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929B1 -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929B1
KR101802929B1 KR1020150148488A KR20150148488A KR101802929B1 KR 101802929 B1 KR101802929 B1 KR 101802929B1 KR 1020150148488 A KR1020150148488 A KR 1020150148488A KR 20150148488 A KR20150148488 A KR 20150148488A KR 101802929 B1 KR101802929 B1 KR 10180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per
leakage
cas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870A (ko
Inventor
김정남
김용욱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to KR102015014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9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피팅에서 유체의 누출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배관 피팅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체결방식으로 배관 피팅을 죄이는 케이싱과 체결부재로 구성된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싱 외주면 상에 누설 유체와의 접촉으로 변색되는 변색지와 함께 변색지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된 표준색상지를 인접하게 배치하는데, 변색지와 표준색상지 간의 색상 비교를 통해 유체의 누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Protective cover for preventing looseness of pipe fitting with leak detecting element}
본 발명은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특히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면서 필요에 의해 배관의 연장을 해야 한다. 즉, 일정한 길이의 배관은 피팅(fitting)이라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일 배관과 다른 배관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배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피팅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로 인해 장시간 진동에 노출되어 피팅의 결속이 약화될 수밖에는 없다.
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특허문헌 1은 피팅의 결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배관 피팅 고정부재를 게재하는바, 하나 이상의 장홀을 갖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 단부에 각각의 장착부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장착부는 관통부에 피팅으로 연결될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에 장착되는데, 이 관통부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턱부가 배관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피팅 고정부재는 배관 외부로 노출되는 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는 데에 용이하지 않다.
액체나 기체로 구성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서, 특허문헌 2는 배관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피팅구에서 유체의 누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개략적으로 배관의 피팅구에 대응되게 감싸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팅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는 배관 내부로 기상의 유체가 배관 외부로 누출될 때 어셈블리 내부로 수용되지 않아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무채색의 유체 혹은 무취의 유체의 누설도 감지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9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0449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표준색상지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연장된 배관 사이의 피팅구에서 누설 유체와 접촉되면 변색되는 변색지의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비교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간의 피팅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반통부재와, 이 반통부재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일측 배관을 지지보유하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는 암나사산부, 반통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타측 배관을 지지보유하는 제2 삽입홈을 형성하는 마감부재, 및 반통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단차져 있는 안착부를 갖춘 케이싱과;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변색지와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 여부와 무관하에 이 변색지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을 유지하는 표준색상지를 이격되게 배치하고, 케이싱의 안착부 상에 배치되는 누설 감지부;
케이싱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산부와 이 숫나사산부의 일 단부에 헤드부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삽입홈을 갖춘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안착부는 내부영역에 반통부재의 내부공간과 안착부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관통공은 내부공간 내에 수용된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를 변색지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설 유체와의 접촉으로 변색될 변색지와 표준색상지 간의 색상 비교를 통해 유체의 누출 상태를 육안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누설 감지부는 일측면에 표준색상지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홈과 유체연통되어 있지 않고, 타측면에 변색지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 수용홈; 관통공과 제2 수용홈의 유체연통을 돕는 안내경로; 안착부에 끼움 결합을 돕도록 양 단부에 구비된 체결돌기; 및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는 누설 감지부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반통부재는 이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스토퍼 사이에 안착부를 배치할 수 있다.
누설 감지부는 변색지와 표준색상지 간의 용이한 색상 비교를 위해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 반통부재와, 이 반통부재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일측 배관을 지지보유하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는 암나사산부, 반통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타측 배관을 지지보유하는 제2 삽입홈을 형성하는 마감부재, 및 반통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단차져 있는 안착부를 갖춘 케이싱과;
케이싱의 안착부 상에 배치되는 누설 감지부;
누설 감지부와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변색지;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 여부와 무관하게 변색지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을 유지하는 표준색상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양 단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체결돌기가 케이싱(2100)의 반통부재(2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착되어 케이싱의 반통부재 외주면 상에 끼움 결합되는 표준색상 지표부;
케이싱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산부와 이 숫나사산부의 일 단부에 헤드부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삽입홈을 갖춘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안착부는 내부영역에 반통부재의 내부공간과 안착부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관통공은 내부공간 내에 수용된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를 변색지와 접촉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누설 유체와의 접촉으로 변색될 변색지와 표준색상지 간의 색상 비교를 통해 유체의 누출 상태를 육안을 확인할 수 있다.
