 기체로 구성된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서, 특허문헌 2는 배관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피팅구에서 유체의 누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개략적으로 배관의 피팅구에 대응되게 감싸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팅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는 배관 내부로 기상의 유체가 배관 외부로 누출될 때 어셈블리 내부로 수용되지 않아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무채색의 유체 혹은 무취의 유체의 누설도 감지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9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0449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는 일측 배관 및 타측 배관의 연결부의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배관과 결합된 일측 배관 연결부,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나사선에 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배관홀이 형성되어 타측 배관의 단부가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타측 배관 연결부, 및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보호커버는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여 타측 배관을 감싸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경 커버 및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여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감싸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 커버를 포함하고, 대경 커버의 내측은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 증강 돌기와 맞물리는 제 1 돌기 및 일측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 2 돌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소경 커버의 내측은 PH측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보호커버는 폴리프탈레이트 카보네이트(POLYPHTHALATE CARBONATE; PPC) 재질이고, 투명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결합상태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타측 배관 연결부는 외주면에 마찰 증강 돌기가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 1 돌기는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되며, 마찰 증강 돌기의 사이에 삽입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일측 배관 연결부는 일측 배관 방향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링형 돌출부, 링형 돌출부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며,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민자 원통부, 및 민자 원통부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를 포함하고, 제 2 돌기는 링형 돌출부에 접하며,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된 마찰증강부 및 민자 원통부에 접촉하기 위하여 마찰증강부보다 대경 커버의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제 1 회전 방지 돌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민자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제 2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돌기에 포함된 제 1 회전 방지 돌기와 제 2 회전 방지 돌기가 접하여 보호커버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대경 커버의 일측 배관 방향에는 일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대경 커버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의 보호커버는 동일하게 생긴 제 1 보호커버 및 제 2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제 1 보호커버의 일측의 결합홀에 제 2 보호커버의 결합돌기가 삽입되고, 제 1 보호커버의 타측의 결합돌기가 제 2 보호커버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제 1 보호커버 및 제 2 보호커버가 결합되어,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며, 제 1 보호커버에서, 제 2 보호커버와 접하는 면에는 맞춤 돌기 및 맞춤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보호커버의 맞춤 돌기는 제 2 보호커버의 맞춤 홈에 삽입되고, 제 1 보호커버의 맞춤 홈에 제 2 보호커버의 맞춤 돌기가 삽입되고, 제 1 보호커버의 일측에서 제 1 보호커버의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은 일측 배관 방향 및 타측 배관 방향과 수직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일측 배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타측 배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일측 배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타측 배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일측 배관(140) 및 타측 배관(130)의 연결부의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배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배관의 연장방향을 변경하거나, 배관을 분기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연결부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일측 배관(14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일측 배관 방향에 링형 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형 돌출부(113)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링형 돌출부(113)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링형 돌출부(113)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일측 배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형 돌출부(113)는 보호커버(210)가 일측 배관 방향이나 타측 배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측 배관 방향은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서 일측 배관 연결부(110)를 향하는 방향이며, 타측 배관 방향은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서 타측 배관 연결부(12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민자 원통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민자 원통부(112)는 링형 돌출부(113)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민자 원통부(112)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민자 원통부(112)의 외주면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매끈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는 민자 원통부(112)와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한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회전을 힘들게 할 뿐,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한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회전을 완전히 막지는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서 배관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민자 원통부(112)는 회전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의 아래 사진은 도 2의 위 사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일 수 있다. 도 2의 아래 사진을 참조하면, 민자 원통부(112)의 외주면에는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링형 돌출부(113)는 민자 원통부(112)보다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민자 원통부(112)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민자 원통부(112)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가 보호커버(210)의 내부의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와 접하는 경우, 보호커버(21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 또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링형 돌출부(113)에 비하여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링형 돌출부(113)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에 삼각뿔, 직육면체 또는 반구형을 가진 돌기일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민자 원통부(112)는 복수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2개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의 서로 정반대에 위치할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나사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선부(111)는 민자 원통부(112)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나사선부(111)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사선부(111)에 형성된 나사선은 타측 배관 연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나사선에 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3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타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배관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측 