안착부는 내부영역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을 구비하고, 누설 감지부는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표준색상 지표부는 표준색상지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측면에 제1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반통부재는 외주면 둘레에 표준색상 지표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 오목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누설 감지부와 표준색상 지표부는 변색지와 표준색상지 간의 용이한 색상 비교를 위해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관의 피팅구에 인접하게 변색지를 배치하고서 누설 유체와의 접촉을 통한 변색지의 변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변색지와 표준색상지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변색 이전의 색상을 지닌 표준색상지와 누설 유체에 접촉되는 변색지 간의 색상 비교를 통해 변색지의 변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변색지의 색상이 표준색상지의 색상과 상이할 경우에 배관 피팅 부위에서 누출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색지 및/또는 표준색상지의 탈장착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변색지의 변색 또는 배관 내로 유동하는 유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변색지 및/또는 표준색상지의 교체를 돕는다.
본 발명은 배관의 상호 연결을 돕는 피팅구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피팅구의 풀림을 방지하여 길이연장된 배관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될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해한 도면들로서, 도 1(a)는 보호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보호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피팅과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보호커버의 케이싱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케이싱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보호커버의 누설 감지부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누설 감지부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의 A-A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해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보호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보호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100)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케이싱(1100)과, 이 케이싱(1100)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되어 유체의 누설 상태를 표시하는 누설 감지부(1200), 및 케이싱(1100) 내부에 수용된 배관 피팅을 고정하는 체결부재(1300)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1100)과 체결부재(130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상호 죄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100)는 누설 감지부(1200) 내에 누설 유체와 접촉을 허용하는 변색지(20)와 함께 항상 일정한 색상을 유지하는 표준색상지(50)를 삽입배치하고 있다. 참고로, 표준색상지(50)는 누설 유체와의 접촉 여부와 무관하게 일정한 색상(예컨대, 변색지의 최초 원색(原色))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누설 감지부(1200)를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여 표준색상지(50)와 변색지(20)의 색상을 외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변색지(20)의 변색 유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케이싱(11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면과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안착부(1150)를 갖춘 반통부재(1110)와, 이 반통부재(1110)의 내부공간(1111)과 안착부(1150)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관통공(1120), 반통부재(1110)의 일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암나사산부(1130), 및 반통부재(1110)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마감부재(1140)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통부재(1110)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상의 내부공간(1111)을 갖춘 반통형상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반통부재(1110)는 반원통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박스형상 등의 다양한 3차원적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반통부재(1110)는 이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스토퍼(1161,1162)를 배치한다. 제1 스토퍼(1161)는 안착부(115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제2 스토퍼(1162)는 안착부(115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암나사산부(113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반통부재(1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되, 추후에 설명될 체결부재(1300)와의 나사체결을 돕는다. 물론, 암나사산부(113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암나사산부(1130)는 제1 삽입홈(1131)을 형성한다. 제1 삽입홈(1131)은 암나사산부(113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131)은 일측 배관(P1)을 암나사산부(113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경로로 사용된다. 제1 삽입홈(1131)은 일측 배관(P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마감부재(1140)는 암나사산부(1130)와 대향되게 반통부재(11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되, 타측 배관(P2)의 안착을 돕는다. 마감부재(1140)는 제2 삽입홈(1141)을 갖춘 U자형상의 구성부재이다. 전술되었듯이, 마감부재(1140)는 타측 배관(P2)을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제2 삽입홈(1141)을 통해 그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오목형상의 경로를 제공한다. 제2 삽입홈(1141)은 타측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측 배관(P2)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싱(1100)은 전술되었듯이 반통부재(1110)와 암나사산부(1130) 및 U자형상의 마감부재(1140)로 한정된 내부공간(1111)을 형성한다. 내부공간(1111)은 일측 배관(P1), 타측 배관(P2)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배관 피팅(참조부호 없음)을 수용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00)는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타측 배관(P2)의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반통부재(1110)의 외주면 둘레에 누설 감지부(12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반통부재(1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140)에 인접한 외주면 둘레에 누설 감지부(1200)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11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반통부재(1110)의 외주면 다른 부분에 안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안착부(1150)가 마감부재(114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1300)와의 접촉 기회를 배제하는 등 체결부재(13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착부(1150)는 누설 감지부(1200)의 용이한 끼움 결합을 가능하도록 반통부재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단차져 있고, 이는 안착부 상에 누설 감지부를 장착하여도 반통부재(1110)의 외주면에 굴곡 부분을 형성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안착부(1150)는 그 내부영역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볼록부(1152)를 구비한다.
관통공(1120)은 반통부재(1110)의 내부공간(1111)과 안착부(1150) 사이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천공되어 있어, 배관 피팅 주변에서 누설된 유체를 누설 감지부(1200)의 일부와 접촉을 허용할 수 있다. 물론, 관통공(1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50)의 내부영역에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호커버(100)는 케이싱(1100)의 내부공간(1111)에 배관 피팅을 배치하고, 케이싱(1100)의 양 단부를 관통해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길이연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100)은 배관 피팅을 반통부재(1110)의 개방면을 통해 그 내부공간(1111)에 수용하고, 일측 배관(P1)은 암나사산부(1130)의 제1 삽입홈(1131)에 안착되며, 타측 배관(P2)은 마감부재(1140)의 제2 삽입홈(1141)에 안착된다.
배관 피팅은 일측 배관(P1)의 단부에 구비된 제1 너트(N1;male nut)와 타측 배관(P2)의 단부에 구비된 제2 너트(P2;female nut)를 접속시켜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의 양 단부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상호 체결된다.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너트(female nut)와 제2 너트(male nut)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너트(N1)와 제2 너트(N2)의 접속 부위에는 개스킷(혹은 O-링)을 개재하여, 길이연장된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누설 감지부(1200)는 도시되었듯이 전반적으로 안착부(1150)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춘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누설 감지부(1200)는 일측면에 제1 수용홈(1210)을 구비하는 한편 타측면에 제2 수용홈(1220)을 구비한다. 제1 수용홈(1210)과 제2 수용홈(1220)은 상호 유체연통되어 있지 않다.
누설 감지부(1200)는 양 단부에 개별적으로 체결돌기(1240)를 형성한다. 체결돌기(1240)는 안착부(1150)의 양 측면에 결착되어, 반통부재(1110)의 안착부(1150) 상에 누설 감지부(1200)를 끼움 결합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한, 누설 감지부(1200)는 내주면의 내부영역 둘레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1250)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1250)는 안착부(1150) 상에 누설 감지부(1200)를 덮어씌울 때 누설 감지부(1200)의 위치선정을 돕는다. 누설 감지부(1200)를 안착부(1150)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안착부(1150)의 볼록부(1152)가 누설 감지부(1200)의 오목부(1250)에 정합되어 누설 감지부(1200)의 정렬을 도울 뿐만 아니라 안착부(1150) 상에서 누설 감지부(1200)의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누설 감지부(1200)의 오목부(1250)와 안착부(1150)의 볼록부(1152)는 치합결합되는데, 이는 관통공(1120)으로 유입된 누설 유체를 누설 감지부(1200)의 타측면에 제2 수용홈(1220)으로의 유동을 돕지만 누설 감지부(1200)의 일측면에 제1 수용홈(1210)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누설 감지부(1200)의 내주면에는 반통부재(1110)의 관통공(1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경로(1230)를 구비하는데, 안내경로(1230)는 관통공(1120)과 제2 수용홈(1220)의 유체연통을 돕는 구성부재로, 피팅 둘레에서 누설된 유체를 관통공(1120)과 안내경로(1230)를 통과해 제2 수용홈(12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돕는다. 제2 수용홈(1220)은 이의 내부에 시트 형상의 변색지(20)를 수용한다.
참고로, 변색지(20)는 가스 혹은 액체에 반응하는 수용성 잉크 라벨지, 예컨대 리트머스지, pH 시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산성용액이 유출될 경우 적색으로 변화되고, 알카리성 용액이 유출될 경우에는 청색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누설 감지부(1200)는 배관의 파열 또는 배관의 접속된 연결구, 배관 피팅에서 화화물질이 유출될 겨우 유출량이 미세하더라도 용이하게 변색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육안으로 유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돕는다.
누설 감지부(1200)는 전술되었듯이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수용홈(1210) 내부에 시트 형상의 표준색상지(50)를 수용한다. 표준색상지(50)는 변색지(20)의 변색 전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다. 누설 감지부(1200)는 제1 수용홈(1210)을 T자형상으로 형성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제1 수용홈(1210)에 표준색상지(50)의 삽입 및/또는 분리를 돕는다.