배관 연결부(120)와 일측 배관 연결부(110)가 결합되어 있을 때, 타측 배관(130)은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 형성된 배관홀(310)을 관통하여, 타측 배관(130)의 단부(131)가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관(130)의 단부(130)는 배관(130)의 일측 배관 방향의 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부의 배관(130)은 타측 배관 방향에서 일측 배관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질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부의 배관(130)은 타측 배관 방향에서 일측 배관 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다가 작아질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부의 배관(130)의 직경은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주면의 직경까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부의 배관(130)의 직경이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주면의 직경까지 커지므로,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내주면은 배관(130)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으며, 배관 내부의 유체가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서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일측 배관 방향은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대경부이고,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타측 배관 방향은 상대적으로 반경이 작은 소경부일 수 있다. 소경부에 배관홀(3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배관홀(310)의 반경은 타측 배관의 반경과 같을 수 있다.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외주면에 마찰 증강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증강 돌기(330)는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타측 배관 연결부(120)를 잡고 돌릴 때, 마찰 증강 돌기(330)는 사용자의 손과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마찰 증강 돌기(330)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에 포함된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보호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의 내주면의 직경은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 및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소경 커버(412) 및 대경 커버(4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폴리프탈레이트 카보네이트(POLYPHTHALATE CARBONATE; PPC) 재질일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투명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결합상태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즉,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컴프레셔 등의 진동에 의하여 점점 풀릴 수 있으며,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풀림에 의하여 내부의 액체가 배관의 외부로 샐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배관의 내부의 액체가 새더라도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210)는 진동에 의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풀림 방지는 보호커버(210)의 제 1 돌기(510) 및 제 2 돌기(5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소경 커버(412)는 대경 커버(411)에 비하여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여 타측 배관(130)을 감싸고 대경 커버(4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소경 커버(412)의 내주면의 직경은 타측 배관(130)의 직경과 같을 수 있다. 소경 커버(412)의 내측은 PH측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소경 커버(412)의 내측에 PH측정부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PH측정부는 리트머스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PH측정부는 소경 커버(412)의 내주면과 타측 배관(13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PH측정부는 배관의 내부의 유체가 배관의 외부로 흐는 경우, 유체와 접촉할 수 있다. PH측정부는 유체와 접촉하는 경우 색이 변경될 수 있다. 보호커버(210)는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PH측정부의 색 변화를 확인하고, 유체가 샌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유체가 무색일지라도 PH측정부의 색변화를 통하여 쉽게 유체가 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경 커버(411)는 소경 커버(412)에 비하여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대경 커버(411)는 결합되어 있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대경 커버(411)는 소경 커버(4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대경 커버(411)의 내측은 제 1 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기(510)는 대경 커버(411)의 내면에서 대경 커버(411)는 복수의 제 1 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돌기(510)는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돌기(510)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 증강 돌기(330)와 맞물릴 수 있다. 즉, 제 1 돌기(510)는 두 개의 마찰 증강 돌기(33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마찰 증강 돌기(330)는 두 개의 제 1 돌기(51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대경 커버(411)는 제 2 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기(5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제 2 돌기(520)는 마찰증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증강부(521)는 대경 커버(4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찰증강부(521)는 링형 돌출부(113)에 접할 수 있다. 마찰증강부(521)는 일측 배관 방향에서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찰증강부(521)는 제 1 돌기(510)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돌기(520)에 포함된 마찰증강부(521)는 제 1 돌기(510)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 1 돌기(510)는 제 2 돌기(420)에 비하여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돌기(520)는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는 마찰증강부(521)보다 대경 커버(411)의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는 민자 원통부(112)에 접촉하기 위하여 마찰증강부(521)보다 대경 커버(411)의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는 삼각뿔, 직사각형, 또는 반구형의 형태일 수 있다. 제 2 돌기(520)에 포함된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와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가 접하는 경우, 보호커버(21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경 커버(411)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가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가 접하는 경우, 보호커버(210)가 일측 배관 연결부(110) 또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 증강 돌기(330)가 보호커버(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돌기(510)와 맞물려서 함께 회전하거나 정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와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가 보호커버(210)의 회전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와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반구형을 가질 수 있다. 보호커버(210)에 미리 결정된 임계 회전힘 이상이 가해지면, 보호커버(21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 또는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보호커버(210)에 미리 결정된 임계 회전힘 이상이 가해지면,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보호커버(210)가 탄성이 있는 재질이기 때문에 임계 회전힘 이상 가해지는 경우, 보호커버(210)가 잠시 변형되어 보호커버(210)의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가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를 지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2개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외주면의 서로 정반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자유롭게 반바퀴 회전한 후에, 제 1 회전 방지 돌기(522)가 제 2 회전 방지 돌기(220)에 걸려서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보호커버(210)에 임계 회전힘이 가해지는 경우,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다시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반바퀴 회전할 수 있다.
이상 상황이 발생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 배관이 찢어져서 큰 사고가 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보호커버(21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커버(21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다소 헐겁게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크더라도 배관이 아닌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서 유체가 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새는 경우, 보호커버(210)가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대경 커버(411)의 일측 배관 방향에는 일측 배관(140)이 관통하기 위한 대경 커버홀(8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커버(210)의 대경 커버(411)의 일측 배관 방향에는 대경 커버(411)의 일측면(5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대경 커버(411)의 타측 배관 방향에는 대경 커버(411)의 타측면(5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경 커버홀(810)은 대경 커버(411)의 일측면(53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경 커버(411)의 타측면(540)에 소경 커버(4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경 커버홀(810)의 반경은 일측 배관의 반경과 같을 수 있다.
대경 커버(411)의 일측면(530) 및 타측면(540)에 의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과도하게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하여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 증강 돌기(330)가 보호커버(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돌기(510)와 맞물려 있으므로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회전하는 경우 보호커버(210)도 회전할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일측 배관 연결부(110)와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 배관 연결부(110)는 대경 커버(411)의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한 일측면(530)에 닿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링형 돌출부(113)는 대경 커버(411)의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한 일측면(530)에 닿을 수 있다. 또한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대경 커버(411)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한 타측면(540)에 닿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타측 배관 방향 끝단은 대경 커버(411)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한 타측면(540)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배관 연결부(110)에 대하여 타측 배관 연결부(120)는 더이상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배관 연결부(110)와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사이의 거리는 대경 커버(411)의 길이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대경 커버(411)의 길이는 대경 커버(411)의 일측 배관 방향 및 타측 배관 방향에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측 배관 연결부(110)의 링형 돌출부(113)와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타측 배관 방향 끝단의 사이의 거리는 대경 커버(411)의 길이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보호커버(210)는 일측 배관 연결부(110)와 타측 배관 연결부(120)가 어느 정도 풀리는 것은 허용하되, 완전히 풀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유체가 새더라도 조금씩 새도록 할 수 있으며, 유체가 샌 것은 PH측정부에 의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대경 커버(411)는 일측 배관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ㄴ'자형 배관 연결 또는 'T'자형 배관 연결 시에 보호커버(21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210)는 동일하게 생긴 제 1 보호커버(820) 및 제 2 보호커버(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보호커버(210) 두개가 결합하여 완성된 보호커버(210)를 이룰 수 있다.
도 5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보호커버(820)의 일측의 결합홀(550)에 제 2 보호커버(830)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고, 제 1 보호커버(820)의 타측의 결합돌기(560)가 제 2 보호커버(830)의 결합홀(710)에 삽입되어 제 1 보호커버(820) 및 제 2 보호커버(8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보호커버(820) 및 제 2 보호커버(830)가 결합되어 결합된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의 외부를 둘러 쌀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배관 연결부(110) 및 타측 배관 연결부(120)에서 배관 내부의 유체가 새어 나오더라도 제 1 보호커버(820) 및 제 2 보호커버(830)에 의하여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보호커버(820)에서, 제 2 보호커버(830)와 접하는 면(570)에는 맞춤 돌기(571, 572) 및 맞춤 홈(573, 57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커버(820)의 제 2 보호커버(830)와 접하는 면(570)에는 결합돌기(560) 및 결합홀(5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보호커버(820)의 제 2 보호커버(830)와 접하는 면(570)은 제 1 보호커버(82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보호커버(820)의 맞춤 돌기(571, 572)는 제 2 보호커버(830)의 맞춤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커버(820)의 맞춤 홈(573, 574)에 제 2 보호커버(830)의 맞춤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맞춤 돌기(571, 572)는 맞춤 홈(573, 574)에 대응되는 돌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보호커버(820)의 맞춤 돌기(571, 572) 및 맞춤 홈(573, 574)이 제 2 보호커버(830)의 맞춤 홈 및 맞춤 돌기에 삽입됨으로써, 보호커버(210)는 어긋남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보호커버(820)의 일측에는 맞춤 돌기(571, 572)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보호커버(820)의 타측에는 맞춤 홈(573, 57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커버(820)의 일측의 일측 배관 방향에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맞춤 돌기(57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커버(820)의 일측의 타측 배관 방향에는 띠형태의 맞춤 돌기(57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띠형태의 맞춤 돌기(571)는 대경 커버(411)에서 대경 커버의 타측면(540)을 따라 소경 커버(412)로 이어질 수 있다. 