누설 감지부(1200)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지(20)의 색상 변화를 유도하는 한편, 변색지의 최초 색상을 유지하고 있는 표준색상지(50)의 색상과 누설 유체와의 접촉으로 변색된 변색지(20)의 색상을 비교할 수 있어 외부에서 육안으로 유체의 누설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변색지의 최초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는 표준색상지(50)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작업자는 누설 유체와 접촉되지 전의 변색지 최초 색상을 인지하지 못하여 변색지의 변색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도 있다. 즉, 표준색상지(50)는 변색지(20)와의 색상 비교 지표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자는 나란하게 배열된 표준색상지(50)와 변색지(20)의 색상 비교만으로도 유체의 누설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누설 감지부(1200)는 반통부재(1110)의 안착부(1150)와 제1 스토퍼(1161) 및 제2 스토퍼(1162)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장착되는데, 누설 감지부(1200)는 안착부(1150) 상에 안착되고, 제1 수용홈(1210)을 형성하는 누설 감지부(1200)의 일측면을 제1 스토퍼(1161)와 면접가능하게 배치하며, 제2 수용홈(1220)을 형성하는 누설 감지부(1200)의 타측면을 제2 스토퍼(1162)와 면접되게 배치한다.
제1 스토퍼(1161)는 제1 수용홈(1210) 내부로부터 표준색상지(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누설 유체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퍼(1162)는 제2 수용홈(1220) 내부로부터 변색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누설 유체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11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300)를 구비한다. 개략적으로, 체결부재(1300)는 볼트(bolt)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암나사산부(1130)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부(1320)와, 이 숫나사산부(1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13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체결부재(130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3 삽입홈(1330)을 형성하는데, 제3 삽입홈(1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10)와 숫나사산부(132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을 체결부재(1300)의 제3 삽입홈(13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제3 삽입홈(1330)은 일측 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관의 원활한 삽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100)는 제1 삽입홈(1131)의 개구부와 제2 삽입홈(1141)의 개구부 및 반통부재(1110)의 내부공간(1111) 개방면을 동일방향으로 배치시켜 피팅구로 결합된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1)에 쉽게 안착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의 정렬 상태를 보장하면서 피팅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삽입홈(1131)과 제2 삽입홈(1141) 및 제3 삽입홈(1330)을 동심축 선상에 배치시켜 피팅 상태의 일측 배관과 타측 배관을 일렬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배관의 길이 연장을 돕고 배관 피팅의 풀림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00)에서 배관 피팅의 예상치 못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립된 후에는 체결부재(1300)의 제3 삽입홈(1330)과 제1 및 제2 삽입홈(1131,1141)을 일치시키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피팅과 풀림 방지용 보호커버의 조립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싱(1100)의 암나사산부(1130)에 체결부재(1300)의 숫나사부(1320)를 체결하여 보호커버(100)를 구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배관 피팅을 장착하기 전에 케이싱(1100)과 체결부재(1300)를 미리 가체결시켜 케이싱(1100)의 내부공간으로 배관 피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케이싱(1100)의 내부공간(1111)에 배관 피팅의 삽입을 돕도록, 본 발명의 보호커버(100)는 제1 삽입홈(1131)의 개구부와, 제2 삽입홈(1141)의 개구부, 반통부재(1110)의 내부공간 개방면, 그리고 체결부재(1300)의 제3 삽입홈(1330)을 동일 방향으로 미리 설정하여 피팅으로 결합된 일측 배관(P1)과 타측 배관(P2)을 케이싱(1100)의 내부공간(1111)에 쉽게 안착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체결부재(1300)는 일측 배관(P1)의 단부를 향해 즉 암나사산부(1130)를 향해 죄여지는데, 죄임용 지그(jig), 예컨대 스패너(spanner)를 통해 죄여 암나사산부(1130)와 나사체결된다.
체결부재(1300)가 죄여지면서, 체결부재(1300)의 숫나사산부(1320) 끝단이 제1 너트(N1)와 접촉되어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 너트(N1) 및/또는 제2 너트(N2)의 불필요한 회전을 제한하여 제1 너트(N1)와 제2 너트(N2)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숫나사산부(1320) 끝단이 제1 너트(N1)의 상부면 만을 압박하여, 제1 너트의 둘레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어 배관 피팅의 교체 및/또는 수리시 너트의 풀림과 죄임을 쉽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되었듯이, 나사체결로 가압되어 배관 피팅이 케이싱(1100)의 내부공간(1111)에서 이탈되지 않지만, 확실하게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1300)의 제3 삽입홈(1330)을 반통부재(1110)의 개방면과 어긋나게 배열하도록 한다.
케이싱(1100) 내부에서 배관 피팅의 불필요한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통부재(1110)의 내주면은 배관 피팅, 예컨대 제2 너트(N2) 또는 제1 너트(N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N1,N2)의 돌출 모서리가 반통부재(1110)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안착되어, 너트(N1,N2)를 포함한 배관 피팅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누설 유체와 접촉되어 표준색상지(50)와 다른 색상으로 변색된 변색지(20)를 통해 누출 여부를 확인한 운전자 및/또는 작업자는 변색된 변색지를 통해 누설된 배관 피팅을 신속히 수리 및 교체하여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고, 유체가 유해한 화학물질인 경우에는 누출로 인한 인명피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도해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보호커버(100)의 다른 변형예로서, 누설 감지부와 안착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200)는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케이싱(2100)과, 이 케이싱(2100)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되어 유체의 누설 상태를 표시하는 누설 감지부(2200), 케이싱(2100)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U자형상의 표준색상 지표부(2500), 및 케이싱(2100)의 내부에 수용된 배관 피팅을 고정하는 체결부재(2300)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2100)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안착부(2150)를 갖춘 반통부재(2110)와, 이 반통부재(2110)의 일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암나사산부(2130), 반통부재(2110)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우는 마감부재(2140)로 이루어져 있다.
암나사산부(213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반통부재(2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되, 추후에 설명될 체결부재(2300)와의 나사체결을 돕는다. 물론, 암나사산부(213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암나사산부(2130)는 제1 삽입홈(2131)을 형성한다. 제1 삽입홈(2131)은 일측 배관(P1)을 암나사산부(213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경로로 사용된다.
마감부재(2140)는 암나사산부(2130)와 대향되게 반통부재(21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되, 타측 배관(P2)의 안착을 돕는다. 마감부재(2140)는 제2 삽입홈(미도시, 도 2(a)의 제2 삽입홈(1141)에 상응하는 구성부재)을 갖춘 U자형상의 구성부재이다. 전술되었듯이, 마감부재(2140)는 타측 배관(P2)을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제2 삽입홈을 통해 그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오목형상의 경로를 제공한다.
안착부(2150)는 누설 감지부(2200)의 용이한 끼움 결합을 가능하도록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단차져 있는데, 특히 안착부(215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2124)과, 이 2개의 체결홈(2124) 사이에 관통공(2120)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공(2120)은 반통부재(2110)의 내부공간(2111)과 안착부(2150) 사이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천공되어 있어, 배관 피팅 둘레에서 누설된 유체를 누설 감지부(2200)와 접촉을 허용할 수 있다. 반통부재(2110)는 이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스토퍼(2161,2162)를 배치한다. 제1 스토퍼(2161)는 안착부(215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편, 제2 스토퍼(2162)는 안착부(215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2161)는 표준색상지(50)의 유출입을 돕는 제1 수용홈(2510)을 폐쇄할 수 있어, 표준색상 지표부(2500) 내부에 표준색상지(5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설 유체와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구획벽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누설 감지부(2200)는 반통부재(2110)의 윤곽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되, 이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2240)를 형성한다. 2개의 체결돌기(2240)의 이격거리는 2개의 체결홈(2124)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누설 감지부(2200)의 내측면은 안착부(21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누설 감지부(2200)와 안착부(2150)의 정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는 반통부재(2110)의 안착부(2150)와 누설 감지부(2200) 사이에 변색지(20)를 개재하는데, 변색지(20)는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색지(20)는 가스 혹은 액체에 반응하는 수용성 잉크 라벨지, 예컨대 리트머스지, pH 시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안착부(2150)에 안착된 누설 감지부(2200)와 인접하게 케이싱(2100)의 외주면 둘레에 U자형상의 표준색상 지표부(2500)를 케이싱(2100)에 배치한다. 표준색상 지표부(2500)는 측면에 제1 수용홈(2510)을 구비하고, 제1 수용홈(2510) 내부에 시트 형상의 표준색상지(50)를 수용한다. 표준색상지(50)는 변색지(20)의 변색 전의 최초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다. 표준색상 지표부(2500)는 양 단부에 개별적으로 체결돌기(2540)를 형성한다. 체결돌기(2540)는 반통부재(2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착되어, 반통부재(2110)의 외주면 상에 표준색상 지표부(2500)를 끼움 결합하여 위치고정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반통부재(2110)는 안착부(2150)와 중첩되지 않는 외주면 둘레에 오목형상부(2160)를 형성하는데, 오목형상부(2160)는 표준색상 지표부(2500)의 안착을 돕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피팅 둘레에서 누설된 유체가 관통공(2120)을 통과해 변색지(20)와 접촉되어 변색된다. 