제 1 보호커버(820)의 타측의 일측 배관 방향에는 오목한 원기둥 또는 오목한 타원기둥 형태의 맞춤 홈(57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커버(820)의 타측의 타측 배관 방향에는 띠형태의 맞춤 홈(57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띠형태의 맞춤 홈(573)은 대경 커버(411)에서 대경 커버의 타측면(540)을 따라 소경 커버(412)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제 1 보호커버(820)의 맞춤 돌기(571, 572) 및 맞춤 홈(573, 574)이 제 2 보호커버(830)의 맞춤 홈 및 맞춤 돌기에 삽입됨으로써, 보호커버(210)는 어긋남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맞춤 홈에 맞춤 돌기가 삽입되어 제 1 보호커버(820) 및 제 2 보호커버(830)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막히므로, 배관 내부의 액체가 보호커버(2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 견고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호커버(820)의 일측에서 제 1 보호커버(820)의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은 일측 배관 방향 및 타측 배관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210)의 소경 커버(412)의 내주면과 타측 배관(130)의 외주면 사이에 PH측정부(911, 912)가 위치할 수 있다. PH측정부(911, 912)는 비교부(911) 및 테스트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911)는 유체가 접촉하더라도 색이 변하지 않는 부위일 수 있다. 또한 테스트부(912)는 유체가 접촉하는 경우, 유체의 PH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닿은 후의 비교부(921)는 유체가 닿기 전의 비교부(911)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유체가 닿은 후의 테스트부(922)는 유체가 닿기 전의 테스트부(912)와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쉽게 유체의 유출을 알아차릴 수 있다.
비교부(911, 921)는 테스트부(912, 922)에 비하여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새어 나온 유체는 테스트부(912, 922)에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조금이라도 샌 경우,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테스트부(912)만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색이 변했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없다. 어떤 색이 정상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PH측정부(911, 912)는 비교부(911) 및 테스트부(912)를 모두 포함하여, 작업자가 색변화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관에는 수많은 연결부 어셈블리(10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유체의 유출을 확인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보호커버(210)의 외면에는 복수의 아이콘(1010, 1020)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아이콘(1010, 1020)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은 제 2 아이콘(1020)에 비하여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아이콘(1020)은 제 1 아이콘(1010)에 비하여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 및 제 2 아이콘(1020)의 사이에는 라인(1030)이 그려져 있을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 1 아이콘(1010)으로써 사각형을 도시하였고, 제 2 아이콘(1020)으로써 원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아이콘(1010) 및 제 2 아이콘(1020)은 QR코드 형태의 복잡한 문양을 가질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은 소경 커버(412) 또는 PH측정부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제 2 아이콘(1020) 및 라인(1030)은 제 1 아이콘(1010)에 대하여 소경 커버(412) 또는 PH측정부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연결부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보호커버(210)를 촬영하고 있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의 영상은 연결부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는 영상에 기초하여 PH측정부의 색이 변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 1 아이콘(1010)의 특이한 형태에 기반하여 영상에서 제 1 아이콘(1010)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아이콘(1010)의 위치 및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아이콘(1020)의 특이한 형태에 기반하여 영상에서 제 2 아이콘(1020)을 인식할 수 있다. 제 2 아이콘(1020)의 위치 및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아이콘(1010) 및 제 2 아이콘(10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아이콘(1010)과 제 2 아이콘(1020)사이의 라인(1030)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라인(1030)의 거리(1040)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인(1030)의 거리(1040)는 영상 내의 픽셀의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라인(1030)의 거리(1040)는 제 1 아이콘(1010)에서 제 2 아이콘(1020)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라인(1030)의 거리(1040)의 1/N은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3이상 10이하일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은 영상 내의 픽셀의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 라인(1030)의 거리(1040)의 1/N을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을 측정할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에 비하여 라인(1030)의 거리(1040)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어부는 정확하게 라인(1030)의 거리(1040)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1040)의 1/N을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으로 결정하여 제 1 아이콘(1010)의 폭(1051), 테스트부(922)의 폭(1052), 또는 비교부(921)의 폭(1053)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촬영부는 상대적으로 보호커버(210)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영상 내에서 라인(1030)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라인(1030)의 방향은 직사각형의 영상의 밑변, 좌측변, 우측변 또는 윗변에 대한 라인(1030)의 각도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1030)과 영상의 밑변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중심으로 직교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직교 좌표는 영상의 가로축과 세로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중심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X축에 대한 라인(1030)의 각도를 라인(1030)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라인(1030)의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촬영부에 대하여 보호커버(210)가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제어부는 정상적으로 PH측정부의 색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결정된 라인(1030)의 각도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직교 좌표계를 그대로 둔 채로 영상을 회전하여 라인(1030)을 직교좌표계의 X축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선택적인 단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 1 아이콘(1010)으로부터 라인(1030)의 방향으로 거리(1040)의 1/N까지를 테스트부(922)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테스트부(922)의 