운전자 및/또는 작업자는 변색지(20)의 색상과 표준색상지(50)의 색상을 비교하여 변색지의 색상이 표준색상지의 색상과 다를 경우에 유체의 누출로 판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변색지(20)와 표준색상지(50)를 케이싱(2100)의 외주면에서 구획되게 배치하고 있어 표준색상지와 누설 유체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표준색상 지표부(2500)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200)는 누설 감지부(2200)와 표준색상 지표부(2500)를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색지(20)와 표준색상지(50)의 색상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 및 각각의 색상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케이싱(2100)도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케이싱(21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300)를 구비한다. 개략적으로, 체결부재(2300)는 볼트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암나사산부(2130)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부(2320)와, 이 숫나사산부(2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23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체결부재(230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제3 삽입홈(2330)을 형성하는데, 제3 삽입홈(2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310)와 숫나사산부(232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일측 배관(P1)을 체결부재(2300)의 제3 삽입홈(23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20 ----- 변색지,
50 ----- 표준색상지,
100, 200 ----- 보호커버,
1100, 2100 ----- 케이싱,
1200, 2200 ----- 누설 감지부,
1300, 2300 ----- 체결부재,
2500 ----- 표준색상 지표부,
N1, N2 ----- 너트,
P1, P2 ----- 배관.

Claims (10)

  1. 일 단부에 제1 너트(N1)를 갖춘 가늘고 긴 일측 배관(P1)과, 상기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체결되는 제2 너트(N2)를 갖춘 가늘고 긴 타측 배관(P2)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되어 배관 피팅의 풀림을 방지하는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1111)을 구비한 반통부재(1110)와, 상기 반통부재(1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 배관(P1)을 지지보유하는 제1 삽입홈(1131)을 형성하는 암나사산부(1130), 상기 반통부재(11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 배관(P2)을 지지보유하는 제2 삽입홈(1141)을 형성하는 마감부재(1140), 및 상기 반통부재(1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단차져 있는 안착부(1150)를 갖춘 케이싱(1100)과;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변색지(20)와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변색지(20)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을 유지하는 표준색상지(50)를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1100)의 상기 안착부(1150) 상에 배치되는 누설 감지부(1200); 및
    상기 케이싱(1100)의 암나사산부(1130)에 체결되도록, 숫나사산부(1320)와 상기 숫나사산부(1320)의 일 단부에 헤드부(1310)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삽입홈(1330)을 갖춘 체결부재(13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착부(1150)는 내부영역에 상기 반통부재(1110)의 내부공간(1111)과 안착부(1150)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관통공(1120)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1120)은 상기 내부공간(1111) 내에 수용된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를 상기 변색지(20)로 안내하고,
    상기 누설 감지부(1200)는,
    일측면에 상기 표준색상지(50)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 수용홈(1210)과;
    상기 제1 수용홈(1210)과 유체연통되지 않고, 타측면에 상기 변색지(20)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 수용홈(1220);
    상기 관통공(1120)과 상기 제2 수용홈(1220)의 유체연통을 돕는 안내경로(1230);
    상기 안착부(1150)에 끼움 결합을 돕도록 양 단부에 구비된 체결돌기(1240); 및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1250);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1150)는 상기 누설 감지부(1200)의 오목부(125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1152)를 형성하되, 상기 반통부재(1110)는 이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스토퍼(1161,1162)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1161,1162) 사이에 상기 안착부(115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부(1200)는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6. 일 단부에 제1 너트(N1)를 갖춘 가늘고 긴 일측 배관(P1)과, 상기 일측 배관(P1)의 제1 너트(N1)와 체결되는 제2 너트(N2)를 갖춘 가늘고 긴 타측 배관(P2)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피팅 둘레에 장착되어 배관 피팅의 풀림을 방지하는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관 피팅을 수용하는 내부공간(2111)을 구비한 반통부재(2110)와, 상기 반통부재(2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 배관(P1)을 지지보유하는 제1 삽입홈(2131)을 형성하는 암나사산부(2130), 상기 반통부재(21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 배관(P2)을 지지보유하는 제2 삽입홈을 형성하는 마감부재(2140), 및 상기 반통부재(2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단차져 있는 안착부(2150)를 갖춘 케이싱(2100)과;
    상기 케이싱(2100)의 상기 안착부(2150) 상에 배치되는 누설 감지부(2200);
    상기 누설 감지부(2200)와 상기 안착부(215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변색되는 변색지(20);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와의 접촉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변색지(20)의 최초 원색과 동일한 색상을 유지하는 표준색상지(50)를 내부에 수용하고, 양 단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540)가 상기 케이싱(2100)의 상기 반통부재(2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착되어 상기 반통부재(2110)의 외주면 상에 끼움 결합되는 표준색상 지표부(2500); 및
    상기 케이싱(2100)의 암나사산부(2130)에 체결되도록, 숫나사산부(2320)와 상기 숫나사산부(2320)의 일 단부에 헤드부(2310)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삽입홈(2330)을 갖춘 체결부재(23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착부(2150)는 내부영역에 상기 반통부재(2110)의 내부공간(2111)과 안착부(2150) 사이를 유체연통하는 관통공(2120)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2120)은 상기 내부공간(2111) 내에 수용된 상기 배관 피팅에서 누출되는 유체를 상기 변색지(20)와 접촉을 유도하되, 상기 안착부(2150)는 내부영역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체결홈(2124)을 구비하고,
    상기 누설 감지부(2200)는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된 2개의 체결돌기(2240)를 갖추고 있고, 상기 표준색상 지표부(2500)는 상기 표준색상지(50)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측면에 제1 수용홈(2510)을 구비하고, 상기 반통부재(2110)는 외주면 둘레에 상기 표준색상 지표부(2500)와 대응되는 오목형상부(216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누설 감지부(2200)과 상기 표준색상 지표부(2500)는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20150148488A 2015-10-26 2015-10-26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80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88A KR101802929B1 (ko) 2015-10-26 2015-10-26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88A KR101802929B1 (ko) 2015-10-26 2015-10-26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70A KR20170047870A (ko) 2017-05-08
KR101802929B1 true KR101802929B1 (ko) 2017-11-29

Family

ID=6016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488A KR101802929B1 (ko) 2015-10-26 2015-10-26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18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724B1 (ko) * 2019-12-05 2020-08-11 송호용 누수감지기
KR102573925B1 (ko) * 2022-04-19 2023-09-01 피에스테크 주식회사 안전성을 향상시킨 연결부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97B1 (ko) 2013-03-27 2013-09-23 주식회사 비비테크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KR101544209B1 (ko) * 2014-05-13 2015-08-12 이제석 관 이음부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97B1 (ko) 2013-03-27 2013-09-23 주식회사 비비테크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KR101544209B1 (ko) * 2014-05-13 2015-08-12 이제석 관 이음부 보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018U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KR200497141Y1 (ko) 2021-11-11 2023-08-08 주식회사 하플루스 반도체 팹용 피팅 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70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020B1 (ko) 누설 감지가능한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781126B1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802929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887410B1 (ko) 밸브 핸들용 보호커버
KR101560867B1 (ko) 유체 커플링
KR101579495B1 (ko)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US20140232110A1 (en) Pi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ipe using the same
KR102087817B1 (ko) 라인을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US20080202596A1 (en) Air Bleeding Pipe Joint
KR101544209B1 (ko) 관 이음부 보호커버
RU2652856C9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US9638360B2 (en) Leak detection O-ring
EP2349542B1 (en) Leak testing of a pressure vessel
KR102594439B1 (ko) 가압 가스 탱크 헤드 조립체
US8667687B2 (en) Sump entry fitting
US20060290137A1 (en) Threaded coupling for receptacles, such as expansion vessels, tanks and the like
KR101629450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20180031328A (ko)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US20180055733A1 (en) End cap for cartridge-shaped receptacle
KR101684733B1 (ko) 관 이음부 고정 클램프
KR20080004462U (ko) 파이프 연결구
US20150184781A1 (en) Threaded connection for double-walled pipes
KR20160046936A (ko)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KR101519382B1 (ko)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JP7488767B2 (ja) 配管システム、配管情報システム、及び、管継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