영역으로부터 라인(1030)의 방향으로 거리(1040)의 1/N까지를 비교부(921)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영상으로부터 제 1 아이콘(1010)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의 길이는 테스트부(922)의 길이 및 비교부(92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아이콘(1010)의 길이, 테스트부(922)의 길이 및 비교부(921)의 길이는 라인(1030)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 2 아이콘(1020)에서 제 1 아이콘(1010)으로 향하는 방향(즉 라인(1030)의 방향)에서 테스트부(922)의 영역 및 비교부(921)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1010)으로부터 라인(1030)의 방향으로 거리(1040)의 1/N까지를 테스트부(922)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테스트부(922)의 영역으로부터 라인(1030)의 방향으로 거리(1040)의 1/N까지를 비교부(921)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테스트부(922)의 영역의 대표픽셀값 및 비교부(921)의 영역의 대표픽셀값에 기초하여 비교부(921)의 색이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제어부는 테스트부(922)의 영역의 중심점의 픽셀값을 대표픽셀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비교부(921)의 영역의 중심점의 픽셀값을 대표픽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테스트부(922)의 영역의 평균 픽셀값을 대표픽셀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비교부(921)의 영역의 평균 픽셀값을 대표픽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표픽셀값은 3개의 색상 성분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색상 성분은 RGB 또는 YCbCr형식일 수 있다. 즉, 3개의 색상 성분은, R성분, B성분, G성분일 수 있다. 또는 3개의 색상 성분은 Y, Cb, Cr성분일 수 있다.
제어부는 색상성분별로 테스트부(922)의 영역의 대표픽셀값 및 비교부(921)의 영역의 대표픽셀값의 차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색상성분별로 제 1 차분값, 제 2 차분값, 및 제 3 차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차분값, 제 2 차분값, 및 제 3 차분값은 절대값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차분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제 2 차분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값보다 크고, 제 3 차분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 테스트부(922)의 색상이 변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 제 2 임계값, 또는 제 3 임계값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는 배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배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3개의 색상 성분 모두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유체가 유출되었음을 결정하므로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일이 PH측정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일측 배관 및 타측 배관의 연결부의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 어셈블리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배관과 결합된 일측 배관 연결부;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나사선에 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배관홀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배관의 단부가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타측 배관 연결부; 및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타측 배관을 감싸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경 커버; 및
    일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감싸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 커버의 내측은,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 증강 돌기와 맞물리는 제 1 돌기; 및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는,
    상기 일측 배관 방향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링형 돌출부;
    상기 링형 돌출부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며,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민자 원통부; 및
    상기 민자 원통부의 타측 배관 방향에 위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링형 돌출부에 접하며, 상기 일측 배관 방향에서 상기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된 마찰증강부; 및
    상기 민자 원통부에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마찰증강부보다 상기 대경 커버의 내측으로 더 돌출된 제 1 회전 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 커버의 내측은 PH측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폴리프탈레이트 카보네이트(POLYPHTHALATE CARBONATE; PPC) 재질이고, 투명하여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의 결합상태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연결부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는 외주면에 상기 마찰 증강 돌기가 상기 일측 배관 방향에서 상기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일측 배관 방향에서 상기 타측 배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찰 증강 돌기의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부 어셈블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민자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제 2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돌기에 포함된 상기 제 1 회전 방지 돌기와 상기 제 2 회전 방지 돌기가 접하여 상기 보호커버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연결부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커버의 상기 일측 배관 방향에는 상기 일측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대경 커버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동일하게 생긴 제 1 보호커버 및 제 2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일측의 결합홀에 상기 제 2 보호커버의 결합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타측의 결합돌기가 상기 제 2 보호커버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보호커버 및 상기 제 2 보호커버가 결합되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일측 배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배관 연결부의 외부를 둘러 싸며,
    상기 제 1 보호커버에서, 상기 제 2 보호커버와 접하는 면에는 맞춤 돌기 및 맞춤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맞춤 돌기는 상기 제 2 보호커버의 맞춤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맞춤 홈에 상기 제 2 보호커버의 맞춤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타측으로 향하는 방향은 상기 일측 배관 방향 및 상기 타측 배관 방향과 수직인 연결부 어셈블리.
KR1020220048485A 2022-04-19 2022-04-19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KR10257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85A KR102573925B1 (ko) 2022-04-19 2022-04-19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85A KR102573925B1 (ko) 2022-04-19 2022-04-19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925B1 true KR102573925B1 (ko) 2023-09-01

Family

ID=8797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485A KR102573925B1 (ko) 2022-04-19 2022-04-19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92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976A (ja) * 1988-07-26 1990-02-07 Nitta Mua Co:Kk 溶接装置の耐スパッター用キャップ
KR20100004167U (ko) * 2008-10-13 2010-04-22 김유권 보호용 캡을 갖는 전선관 접속장치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10-11-16 정현영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1271984B1 (ko) 2012-12-15 2013-06-05 김성진 배관 피팅 고정부재
KR101283690B1 (ko) * 2012-11-27 2013-07-08 권오남 피팅 커버 장치
KR20170047870A (ko)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977378B1 (ko) * 2019-01-29 2019-05-10 주식회사 제이엘 테크놀러지 배관 체결부 풀림 방지 커버
KR20200018049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976A (ja) * 1988-07-26 1990-02-07 Nitta Mua Co:Kk 溶接装置の耐スパッター用キャップ
KR20100004167U (ko) * 2008-10-13 2010-04-22 김유권 보호용 캡을 갖는 전선관 접속장치
KR20100120449A (ko) 2009-05-06 2010-11-16 정현영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1283690B1 (ko) * 2012-11-27 2013-07-08 권오남 피팅 커버 장치
KR101271984B1 (ko) 2012-12-15 2013-06-05 김성진 배관 피팅 고정부재
KR20170047870A (ko)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쏠락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20200018049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KR101977378B1 (ko) * 2019-01-29 2019-05-10 주식회사 제이엘 테크놀러지 배관 체결부 풀림 방지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637B2 (en) 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US7918126B2 (en) Intelligent underwater leak detection system
US20200386644A1 (en) Pressure indicating mechanical tee
KR102481101B1 (ko)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US6438814B1 (en) Method of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a tube and a fitting
KR102573925B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KR20090016332A (ko) 신축부의 원격 누설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2071022A1 (en) Arrangement at a pipe flange seal
CN104395656A (zh) 具备传感器的闸门阀
RU22898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инчивания детале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орпуса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JP6595303B2 (ja) 管継手
JPS5913993A (ja) 配管系監視装置
CN115932864A (zh) 管道缺陷检测方法和管道缺陷检测装置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US20170082517A1 (en) Leak detection system
KR20120001146A (ko) 누수 탐지관
TW202040046A (zh) 配管系統、配管資訊系統以及管接頭系統
KR20190058968A (ko) 화학가스 유출 감지부 및 이를 구비한 화학가스 이동관
KR102669162B1 (ko) 누출 감지 장치
KR102664546B1 (ko) 누출 감지 장치
JP2008241622A (ja) ユニオン継手間上下相対位置測定用治具
JP6595300B2 (ja) 管継手
KR20120001147A (ko) 복수의 씰링을 구비한 누수 탐지관
BRPI0800473B1 (pt) sistema e processo para detecção de vazamento em umbilicais
JP2024536688A (ja) 漏えい感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